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575B1 -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 - Google Patents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575B1
KR102432575B1 KR1020197014792A KR20197014792A KR102432575B1 KR 102432575 B1 KR102432575 B1 KR 102432575B1 KR 1020197014792 A KR1020197014792 A KR 1020197014792A KR 20197014792 A KR20197014792 A KR 20197014792A KR 102432575 B1 KR102432575 B1 KR 10243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shell
impeller
turbine shell
inertia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243A (ko
Inventor
니젤 거니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8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41/28Details with respect to manufacture, e.g. blade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2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three chamber system, i.e. comprising a separated, closed chamber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ng a lock-up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 F16H2045/026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the damper comprising a pendul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94Single disk type lock-up clutch, i.e. using a single disc engaged between frict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임펠러 셸 및 상기 임펠러 셸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임펠러; 터빈 셸 및 상기 터빈 셸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터빈으로서, 터빈 셸은 터빈 셸의 제1 및 제2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슬롯을 구비하는, 터빈; 및 상기 터빈 셸에 고정되고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탭을 구비하는 관성 링을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
본 발명은 관성 링, 특히 터빈 셸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의 슬롯 내의 탭에 의해서 그리고 슬롯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터빈 셸의 개구 내의 핑거에 의해서 터빈 셸에 고정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효율 및 특정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소음, 진동, 마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는 관성 링이 필요하다. 내구성 있는 부착 방법이 필요하며, 현재의 터빈 블레이드 조립 방법과 관련하여 납땜(brazing)이 바람직하다. 터빈의 내표면, 터빈 블레이드 및 코어 링은 터빈 블레이드를 내표면에 고정하고 코어 링을 터빈 블레이드에 고정시키는 납땜 작업 중에 위로 향한다. 내표면이 위로 향하는 동안 관성 링을 터빈 셸의 외표면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적소에 유지하는 것은 내구성 있는 부착에 필수적이다. 관성 링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납땜 노(furnace) 벨트 상의 복수의 고정구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복수의 고정구의 사용에는 많은 문제와 상당한 비용이 관련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4,844,216 A호에서는 질량체가 터빈이 아니라 댐퍼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질량체는 직접 관성이 아닌 댐퍼 관성을 제공한다. 미국 특허 제5,195,621호는 관성 질량체를 터빈 셸에 용접한다. 그러나, 용접은 납땜된 터빈 블레이드 접합부를 약화시키고 터빈 블레이드 내구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질량체가 비교적 크며 질량체의 커다란 크기로 인해 이륙이 느려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미국 특허 제6,648,112호는 터빈의 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용접을 사용하여 토크 컨버터용 터빈 셸에 관성 질량체를 부착시킨다. 그러나, 용접은 납땜된 터빈 블레이드 접합부를 약화시키고 터빈 블레이드 내구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질량체가 비교적 크며 이 결과 이륙이 느려진다. 미국 특허 제6,789,446 B2호는 커버의 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용접을 사용하여 토크 컨버터용 커버에 링 기어를 부착시킨다. 그 결과, 링 기어로부터의 관성은 터빈에만 제공되는 링과는 다른 모드로 작용한다. 미국 특허 제8,763,775호는 터빈이 아닌 댐퍼 내의 중간 질량체에 질량체를 추가한다(이는 변속기 입력 샤프트에 질량체를 추가할 것이다). 따라서, 질량체는 NVH 및 효율에 대해 다른 모드를 제공한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226794호는 터빈이 아닌 댐퍼 내의 중간 질량체에 질량체(관성)를 추가한다(이는 변속기 입력 샤프트에 직접 질량체를 추가할 것이다). 따라서, 질량체는 NVH 및 효율에 대해 다른 모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의하면,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임펠러 셸 및 상기 임펠러 셸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임펠러; 상기 터빈 셸의 제1 및 제2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슬롯을 구비하는 터빈 셸, 및 상기 터빈 셸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터빈; 및 상기 터빈 셸에 고정되고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탭을 구비하는 관성 링을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의하면,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커버; 상기 커버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임펠러 셸 및 상기 임펠러 셸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임펠러; 터빈 셸을 구비하는 터빈 및 관성 링을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가 제공된다. 상기 터빈 셸은 외표면; 내표면; 터빈 셸의 내표면과 외표면을 연결하는 개구; 및 터빈 셸의 내표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관성 링은 터빈 셸의 외표면에 고정되며, 관성 링의 반경방향 최내측 표면 및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핑거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의하면,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커버; 상기 커버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임펠러 셸 및 상기 임펠러 셸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임펠러; 터빈; 및 관성 링을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가 제공된다. 상기 터빈은 내표면 및 외표면을 구비하는 터빈 셸, 상기 내표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터빈 블레이드, 슬롯, 및 상기 내표면과 외표면을 연결하고 슬롯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관성 링은 슬롯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탭; 및 관성 링의 반경방향 최내측 표면과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핑거를 구비한다.
첨부하는 개략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단지 예로서 개시되며, 이들 도면에서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공간 용어를 나타내는 원통 좌표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의 예시적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임펠러 및 터빈을 도시하는, 도 2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의 관성 링 및 터빈 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관성 링 및 터빈 셸의 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도 6은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의 예시적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임펠러 및 터빈을 도시하는, 도 6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6의 관성 링 및 터빈 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관성 링 및 터빈 셸의 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처음에, 상이한 도면에서의 유사한 도면 번호는 본 명세서의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을 알아야 한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은 개시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된 특정 방법론, 재료 및 수정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당연히 변형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아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가 보편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방법, 장치 또는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공간 용어를 나타내는 원통 좌표계(10)의 사시도이다. 본 출원은 원통 좌표계의 문맥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된다. 좌표계(10)는 후술되는 방향성 용어 및 공간 용어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종축(11)을 구비한다. 축방향(AD)은 축(11)에 평행하다. 반경 방향(RD)은 축(11)에 대해 직교한다. 원주방향(CD)은 축(11) 주위로 회전되는 반경(R)의 종점에 의해 규정된다[축(11)에 직교함].
공간 용어를 명확히 하기 위해, 물체(12, 13, 14)가 사용된다. 물체(12)의 표면(15)과 같은 축방향 표면은 축(11)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축(11)은 평면(15)을 통과하지만; 축(11)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임의의 편평면은 축방향 표면이다. 물체(13)의 표면(16)과 같은 반경방향 표면은 축(11)에 직교하고 반경, 예를 들어 반경(17)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반경(17)은 편평면(16)을 통과하지만; 반경(17)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임의의 편평면은 반경방향 표면이다. 물체(14)의 표면(18)은 원주형 또는 원통형 표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원주(19)는 표면(18)을 통과한다. 추가 예로서, 축방향 운동은 축(11)에 평행하고, 반경방향 운동은 축(11)에 직교하며, 원주방향 운동은 원주(19)에 평행하다. 회전 운동은 축(11)에 대한 것이다. "축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및 "원주방향으로"라는 부사는 각각 축(11), 반경(17) 및 원주(19)에 평행한 방위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축방향으로 배치된 표면 또는 에지는 AD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표면 또는 에지는 R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표면 또는 에지는 CD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는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102)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100)의 예시적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임펠러 및 터빈을 도시하는, 도 2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의 관성 링(102) 및 터빈 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관성 링(102) 및 터빈 셸의 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이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고찰되어야 한다. 토크 컨버터(100)는 회전축(AR), 링(102), 임펠러(104) 및 터빈(106)을 구비한다. 임펠러(104)는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임펠러 셸(108) 및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임펠러 셸(108)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 블레이드(110)를 구비한다. 터빈(106)은 터빈 셸(112)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118, 120)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는 개방 단부(116)를 갖는 슬롯(114)을 구비하는 터빈 셸(112)을 구비한다. 터빈(106)은 납땜에 의해 터빈 셸(112)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빈 블레이드(122)를 구비한다. 관성 링(102)은 터빈 셸(112)에 고정되며, 슬롯(114)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126)를 갖는 탭(124)을 구비한다.
터빈 셸(112)은 내표면(128) 및 외표면(130)을 구비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터빈 블레이드(122)는 내표면(128)과 접촉하고 관성 링(102)은 외표면(130)과 접촉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부분(118, 120)은 각각 셸(112)의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132, 134)를 구비하며, 개방 단부(116)는 에지(132, 134)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관성 링(102)은 보디(136)를 구비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보디(136)는 반경방향 단면에서 L형이다. 예를 들어, 보디(136)는 도 2 및 도 3에서 L형이다. 탭(124)은 보디(136)로부터 AD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후 AD 방향을 따라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원주방향(CD)으로의 라인(CL)은 부분(118), 세그먼트(126) 및 부분(1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토크 컨버터(100)는,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임펠러 셸(108)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138); 및 커버(138), 셸(108) 및 셸(112)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공간(140)을 구비한다. 관성 링(102)은 공간(140) 내에 배치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탭(124)은 보디(136)를 탭(124)의 세그먼트(126)와 연결시키는 노치(142)를 구비한다. 노치(142)는 터빈 셸(112)과 접촉한다. 세그먼트(126)는 노치(142)를 지나서 예를 들어 AD 방향으로 임펠러 셸 쪽으로 및 노치(142)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토크 컨버터(100)는 임펠러 셸(108) 및 터빈 셸(112)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지어지는 공간(144)을 구비한다. 공간(144)은 터빈 셸(11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블레이드(110, 122)는 공간(144) 내에 위치한다. 탭(124), 예를 들어 세그먼트(126)는 공간(144)에 대한 경계의 일부를 형성한다. 즉, 탭(124)은 공간(144)과 연통한다.
터빈 셸(112)은 터빈 셸(112)의 표면(128, 130)을 연결시키고 재료 형성 셸(11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개구(146)를 구비한다. 관성 링(102)은 개구(146)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150)를 갖는 핑거(148)를 구비한다. 핑거(148)는 보디(136)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세그먼트(150)는 표면(152)을 구비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표면(152)은 관성 링(102)의 반경방향 최내측 표면이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토크 컨버터(100)는 핑거(148) 및 셸(112)과 접촉하고 핑거(148)[및 링(102)]를 셸(112)에 고정시키는 납땜 재료(154)를 구비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핑거(148)는 공간(144)에 대한 경계의 일부를 형성한다. 즉, 핑거(148), 예를 들어 세그먼트(150)는 공간(144)과 연통된다. 도 2 내지 도 5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세그먼트(126)의 단부(155)는 공간(144) 내로 연장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링(102)과 터빈 셸(112) 사이, 예를 들어 보디(136)와 표면(130) 사이에는 공간(156)이 형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토크 컨버터(100)는 록업(lockup) 클러치(158), 비틀림 진동 댐퍼(160), 및 진자 진동 흡수기(162)를 구비한다. 클러치(158)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피스톤(164)을 구비한다. 댐퍼(160)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66) 및 스프링(166)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68)을 구비한다. 클러치(158)는, 폐쇄될 때, 토크 컨버터(100)에 대한 록업 모드에서 커버(138)로부터 댐퍼(160), 특히 스프링(166)으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170)는 스프링(166)으로부터 스프링(168)으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스프링(168)은 토크를 플랜지(174)를 거쳐서 출력 허브(172)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허브(172)는 변속기(도시되지 않음)용 입력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터빈 셸(112)은 허브(17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요소라는 것은, 구성요소 중 하나가 회전할 때마다 모든 구성요소가 회전함을, 즉 구성요소 중의 어느 것도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흡수기(162)는 플랜지(174)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랜지(176)를 구비하며, 플랜지(176)에 연결되는 진자 질량체(178)를 구비한다.
토크 컨버터(100)는 임펠러(104)와 터빈(106)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182)를 갖는 고정자(180)를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5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터빈 셸(112)은 복수의 개구(146)를 구비하며, 링(102)은 복수의 핑거(148)를 구비한다. 토크 컨버터(100)는 개구(146) 또는 핑거(148)의 임의의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셸(112)은 복수의 슬롯(114)을 구비하고 링(102)은 복수의 탭(124)을 구비한다.
도 6은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102)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100)의 예시적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임펠러 및 터빈을 도시하는, 도 6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6의 관성 링(102) 및 터빈 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관성 링(102) 및 터빈 셸의 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이하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고찰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5의 토크 컨버터(100)에 대한 논의와 설명은 이하의 논의와 설명에서 언급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5 내지 도 7의 토크 컨버터(100)에 적용될 수 있다. 세그먼트(126)는 공간(144) 내로 연장되지 않으며 보디(136)의 부분(185)은 터빈(106)의 반경방향 외측에 있다. 도 6 내지 도 9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핑거(148)의 길이(186)가 도 2 내지 도 5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보다 크며 따라서 도 6 내지 도 9의 핑거(148)는 도 2 내지 도 5의 핑거(148)보다 많은 관성을 발생시킨다.
이하의 논의는 도 2 내지 도 9에 적용될 수 있다. 관성 링을 터빈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내구성 있는 부착 방법이 필요하며, 현재의 터빈 블레이드 조립 방법론과 관련해서는 납땜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 링(102) 및 셸(112)의 구성은 복수의 고정구의 사용 없이 또는 터빈 셸에 터빈 블레이드를 납땜하는 기존 방법의 다른 고비용의 수정 없이 링(102)이 터빈 셸(112)에 납땜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탭(124)은 슬롯(114)에 삽입되고 세그먼트(126)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도 2 내지 도 5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노치(142)가 셸(112)의 에지(188)와 접촉하며 탭(124)이 셸(112)의 표면(130, 190) 주위에 부분적으로 래핑된다. 핑거(148)는 개구(146)에 삽입된다. 도 6 내지 도 9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탭(124)의 표면(192)이 표면(190)과 접촉한다. 핑거(148)는 개구(146)에 삽입된다.
전술했듯이, 터빈(106)은 이후 터빈 블레이드(122)를 내표면(128)에 고정시키고 코어 링(192)을 터빈 블레이드(122)에 고정시키기 위한 납땜 작업을 위해 내표면(128), 터빈 블레이드(122) 및 코어 링(192)이 위로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기울어진 위치에서, 탭(124)은 내표면(128)이 위로 향하는 동안 관성 링(102)을 외표면(130)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적소에 유지한다. 도 2 내지 도 5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노치(142), 에지(188) 및 표면(190)의 경계면이 납땜 작업 중에 링(102)을 적소에 유지하는 힘의 큰 부분을 제공한다. 도 6 내지 도 6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표면(190, 192)의 경계면이 납땜 작업 중에 링(102)을 적소에 유지하는 힘의 큰 부분을 제공한다. 링(102)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은 셸(112)에 대한 링(102)의 내구성 있는 부착을 보장한다. 납땜 재료(154)는 개구(146) 내로 유동하여 링(102)을 터빈(106)에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시된 특징 및 기능 및 기타 특징 및 기능 또는 그 대체물의 다양한 것이 여러가지 다른 상이한 시스템 또는 적용으로 조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다양한 현재 예상되지 않거나 기대되지 않는 대체예, 수정예, 변형예 또는 개선예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것들 또한 하기 청구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100: 토크 컨버터
102: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
AR: 회전축
102: 링
104: 임펠러
106: 터빈
108: 임펠러 셸
110: 임펠러 블레이드
112: 터빈 셸
114: 슬롯
116: 개방 단부
118: 터빈 셸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
120: 터빈 셸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
122: 터빈 블레이드
124: 탭
126: 세그먼트
128: 터빈 셸의 내표면
130: 터빈 셸의 외표면
132: 표면(128)의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
134: 표면(130)의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
136: 보디
AD: 축방향
CL: 라인
CD: 원주방향
138: 커버
140: 공간
42: 노치
144: 공간
146: 개구
148: 핑거
150: 핑거의 세그먼트
152: 핑거 세그먼트의 표면
154: 납땜 재료
155: 세그먼트(126)의 단부
156: 공간
158: 록업 클러치
160: 비틀림 진동 댐퍼
162: 진자 진동 흡수기
164: 진자 진동 흡수기
166: 스프링
168: 스프링
170: 커버 플레이트
172: 출력 허브
174: 플랜지
176: 플랜지
178: 진자 질량체
180: 고정자
182: 고정자 블레이드
184: 보디(136)의 부분
186: 핑거(148)의 길이
188: 셸(122)의 에지
190: 셸(122)의 표면
192: 탭(124)의 표면

Claims (10)

  1. 토크 컨버터이며,
    회전축;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임펠러 셸 및 상기 임펠러 셸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임펠러;
    터빈으로서,
    상기 터빈은 터빈 셸 및 터빈 셸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터빈 셸은 터빈 셸의 제1 및 제2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슬롯을 구비하는, 터빈; 및
    상기 터빈 셸에 고정되고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탭을 구비하는 관성 링을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링은 반경방향 단면에서 L형 보디를 구비하며,
    상기 탭은 L형 보디로부터
    축방향으로 임펠러 셸 쪽으로 및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토크 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의 라인은,
    터빈 셸의 제1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
    탭; 및
    터빈 셸의 제2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토크 컨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임펠러 셸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 및
    커버, 임펠러 셸 및 터빈 셸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지어지는 공간을 추가로 포함하며,
    관성 링은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는, 토크 컨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링은 반경방향 단면에서 L형 보디를 구비하며,
    상기 탭은 L형 보디로부터
    축방향으로 임펠러 셸 쪽으로 및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탭은 노치를 구비하며, 이 노치는
    L형 보디와 탭의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터빈 셸과 접촉하는, 토크 컨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탭의 세그먼트는,
    노치를 지나서 임펠러 셸 쪽으로, 및
    노치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토크 컨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셸과 상기 터빈 셸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지어지는 공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터빈 셸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임펠러 블레이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터빈 블레이드는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탭은 공간에 대한 경계의 일부를 형성하는, 토크 컨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셸은 내표면과 외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터빈 블레이드는 터빈 셸의 내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터빈 셸은 터빈 셸의 내표면과 외표면을 연결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관성 링은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핑거를 구비하는, 토크 컨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관성 링의 반경방향 최내측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관성 링은 회전축에 평행하고 회전축을 통과하는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에서 L형 보디를 구비하며,
    상기 핑거는 L형 보디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토크 컨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링은 반경방향 단면에서 L형 보디를 구비하며,
    상기 L형 보디의 일부는 터빈 셸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토크 컨버터.
KR1020197014792A 2016-11-28 2017-10-20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 KR102432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61,545 2016-11-28
US15/361,545 US10330185B2 (en) 2016-11-28 2016-11-28 Torque converter with a finger-tabbed brazed inertia ring
PCT/US2017/057639 WO2018097914A1 (en) 2016-11-28 2017-10-20 Torque converter with a finger-tabbed brazed inertia 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243A KR20190082243A (ko) 2019-07-09
KR102432575B1 true KR102432575B1 (ko) 2022-08-17

Family

ID=6219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792A KR102432575B1 (ko) 2016-11-28 2017-10-20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30185B2 (ko)
JP (1) JP6682701B2 (ko)
KR (1) KR102432575B1 (ko)
CN (1) CN109906326B (ko)
DE (1) DE112017006010T5 (ko)
WO (1) WO2018097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5953B2 (en) * 2017-03-08 2019-08-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orque converter including inertia ring connected to a turbine by a extruded rivet weldless connection
CN112384719A (zh) * 2018-08-09 2021-02-19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液力变矩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5108A (en) * 1964-10-23 1966-09-27 Ford Motor Co Damper for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JPS63251661A (ja) 1987-04-08 1988-10-19 Daikin Mfg Co Ltd トルクコンバ−タ用のダンパ−装置
US5121821A (en) * 1991-09-09 1992-06-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uid torque converter and flexplate coupling
US5195621A (en) 1992-05-18 1993-03-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orque converter and clutch with a turbine ring friction interface
US5385221A (en) * 1993-12-03 1995-01-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Cranking clutch assembly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n input isolator for a vehicular drivetrain
DE19804227B4 (de) 1998-02-04 2006-03-09 Zf Sachs Ag Überbrückungskupplung mit einer Ausgleichsschwungmasse am Torsionsschwingungsdämpfer
JP4196366B2 (ja) 1998-10-30 2008-12-17 株式会社久保田鉄工所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2147566A (ja) 2000-11-13 2002-05-22 Fuji Heavy Ind Ltd トルクコンバータ付き動力伝達装置
JP2003106396A (ja) 2001-09-28 2003-04-09 Jatco Ltd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4308904A (ja) 2003-04-05 2004-11-04 Zf Sachs Ag 捩り振動ダンパ
JP2009535581A (ja) * 2006-05-01 2009-10-01 ルーク ラメレン ウント クツプルングスバウ ベタイリグングス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トルクコンバータの減衰ばね受容部用のタービンブレードの舌状片を使用した固定手段及び固定手段を製造する方法
US7980992B2 (en) * 2006-12-11 2011-07-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Multi function torque converter with turbine engine idle disconn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 function torque converter for engine idle disconnect
WO2008077370A1 (de) * 2006-12-22 2008-07-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wandler mit mehreren funktionen mit einer hebelfed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 hydraulischen drucks und flusses
DE102008030469B4 (de) * 2007-07-12 2018-11-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wandler mit einem Innenring aus mehreren Abschnitten
JP2011069464A (ja) * 2009-09-28 2011-04-07 Jatco Ltd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シェル構造
JP5246345B2 (ja) * 2009-11-19 2013-07-2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DE102011087468A1 (de) 2010-12-22 2012-06-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mit Turbinenträgheit in einer Dämpferbaugruppe
US9625023B2 (en) 2012-07-20 2017-04-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orque converter damper with shudde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914A1 (en) 2018-05-31
CN109906326A (zh) 2019-06-18
DE112017006010T5 (de) 2019-08-29
US10330185B2 (en) 2019-06-25
JP2019530835A (ja) 2019-10-24
CN109906326B (zh) 2022-10-11
JP6682701B2 (ja) 2020-04-15
KR20190082243A (ko) 2019-07-09
US20180149248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2156B2 (ja) 遠心振り子吸収装置を備えるトルクコンバータ
US20040185940A1 (en) Damper mechanism and damper disk assembly
JP4755277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US9816564B2 (en) Spring retainer including rivets for driving springs in a torque converter damper
JP2011122622A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JP3752404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JP6663760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17166666A (ja) 振動低減装置
JP2012077820A (ja) 流体伝動装置
JP2009520168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外縁部に取り付けられたクラッチおよびクラッチをトルクコンバータ内に組み付けるための方法
JP6082771B2 (ja) 流体伝動装置
KR102432575B1 (ko) 핑거-탭부착된 납땜된 관성 링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
JP2009121675A (ja) 減衰プレートを備えるタービンホイールの回転連結部材によって保持された摩擦ディスクを有する流体力学的結合装置
US10648548B2 (en) Thrust washer including radially extending connectors
US7677033B2 (en) Apparatus for joining components to a hub
JP2012077810A (ja) 流体伝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76783B1 (ko) 트윈 매스 댐퍼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
US9062740B2 (en) Torsion spring damper
CN109477544A (zh) 扭矩传递装置,特别是用于机动车辆
KR101339388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07597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H10196764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US10006530B2 (en) Torque converter with rivet-balanced turbine and method thereof
KR102190131B1 (ko) 진자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6668124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