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9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494B1
KR102291494B1 KR1020170108137A KR20170108137A KR102291494B1 KR 102291494 B1 KR102291494 B1 KR 102291494B1 KR 1020170108137 A KR1020170108137 A KR 1020170108137A KR 20170108137 A KR20170108137 A KR 20170108137A KR 102291494 B1 KR102291494 B1 KR 102291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surface
display
region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020A (ko
Inventor
이현범
정진환
박광우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94B1/ko
Priority to US15/860,514 priority patent/US20190067645A1/en
Publication of KR2019002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01L51/503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H01L27/32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6Substrat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rect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시인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제1영역과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1벤딩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제1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과,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면과,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1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2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1상면을 갖는 제1광조절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시인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정확하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면의 일부가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서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사용자가 인식함에 있어서는 벤딩된 부분에서의 색상이 벤딩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색상과 상이하게 인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벤딩영역 내에서의 디스플레이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벤딩영역을 바라볼 시에는 벤딩영역 내에서도 의도된 색상의 이미지로 인식되지만, 벤딩영역이 아닌 다른 평탄한 부분에서의 디스플레이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벤딩영역을 바라볼 시에는 벤딩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색상이 의도된 색상보다 푸른색에 가깝게 인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시인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영역과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1벤딩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제1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과,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면과,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1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2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1상면을 갖는 제1광조절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광조절층은, 상기 제1상면보다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3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4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2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부분과 상기 제4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평면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평면보다, 상기 제1영역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은 상호 이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제1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한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벤딩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벤딩영역에서 제2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벤딩영역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5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6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3상면을 갖는 제2광조절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벤딩축은 상기 제1벤딩축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조절층은, 상기 제3상면보다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7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8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4상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부분과 상기 제8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4평면은, 상기 제5부분과 상기 제6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3평면보다, 상기 제1영역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상면과 상기 제4상면은 상호 이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3상면과 상기 제4상면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영역과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1벤딩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제1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과, 상기 제1영역 상기 제1벤딩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면과,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1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2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1상면을 갖는 제1광조절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광조절층은, 상기 제1상면보다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3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4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2상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평면은, 상기 제3부분과 상기 제4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은 상호 이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시인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디스플레이면(200a) 및 제1광조절층(31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영역(1A)과, 제2영역(2A)과, 제1벤딩영역(BA1)을 갖는다. 제1벤딩영역(BA1)은 제1영역(1A)과 제2영역(2A) 사이에 위치하며, 기판(100)은 제1벤딩영역(BA1)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벤딩축(미도시)을 중심으로 벤딩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면 역시 제1벤딩영역(BA1)에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물론 디스플레이면은 제1영역(1A)이나 제2영역(2A)에서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기판(100)은 각각 이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층들과 그 층들 사이에 개재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 1에서는 기판(100)이 제1벤딩영역(BA1)에서 살짝 벤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기판(100)은 제1벤딩영역(BA1)에서 벤딩되어, 제1벤딩영역(BA1) 양측의 제1영역(1A)의 적어도 일부와 제2영역(2A)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제2영역(2A)의 적어도 일부가 제1영역(1A)의 -z 방향 배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기판(10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00)가 위치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영역(1A)은 물론 제1벤딩영역(BA1)의 적어도 일부 상에도 위치하여,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의 (대략 +z 방향의) 상면인 디스플레이면(200a)이 제1영역(1A)과 제1벤딩영역(BA1)에서 기판(100)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예컨대 화소전극, 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그리고 중간층 상에 위치하는 대향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00)는 액정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소자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유기막/무기막/유기막 등과 같은 다층 구조의 봉지막이나, 블랙매트릭스와 칼라필터가 동일 평면 내에서 교번하여 위치하는 칼라필터층이나, 편광층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편의상 그러한 구조물까지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부(200)라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광조절층(310)은 제1벤딩영역(BA1)에서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 위치한다. 제1광조절층(310)은 제1벤딩영역(BA1)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광조절층(310)은 제1상면(311)을 갖는데,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1상면(311) 내의 제1부분(P1)과 제2부분(P2) 중 상대적으로 제1영역(1A)에 인접한 제1부분(P1)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제2부분(P2)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어, 결과적으로 평탄한 형상의 제1상면(311)은 제1벤딩영역(BA1) 내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광조절층(310)은 예컨대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고분자 수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광조절층(310)의 굴절율은 공기의 굴절율보다 높다. 물론 제1광조절층(310)을 덮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광조절층(310)의 굴절율이 그 덮는 층의 굴절율보다 높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디스플레이면(200a) 상의 일 지점에서 방출되는 광은 여러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면(200a) 상의 일 지점에서 방출되는 광의 대부분은 해당 지점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하며, 그 외의 일부의 광은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편의상 디스플레이면(200a) 상의 일 지점에서 방출되는 광은 해당 지점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영역(1A)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으로부터 방출된 광(L1)은 디스플레이면(200a)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하는바, 제1영역(1A)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은 평탄한 형상을 갖기에 제1영역(1A)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진행하게 된다. 제1벤딩영역(BA1)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으로부터 방출된 광(LBA1, LBA1') 역시 디스플레이면(200a)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하지만, 제1벤딩영역(BA1)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은 벤딩된 형상을 갖기에, 광(LBA1, LBA1')은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서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진행한다. 물론 광(LBA1, LBA1')의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서의 진행방향은 제1영역(1A)에서의 광(L1)의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서의 진행방향과 평행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제1광조절층(310)이 존재하기에, 광(LBA1, LBA1')이 제1광조절층(310)을 통과하면서 그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 구체적으로, 광(LBA1)은 제1광조절층(310)의 제1상면(311)을 통과할 시 제1상면(311)에 수직이 아닌 각도로 입사하기에,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의해 제1상면(311)을 통과하면서 그 진행방향이 굴절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광조절층(310)의 굴절율이 공기 등의 외부의 굴절율보다 높으며, 제1상면(311)은 제1영역(1A)에 인접한 부분이 제1영역(1A)으로부터 먼 부분보다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더 길다. 따라서 광(LBA1)은 제1광조절층(310)의 제1상면(311)을 통과하면서 그 진행방향이 제1영역(1A) 방향으로 꺾이게 된다. 이에 따라 광(LBA1)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영역(1A)에서의 광(L1)과 그 진행방향이 거의 평행하거나 평행하게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면(200a) 상의 지점으로서 광(LBA1)이 방출되는 디스플레이면(200a) 상의 지점보다 제1영역(1A)에서 더 먼 곳에서 방출되는 광(LBA1') 역시 제1광조절층(310)의 표면을 통과하면서 그 진행방향이 제1영역(1A) 방향으로 꺾이게 된다. 물론 제1광조절층(310)을 통과한 후의 광(LBA1')의 진행방향이 제1영역(1A)에서의 광(L1)의 진행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제1광조절층(310)을 통과한 후의 광(LBA1)의 진행방향이 제1영역(1A)에서의 광(L1)의 진행방향과 이루는 각도보다 크지만, 제1벤딩영역(BA1) 내의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서 광(LBA1')이 방출될 시의 진행방향이 광(L1)과 이루는 각도보다는 현저히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개념도이다. 만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광조절층(31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1벤딩영역(BA1)에서의 광(LBA1)의 진행방향은 제1영역(1A)에서의 광(LBA1)의 진행방향과 상당히 큰 각도를 이루게 된다.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와치와 같은 모바일기기의 사용자는 주로 제1영역(1A)에 대략 수직인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보게 되는바, 이에 따라 제1벤딩영역(BA1)에서의 광의 경우 일부만이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며, 그 결과 제1벤딩영역(BA1)에서의 이미지의 색상은 의도된 색상보다 푸른색에 가깝게 인식된다. 스펙트럼분석을 실시하면, 디스플레이면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적색/녹색/청색광의 피크보다, 디스플레이면에 수직인 가상의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큰 방향에서의 적색/녹색/청색광의 피크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제1광조절층(310)을 구비하기에, 제1벤딩영역(BA1)에서의 최종적인 광(LBA1, LBA1')의 진행방향을 제1영역(1A)에서의 광(L1)의 진행방향과 크게 차이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벤딩영역(BA1)에서의 이미지가 색상에 있어서 왜곡되지 않은 상태로 또는 왜곡되는 정도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시인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광조절층(310)의 제1영역(1A) 방향의 끝단이 뾰족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광조절층(310)의 제1영역(1A) 방향의 끝단이 곡면 형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광조절층(310)이 전술한 것과 같은 제1상면(311)을 갖는 것 외에, 제1상면(311)보다 제1영역(A1)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2상면(312)도 제1벤딩영역(BA1)에서 갖는다. 제2상면(312)은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3부분(P3) 및 제4부분(P4)에 의해 그 평탄한 형상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상면(312) 내의 제3부분(P3)과 제4부분(P4)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1영역(1A)에 인접한 제3부분(P3)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제4부분(P4)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제2상면(312)이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특히 제3부분(P3)과 제4부분(P4)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평면, 즉 제2상면(312)은, 제1부분(P1)과 제2부분(P2)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평면, 즉 제1상면(311)보다, 제1영역(1A)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더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경우보다 광(LBA1')이 제1광조절층(310)의 표면에 입사하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광(LBA1')이 제1광조절층(310)의 표면, 즉 제2상면(312)을 통과할 시 굴절되는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LBA1')이 광(LBA1)과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 상태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인하는 이미지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1광조절층(310) 내부에서 진행하는 광의 제1광조절층(310) 상면에의 입사각을 θ1, 제1광조절층(310)을 통과한 후의 굴절각을 θ2라 하면, 스넬의 법칙에 의해 θ1보다 θ2가 클 수밖에 없다. 제1광조절층(310)의 굴절율이 그 외부의 굴절율보다 높기 때문이다. 아울러 스넬의 법칙에 의해 sinθ1/sinθ2는 고정된 값이기 때문에, 입사각인 θ1이 증가하면 굴절각인 θ2 역시 증가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θ1과 θ2 모두 0도에서 90도 사이의 각도이다. 따라서 θ1보다 θ2가 큰 상황에서 sinθ1/sinθ2가 고정된 값이기에, θ1이 증가하게 되면 θ1이 증가하는 정도보다 θ2가 증가하는 정도가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상면(312)이 제1상면(311)보다 제1영역(1A)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더 기울어진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2상면(312)을 통과하는 광(LBA1')이 제1상면(311)을 통과하는 광(LBA1)보다 더 많이 굴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광조절층(310)에 있어서 제1상면(311)과 제2상면(312)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이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광조절층(310)이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부분들을 가질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광조절층(310)이 일체(一體)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제1상면(311)과 제2상면(312)이 상호 연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갖는 기판(100)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영역(1A), 제1벤딩영역(BA1) 및 제2영역(2A)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7과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0)은 제1영역(1A)을 중심으로 제2영역(2A)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한 제3영역(3A)과, 제1영역(1A)과 제3영역(3A) 사이에 위치하는 제2벤딩영역(BA2)을 가지며, 제2벤딩영역(BA2)에서 제2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는 제2벤딩영역(BA2)까지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면(200a)이 제2벤딩영역(BA2)에도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제2벤딩축은 제1벤딩축과 평행할 수 있다.
이때, 제2벤딩영역(BA2)에는 제2광조절층(320)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2광조절층(320)은 제2벤딩영역(BA2)에서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 위치한다. 제2광조절층(320)은 제2벤딩영역(BA2)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광조절층(320)은 제3상면(321)을 갖는데,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3상면(321) 내의 제5부분(P5)과 제6부분(P6) 중 상대적으로 제1영역(1A)에 인접한 제5부분(P5)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제6부분(P6)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어, 결과적으로 평탄한 형상의 제3상면(321)은 제2벤딩영역(BA2) 내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광조절층(320)은 예컨대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고분자 수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광조절층(320)의 굴절율은 공기의 굴절율보다 높다. 물론 제2광조절층(320)을 덮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광조절층(320)의 굴절율이 그 덮는 층의 굴절율보다 높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제2광조절층(320)은 제1광조절층(31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로, 제2벤딩영역(BA2)에서의 이미지가 색상에 있어서 왜곡되지 않은 상태로 또는 왜곡되는 정도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시인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광조절층(310)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아울러 제2광조절층(320)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제3상면(321)을 갖는 것 외에, 제3상면(321)보다 제1영역(A1)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4상면(322)도 제2벤딩영역(BA2)에서 갖는다. 제4상면(322)은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7부분(P7) 및 제8부분(P8)에 의해 그 평탄한 형상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상면(322) 내의 제7부분(P7)과 제8부분(P8)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1영역(1A)에 인접한 제7부분(P7)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제8부분(P8)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제4상면(322)이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특히 제7부분(P7)과 제8부분(P8)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4평면, 즉 제4상면(322)은, 제5부분(P5)과 제6부분(P6)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3평면, 즉 제3상면(321)보다, 제1영역(1A)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더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경우보다 광(LBA2')이 제2광조절층(320)의 표면에 입사하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광(LBA2')이 제2광조절층(320)의 표면, 즉 제4상면(322)을 통과할 시 굴절되는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LBA2')이 광(LBA2)과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 상태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인하는 이미지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광조절층(320)에 있어서 제3상면(321)과 제4상면(322)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이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광조절층(320)이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부분들을 가질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광조절층(320)이 일체(一體)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제3상면(321)과 제4상면(322)이 상호 연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1광조절층(310)이 제1벤딩영역(BA1)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00)가 제1영역(1A)과 제1벤딩영역(BA1)은 물론 제2영역(2A) 상에도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면(200a)이 제2영역(2A)의 적어도 일부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광조절층(310)은 제2영역(2A)에서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광조절층(310)은 제2영역(2A)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광조절층(310)은 제1상면(311)을 갖는데,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1상면(311) 내의 제1부분(P1)과 제2부분(P2) 중 상대적으로 제1영역(1A)에 인접한 제1부분(P1)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제2부분(P2)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어, 결과적으로 평탄한 형상의 제1상면(311)은 제1벤딩영역(BA1) 내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제2영역(2A)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으로부터 방출된 광(LBA1, LBA1')은 디스플레이면(200a)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하지만, 제1벤딩영역(BA1)의 존재로 인해 제2영역(2A)에서의 광(LBA1, LBA1')의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서의 진행방향은 제1영역(1A)에서의 광(L1)의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서의 진행방향과 평행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제1광조절층(310)이 존재하기에, 광(LBA1, LBA1')이 제1광조절층(310)을 통과하면서 그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한 원리로, 광(LBA1, LBA1')은 제1광조절층(310)의 제1상면(311)을 통과하면서 그 진행방향이 제1영역(1A) 방향으로 꺾이게 된다. 이에 따라 광(LBA1)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영역(1A)에서의 광(L1)과 그 진행방향이 거의 평행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평행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2A)에서의 이미지가 색상에 있어서 왜곡되지 않은 상태로 또는 왜곡되는 정도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시인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광조절층(310)이 전술한 것과 같은 제1상면(311)을 갖는 것 외에, 제1상면(311)보다 제1영역(A1)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2상면(312)도 제2영역(2A)에서 갖는다. 제2상면(312)은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3부분(P3) 및 제4부분(P4)에 의해 그 평탄한 형상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상면(312) 내의 제3부분(P3)과 제4부분(P4)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1영역(1A)에 인접한 제3부분(P3)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제4부분(P4)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제2상면(312)이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특히, 제1부분(P1)과 제2부분(P2)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평면, 즉 제1상면(311)과, 제3부분(P3)과 제4부분(P4)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평면, 즉 제2상면(312)이 평행하도록 함으로써, 제1광조절층(310)을 통과한 광(LBA1, LBA1')이 대략 평행한 상태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광조절층(310)에 있어서 제1상면(311)과 제2상면(312)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이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광조절층(310)이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부분들을 가질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광조절층(310)이 일체(一體)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제1상면(311)과 제2상면(312)이 상호 연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갖는 기판(100)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영역(1A), 제1벤딩영역(BA1) 및 제2영역(2A)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0)은 제1영역(1A)을 중심으로 제2영역(2A)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한 제3영역(3A)과, 제1영역(1A)과 제3영역(3A) 사이에 위치하는 제2벤딩영역(BA2)을 가지며, 제2벤딩영역(BA2)에서 제2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는 제2벤딩영역(BA2)은 물론 제3영역(3A)까지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면(200a)이 제3영역(3A)에도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제2벤딩축은 제1벤딩축과 평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영역(3A)에는 제2광조절층(320)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2광조절층(320)은 제3영역(3A)에서 디스플레이면(200a) 상에 위치한다. 제2광조절층(320)은 제3영역(3A)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광조절층(320)은 제3상면(321)을 갖는데,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3상면(321) 내의 제5부분(P5)과 제6부분(P6) 중 상대적으로 제1영역(1A)에 인접한 제5부분(P5)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제6부분(P6)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어, 결과적으로 평탄한 형상의 제3상면(321)은 제3영역(3A) 내에서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광조절층(320)은 제1광조절층(31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로, 제3영역(3A)에서의 이미지가 색상에 있어서 왜곡되지 않은 상태로 또는 왜곡되는 정도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시인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광조절층(310)은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아울러 제2광조절층(320)은 제1영역(1A)의 중심을 지나며 제1,2벤딩축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을 중심으로, 제1광조절층(310)과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제3상면(321)을 갖는 것 외에, 제3상면(321)보다 제1영역(A1)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4상면(322)도 제3영역(3A)에서 갖는다. 제4상면(322)은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7부분(P7) 및 제8부분(P8)에 의해 그 평탄한 형상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상면(322) 내의 제7부분(P7)과 제8부분(P8)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1영역(1A)에 인접한 제7부분(P7)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가 제8부분(P8)에서의 디스플레이면(200a)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제4상면(322)이 디스플레이면(200a)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특히, 제5부분(P5)과 제6부분(P6)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3평면, 즉 제3상면(321)과, 제7부분(P7)과 제8부분(P8)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4평면, 즉 제4상면(322)이 평행하도록 함으로써, 제2광조절층(320)을 통과한 광(LBA2, LBA2')이 대략 평행한 상태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광조절층(320)에 있어서 제3상면(321)과 제4상면(322)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이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광조절층(320)이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부분들을 가질 수도 있지만, 도 13에 도시된 제1광조절층(310)과 유사하게, 제2광조절층(320)이 일체(一體)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제3상면(321)과 제4상면(322)이 측면도에서 바라볼 시 톱니바퀴 형상과 같이 상호 연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뾰족한 부분이 둥글게 나타나도록 모따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기판 200: 디스플레이부
200a: 디스플레이면 310: 제1광조절층
311: 제1상면 312: 제2상면
320: 제2광조절층 321: 제3상면
322: 제4상면

Claims (16)

  1. 제1영역과,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1벤딩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제1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1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2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1상면을 갖는, 제1광조절층;
    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조절층은, 상기 제1상면보다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3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4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2상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과 상기 제4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평면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평면보다, 상기 제1영역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더 기울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은 상호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은 상호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한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벤딩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벤딩영역에서 제2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벤딩영역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5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6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3상면을 갖는, 제2광조절층을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벤딩축은 상기 제1벤딩축과 평행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조절층은, 상기 제3상면보다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벤딩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7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8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4상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7부분과 상기 제8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4평면은, 상기 제5부분과 상기 제6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3평면보다, 상기 제1영역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더 기울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상면과 상기 제4상면은 상호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상면과 상기 제4상면은 상호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영역과,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1벤딩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벤딩영역에서 제1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제1영역, 상기 제1벤딩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1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2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1상면을 갖는, 제1광조절층;
    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조절층은, 상기 제1상면보다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면 상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제3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제4부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2상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평면은, 상기 제3부분과 상기 제4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평면과 평행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은 상호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은 상호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08137A 2017-08-25 2017-08-25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37A KR102291494B1 (ko) 2017-08-25 2017-08-25 디스플레이 장치
US15/860,514 US20190067645A1 (en) 2017-08-25 2018-01-0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37A KR102291494B1 (ko) 2017-08-25 2017-08-2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020A KR20190023020A (ko) 2019-03-07
KR102291494B1 true KR102291494B1 (ko) 2021-08-20

Family

ID=6543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137A KR102291494B1 (ko) 2017-08-25 2017-08-2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067645A1 (ko)
KR (1) KR102291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4755B (zh) * 2020-05-27 2022-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2420960B (zh) * 2020-11-19 2022-09-1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41B1 (ko) * 2013-06-0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33261B1 (ko) * 2015-01-27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72216B1 (ko) * 2015-02-13 2021-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드 표시 장치
KR102433505B1 (ko) * 2015-09-30 2022-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7818B1 (ko) * 2016-01-05 2022-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185064B2 (en) * 2016-10-26 2019-0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lumin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67645A1 (en) 2019-02-28
KR20190023020A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88292B (zh) 显示装置
US10923541B2 (en) Display device
US10490755B2 (en) Display apparatus
US2020032837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6297565B (zh) 显示装置
KR102018741B1 (ko)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2018026757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2546667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061485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9299751B2 (en) Display device
CN107482043B (zh) 显示面板
US10529947B2 (en) Display device
KR102277206B1 (ko) 광 제어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295854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KR1022914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362637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244002B1 (ko)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20300112A1 (en) Electronic device
US20220140283A1 (en) Display device
TWI714050B (zh) 顯示裝置
US11385459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with lens and display that minimize lens reflected virtual image perception
KR10231336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668983B2 (en) Display apparatus
US11513652B2 (en) Display device
TW201435401A (zh) 光阻擋片、製造光阻擋片之方法以及透明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