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50B1 -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150B1
KR102433150B1 KR1020180077625A KR20180077625A KR102433150B1 KR 102433150 B1 KR102433150 B1 KR 102433150B1 KR 1020180077625 A KR1020180077625 A KR 1020180077625A KR 20180077625 A KR20180077625 A KR 20180077625A KR 102433150 B1 KR102433150 B1 KR 10243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groove
glass
laser bea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103A (ko
Inventor
츠바사 오바타
사토시 구마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19000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3Batch processes
    • H01L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 H01L24/97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the device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substrate, e.g. interposer, said common substrate being separable into individual assemblies after conn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006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23K26/402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involving non-metallic material, e.g. iso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50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 B23K26/53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for modifying or reforming the material inside the workpiece, e.g. for producing break initiation c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22Scoring using a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C03B33/074Glass products comprising an outer layer or surface coating of non-glas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01L21/486Via connections through the substrate with or without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5Ceramic or glass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7Via connections through the substrates, e.g. pins going through the substrate,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38Geometry or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66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49894Materials of the insulating layer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including different method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80 - H01L24/9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0Semicondu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2Printe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6Composite materials, e.g. fibre reinforced
    • B23K2103/166Multilayered materials
    • B23K2103/172Multilayered material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ayers is non-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30Organic material
    • B23K2103/42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50Inorganic material, e.g. metals, not provided for in B23K2103/02 – B23K2103/26
    • B23K2103/54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2Multilayer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met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Dic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기판의 분할 시에 유리 기판으로부터 적층체가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기판(1)의 표면(1a) 및 이면(1b)에 형성한 적층체(4)를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가공하여 제1 폭(L1)으로 유리 기판(1)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제1 홈(20)을 형성하고 바닥(20a)에 수지 잔여부(60)를 남긴 후, 수지 잔여부(60)를 어블레이션 가공하여 유리 기판(1)의 표면(1a) 및 이면(1b)을 노출시켜 제1 폭(L1)보다 좁은 제2 폭(L2)을 갖는 제2 홈(21)을 형성하고, 제2 홈(21)으로부터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레이저 빔(LB2)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기판(1) 내부에 개질층(40)을 형성하며, 유리 기판(1)에 외력을 부여하여 개질층(40)을 기점으로 유리 기판(1)을 분할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유리 기판(1)의 분할 시에, 제1 홈(20)의 바닥(20a)에 남은 수지 잔여부(60)에 응력이 작용하지 않아, 유리 기판(1)으로부터 적층체(4)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INTERPOSER}
본 발명은 유리 기판을 이용한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인터포저를 통해 복수의 반도체 칩을 실장하는 실장 기술이 있다.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인터포저는, 미세한 배선을 형성할 때에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 유용성이 크고, 열전도율이 높아 방열성이 우수하다(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1을 참조). 그러나,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인터포저와 비교하여 고가이다.
그래서, 실리콘과 같이 무기 재료이며 저가격의 유리 기판으로 인터포저를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2 및 3을 참조). 이 인터포저는, 유리 기판의 표면과 이면에 절연층(수지층)과 금속의 배선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유리 기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유리 기판을 분할하여 인터포저를 얻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예컨대 절삭 블레이드를 절입시켜 적층체와 유리 기판을 분할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5877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821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46401호 공보
여기서, 절연층은, 유리 기판의 표면과 이면에 형성되는 배선층으로 확장하고 냉각하여 경화시켜 형성한다. 수지를 냉각할 때에 수축하기 때문에 절연층에는 수축하는 힘의 응력이 잔존하고 있다. 그 후,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절삭하여 개개의 인터포저로 분할하면, 적층체가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절삭한 절삭 단면(커프)에 발생하고 있는 치핑(오목부)이 기점이 되어, 적층체가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미세한 지립으로 형성한 높은 번수(番手)의 절삭 블레이드로 절삭하여 측면의 치핑의 요철을 작게 하면 적층체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으나, 박리를 완전히 저지할 수는 없고, 가공 시간이 증가해 버린다. 또한, 적층체와 유리 기판을 동시에 절삭하면, 절삭 블레이드가 적층체에 걸려 적층체를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해 버리기 때문에, 적층체와 유리 기판을 따로따로 절삭할 필요가 있어, 가공 시간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리 기판을 분할할 때에 유리 기판으로부터 적층체가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표면 및 이면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 전극과, 표면 및 이면에 배선층과 수지층을 교대로 형성한 적층체와, 격자형으로 설정된 복수의 분할 예정 라인을 구비하는 유리 기판을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분할하여 소편화(小片化)한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리 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적층체를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가공하여 제1 폭으로 상기 유리 기판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의 바닥에 수지 잔여부를 남기는 제1 홈 형성 공정과, 상기 수지층에 대해 흡수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을 상기 제1 홈 형성 공정에서 형성한 상기 제1 홈의 바닥에 조사하여 상기 수지 잔여부를 어블레이션 가공하여 상기 유리 기판의 표면 및 이면을 노출시켜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 공정과, 상기 유리 기판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을 상기 유리 기판의 표면 또는 이면의 상기 제2 홈으로부터 상기 유리 기판 내부에 집광하여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조사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 내부에 개질층을 형성하는 개질층 형성 공정과, 상기 유리 기판에 외력을 부여하여 상기 개질층을 기점으로 상기 유리 기판을 분할하는 분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유리 기판이 분할되어 소편화된 상기 유리 인터포저는, 표면 및 이면에 상기 제1 홈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상기 수지 잔여부가 외주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홈 형성 공정은, 절삭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은, 유리 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적층체를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가공하여 제1 폭으로 유리 기판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제1 홈을 형성하고, 제1 홈의 바닥에 수지 잔여부를 남기는 제1 홈 형성 공정과, 수지층에 대해 흡수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을 제1 홈의 바닥에 조사하여 수지 잔여부를 어블레이션 가공하여 유리 기판의 표면 및 이면을 노출시켜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 공정과, 유리 기판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을 유리 기판의 표면 또는 이면의 제2 홈으로부터 유리 기판 내부에 집광하여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조사함으로써 유리 기판 내부에 개질층을 형성하는 개질층 형성 공정과, 유리 기판에 외력을 부여하여 개질층을 기점으로 유리 기판을 분할하는 분할 공정을 구비하고, 유리 기판이 분할되어 소편화된 유리 인터포저는, 표면 및 이면에 제1 홈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수지 잔여부가 외주 부분에 형성된 적층체를 구비하기 때문에, 유리 기판을 분할할 때에, 수지 잔여부에 응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 유리 기판으로부터 적층체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하는 유리 인터포저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 공정은, 절삭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1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 블레이드로 적층체와 유리 기판을 동시에 분할하지 않기 때문에, 절삭 블레이드가 적층체에 걸려 유리 기판으로부터 적층체가 박리될 우려가 없고, 가공 시간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도 1은 유리 기판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홈 형성 공정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절삭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1 홈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홈 형성 공정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개질층 형성 공정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개질층 형성 공정을 실시한 후의 유리 기판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분할 공정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유리 인터포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유리 기판
도 1에 도시된 유리 기판(1)은, 예컨대, 소다라임 유리, 무알칼리 유리, 석영 유리 등의 재질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1)은, 격자형으로 설정되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 분할 예정 라인(2)(점선으로 도시)과, 유리 기판(1)의 표면(1a) 및 이면(1b)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 전극(3)과, 유리 기판(1)의 표면(1a) 및 이면(1b)에 배선층(5)과 수지층(6)을 교대로 형성한 적층체(4)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층(6)은 절연층이고, 배선층(5)은 금속 등의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배선층(5) 사이는, 수지층(6)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유리 기판(1)에서는, 유리 기판(1)의 표면(1a)에 적층된 적층체(4)의 노출면(4a)이 반도체 칩의 적층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유리 기판(1)의 이면(1b)에 적층된 적층체(4)의 노출면(4b)은, 기판 실장면으로 되어 있다. 표면(1a)측의 배선층(5)과 이면(1b)측의 배선층(5)은, 관통 전극(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2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상기한 유리 기판(1)을 복수의 유리 인터포저로 소편화하는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1) 제1 홈 형성 공정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표면(1a) 및 이면(1b)을 가공함으로써 제1 폭(L1)으로 유리 기판(1)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제1 홈(20)을 형성하는 절삭 가공을 행한다. 제1 홈 형성 공정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절삭 블레이드(10)를 이용하여 제1 홈(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 블레이드(10)는, 예컨대 다이아몬드 지립이나 CBN(Cubic Boron Nitride) 지립을 본드재로 굳힌 절삭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삭 블레이드(10)를 구성하는 지립이나 본드재의 재질은, 적층체(4)의 재질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절삭 블레이드(10)에 포함되는 지립의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20 ㎛∼4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35 ㎛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절삭 블레이드(10)의 폭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150 ㎛∼50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300 ㎛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절삭 블레이드(10)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수평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심을 갖는 스핀들의 선단에 장착되고, 스핀들이 회전함으로써 절삭 블레이드(10)도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먼저, 유리 기판(1)의 표면(1a)측을 상향으로 하고, 이면(1b)측을 도시하지 않은 유지 테이블로 유지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을 절삭 블레이드(10)의 하방측으로 이동시켜, 절삭 블레이드(10)와 절삭해야 할 분할 예정 라인(2)의 위치 맞춤을 행한다. 계속해서, 절삭 블레이드(10)를 회전시키면서, 적층체(4)의 노출면(4a)측으로부터 유리 기판(1)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 절삭 블레이드(10)의 날끝(10a)을 절입시키고, 유리 기판(1)과 절삭 블레이드(10)를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그리고, 회전하는 절삭 블레이드(10)로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1 폭(L1)으로 유리 기판(1)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제1 홈(20)을 형성하고, 제1 홈(20)의 바닥(20a)에 두께(T)를 갖는 수지 잔여부(60)를 남긴다.
제1 폭(L1)은, 절삭 블레이드(10)의 폭에 따른 크기로 되어 있다. 제1 홈(20)의 바닥(20a)에 남은 수지 잔여부(60)의 두께(T)는, 예컨대 20 ㎛ 정도의 얇은 두께로 되어 있다. 모든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유리 기판(1)의 표면(1a)측의 적층체(4)에 제1 홈(20)을 형성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의 표리를 반전시키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절삭 블레이드(10)를 회전시키면서, 적층체(4)의 노출면(4b)측으로부터 유리 기판(1)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 절삭 블레이드(10)의 날끝(10a)을 절입시키며, 유리 기판(1)과 절삭 블레이드(10)를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제1 홈(20)을 형성하고, 도 2에 도시된 제1 홈(20)의 바닥(20a)에 수지 잔여부(60)를 남긴다. 그리고, 모든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유리 기판(1)의 이면(1b)측의 적층체(4)에 제1 홈(20)을 형성하면, 제1 홈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삭 블레이드(10)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1)의 표면(1a)에 적층된 적층체(4)에 제1 홈(20)을 형성한 후에, 절삭 블레이드(10)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1)의 이면(1b)에 적층된 적층체(4)에 제1 홈(20)을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리 기판(1)의 이면(1b)에 적층된 적층체(4)에 제1 홈(20)을 형성하고 나서, 유리 기판(1)의 표면(1a)에 적층된 적층체(4)에 제1 홈(20)을 형성해도 좋다.
절삭 블레이드(10)를 이용하여 제1 홈 형성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1개의 분할 예정 라인(2)을 1패스(1회의 가공 이송)의 절삭 동작으로 제1 홈(20)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제1 홈 형성 공정은, 레이저 빔의 조사에 의한 어블레이션 가공에 의해 실시해도 좋으나, 절삭 블레이드(10)에 의해 제1 홈(20)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레이저 빔의 조사의 패스수가 많아져, 가공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절삭 블레이드(10)를 이용하여 제1 홈 형성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제2 홈 형성 공정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을 이용하여 제1 홈 형성 공정에서 형성한 제1 홈(20)의 바닥(20a)에 어블레이션 가공을 행한다.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은, 수지층(6)에 대해 흡수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LB1)을 조사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공 헤드와, 가공 헤드에 내장되며 레이저 빔(LB1)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31)와, 레이저 빔(LB1)의 집광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정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어블레이션 가공을 행할 때에는, 유리 기판(1)의 이면(1b)측을 유지 테이블로 유지하여, 유리 기판(1)의 표면(1a)에 적층된 적층체(4)의 노출면(4a)을 상향으로 노출시킨다. 계속해서, 제1 홈(20)과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의 가공 헤드의 위치 맞춤을 행하고, 레이저 빔(LB1)의 집광점을 유리 기판(1)의 표면(1a)의 높이 위치로 조정한다.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과 유리 기판(1)을 상대적으로 유리 기판(1)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공 헤드로부터 제1 홈(20)의 바닥(20a)에 대해 흡수성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LB1)을 조사함으로써, 수지 잔여부(60)를 어블레이션 가공하여 유리 기판(1)의 표면(1a)을 노출시켜, 도 2에 도시된 제1 폭(L1)보다 좁은 제2 폭(L2)을 갖는 제2 홈(21)을 형성한다. 제2 폭(L2)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50 ㎛∼150 ㎛로 설정된다.
모든 제1 홈(20)을 따라 유리 기판(1)의 표면(1a)측의 적층체(4)에 제2 홈(21)을 형성하면, 유리 기판(1)의 표리를 반전시키고,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과 유리 기판(1)을 상대적으로 유리 기판(1)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지 잔여부(60)에 어블레이션 가공을 행하여, 유리 기판(1)의 이면(1b)을 노출시키는 제2 홈(21)을 형성한다. 그리고, 모든 제1 홈(20)을 따라 유리 기판(1)의 이면(1b)측의 적층체(4)에도 제2 홈(21)을 형성하면, 제2 홈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레이저 빔(LB1)의 조사의 패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의 제1 홈(20)을 따라 복수 회로 나누어 레이저 빔(LB1)을 조사함으로써, 제2 홈(21)을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기판(1)의 표면(1a)측의 적층체(4)에 제1 홈(20)을 따른 제2 홈(21)을 형성한 후에, 유리 기판(1)의 이면(1b)측의 적층체(4)에 제1 홈(20)을 따른 제2 홈(21)을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리 기판(1)의 이면(1b)측의 적층체(4)에 제1 홈(20)을 따른 제2 홈(21)을 형성하고 나서, 유리 기판(1)의 표면(1a)측의 적층체(4)에 제1 홈(20)을 따른 제2 홈(21)을 형성해도 좋다.
(3) 개질층 형성 공정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A)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1)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LB2)을 유리 기판(1)을 향해 조사하여, 개질층(40)을 형성한다.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A)은, 유리 기판(1)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LB2)을 조사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공 헤드와, 가공 헤드에 내장되며 레이저 빔(LB2)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32)와, 레이저 빔(LB2)의 집광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정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점착 테이프(7)를 유리 기판(1)의 이면(1b)에 적층된 적층체(4)의 노출면(4b)에 접착하고 나서, 점착 테이프(7)를 통해 유리 기판(1)의 이면(1b)측을 유지 테이블로 유지하여, 표면(1a)에 적층된 적층체(4)의 노출면(4a)을 상향으로 노출시킨다. 한편, 점착 테이프(7)는, 익스팬드성을 갖고 있으면 되고, 예컨대,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염화비닐 등의 기재층에 점착층이 적층된 익스팬드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A)은, 집광 렌즈(32)를 유리 기판(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하강시켜, 레이저 빔(LB2)의 집광점을 유리 기판(1)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레이저 빔(LB2)의 집광점을 유리 기판(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A)과 유리 기판(1)을 상대적으로 유리 기판(1)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공 헤드는, 레이저 빔(LB2)을 유리 기판(1)의 표면(1a)의 제2 홈(21)으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조사함으로써 개질층(40)을 형성한다. 개질층(40)은, 레이저 빔(LB2)의 조사에 의해 유리 기판(1)의 내부의 강도나 물리적인 특성이 변화된 영역이고, 분할 기점이 된다. 모든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레이저 빔(LB2)을 반복해서 조사함으로써, 유리 기판(1)의 내부에 개질층(40)을 형성한다.
여기서, 유리 기판(1)의 내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질층(40)의 수는, 1층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이어도 좋다. 따라서, 유리 기판(1)의 내부에 복수의 개질층(4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A)은, 집광 렌즈(32)의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보다 유리 기판(1)의 이면(1b)측에 레이저 빔(LB2)의 집광점을 위치시켜 레이저 빔(LB2)을 조사하여 개질층(40)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레이저 빔 조사 수단(30A)은, 집광 렌즈(32)의 위치를 상방측으로 어긋나게 해서, 이면(1b)측으로부터 표면(1a)측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레이저 빔(LB2)을 조사함으로써, 복수의 개질층(4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레이저 빔(LB2)의 조사에 의한 개질층(40)의 형성을 반복해서 행하여,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의 내부에 3층의 개질층(40)을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기판(1)의 표면(1a)측으로부터 개질층(40)을 형성하였으나, 유리 기판의 이면(1b)측으로부터 유리 기판(1) 내부에 레이저 빔(LB2)을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조사함으로써 개질층(40)을 형성해도 좋다.
(4) 분할 공정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에 외력을 부여하여 개질층(40)을 기점으로 유리 기판(1)을 분할한다. 예컨대, 점착 테이프(7)를 유리 기판(1)의 면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확장 장치를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7)의 주연(周緣)측을 외측으로 인장하여 확장시킨다. 점착 테이프(7)의 확장에 따라 유리 기판(1)에 외력이 부여되면, 도 6에 도시된 개질층(40)이 분할 기점이 되어 유리 기판(1)이 분할되어 복수의 유리 인터포저(8)로 소편화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인터포저(8)는, 유리 기판(1)의 표면(1a) 및 이면(1b)에 상기 제1 홈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수지 잔여부(60)가 외주 부분에 형성된 적층체(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적층체(4)를 구성하는 수지층(6)에는, 적층체(4)의 형성 시(냉각·경화)에 있어서 수축하여 잔류 응력이 존재하고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제1 홈(20)의 바닥(20a)에 남은 수지 잔여부(60)는 얇기 때문에, 유리 기판(1)에 외력을 부여하여 분할할 때에 수지 잔여부(60)에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리 기판(1)으로부터 적층체(4)가 박리되지 않고, 유리 기판(1)으로부터 복수의 유리 인터포저(8)를 소편화할 수 있다.
유리 기판(1)에 외력을 부여하는 장치로서는, 상기한 확장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브레이킹 블레이드에 의해 굽힘 응력을 가하면서 유리 기판(1)을 파단하여 개개의 유리 인터포저(8)로 분할할 수 있는 브레이킹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기판(1)의 표면(1a) 및 이면(1b)에 형성한 적층체(4)를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가공하여 제1 폭(L1)으로 유리 기판(1)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제1 홈(20)을 형성하고 제1 홈(20)의 바닥(20a)에 수지 잔여부(60)를 남긴 후, 수지 잔여부(60)를 어블레이션 가공하여 유리 기판(1)의 표면(1a) 및 이면(1b)을 노출시켜 제1 폭(L1)보다 좁은 제2 폭(L2)을 갖는 제2 홈(21)을 형성하고, 제2 홈(21)으로부터 분할 예정 라인(2)을 따라 레이저 빔(LB2)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기판(1) 내부에 개질층(40)을 형성하며, 유리 기판(1)에 외력을 부여하여 개질층(40)을 기점으로 유리 기판(1)을 분할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유리 기판(1)을 분할할 때에, 제1 홈(20)의 바닥(20a)에 남은 수지 잔여부(60)에 응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 유리 기판(1)으로부터 적층체(4)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하는 유리 인터포저(8)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절삭 블레이드(10)를 이용하여 제1 홈 형성 공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 블레이드(10)로 적층체(4)와 유리 기판(1)을 동시에 분할하지 않기 때문에, 절삭 블레이드(10)가 적층체(4)에 걸려 유리 기판(1)으로부터 적층체(4)가 박리될 우려가 없고, 가공 시간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1: 유리 기판 1a: 표면
1b: 이면 2: 분할 예정 라인
3: 관통 전극 4: 적층체
5: 배선층 6: 수지층
60: 수지 잔여부 7: 점착 테이프
8: 유리 인터포저 10: 절삭 블레이드
10a: 날끝 20: 제1 홈
20a: 바닥 21: 제2 홈
30, 30A: 레이저 빔 조사 수단 31, 32: 집광 렌즈
40: 개질층

Claims (2)

  1. 표면 및 이면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 전극과, 표면 및 이면에 배선층과 수지층을 교대로 형성한 적층체와, 격자형으로 설정된 복수의 분할 예정 라인을 구비하는 유리 기판을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분할하여 소편화(小片化)한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적층체를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가공하여 제1 폭으로 상기 유리 기판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의 바닥에 수지 잔여부를 남기는 제1 홈 형성 공정과,
    상기 수지층에 대해 흡수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을 상기 제1 홈 형성 공정에서 형성한 상기 제1 홈의 바닥에 조사하여 상기 수지 잔여부를 어블레이션 가공하여 상기 유리 기판의 표면 및 이면을 노출시켜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 공정과,
    상기 유리 기판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을 상기 유리 기판의 표면 또는 이면의 상기 제2 홈으로부터 상기 유리 기판 내부에 집광하여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조사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 내부에 개질층을 형성하는 개질층 형성 공정과,
    상기 유리 기판에 외력을 부여하여 상기 개질층을 기점으로 상기 유리 기판을 분할하는 분할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기판이 분할되어 소편화된 상기 유리 인터포저는, 표면 및 이면에 상기 제1 홈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상기 수지 잔여부가 외주 부분에 형성된 상기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형성 공정은, 절삭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홈을 형성하는 것인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KR1020180077625A 2017-07-14 2018-07-04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KR102433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7823 2017-07-14
JP2017137823A JP6871095B2 (ja) 2017-07-14 2017-07-14 ガラスインターポーザ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103A KR20190008103A (ko) 2019-01-23
KR102433150B1 true KR102433150B1 (ko) 2022-08-17

Family

ID=6500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625A KR102433150B1 (ko) 2017-07-14 2018-07-04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96926B2 (ko)
JP (1) JP6871095B2 (ko)
KR (1) KR102433150B1 (ko)
CN (1) CN109256369B (ko)
SG (1) SG10201805783SA (ko)
TW (1) TWI7564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145A1 (ko) 2019-03-07 2020-09-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573196B1 (ko) 2019-03-07 2023-08-30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20220059421A1 (en) 2019-03-12 2022-02-24 Skc Co., Ltd. Packag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254930B2 (ja) 2019-03-12 2023-04-10 アブソリ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パッケージング基板及びこれを含む半導体装置
KR102537005B1 (ko) 2019-03-12 2023-05-26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유리를 포함하는 기판의 적재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기판의 적재방법
KR102396184B1 (ko) 2019-03-12 2022-05-10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EP3910667A4 (en) 2019-03-29 2022-10-26 Absolics Inc. PACKAGING GLASS SUBSTRATE FOR SEMICONDUCTORS, PACKAGING SUBSTRATE FOR SEMICONDUCTORS AND SEMICONDUCTOR DEVICES
KR102413117B1 (ko) 2019-08-23 2022-06-24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N114425653A (zh) * 2020-10-29 2022-05-03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封装基板的激光加工方法及激光加工系统
WO2024079849A1 (ja) * 2022-10-13 2024-04-18 株式会社レゾナック 薄型配線部材の製造方法、薄型配線部材、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2525A (ja) 2013-11-08 2015-05-14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加工方法
US20150321942A1 (en) 2013-02-04 2015-11-1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Cutting method for glass substrate, glass substrate, near-infrared cut filter glass, manufacturing method for glass substrate
US20150367621A1 (en) 2013-02-20 2015-12-24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flexible film
JP2017073424A (ja) 2015-10-05 2017-04-1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71A (ja) * 1996-07-10 1998-01-27 Nec Corp 有機薄膜多層配線基板の切断方法
JP2004158776A (ja) 2002-11-08 2004-06-03 Disco Abrasive Syst Ltd 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7012733A (ja) * 2005-06-29 2007-01-18 Seiko Epson Corp 基板の分割方法
JP5064711B2 (ja) * 2006-04-07 2012-10-31 Agc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切断方法及び光学フィルタ
JP2015146401A (ja) 2014-02-04 2015-08-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ラスインターポーザー
JP2015198212A (ja) 2014-04-03 2015-11-09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ラスインターポーザ
JP2016166120A (ja) * 2015-03-06 2016-09-1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積層基板の加工方法及びレーザ光による積層基板の加工装置
JP6561566B2 (ja) * 2015-04-30 2019-08-21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貼り合わせ基板の分割方法及び分割装置
JP6805511B2 (ja) * 2016-03-14 2020-12-23 凸版印刷株式会社 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414685B2 (en) * 2016-11-15 2019-09-17 Via Mechanics, Lt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1942A1 (en) 2013-02-04 2015-11-1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Cutting method for glass substrate, glass substrate, near-infrared cut filter glass, manufacturing method for glass substrate
US20150367621A1 (en) 2013-02-20 2015-12-24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flexible film
JP2015092525A (ja) 2013-11-08 2015-05-14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加工方法
JP2017073424A (ja) 2015-10-05 2017-04-1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9692A1 (en) 2019-01-17
CN109256369A (zh) 2019-01-22
US10796926B2 (en) 2020-10-06
TWI756437B (zh) 2022-03-01
TW201926567A (zh) 2019-07-01
SG10201805783SA (en) 2019-02-27
KR20190008103A (ko) 2019-01-23
JP6871095B2 (ja) 2021-05-12
JP2019021720A (ja) 2019-02-07
CN109256369B (zh)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150B1 (ko) 유리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KR102354665B1 (ko) 웨이퍼의 생성 방법
KR102341591B1 (ko) 웨이퍼의 생성 방법
KR102341602B1 (ko) 웨이퍼의 생성 방법
JP4398686B2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CN101026126B (zh) 半导体芯片制造方法
JP4590174B2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KR102340168B1 (ko)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JP2005064231A (ja) 板状物の分割方法
JP2005064230A (ja) 板状物の分割方法
US9018080B2 (en) Wafer processing method
JP2015159155A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JP6523882B2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KR102400418B1 (ko)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JP6455166B2 (ja) 半導体ウエハおよ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200704899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598702B2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KR20180068862A (ko) 인터포저의 제조 방법
Dohnke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novel chip separation methods for 4H-SiC
JP6521695B2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US2011017520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210292B2 (ja) ウエーハの生成方法
JP6270520B2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JP6435140B2 (ja) ウエーハの分割方法
JP6942034B2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