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458B1 -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458B1
KR102432458B1 KR1020200095334A KR20200095334A KR102432458B1 KR 102432458 B1 KR102432458 B1 KR 102432458B1 KR 1020200095334 A KR1020200095334 A KR 1020200095334A KR 20200095334 A KR20200095334 A KR 20200095334A KR 102432458 B1 KR102432458 B1 KR 102432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vehicle
noise
upper cover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167A (ko
Inventor
김영언
Original Assignee
김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언 filed Critical 김영언
Priority to KR102020009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458B1/ko
Priority to PCT/KR2021/009686 priority patent/WO2022025580A1/ko
Publication of KR2022001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02Devices for damping, suppressing, obstructing or conducting sound in acoustic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주행풍 또는 노면 마찰에 의한 타이어노이즈 등과 같은 기본 노이즈가 차폐 또는 감쇄되어 예를 들어 경적, 사이렌, 충돌음, 충격음, 파열음, 비명소리 등과 같이 이상상황에 발생되는 유의미한 외부음향이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 상에 고정설치되고 음향센서가 구비되는 음향검출기판과, 상기 하부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음향검출기판을 폐쇄적으로 둘러싸고 일부분에는 외부 음향이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쇄된 상태로 상기 음향센서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폐쇄형 음향전달부가 형성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NOISE-SHIELD TYPE OUTSIDE SOUND DETEC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개시된 내용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 주변의 외부음향을 검출하여 차량 내부의 탑승자 또는 차량주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차량용 외부음향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시에는 엔진 소음, 주위 차량의 주행 소음, 풍절음 등과 같은 소음에 노출되는데, 이러한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운전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차량의 도어 틈에는 방음 패킹이 설치된다.
방음 패킹은 주행 시 발생하는 풍절음과 외부 소음을 감소시고 차량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유연한 합성 고무 등으로 제조된다.
차량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재는 그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고 효과 또한 상승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 출시되는 차량들은 도어와 윈도우을 완전히 닫는 경우 시끄러운 공간에 있더라도 차량 내부에서는 외부 소음을 거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차량의 외부에서 예를 들어 경적, 사이렌, 충돌음, 충격음, 파열음, 비명소리 등과 같은 이상상황을 알리는 큰 소음이 발생되더라도 탑승자에게 이상상황을 알리는 소음이 차단됨에 따라 차량 탑승자의 안전이 오히려 위협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차량 외부에서 발생하는 통상적인 주변소음은 차단하되, 이상상황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차량 탑승자나 차량주행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차량 주변에서 발생하는 위험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외부음향 검출장치가 요구되며, 특히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량용 외부음향 검출장치가 더욱 더 요구된다.
이러한 차량용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65700호(2019.06.12. 공개)에는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상황 판단/행동 결정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경적, 사이렌음을 수집하는 음향 수집 센서부; 상기 음향 수집 센서부를 통해 수집한 차량의 경적, 사이렌음의 크기를 인식하는 주행의도 예측부; 상기 주행의도 예측부를 통해 기설정된 크기의 이상의 경적, 사이렌음이 인식되면, 그 경적, 사이렌음을 추가하여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주행상황 판단부; 및 상기 주행상황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 따라,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상황 판단/행동 결정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7-0061781호(1997.12.10. 공개)에는 차량의 외측에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의 음성출력을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송출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의 차속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콘트롤유닛과, 상기 콘트롤유닛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메인스위치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외부 음성 모니터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60608호(2011.06.08. 공개)에는 주변 소음 상황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정보 기기의 소음, 차량 내부 공간의 소음, 또는 차량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와, 상기 소음 감지부가 감지한 소음을 평가하여 조절하는 제어부와,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전에 상기 감지한 소음에 대하여 소음 대비 신호(S/N)의 비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감지부가 감지한 소음이 차량 정보 기기의 소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 기기의 음량을 조절하고, 상기 경고음 발생부는 상기 소음 감지부가 감지한 소음보다 높은 음량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경우에는 차량 주변의 외부음향이 내부의 음향센서 측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음향유입구가 관통형성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메쉬망이나 스펀지커버가 음향센서를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주행풍 또는 노면 마찰에 의한 타이어노이즈 등과 같은 기본 노이즈로 인해 수집한 음향신호가 세츄레이션(saturation)되어 유의미한 외부 음향신호가 제대로 검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65700호(2019.06.12. 공개)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7-0061781호(1997.12.10. 공개)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60608호(2011.06.08. 공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주행풍 또는 노면 마찰에 의한 타이어노이즈 등과 같은 기본 노이즈가 차폐 또는 감쇄되어 예를 들어 경적, 사이렌, 충돌음, 충격음, 파열음, 비명소리 등과 같이 이상상황에 발생되는 유의미한 외부음향이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분 침투로 인한 고장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 상에 고정설치되고 음향센서가 구비되는 음향검출기판과, 상기 하부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음향검출기판을 폐쇄적으로 둘러싸고 일부분에는 외부 음향이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쇄된 상태로 상기 음향센서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폐쇄형 음향전달부가 형성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폐쇄형 음향전달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면 중 일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커버의 다른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커버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폐쇄형 음향전달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커버의 측면부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커버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폐쇄형 음향전달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면 중 일부분에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상부커버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폐쇄형 음향전달부는 수㎛ 내지 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음향검출기판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검출된 음향신호를 상기 차량의 내부로 전송하는 출력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에 의하면, 일부분에 폐쇄형 음향전달부가 형성되는 상부커버가 음향센서가 구비된 음향검출기판을 폐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주행풍 또는 노면 마찰에 의한 타이어노이즈 등과 같은 기본 노이즈는 폐쇄형 음향전달부를 통해 차폐 또는 감쇄되고 예를 들어 경적, 사이렌, 충돌음, 충격음, 파열음, 비명소리 등과 같이 이상상황에 발생되는 유의미한 외부음향만 폐쇄형 음향전달부를 거쳐 음향센서로 전달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탑승자 또는 차량주행시스템이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이상상황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에 의하면, 일부분에 폐쇄형 음향전달부가 형성되는 상부커버가 음향센서가 구비된 음향검출기판을 폐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수분 침투로 인한 고장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폐쇄형 음향전달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폐쇄형 음향전달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단면도.
도 5는 폐쇄형 음향전달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폐쇄형 음향전달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의 단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1)는 차량(3)의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 주변의 외부음향을 검출하여 차량(3) 내의 탑승자 또는 차량주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3)의 외부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10)와, 하부베이스(10) 상에 고정설치되고 음향센서(21)가 구비되는 음향검출기판(20)과, 하부베이스(10)에 결합되어 음향검출기판(20)을 폐쇄적으로 둘러싸고 일부분에는 외부 음향이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쇄된 상태로 음향센서(21)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폐쇄형 음향전달부(31, 31', 31")가 형성되는 상부커버(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베이스(10)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1)가 차량(3)의 외부에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향검출기판(20)과 상부커버(30)가 설치 또는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진다.
하부베이스(10)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개재하에 차량(3)의 외부에 부착고정될 수도 있고, 자석 등의 개재하에 자력에 의해 차량(3)의 외부에 부착고정될 수도 있으며, 공지된 설치브래킷,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차량(3)의 외부에 체결고정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고정 또는 설치방법으로 차량(3)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베이스(10)의 가장자리에는 예를 들어 나사산 또는 결합단턱과 같이 상부커버(30)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전술한 하부베이스(10) 상에는 음향검출기판(20)이 고정설치된다. 음향검출기판(20)은 차량 주변의 외부음향을 검출한 후 직접 필터링에 의한 노이즈 제거/감쇄, 신호증폭 또는 신호처리하거나 또는 이러한 처리를 위해 차량(3) 내에 설치된 음향처리유닛(미도시)으로 전달 또는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마이크로폰용 음향센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음향센서(21)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음향검출기판(20)은 검출된 외부음향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 또는 감쇄하기 위한 공지된 필터링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음향센서(21)의 구성 및 작용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음향검출기판(20)은 음향센서(21)에 의해 검출된 음향신호를 차량(3)의 내부, 특히 차량(3) 내에 설치된 음향처리유닛(미도시)으로 전송하는 출력포트(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포트(23)는 유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공지된 무선통신모듈로도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하부베이스(10)에는 상부커버(30)가 결합된다. 상부커버(30)는 음향검출기판(20)을 폐쇄적으로 둘러싸 외부환경으로부터 격리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음향이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쇄된 상태로 음향센서(2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며 하단 가장자리에는 예를 들어 나사산 또는 결합단턱과 같이 하부베이스(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상부커버(30)의 일부분에는 폐쇄형 음향전달부(31, 31', 31")가 형성된다. 폐쇄형 음향전달부(31, 31', 31")는 외부 음향이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쇄된 상태로 음향센서(21)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커버(30)의 상부면 중 일부분에 형성되되, 상부커버(3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부커버(3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수㎛ 내지 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재 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커버(30)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되되, 상부커버(30)의 측면부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부커버(3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수㎛ 내지 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재 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커버(30)의 상부면 중 일부분에 상부커버(30)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되, 상부커버(3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상부커버(30)의 상부면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커버(30)의 상부면 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되, 수㎛ 내지 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상부커버(30)의 재질과 상이한 합성수지재 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폐쇄형 음향전달부(31")는 가장자리의 접착, 접합, 융착, 실링 등에 의해 상부커버(30)의 상부면 중 일부분에 형성된 통공을 폐쇄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1)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반구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1)는, 일부분에 폐쇄형 음향전달부(31, 31', 31")가 형성된 상부커버(30)가 음향센서(21)가 구비된 음향검출기판(20)을 폐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주행풍 또는 노면 마찰에 의한 타이어노이즈 등과 같은 기본 노이즈는 폐쇄형 음향전달부(31, 31', 31")를 통해 차폐 또는 감쇄되고 예를 들어 경적, 사이렌, 충돌음, 충격음, 파열음, 비명소리 등과 같이 이상상황에 발생되는 유의미한 외부음향만 폐쇄형 음향전달부(31, 31', 31")를 거쳐 음향센서(21)로 전달되어 종국적으로 차량(3)의 내부에서 탑승자 또는 차량주행시스템이 차량(3)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이상상황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1)는, 일부분에 폐쇄형 음향전달부(31, 31', 31")가 형성된 상부커버(30)가 음향센서(21)가 구비된 음향검출기판(20)을 폐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우천 시 또는 세차 시에 수분이 내부로 침투되지 않게 되고. 수분 침투로 인해 발생되는 고장 또한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3 : 차량
10 : 하부베이스
20 : 음향검출기판
21 : 음향센서
23 : 출력포트
30 : 상부커버
31, 31', 31" : 폐쇄형 음향전달부

Claims (6)

  1. 접착제, 점착제 및 자석 중 하나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 부착고정되거나, 설치브래킷 또는 체결구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 체결고정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외부음향을 검출하는 음향센서가 구비되는 음향검출기판; 및
    상기 하부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음향검출기판을 폐쇄적으로 둘러싸고 일부분에는 외부 음향이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쇄된 상태로 상기 음향센서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폐쇄형 음향전달부가 형성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형 음향전달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면 전체 또는 상부면 중 일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커버의 다른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커버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폐쇄형 음향전달부는 수㎛ 내지 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음향검출기판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검출된 음향신호를 상기 차량의 내부로 전송하는 출력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접착제, 점착제 및 자석 중 하나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 부착고정되거나, 설치브래킷 또는 체결구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 체결고정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외부음향을 검출하는 음향센서가 구비되는 음향검출기판; 및
    상기 하부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음향검출기판을 폐쇄적으로 둘러싸고 일부분에는 외부 음향이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쇄된 상태로 상기 음향센서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폐쇄형 음향전달부가 형성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형 음향전달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면 중 일부분에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상부커버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다른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폐쇄형 음향전달부는 수㎛ 내지 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음향검출기판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검출된 음향신호를 상기 차량의 내부로 전송하는 출력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095334A 2020-07-30 2020-07-30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KR102432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34A KR102432458B1 (ko) 2020-07-30 2020-07-30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PCT/KR2021/009686 WO2022025580A1 (ko) 2020-07-30 2021-07-27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34A KR102432458B1 (ko) 2020-07-30 2020-07-30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167A KR20220015167A (ko) 2022-02-08
KR102432458B1 true KR102432458B1 (ko) 2022-08-16

Family

ID=8003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334A KR102432458B1 (ko) 2020-07-30 2020-07-30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2458B1 (ko)
WO (1) WO202202558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882A1 (en) * 2006-07-04 2009-02-19 Kazuo Sakurai Microphone Apparatus
JP2018207253A (ja) * 2017-06-01 2018-12-27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マイクロホ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781U (ko) 1996-05-16 1997-12-10 자동차용 외부 음성 모니터장치
KR101070225B1 (ko) 2009-11-30 2011-10-0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주변 소음 상황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안전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93335B1 (ko) * 2013-05-23 2015-02-16 (주)파트론 단일지향성 멤스 마이크로폰 및 멤스 소자
KR101454325B1 (ko) * 2013-08-07 2014-11-03 주식회사 비에스이 멤스 마이크로폰
KR101731039B1 (ko) * 2016-05-17 2017-04-27 (주)파트론 마이크로폰 패키지
KR20190065700A (ko) 2017-12-04 2019-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상황 판단/행동 결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882A1 (en) * 2006-07-04 2009-02-19 Kazuo Sakurai Microphone Apparatus
JP2018207253A (ja) * 2017-06-01 2018-12-27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マイクロホ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167A (ko) 2022-02-08
WO2022025580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9620B2 (en) Ambient situation awarenes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US20110209551A1 (en) Device for activating a security system in a vehicle
EP1087214B1 (en) Method and system to detect unwanted noise
EP2695159B1 (en) Active buffeting control in an automobile
JP4107902B2 (ja) 防犯装置
KR102432458B1 (ko) 차량용 노이즈차폐형 외부음향 검출장치
US7428941B2 (en) Restrai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1088801B1 (ko) 차량 경보 장치
JP3802897B2 (ja) 車輌のガラス破損警報装置
JP2005529785A (ja) 拘束システム
JPH05252590A (ja) 自動車用スピーカ
CN108791156B (zh) 用于保护车辆乘员的方法
JP4835244B2 (ja) 車両用警報装置
GB2088107A (en) Arrangement for detecting the breaking of window glass
CN108791193A (zh) 检测接触事件的方法和具有检测接触事件的传感器的车辆
JP2008037236A (ja) 側面衝突検出センサの取付構造
JP2768075B2 (ja) 車両用側面衝突検出装置
JPH08285184A (ja) 扉開度制限装置
EP1002922A2 (en) Device to protect against jamming limbs in power windows in motor vehicles
KR102658709B1 (ko) 차량 후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844566B1 (ko) 차량의 거동 정보 기록장치 및 방법
JP2007291771A (ja)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JP2009113528A (ja) 車外音増幅システム
KR100579285B1 (ko) 차량용 경보 방법
JP2002099972A (ja) センサ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