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631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631B1
KR101638631B1 KR1020090045671A KR20090045671A KR101638631B1 KR 101638631 B1 KR101638631 B1 KR 101638631B1 KR 1020090045671 A KR1020090045671 A KR 1020090045671A KR 20090045671 A KR20090045671 A KR 20090045671A KR 101638631 B1 KR101638631 B1 KR 10163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angl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uni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138A (ko
Inventor
임동현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631B1/ko
Priority to US12/758,052 priority patent/US9047806B2/en
Publication of KR2010012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결정된 시야각에 의거하여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위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시야각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결정된 시야각에 따라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시야각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viewing angle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조절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컴퓨터 장치의 단말기로서 그 표시장치로 사용되기도 하고, 텔레비전, 비디오 녹화 재생기 등의 영상장치의 표시장치로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모니터는 음극선관(CRT : cathode ray tube) 표시장치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 장치는 그 부피 상의 문제, 소비전력상의 문제 및 그 무게 등의 문제로 인해 최근 기술의 영상 표시장치로는 박막형의 표시장치의 사용이 점차 증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박막형 표시장치로서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플라즈마 표시패널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등이 사용된다.
전술한 액정표시장치의 기본적 원리는 투명 도전막이 부착된 얇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을 위치시키고, 투명 도전막에 매트릭스 형으로 형성된 전극을 통하여 전기장을 인가하여,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액정막에 빛이 산란 되는 현상을 이용하고, 이 액정 막에 반사광 또는 투과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표시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임의로 시야각을 조절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기를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내용을 타인이 마음먹기에 따라 쉽게 훔쳐 볼 수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 위성 수신 등을 통한 방송 등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개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항상 넓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해야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항상 좁게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러 사람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도 시야각이 좁아, 여러 사람이 쉽게 동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시청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는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결정된 시야각에 의거하여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위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시야각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결정된 시야각에 따라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시야각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 조절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시야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야각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타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자동으로 조정해줌으로써, 시청자 위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눈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청자에게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 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결정된 시야각에 의거하여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100)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110)와, 상기 위치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00)의 시야각을 결정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은 상기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0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의 일측에 부착되어 광학적으로 편광기능을 수행하는 편광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결정된 시야각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상기 편광부(104)에 인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00)의 시야각을 제어한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광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의 좌측에 부착된 제 1 편광부(104a)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의 우측에 부착된 제 2 편광부(104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편광부(102)의 편광 정도(예: 좁은 시야각, 넓은 시야각)을 미리 고정해놓고, 단순히 전기신호의 온/오프 하는 방식으로 온 스위칭하면 상기 시야각을 넓게(또는 좁게)하고, 오프 스위칭하면 시야각을 좁게(또는 넓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편광부(102)에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미세하게 제어하여, 마치 디스플레이 수단의 밝기를 조절하듯이 상기 편광부(102)의 편광 정도(시야각)을 소정 각도씩 제어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시야각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장착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가 시야각 조절을 위해 기 지정된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20)는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스위칭 온이면, 편광부(104)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여 광학적으로 편광 기능이 동작하도록 해, 직진성만 갖는 빛만을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00)의 시야각은 좁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사용자 본인만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대로 스위칭 오프인 경우에는 상기 편광부(102)에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제어하여 광학적으로 편광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부(102)의 기본 특성으로 설정된 만큼의 시야각을 모두 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온/오프 기능이 반대로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고정된 시야각(제 1 시야각(스위칭 온), 제 2 시야각(스위칭 오프))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편광부(104)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최대 시야각 및 최소 시야각 범위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시야각을 조절한다.
여기에서, 상기 최대 시야각 및 최소 시야각 범위는 다음과 같다.
상기 최대 시야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의 기본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최대 시야각은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어느 특정 값이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를 생산할 때 적용된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최소 시야각은 0도이다. 즉, 설정된 시야각이 0도인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정된 시야각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상기 편광부(104)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편광부(104)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든 빛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104)는 좌측 시야각 조절을 위한 제 1 편광부(104a)와, 우측 시야각 조절을 위한 제 2 편광부(10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편광부(104a) 및 제 2 편광부(104b)의 편광 정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어느 한 측면에 대한 시야각을 차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한 측면에서만 시청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위치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의 시야각을 조절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감지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의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촬영장치이며, 이는 웹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감지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의 전면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출력되는 촬영 영상을 토대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여, 그에 따라 적용될 시야각을 계산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편광부(104)는 디스플레이부와는 별도로 상단 표면에 장착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 내부에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성은 디스플레이 제조 업체의 판단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사항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 조절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스플레이 화면의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300단계). 즉, 위치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된 웹캠이며, 상기 웹캠은 설치 영역에 대한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위치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수단(100)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를 촬영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감지부(110)에 장착된 소형 렌즈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광신호, 영상신호로 차례로 변환하여 영상 데이터로서 촬영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촬영 이미지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상기 촬영 이미지가 생성되어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310단계).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파악 방법은 상기 촬영 이미지의 픽셀별 휘도 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휘도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촬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사용자에 대한 얼굴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 얼굴 영상과 상기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실제 사용자 얼굴이 촬영된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이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자 위치를 인식할 때, 사용자의 전체 형상을 인식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의 특정 얼굴 부위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시야각은 사용자의 위치보다는 사용자 눈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에 있더라도 사용자의 눈이 어느 부분에 위치하였는지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영상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 이미지에서 눈의 위치를 사용자 위치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얼굴의 눈 이외에도 눈썹, 코, 입, 귀 등 다양한 부위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20단계). 즉,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1명인지, 아니면 2명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얻 은 사용자 위치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인식되었다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최외각 정보를 확인한다(330단계).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복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라면, 어느 한 사용자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시야각을 조절하기엔 무리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촬영 이미지상에서 사용자 위치에 따른 최외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최외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시야각을 조절한다.
여기에서, 상기 최외각 정보에는 좌측에 대한 최외각 정보와, 우측에 대한 최외각 정보가 포함된다. 즉, 상기 최외각 정보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정면 영역을 기준으로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역을 기준으로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각도 x가 좌측 영역에 대한 최외각 정보이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각도 y가 우측 영역에 대한 최외각 정보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최외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좌측 시야각 및 우측 시야각을 각각 설정한다(340단계).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 x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좌측 시야각을 설정하고, 상기 각도 y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우측 시야각을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0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결정된 시야각으로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350단계).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결정 된 좌측 시야각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편광부(104a)에 출력하고, 상기 결정된 우측 시야각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편광부(104b)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에 구비된 편광부(104)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제어신호에 의해 편광 정도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시야각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1명의 사용자만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시야갹을 설정한다(360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타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자동으로 조정해줌으로써, 시청자 위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눈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청자에게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 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광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 조절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되는 시야각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9)

  1. 화면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부착되어 광학적으로 편광기능을 수행하는 편광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출력된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시야각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이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화면을 상기 획득된 시야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정면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정면을 기준으로,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정면을 기준으로,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좌측 시야각 조절을 위한 제1편광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우측 시야각 조절을 위한 제2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부의 시야각과 상기 제2편광부의 시야각은 소정 각도씩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이용하여 좌측 시야각을 획득하고, 상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이용하여 우측 시야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좌측 시야각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상기 제1편광부에 출력하고, 상기 획득된 우측 시야각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상기 제2편광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제1편광부와 상기 제2편광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를 통해 상기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와 상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와 상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는 각각 디스플레이 수단의 정면 영역을 기준으로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각도와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각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와 상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대한 좌측 시야각 및 우측 시야각을 각각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 조절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시야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시야각으로 입력 영상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을 기준으로,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을 기준으로,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측 시야각 조절을 위한 제1편광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우측 시야각 조절을 위한 제2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부의 시야각과 제2편광부의 시야각은 소정 각도씩 제어되고,
    상기 시야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이용하여 좌측 시야각을 획득하고, 상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이용하여 우측 시야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좌측 시야각에 대응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상기 제1편광부에 출력하고, 상기 획득된 우측 시야각에 대응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상기 제2편광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제1편광부와 상기 제2편광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 조절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 조절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통해 상기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와 상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와 상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는 각각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 영역을 기준으로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각도와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각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 조절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와 상기 최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외각 정보를 통해 상기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좌측 시야각 및 우측 시야각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 조절 방법.
KR1020090045671A 2009-05-25 2009-05-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KR10163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671A KR101638631B1 (ko) 2009-05-25 2009-05-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US12/758,052 US9047806B2 (en) 2009-05-25 2010-04-1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viewing angl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671A KR101638631B1 (ko) 2009-05-25 2009-05-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138A KR20100127138A (ko) 2010-12-03
KR101638631B1 true KR101638631B1 (ko) 2016-07-11

Family

ID=4350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671A KR101638631B1 (ko) 2009-05-25 2009-05-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66A1 (ko) * 2019-12-0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야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505B1 (ko) * 2015-09-30 2022-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88929B1 (ko) * 2018-09-14 2020-12-09 나모웹비즈주식회사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6306A (ja) * 2006-02-21 2007-09-06 Aruze Corp 表示装置および現金自動支払機
JP2007322549A (ja) * 2006-05-30 2007-12-1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WO2007144843A2 (en) * 2006-06-16 2007-1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view displa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660B1 (ko) * 2004-10-20 2010-10-11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6306A (ja) * 2006-02-21 2007-09-06 Aruze Corp 表示装置および現金自動支払機
JP2007322549A (ja) * 2006-05-30 2007-12-1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WO2007144843A2 (en) * 2006-06-16 2007-1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view display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66A1 (ko) * 2019-12-0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야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138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780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viewing angle thereof
US10810326B2 (en) Screen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terminal device
EP2854402B1 (en)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9609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on display screen of the same
US20100124363A1 (en) Display privacy system
US97533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n transparent screen
US20020180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 image to compensate for an offset position of a user
JP200716381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90063679A (ko)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3063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KR10163863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CN106959804B (zh) 手持电子设备和切换工作模式的方法
JP2002541743A (ja) コンピュータ視認用途のミラーを主体とするインタフェース
US20120026140A1 (en) Display device with image capturing function
US11436987B1 (en) Adaptive backlight activation for low-persistence liquid crystal displays
KR10164138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US2017019370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1019483B1 (ko) 모니터 및 이를 이용한 시야각 조절 방법
TW201005528A (en)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settings and computer system using the same
KR100761075B1 (ko)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40043225A1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11573445B2 (en) Off-axis pixel design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JP2012227618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230194869A1 (en) Backlight compensation for brightness drop off
US20220187655A1 (en) Display panel grou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