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075B1 -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075B1
KR100761075B1 KR1020050014696A KR20050014696A KR100761075B1 KR 100761075 B1 KR100761075 B1 KR 100761075B1 KR 1020050014696 A KR1020050014696 A KR 1020050014696A KR 20050014696 A KR20050014696 A KR 20050014696A KR 100761075 B1 KR100761075 B1 KR 10076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image
camera
right eye
lef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602A (ko
Inventor
오은정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0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3D용 카메라를 구비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현상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 자체에서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하여 상품성을 높인다.
3D용 카메라, 우안 영상 신호, 좌안 영상 신호

Description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having a 3-dimensional camera}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절차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D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퍼스널 컴퓨터나 TV 등의 경량화, 박형화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도 경량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 대신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와 같은 플랫 패널형 디스 플레이가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이방성 유전율를 갖는 액정 물질에 전계(Electric field)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외부의 광원(백 라이트)으로부터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신호를 얻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서, 이 중에서도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를 스위칭 소자로 이용한 TFT-LCD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이 지원되는 3D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더욱더 현실감 있게 보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넓은 의미로 입체 화상과 3차원 화상을 포함하는 개념인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는 각각 입체 표시방식, 시점(view point), 관찰 조건 및 관찰자의 안경 착용 여부에 따라 분류를 할 수 있다. 관찰자는 양안 시차에 의해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하는데, 주로 양안 방식(steroscopic method)이 사용된다.
여기서, 양안 방식은 관찰자의 양쪽 눈에 각각 서로 다른 각도에서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두뇌 작용으로 인하여 공간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입력부, 출력부 및 액정 시스템부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는 온/오프 입력부(100), 송수화기부의 송화기(110) 및 카메라 (120)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부는 패널부(170) 및 송수화기부의 수화기(18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 시스템부는 프로세서(130), 메모리부(140), 프로그램부(150) 및 백라이트 구동부(160)을 구비한다.
우선, 상기 입력부의 온/오프 입력부(100)는 스위치 버튼을 사용하여 전화 번호 또는 문자를 기입하여 생성된 제1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 시스템부로 전달한다.
상기 송수화기의 송화기(110)는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나 음성을 녹음하여 생성된 제2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 시스템부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120)는 영상 이미지와 동영상을 녹화하여 생성된 제3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 시스템부로 전달한다. 상기 제3 입력 신호는 2차원 평면 영상이 촬영된 화면으로서, 콘텐츠의 지원을 받아 디스플레이된다.
다음, 상기 단말 시스템부의 프로세서(130)는 상기 메모리부(140), 프로그램부(150) 및 백라이트 구동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각 회로부로 전달하여 타이밍 제어 또는 흐름 제어를 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 입력 신호, 제2 입력 신호 또는 제3 입력 신호가 변환된 제1 디지털 입력 신호, 제2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제3 디지털 입력 신호를 기록 및 저장한다. 특히, 이동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상기 메모리부(140)는 고집적화된 ROM 또는 RAM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고 기술 향상이 급속히 진보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입력부로부 터 전달되는 상기 제1 입력 신호, 제2 입력 신호 또는 제3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저장한 후, 변환된 제1 디지털 입력 신호, 제2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제3 디지털 입력 신호를 상기 프로그램부(150)에 전달한다.
상기 프로그램부(150)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1 디지털 입력 신호, 제 2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제3 디지털 입력 신호를 이미 이식된 프로그램 로직(program logic)에 따라 처리하여 제1 디지털 로직 신호, 제2 디지털 로직 신호 또는 제3 디지털 로직 신호로 변환 및 생성시킨 후, 상기 출력부로 전달한다.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160)는 상기 단말 시스템부의 프로세서(130)로부터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구동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패널부(170)로 전달한다.
다음, 상기 출력부의 패널부(170)는 상기 단말 시스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 디지털 로직 신호 또는 제3 디지털 로직 신호가 2차원 평면 영상으로 당업자에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여주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부(170)는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데이터 구동장치, 주사 구동장치 및 백라이드 유닛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소자인 액정을 구비한다. 상기 액정은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형(passive display)소자이므로 그 후면에 백라이트 유닛을 둔다. 즉,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광원을 수신하여 발광된다.
또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행(row)과 열(column)로 배열된 다수의 픽셀, 상기 다수의 픽셀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주사 라인 및 상기 다수의 주사 라인과 절연 및 교차되며 상기 제1 디지털 로직 신호 또는 제3 디지털 로직 신호에 해당하는 계조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각 픽셀은 주사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각각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픽셀 커패시터와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장치는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이 원활히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계조 데이터 전압을 전달한다.
상기 주사 구동장치는 주사 신호를 생성하여 선택된 픽셀에 상기 계조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게 한다. 즉, 상기 주사 신호는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계조 데이터 전압이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한다.
다음,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 소자이지만 자체 발광원이 없기 때문에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LCD를 균일하게 밝혀주는 세부 장치들이 탑재된다.
즉,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세부 장치들은 램프, 램프 하우징, 도광판, 반사 시트,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및 몰드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부 장치들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원을 제공해준다.
다음, 상기 출력부에 송수화기의 수화기(180)는 상대방의 액정표시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액정 시스템부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가 청취하도록 전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고,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따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3D용 카메라가 탑재되지 않아 3차원 입체 영상을 현상하기 어려우며, 3차원 입체 영상을 지원하는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아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3D용 카메라를 장착시켜 3D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우안영상 카메라; 좌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좌안영상 카메라; 상기 우안 영상 신호와 좌안 영상 신호를 기록 및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우안 영상 신호와 좌안 영상 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우안 디지털 데이터와 좌안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우안 디지털 데이터와 좌안 디지털 데이터를 스테레오 렌더링시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그래픽 카드를 포함하는 액정 시스템부; 및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3차원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 패널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카메라(210), 액정 시스템부(200) 및 액정 패널부(260)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210)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카메라를 통해 3차원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3D용 카메라로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메라 기법 중 주로 양안 방식(stereoscopic Display)을 채택한다.
상기 양안 방식은 단방향의 평면 영상만을 고려한 단안 방식(monocular display)과는 달리 사람들에게 공간감을 느끼게 하는 3차원 인지성을 배려한 영상 카메라 기법이다.
특히, 상기 양안 방식은 대상물의 거리에 따른 양안 시차(stereoscopic disparity)를 고려하여 사람이 보는 것과 같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하며 정교한 제어와 기계적 구동 기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신호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는 좌우 대칭되도록 2대의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2대의 카메라는 서로 자연스럽게 연동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는 대상물과의 거리 관계, 대상물과의 인식 관계, 대상물과의 입체 관계 및 대상물과의 시각 왜곡 현상 등을 고려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촬영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210)는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하여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서,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는 상기 액정 패널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액정 시스 템부의 메모리부(220)로 전달된다.
단, 2차원 평면 영상이 필요할 경우, 상기 카메라(210)는 이미 구비된 2대의 카메라 중 어느 1대의 카메라만을 동작시켜 상기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을 생성시킨다.
다음, 상기 액정 시스템부(200)는 메모리부(220), 영상신호 프로세서(230), 모드 선택부(240) 및 영상그래픽 카드(250)를 구비하며, 상기 액정 패널부(260)는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 데이터 구동장치(280), 주사 구동장치(290) 및 백라이트 유닛(300)를 구비한다.
세부적으로,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모드 선택부(240), 메모리부(220) 및 영상그래픽 카드(25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 신호는 모드 선택부(240)의 2차원 모드/3차원 모드의 변환을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의 흐름 제어, 허가 제어 및 오류 제어를 관장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는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전달된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가 상기 영상그래픽 카드(250)에서 영상 처리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메모리부(220)는 상기 카메라(21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를 기록 및 저장한 후,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그래픽 카드(25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20)의 ROM은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콘텐츠를 탑재한다. 즉, 상기 콘텐츠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자체에서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삽입되어야만 하는 중요한 소프트웨어-서비스 엔진이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220)의 콘텐츠는 상기 3차원 입체 영상이 상기 패널부(260)에서 활성화있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원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드 선택부(240)는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로부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2차원 평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2차원 모드 및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3차원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도록 한 회로부이다.
즉,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선 상기 모드 선택부(240)는 3차원 모드로 변환되어야 한다. 물론, 2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실행하려면 상기 모드 선택부(240)는 2차원 모드로 변환되어야 한다.
상기 영상그래픽 카드(250)는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는 상기 액정 패널부(260)로 전달된다.
다음, 상기 액정 패널부(260)는 상기 액정 시스템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3차원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은 상기 액정 패널부(260)를 통해 직접 우리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부(260)는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 데이터 구동장치(280), 주사 구동장치(290) 및 백라이드 유닛(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은 디스플레이 소자인 액정을 구비한다. 상기 액정은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형(passive display)소자이므로 그 후면에 백라이트 유닛(300)을 둔다. 즉,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에 의해 전달되는 광원을 수신하여 발광된다.
또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은 행(row)과 열(column)로 배열된 다수의 픽셀, 상기 다수의 픽셀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주사 라인 및 상기 다수의 주사 라인과 절연 및 교차되며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계조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각 픽셀은 주사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각각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픽셀 커패시터와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픽셀 커패시터는 액정을 나타내는 회로 소자이며,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상기 픽셀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상기 계조 데이터 전압을 일정 기간동안 유지시켜 주는 수동 소자이다.
상기 데이터 구동장치(280)는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의 액정이 원활히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계조 데이터 전압을 전달한다.
상기 주사 구동장치(290)는 주사 신호를 생성하여 선택된 픽셀에 상기 계조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게 한다. 즉, 상기 주사 신호는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을 구성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계조 데이터 전압이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의 액정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한다.
다음,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은 표시 소자이지만 자체 발광원이 없기 때문에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의 후면에 LCD를 균일하게 밝혀주는 세부 장치들이 탑재된다.
즉,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의 세부 장치들은 램프, 램프 하우징, 도광판, 반사 시트,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및 몰드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부 장치들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의 광원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상기 액정 패널부(260)는 상기 액정 시스템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70)을 통해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절차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3D용 카메라(210), 액정 시스템부(200) 및 액정 패널부(260)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액정 시스템부는 메모리부(220), 영상신호 프로세서(230), 모드 선택부(240) 및 영상그래픽 카드(25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3D용 카메라(210)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를 탑재한다. 즉,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우안영상 카메라(211) 및 좌안영상 카메라(212)를 보유하며 상기 우안영상 카메라(212)는 우측면에 해당되는 상(象)을 현상하며 좌안영상 카메라(211)는 좌측면에 해당되는 상(象)을 현상한다. 또한, 상기 3D용 카메라(210)는 상기 액정 패널부(260)에 구조적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3D용 카메라(210)의 좌안영상 카메라(211)는 상기 액정 패널부(260)의 좌측 상단에 구조적으로 셋팅되고, 상기 카메라(210)의 우안영상 카메라(211)는 액정 패널부(260)의 우측 상단에 구조적으로 셋팅된다.
또한, 상기 3D용 카메라(210)는 상기 우안영상 카메라(211) 및 좌안영상 카메라(212)의 촬영 각도를 달리하여 공간감을 느끼게하는 카메라 기법인 양안 방식을 도용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설치된다.
상기 3차원 입체 영상이 상기 액정 패널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선, 상기 우안영상 카메라(211) 및 좌안영상 카메라(212)가 모두 연동 및 동작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우안영상 카메라(211)는 우안 영상 신호을 생성하며 상기 좌안영상 카메라(212)는 좌안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는 상기 액정 시스템부(200)의 메모리부(220)로 전달된다.
다음,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메모리부(220), 영상그래픽 카드(230) 및 모드 선택부(24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 신호는 모드 선택부(240)의 2차원 모드/3차원 모드로 변환시키고,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의 흐름 제어, 허가 제어 및 오류 제어를 관장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의 제어 신호는 MPEG 압축 방식, JPEG 압축 방식, AVI 압축 방식 및 MOV 압축 방식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전달된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를 데이터 압축한다.
즉,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는 상기 데이터 압축을 통해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를 우안 디지털 데이터 및 좌안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및 생성시킨다.
이어서, 상기 메모리부(220)는 상기 카메라(21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 및 좌안 영상 신호를 기록 및 저장한 후,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그래픽 카드(25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20)의 ROM은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콘텐츠를 탑재한다. 즉, 상기 콘텐츠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자체에서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삽입되어야만 하는 중요한 소프트웨어-서비스 엔진이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220)의 콘텐츠는 상기 3차원 입체 영상이 상기 액정 패널부(260)에서 활성화있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원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 상기 모드 선택부(240)는 상기 영상신호 프로세서(230)로부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2차원 평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2차원 모드 및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3차원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도록 한 회로부이다.
즉,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선 상기 모드 선택부(240)는 3차원 모드로 변환되어야 한다. 물론, 2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실행하려면 상기 모드 선택부(240)는 2차원 모드로 변환되어야 한다.
상기 영상그래픽 카드(250)는 이미 탑재된 스테레오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우안 디지털 데이터 및 좌안 디지털 데이터를 동기화 및 합성시키는 방법인 스테레오 랜더링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그래픽 카드(250)는 상기 스테레오 렌더링을 통해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패널부(260)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액정 패널부(260)는 이미 삽입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그래픽 카드(250)로부터 수신된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켜 3차원 입체 영상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2차원 평면 영상이 상기 액정 패널부(260)에서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선, 우안영상 카메라(211) 또는 좌안영상 카메라(212) 중에 하나만이 선택된다. 다시 말해, 상기 우안영상 카메라(211)가 동작될 경우, 우안 영상 신호만이 생성되며 상기 좌안영상 카메라(212)가 동작될 경우, 좌안 영상 신호만이 생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3D용 카메라를 탑재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 자체에서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하여 상품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준다.

Claims (7)

  1.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우안영상 카메라;
    좌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좌안영상 카메라;
    상기 우안 영상 신호와 좌안 영상 신호를 기록 및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우안 영상 신호와 좌안 영상 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우안 디지털 데이터와 좌안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우안 디지털 데이터와 좌안 디지털 데이터를 스테레오 렌더링시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그래픽 카드를 포함하는 액정 시스템부; 및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3차원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 패널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영상 카메라 및 좌안영상 카메라는 상기 액정 패널부의 외부 상단에 좌우 대칭되도록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영상 카메라 및 좌안영상 카메라는 촬영 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3차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 기법인 양안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랜더링은 상기 영상그래픽 카드에 형성된 스테레오 랜더링 엔진을 통해 상기 우안 디지털 데이터 및 좌안 디지털 데이터를 동기화 및 합성시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압축은 MPEG 압축 방식, JPEG 압축방식, AVI 압축 방식 및 MOV 압축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시스템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차원 모드 또는 2차원 평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2차원 모드로 변환시키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14696A 2005-02-22 2005-02-22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76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696A KR100761075B1 (ko) 2005-02-22 2005-02-22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696A KR100761075B1 (ko) 2005-02-22 2005-02-22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602A KR20060093602A (ko) 2006-08-25
KR100761075B1 true KR100761075B1 (ko) 2007-09-21

Family

ID=3760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696A KR100761075B1 (ko) 2005-02-22 2005-02-22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8345A1 (en) * 2006-09-11 2008-07-03 3Ality Digital Systems, Llc 3d augmentation of traditional photography
KR101314613B1 (ko) * 2007-02-28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출 방법, 영상 표출 장치 및 기록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943A (ja) * 1989-08-04 1991-03-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立体表示装置
JPH1090814A (ja) 1996-09-11 1998-04-10 Canon Inc 複眼カメラ及び画像処理方法
JPH10210506A (ja) 1997-01-22 1998-08-07 Sony Corp 3次元画像情報入力装置および3次元画像情報入出力装置
KR20020007894A (ko) * 2000-07-19 2002-01-29 정명식 실시간 입체 영상 정합 시스템
KR20050001732A (ko) * 2003-06-26 2005-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943A (ja) * 1989-08-04 1991-03-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立体表示装置
JPH1090814A (ja) 1996-09-11 1998-04-10 Canon Inc 複眼カメラ及び画像処理方法
JPH10210506A (ja) 1997-01-22 1998-08-07 Sony Corp 3次元画像情報入力装置および3次元画像情報入出力装置
KR20020007894A (ko) * 2000-07-19 2002-01-29 정명식 실시간 입체 영상 정합 시스템
KR20050001732A (ko) * 2003-06-26 2005-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602A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956B1 (ko) 2d/3d 겸용 디스플레이
US7397444B2 (en) 2D/3D convertible display
US9812052B2 (en) 2D/3D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20070153380A1 (en) High-resolution field sequential autostereoscopic display
US77058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program, and display device
US20100039503A1 (en)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00289974A1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20100103318A1 (en) Picture-in-picture display apparatus having stereoscopic display functionality and picture-in-picture display method
KR101502419B1 (ko) 다시점 영상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장치
US10685591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agnetic generato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portion of the display surface
CN103605211A (zh) 平板化无辅助立体显示装置及方法
TW201128620A (en)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which adjusts backlight to generate a 3D image effect and method thereof
US20090002482A1 (en)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3d) video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20147158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which collaborates with three-dimensional glasses for presenting stereoscopic image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video display apparatus
US2015017264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3005613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20497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7257937A (zh) 显示装置以及控制显示装置的方法
US20050012814A1 (en)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view stereoscopic images
KR100761075B1 (ko) 3d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20081513A1 (en) Multiple Parallax Image Receiver Apparatus
US20170094266A1 (en) Multi 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39746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TWI499279B (zh) 影像處理裝置及其方法
KR100823561B1 (ko) 2차원 및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