KR10243350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505B1
KR102433505B1 KR1020150138133A KR20150138133A KR102433505B1 KR 102433505 B1 KR102433505 B1 KR 102433505B1 KR 1020150138133 A KR1020150138133 A KR 1020150138133A KR 20150138133 A KR20150138133 A KR 20150138133A KR 102433505 B1 KR102433505 B1 KR 10243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osed
substrate
displa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032A (ko
Inventor
배우미
남희
송명섭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505B1/ko
Priority to US15/176,049 priority patent/US10008554B2/en
Publication of KR2017003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01L27/3232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01L27/3248
    • H01L27/3262
    • H01L51/0097
    • H01L51/5281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H01L2227/3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곡면 표시 영역를 갖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어 상기 곡면 표시 영역와 중첩되고,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방향을 조절하는 광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유닛은 액정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의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의 화소 영역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 유리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이므로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백라이트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으로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휘어지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평탄부와 곡면부가 조합된 형상 또는 복수의 곡면부가 연속으로 이어진 형상 등 다양한 모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곡면 표시 영역를 갖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어 상기 곡면 표시 영역와 중첩되고,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방향을 조절하는 광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유닛은 액정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곡면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전극들,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전극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전극들과 마주하는 상부 전극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유닛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들은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유닛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곡면 표시 영역 및 상기 광학 유닛 각각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광학 유닛들은 상기 복수의 곡면 표시 영역들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중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광학 유닛들 사이에 에어갭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고,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패턴은 다수의 프리즘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 각각은 단면상에서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 각각은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곡면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으로 기울어진 광학면을 갖고,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광학면 및 상기 제2 기판 간에 정의되는 경사각의 크기가 증가한다.
상기 광학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시야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방향일 때, 상기 광학 유닛이 구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곡면 표시 영역에서 발생되는 와드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관찰 각도에 따른 표시 장치의 휘도 저하 및 색 좌표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제1 광학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제2 광학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가 적용된 예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휴대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시 장치(1000)의 구체적인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000)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장치,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는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표시 장치(1000)는 부분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평탄부(FA)와 평탄부(FA)에 연결되어 굴곡지도록 형성된 굴곡부(BA1, BA2)를 포함한다.
평탄부(FA)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고, 평탄부(FA)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하다. 제3 방향(DR3)은 후술할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 방향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굴곡부(BA1, BA2)는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는 평탄부(F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굴곡부(BA1)는 제1 방향(DR1)에서 표시장치(10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굴곡부(BA2)는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 각각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휘어진 곡면을 갖고, 제2 방향(DR2)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도 1a에서는 두 개의 굴곡부들(BA1, BA2)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굴곡부들(BA1, BA2)의 갯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000)가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평탄부(FA)에 정의되고,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는 굴곡부들(BA1, BA2)에 정의된다. 평탄부(FA)에 정의된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평면 표시 영역(FDA)라 정의되고, 굴곡부들(BA1, BA2)에 정의된 표시 영역(DA)의 일부를 곡면 표시 영역(BDA)라 정의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윈도우 부재(100), 편광판(200), 복수의 광학 유닛들(310, 320), 표시 패널(400), 커버 패널(500) 및 케이스(600)를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100), 편광판(200), 표시 패널(400) 및 커버 부재(500) 각각은 평탄부와 복수의 굴곡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 편광판(200), 표시 패널(400) 및 커버 부재(500) 각각의 평탄부는 표시 장치(1000)의 평탄부(FA)와 중첩하고, 윈도우 부재(100), 표시 패널(400) 및 커버 부재(500) 각각의 굴곡부들은 표시 장치(1000)의 굴곡부들(BA1, BA2)에 중첩한다.
편의 상, 평탄부(FA)와 굴곡부들(BA1, BA2)은 윈도우 부재(100), 편광판(200), 표시 패널(400), 커버 패널(500) 각각의 평탄부와 굴곡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의 평탄부는 표시 패널(200)에서 평탄한 일 부분(FA)을 의미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표시 패널(400)이 제공하는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광부(100-DA) 및 투광부(100-DA)에 인접한 차광부(100-NDA)를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100)는 표시 패널(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편광판(200)은 윈도우 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편광판(200)은 외광 반사를 억제하고, 표시 패널(4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편광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편광판(200)은 생략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터치 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윈도우 부재(100)와 편광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표시 패널(400)은 편광판(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400)은 표시 영역(400-DA) 및 비표시 영역(400-NDA)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400-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윈도우 부재(100)의 표시 영역(100-DA)에 중첩한다. 비표시 영역(400-NDA)는 표시 영역(400-DA)에 인접하고, 윈도우 부재(100)의 비표시 영역(100-NDA)에 중첩한다. 표시 패널(400)의 표시 영역(400-DA)은 평면 표시 영역(FDA) 및 복수의 곡면 표시 영역들(BD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4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200)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4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400-DA) 및 표시 영역(400-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400-D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400)의 표시 영역(400-DA) 및 비표시 영역(400-NDA)은 윈도우 부재(100)의 표시 영역(100-DA) 및 비표시 영역(100-NDA)와 중첩한다.
복수의 광학 유닛들(310, 320)은 편광판(200) 및 표시 패널(400)의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 유닛들(310, 320)은 표시 패널(400)의 굴곡부들(BA1, BA2)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광학 유닛(310)은 제1 굴곡부(BA1)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광학 유닛(320)은 제2 굴곡부(BA2)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평탄부(FA)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400)의 일 부분, 편광판(200), 제1 광학 유닛(310) 및 제2 광학 유닛(32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공기층(330)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공기층(330)에 투명한 폴리머층이 채워질 수 있다.
표시 패널(400)로부터 방출되는 광들(LA, LB1) 중 일부의 광(LA)이 공기층(330)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일부의 광(LB1)는 제1 광학 유닛(310) 및 제2 광학 유닛(3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들(LA, LB1, LB3)의 진행 방향은 광들(LA, LB1, LB3)이 출사하는 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된다. 또한, 광들(LA, LB1, LB2, LB3)의 진행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들(LA, LB1, LB2, LB3)이 포함하는 무수한 광 성분들 중 어느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성분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실제로 광들(FA, LB1, LB2, LB3)은 다른 방향들로 진행하는 광 성분들을 포함한다.
제1 광학 유닛(310) 및 제2 광학 유닛(320)은 표시 패널(400)의 굴곡부들(BA1, BA2) 상의 곡면 표시 영역들(미도시)에서 방출되는 광들(LB1)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400)로부터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320) 및 공기층(330)으로 광이 방출되며, 이 때, 공기층(330)으로 입사되는 광은 평면 방출광(LA)으로 정의된다. 평면 방출광(LA)은 표시 패널(400) 및 공기층(330) 사이의 계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층(330)에 입사된 이후에, 공기층(330)을 투과하여 편광판(200)으로 제공된다. 평면 방출광(LA)의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하다.
제1 광(LB1)이 제1 광학 유닛(310) 및 제2 광학 유닛(320)에 의해 굴절되고, 그 이후에 편광판(200)에 도달한다. 상기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 320)에 의해 굴절된 광을 제2 광(LB2)으로 정의하면, 상술한 상기 제1 및 제2 광학 유닛(310, 320)의 광학 기능에 의해 상기 제2 광(LB2)의 방향은 평면 방출광(LA)의 방향과 대략적으로 평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 32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이하 도 3a 및 도 3b 내지 도 5a 및 도 5b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도 1b에서는 두 개의 광학 유닛들(310, 320)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광학 유닛(310, 320)의 갯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000)가 제1 광학 유닛(310) 및 제2 광학 유닛(32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판(200) 및 표시 패널(400) 사이 영역들(FA, BA1, BA2) 중 평탄부(FA) 및 하나의 굴곡부(BA1, BA2)가 투명한 폴리머층으로 채워질 수 있다.
커버 패널(500)은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 패널(500)은 완충 부재(미도시), 차광 부재(미도시), 방열 부재(미도시) 및 방사 부재(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미도시)는 편광판(200), 광학 유닛들(310, 320), 표시 패널(400) 및 윈도우 부재(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부재들(100, 200, 310, 320, 4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 부재(미도시)는 표시 패널(40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차단한다. 차광 부재(미도시)는 입사된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할 수 있다.
방열 부재(미도시)는 표시 패널(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 부재(미도시)는 그래파이트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 부재(미도시)는 전자기파(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방사 부재(미도시)는 방열 부재(미도시)와 함께 표시 패널(400)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600)는 편광판(200), 광학 유닛들(310, 320), 표시 패널(200) 및 커버 패널(300)을 수납하도록 윈도우 부재(100)와 결합된다. 케이스(6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60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a에서 윈도우 부재(100), 커버 패널(500) 및 케이스(600)는 편의 상 생략하였다.
도 3a를 참조하면, 각 광학 유닛(310, 320)은 제1 기판(SUB1), 제2 기판(SUB2), 그리고 두 기판(SUB1, SUB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LC)을 포함한다.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격벽(311)이 구비된다.
제1 기판(SUB1)은 편광판(200)의 굴곡부들(BA1, BA2) 각각의 배면과 접촉되어, 편광판(2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판(SUB2)은 표시 패널(400)의 굴곡부들(BA1, BA2) 각각의 전면과 접촉되어, 표시 패널(4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기판(SUB1)과 편광판(200) 사이 및 제2 기판(SUB2)과 표시 패널(400) 사이에 접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 상에는 상부 전극(EL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전극(EL2)은 제1 기판(SUB1) 상의 전면 위에 배치되는 단일층일 수 있다. 즉, 상부 전극(LE2)은 통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전극(EL2)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SUB2) 상에는 복수의 하부 전극들(EL1)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들(EL1)은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 각각의 곡면을 따라 배열된다. 상부 전극(EL2)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하부 전극들(EL1)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들(EL1)은 복수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들(TF1)과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하부 전극(EL1)은 각 하부 전극(EL1)과 연결된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1)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하부 전극들(EL1)의 전부 또는 일부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두 개 이상의 하부 전극들(EL1)이 그룹핑된 하부 전극 그룹(미도시)이 제2 기판(SUB) 상에 복수로 제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 전극 그룹들(미도시)은 복수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들(TF1)과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하부 전극 그룹들(미도시)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값은 각 하부 전극 그룹들(EL1)마다 개별적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하부 전극 그룹(미도시)에 포함된 하부 전극들(EL1)은 동시에 서로 동일한 전압을 인가받는다.
액정층(LC)은 액정 분자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EL2) 및 복수의 하부 전극들(EL1)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액정층(LC)에 전계가 형성되며, 전계에 의하여 액정 분자들(미도시)의 배열이 제어될 수 있다.
표시 패널(400)로부터 액정층(LC)으로 제1 광(LB1)이 입사된 이후에 상기 입사된 제1 광(LB1)은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미도시)에 의해 굴절된다. 액정층(LC)에 의해 굴절되어 편광판(200) 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제2 광(LB2)으로 정의하면,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미도시)이 배열된 상태에 따라, 제2 광(LB2)의 방향이 평면 출사광(LA)의 방향과 가까워지도록 제2 광(LB2)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다르게, 제1 광(LB1)이 평면 출사광(LA)에 대해 경사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표시 장치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의 평탄부(FA) 대비 굴곡부(BA1, BA2)의 색이 왜곡되어 관찰되는, 소위 와드(WAD, white angle difference)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굴곡부(BA1, BA2)를 갖는 표시 장치의 경우, 굴곡부(BA1, BA2)에서는 평탄부(FA) 대비 위치 별 휘도 및 칼라 산포가 크며, 관찰 각도에 따른 휘도 저하와 색좌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학 유닛(310) 및 제2 광학 유닛(320)이 제1 광(LB1)을 제1 각(θA) 만큼 제2 광(LB2)으로 굴절시키되, 상기 제1 각(θ1)의 크기는 대략적으로 상기 경사각도의 크기에 대응되므로, 제2 광(LB2)의 진행 방향이 평면 출사광(LA)의 진행 방향과 가까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평탄부(FA) 대비 굴곡부(BA1, BA2)의 색이 왜곡되어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와드 특성에 의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광(LB1)은 제2 기판(SUB2)의 배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된다. 제2 기판(SUB2)은 곡면을 가지므로, 제1 광(LB1)의 방향은 제1 광(LB1)이 입사되는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광(LB1)은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복수의 방향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광(LB1)의 방향과 평면 출사광(LA)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제1 각(θA)의 크기와 같으며, 제1 각(θA)의 크기는 굴곡부(BA1, BA2) 내의 제1 방향(DR1) 위치에 따라 다르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광(LB1)이 표시 패널(400)로부터 출사되는 제2 기판(SUB2) 상의 위치가 표시 장치(1000-1)의 가장자리 영역을 향할수록, 제1 각(θA)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제1 광(LB1)이 출사되는 굴곡부(BA1, BA2) 상에서의 위치가 평탄부(FA)와 멀어질수록, 제1 각(θA)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제1 광(LB1)이 제2 기판(SUB2)으로부터 출사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하부 전극들(EL1)에 인가되는 전압값은 하부 전극들(EL1)이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1)의 가장자리 영역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학 유닛(310)의 경우, 하부 전극들(EL1)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값은 하부 전극들(EL1)이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1)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증가한다. 제2 광학 유닛(320)의 경우, 하부 전극들(EL1) 각각에 인가 되는 전압값은 하부 전극들(EL1)이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1)의 타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증가한다.
따라서,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미도시)은 하부 전극들(EL1) 및 상부 전극(EL2)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 광(LB1)의 방향이 평면 출사광(LA)과 평행하도록 제1 광(LB1)을 제1 각(θA)만큼 굴절시킬 수 있다. 즉, 하부 전극들(EL1)이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1)의 가장자리 영역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제1 광(LB1)이 굴절되는 제1 각(θA)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하부 전극들(EL1) 및 상부 전극(EL2)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의 크기가 커질수록, 액정 분자들(미도시)이 제1 광(LB1)을 굴절하는 제1 각(θA)이 증가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전극들(EL1) 및 상부 전극(EL2)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의 크기가 커질수록, 액정 분자들(미도시)이 제1 광(LB1)을 굴절하는 제1 각(θA)이 감소할 수 있다. 즉, 제1 광(LB1)이 제2 기판(SUB2)으로부터 출사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하부 전극들(EL1)에 인가되는 전압값은 하부 전극들(EL1)이 제1 방향(DR1)에서 평탄부(FA)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에서는, 제1 광학 유닛(310) 및 제2 광학 유닛(320)에 의해 제1 광(LB1)이 제2 광(LB2)으로 굴절됨에 따라, 굴곡부(BA1, BA2)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평면 출사광(LA)과 평행하게 편광판(2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관찰 각도에 따른 표시 장치(1000-1)의 휘도 저하 및 색 좌표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1)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b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2)는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 32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 320) 각각에서 제2 기판(도 3a의 SUB2)이 생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 320) 각각의 복수의 하부 전극들(EL1) 및 복수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들(TF1)은 표시 패널(4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 320) 각각의 하부 전극들(EL1) 및 제1 박막 트랜지스터들(TF1)은 표시 패널(400)의 봉지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00-2)의 표시 품질이 향상됨과 동시에, 표시 장치(1000-2)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각 광학 유닛(310, 320)의 하부 전극(EL1)은 제2 기판(SUB2)의 전면 위에 배치되는 단일층일 수 있다. 즉, 하부 전극(EL1)은 통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전극(EL1)은 상부 전극(EL2)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하부 전극(EL1)은 상부 전극(EL2)과 액정층(LC)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전극(EL1) 및 상부 전극(EL2)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EL1) 상에는 광학 패턴(RP)이 형성된다. 광학 패턴(RP)은 복수의 프리즘들(P)을 포함한다. 복수의 프리즘들(P)은 하부 전극(EL1) 상에서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 각각의 곡면을 따라 배열된다.
광학 패턴(RP)은 표시 패널(400)로부터 광학 유닛들(310, 320)로 입사된 제1 광(LB1)을 소정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학 패턴(RP)에 의하여 굴절된 광은 액정층(LC)으로 제공되며, 이 때, 액정층(LC)으로 제공되는 광은 제3 광(LB3)으로 정의된다.
제1 광(LB1)의 방향과 제3 광(LB3)의 방향이 이루는 각은 제2 각(θB)로 정의된다. 즉, 광학 패턴(RP)은 표시 패널(400)로부터 광학 패턴(RP)으로 입사된 제1 광(LB1)의 방향을 제2 각(θB)만큼 굴절시킨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는 광학 패턴(RP)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는 하부 전극(E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2)에 의하여 하부 전극(EL1)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하부 전극들(EL1)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므로, 복수의 하부 전극들(EL1) 및 제1 박막 트랜지스터들(TF1)이 일대일 대응하여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통판 형상을 갖는 하부 전극(EL1)이 단일층 형태로 배치되어 하나의 제2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하부 전극(EL1)에 전압이 인가된다.
액정층(LC)은 액정 분자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EL1) 및 상부 전극(EL2)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액정층(LC)에 전계가 형성되며, 전계에 의하여 액정 분자들(미도시)의 배열이 제어될 수 있다.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미도시)은 광학 패턴(RP)으로부터 액정층(LC)으로 입사되는 제3 광(LB3)을 제2 광(LB2)로 굴절시켜 편광판(200)으로 제공한다. 상술한 광학 패턴(RP) 및 액정층(LC)에서 광들이 굴절됨에 따라, 제2 광(LB2)의 방향은 평면 출사광(LA)의 방향에 가까워질 수 있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제1 광학 유닛의 확대도이고,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제2 광학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광학 패턴(RP)의 프리즘들(P) 각각의 형상은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학 유닛(310)의 경우, 프리즘들(P) 각각은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3)의 일측을 향하여 경사진 빗변을 갖는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광학 유닛(320)의 경우, 프리즘들(P) 각각은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3)의 타측을 향하여 경사진 빗변을 갖는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광학 패턴(RP)의 프리즘들 각각이 직각 삼각형을 제외한 다른 형태의 삼각형, 반원, 타원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광학 패턴(RP)이 복수의 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패턴(RP)의 프리즘들(P) 각각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프리즘(P)의 빗변이 하부 전극(EL1)과 맞닿은 프리즘(P)의 변과 이루는 각은 경사각(θp)으로 정의된다. 프리즘들(P)이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3)의 가장자리 영역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경사각(θp)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학 유닛(310)의 경우, 프리즘들(P)이 표시 장치(1000-3)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각 프리즘(P)의 경사각(θp)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학 유닛(320)의 경우, 프리즘들(P)이 표시 장치(1000-3)의 타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각 프리즘(P)의 경사각(θp)이 증가할 수 있다.
프리즘들(P)은 표시 패널(400)로부터 프리즘들(P)로 입사된 제1 광(LB1)을 제3 광(LB3)으로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 프리즘(P)의 경사 각(θp)의 크기는 스넬의 법칙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LB1)은 각 프리즘(P)과 하부 전극(EL1)이 맞닿는 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프리즘(P)에 입사한다. 제1 광(LB1)이 각 프리즘(P)의 빗변에 대한 법선(n)과 이루는 각은 입사각(θi)으로 정의되고, 제1 광(LB1)이 프리즘(P)에 의하여 굴절되어 액정층(LC)으로 출사된 제2 광(LB2)이 법선(n)과 이루는 각은 출사각(θj)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즘(P)의 형상이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에 한하여, 입사각(θi)은 경사각(θP)과 같다.
액정층(LC)이 제1 굴절율(N1)을 갖고, 각 프리즘(P)이 제2 굴절율(N2)을 가질 때, 입사각(θi)과 출사각(θj)에 대한 관계는 아래의 스넬 방정식을 만족할 수 있다.
N1sinθi=N2sinθj
경사각(θP)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법선(n)과 제1 광(LB1)의 방향이 이루는 입사각(θi)은 증가하며, 스넬의 방정식에 의하여, 입사각(θi)이 증가하면, 출사각(θj)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프리즘(P)의 경사각(θP)이 증가할수록, 제1 광(LB1)의 방향과 제2 광(LB2)의 방향이 이루는 제2 각(θB)이 증가할 수 있다. 즉, 프리즘들(P)이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00-3)의 가장자리 영역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순서로 제2 각(θB)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미도시)은 각 프리즘(P)으로부터 액정층(LC)으로 입사되는 제3 광(LB3)의 방향이 평면 출사광(LA)과 평행하도록 제2 광(LB2)을 제3 각(θC)만큼 굴절시킬 수 있다. 이 때, 제3 광(LB3)의 방향이 제2 광(LB2)의 방향과 이루는 각은 제3 각(θC)으로 정의된다. 제3 각(θC)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패턴(RP)에 의해 제1 광(LB1)이 제3 광(LB3)으로 굴절되고, 액정층(LC)의 액정분자들(미도시)에 의해 제3 광(LB3)이 제2 광(LB2)으로 굴절됨에 따라, 굴곡부(BA1, BA2)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평면 출사광(LA)과 평행하게 편광판(2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관찰 각도에 따른 표시 장치(1000-3)의 휘도 저하 및 색 좌표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3)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4)는 제2 기판(SUB2)이 생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 320) 각각의 하부 전극(EL1) 및 제2 트랜지스터(TF2)은 표시 패널(4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및 제2 광학 유닛들(310, 320) 각각의 하부 전극(EL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2)는 표시 패널(400)의 봉지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00-4)의 표시 품질이 향상됨과 동시에, 표시 장치(1000-4)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5)는 감지부(700)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700)는 센싱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센싱부(미도시)는 사용자(USER)가 표시 장치(1000-5)를 바라보는 시야각을 측정한다. 예시적으로, 센싱부(미도시)는 사용자(USER)의 홍채 운동을 센싱하여 시야각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싱부(미도시)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에 의하여, 제1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들에 따른 광학 유닛들(310, 3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와드 특성의 저하 현상은 사용자(USER)가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발생하므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USER)가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상기 센싱부(미도시)에 의해 센싱되는 데이터 값에 근거하여 광학 유닛들(310, 320)을 구동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윈도우
200: 편광판 310: 제1 광학유닛
320: 제2 광학유닛 400: 표시 패널
500: 커버 패널 600: 수납 부재
FA: 평탄부 BA1, BA2: 굴곡부
LA: 평면 방출광 LB1: 제1 광
LB2: 제2 광 LB3: 제3 광
θA: 제1 각 θB: 제2 각
θC: 제3 각 θi: 입사각
θj: 출사각 θp: 경사각
SUB1: 제1 기판 SUB2: 제2 기판
EL1: 하부 전극 EL2: 상부 전극
311: 격벽 LC: 액정층
RP: 광학 패턴 700: 감지부

Claims (17)

  1. 복수의 곡면 표시 영역들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곡면 표시 영역들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중첩되고,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광학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유닛들 각각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들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곡면 표시 영역들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전극들;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전극들과 마주하는 상부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들은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표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들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들 사이에 에어갭이 정의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에 채워지는 투명한 폴리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평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평면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들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전극과 마주하고, 상기 상부 전극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져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곡면 표시 영역들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전극;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곡면 표시 영역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하부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출력된 광을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광학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들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고,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은 다수의 프리즘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 각각은 단면상에서 삼각형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 각각은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표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곡면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으로 기울어진 광학면을 갖고, 상기 다수의 프리즘부들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광학면 및 상기 제2 기판 간에 정의되는 경사각의 크기가 증가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시야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방향일 때, 상기 광학 유닛들이 구동되는 표시 장치.
KR1020150138133A 2015-09-30 2015-09-30 표시 장치 KR10243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33A KR102433505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 장치
US15/176,049 US10008554B2 (en) 2015-09-30 2016-06-07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33A KR102433505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32A KR20170039032A (ko) 2017-04-10
KR102433505B1 true KR102433505B1 (ko) 2022-08-19

Family

ID=5840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33A KR102433505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08554B2 (ko)
KR (1) KR102433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5597S1 (en) * 2014-10-01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477818B1 (ko) * 2016-01-05 2022-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185064B2 (en) * 2016-10-26 2019-0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luminance
US10223952B2 (en) * 2016-10-26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distortion
US11158823B2 (en) * 2017-03-31 2021-10-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01819B1 (ko) * 2017-06-22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91494B1 (ko) * 2017-08-25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27853B (zh) * 2017-09-05 2023-05-30 乐金显示有限公司 包括指纹扫描器的显示装置
KR102458284B1 (ko) * 2018-05-02 2022-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N109216584B (zh) * 2018-08-30 2020-09-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
USD920964S1 (en) * 2018-11-27 2021-06-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656432B (zh) * 2019-01-04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装置的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092533A (ko) * 2019-01-24 2020-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920938B (zh) * 2019-03-26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oled显示装置
USD939484S1 (en) * 2019-04-02 2021-12-28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WO2020237469A1 (zh) * 2019-05-27 2020-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130740B (zh) * 2019-06-24 2023-08-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方法及装置
KR102663520B1 (ko) * 2019-08-23 2024-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509020B (zh) * 2020-04-29 2022-08-02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554717B (zh) * 2020-05-15 2023-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1668281B (zh) * 2020-07-02 2023-06-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和oled显示装置
KR20220006682A (ko) *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038370B (zh) * 2020-08-20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曲面屏和曲面屏的制造方法
CN112086578B (zh) * 2020-09-14 2022-05-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983A (ja) * 2002-03-26 2003-10-02 Citizen Watch Co Ltd 発光素子内在型液晶表示素子
US20100164860A1 (en) * 2007-06-06 2010-07-01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7042B (en) * 2003-10-28 2007-03-21 Seiko Epson Corp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CN100592547C (zh) 2004-02-09 2010-02-24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有全色oled背光的半反半透显示器
JP2008304535A (ja) * 2007-06-05 2008-12-1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5179113B2 (ja) * 2007-08-09 2013-04-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5322427B2 (ja) * 2007-12-19 2013-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0002487A (ja) * 2008-06-18 2010-01-07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US8493535B2 (en) * 2008-07-14 2013-07-2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072502A (ja) * 2008-09-22 2010-04-02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5191920B2 (ja) * 2009-02-04 2013-05-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1638631B1 (ko) * 2009-05-25 201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KR101829466B1 (ko) 2011-11-02 2018-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2707514B (zh) 2012-05-03 2014-03-2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触控液晶透镜光栅、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319543B1 (ko) *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9304538B2 (en) * 2012-12-13 2016-04-05 Nokia Technologies Oy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KR101428001B1 (ko) 2013-01-07 2014-09-12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028B1 (ko) 2013-02-27 2014-11-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점가변 액정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26427A (ko) 2013-09-03 2015-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618449B1 (ko) 2013-10-01 2016-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장치
KR20150045135A (ko) 2013-10-18 2015-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50047399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KR102145191B1 (ko) * 2014-01-24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2963489B1 (en) * 2014-06-30 2019-06-19 Samsung Display Co., Ltd. Curve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983A (ja) * 2002-03-26 2003-10-02 Citizen Watch Co Ltd 発光素子内在型液晶表示素子
US20100164860A1 (en) * 2007-06-06 2010-07-01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08554B2 (en) 2018-06-26
US20170092703A1 (en) 2017-03-30
KR20170039032A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505B1 (ko) 표시 장치
JP7156808B2 (ja) 入力検知ユニットを備える表示装置
KR102477818B1 (ko) 표시 장치
KR102252444B1 (ko) 표시 장치
US11937450B2 (en) Display apparatus
US11043656B2 (en)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a scattering pattern
US10108045B2 (en) Reflective diffusion lens,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1475042A (zh) 显示装置
US20220291542A1 (en) Display device
JP7374660B2 (ja) 表示装置
KR102272046B1 (ko)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410265B1 (ko) 표시 장치
US20110298756A1 (en)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CN111816680A (zh) 显示设备
US10802653B2 (en) Touch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touch thereof
KR2020006894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40047903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US20220236474A1 (en) Display device
JP2011209333A (ja) タッチパネル一体型照明具と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20101720A (ja) 照明装置および反射型表示装置
JP6727054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8132589A (ja) 表示装置
KR102516687B1 (ko) 반사 제어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177731A (ja) カバーガラス及び表示装置
CN219288077U (zh) 显示面板和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