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285B1 - 차량용 경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285B1
KR100579285B1 KR1020040046113A KR20040046113A KR100579285B1 KR 100579285 B1 KR100579285 B1 KR 100579285B1 KR 1020040046113 A KR1020040046113 A KR 1020040046113A KR 20040046113 A KR20040046113 A KR 20040046113A KR 100579285 B1 KR100579285 B1 KR 10057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rn
warning
microphon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983A (ko
Inventor
김철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285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경보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경보 방법은, (a) 본인 차량의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된 마이크를 감시하고, 상기 마이크의 음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와; (b)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가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작동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마이크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상기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상기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이 같은지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본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음기의 본연의 임무인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를 원활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추가 비용 상승이 크지 않으며,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경음기, 마이크, ECU, 경보기

Description

차량용 경보 방법{ALARM METHOD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경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 방법이 적용된 차량용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음기
21∼24. 마이크
30. ECU
31. 차속센서
32. 스티어링 앵글 센서
33.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
40. 경보기
본 발명은 차량용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울리는 경음기의 원인 제공을 본인이 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경보하여 경음기의 본연의 임무인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를 원활히 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한 차량용 경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현재 사용중인 디스크 타입의 경음기(disk type horn)(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 발생은 코일(coil)(11)에 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자극(pole)(12)에서 발생하여 전기자(armature)(13)를 잡아당기게 되는 흡인력(자력) F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기자(13)의 자유 진동 거리(진폭) 이내에 자극(12)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순간적인 충격(impact)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자(13)가 전자력에 의해 F 방향으로 끌어 당겨질 때, 가동 접점을 끊어주게 되면 이 순간 코일에 전류가 차단되고 공명판(disk)(15)의 탄성력 F'에 의해 상 방향으로 전기자(13)가 이동하는 즉, 상/하 운동(진동)을 하게 된다. 이때 다이어프램(diaphragm)(14)이 공기중의 입자와 탄성 충돌을 일으켜 음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 1차 다이어프램(14)만의 충돌 에너지로서는 충분히 큰 음압을 얻을 수 없게 되므로 공명판(15)을 부착하여 2차 탄성 충돌을 발생시켜 우리가 원하 는 음압을 얻게 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6은 경음기 스위치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경음기의 음압은 법규로 제한되어 지며 EC의 경우 93dB 이상, 국내의 경우 90∼110dB로 제한된다. 또한 400Hz 내외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차량의 경음기는 불특정 다수를 향해서 작동되기보다는 특정한 차량 및 보행자를 향하여 울려지는 경우가 많다.
차량을 운전하다 보면 타 차량의 경음기에 놀라는 경우도 많고, 지금 울리는 경음기가 본인이 운전하는 차량을 향하여 울려지는 것인지 또는 아닌지 구분 또한 매우 힘들다.
그리고 상기한 경음기는 일정한 음압의 소리를 내는 시스템으로 소리를 방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경음기는 가격 및 긴급 상황 발생시 필요성에 의하여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및 삭제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경음기의 경우, 경음기를 작동하게 한 당사자가 자신의 어떠한 행동이 경음기를 울리게 했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목적임에도 불구하고 주변에서 발생하는 경음기의 소리가 본인을 향해서 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러한 경우 경음기는 소음 공해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경음기의 음압의 발생 진원지 파악 및 본인 차량의 거동을 근거로 본인 차량이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발생 원인인지를 판단하여 본인의 차량이 다른 차량으로부터 울리는 경음기의 발생 원인인 경우 경고등을 점멸시켜 줌으로써 현재하려고 하였던 거동을 중단하고 위험 요소 유무를 다시 판단하여 조치하게 하도록 한 차량용 경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경보방법은, (a) 본인 차량의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된 마이크를 감시하고, 상기 마이크의 음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와; (b)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가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작동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마이크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상기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상기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이 같은지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본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 방법이 적용된 차량용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용 경보 시스템은, 본인 차량의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마이크(21∼24)와, 이 마이크(21∼24)로부터 음향정보를 입력받고, 본인 차량의 거동 및 운전자의 의지를 읽기 위하여 본인 차량의 각종 입력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ECU(30)와, 본인 차량은 물론 모든 차량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주의를 주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경음기(도 1의 10 참조)와, 상기 ECU(30)에서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작동 원인을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ECU(3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21∼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인 차량의 전방 좌우(FL,FR) 모서리에 각각 1개씩과, 차량의 후방 좌우(RL,RR) 모서리에 각각 1개씩 총 4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은,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BLS; Brake Light Switch)(33), 스티어링 앵글 센서(SAS; Steering Angle Sensor)(32), 턴 시그널(TS; Turn Signal) 및 차속센서(VS; Vehicle Speed Sensor)(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티어링 앵글 센서(SAS)(32)는 본인 차량의 좌우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고, 턴 시그널(TS)은 운전자가 차량의 좌우 방향 전환을 하기 이전에 방향 전환 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명으로 판단하며, 차속센서(VS)(31)는 감가속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BLS)(33)는 본인 차량의 감속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경고수단은, 본인 차량에 설치된 경고등(40)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용 경보 시스템은, 본인 차량의 각 모서리 부분에 장착된 4개의 마이크(21∼24)에서 각각의 음향 정보를 입력받으며, 본인 차량의 거동 및 운전자의 의지를 읽기 위하여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33), 스티어링 앵글 센서(32), 턴 시그널, 차속센서(31) 등으로부터 ECU(30)가 입력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출력은 주변에서, 즉 다른 차량에서 작동 중인 경음기의 원인이 본인 차량으로 인하여 발생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운전자에게 최대한 빨리 이 사실을 알리기 위하여 경고등(40)을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지금 울리는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소스(근원지)가 본인 차량임을 알린다. 상기한 출력은 경고등(40)이 아닌 다른 방법 예컨대, 본인 차량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경보 시스템을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방법은, 우선, 본인 차량의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된 마이크(21∼24)를 감시하고, 이 마이크(21∼24)의 음향 신호를 예컨대,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필터링(filtering)한다.(단계 110,120)
이어서, 상기 마이크(21∼24)로 입력된 신호가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작동 신호인지 판단한다.(단계 130)
상기 단계 13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상기 마이크(21∼24)로 입력된 신호가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작동 신호라고 판단되면, 각각의 상기 마이크(21∼24)의 신호를 비교하여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을 판단한다.(단계 140,150,160)
그리고 상기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이 같은지 판단한다.(단계 170)
상기 단계 17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이 같으면, 본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한다.(단계 180)
상기 단계 160에서 본인 차량의 거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인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33), 스티어링 앵글 센서(32), 턴 시그널 및 차속센서(31)의 신호를 본인 차량의 ECU(30)가 입력받아 상기 ECU(30)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180에서 본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는, 이 차량에 설치된 경고등(40) 또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작동되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차량으로부터 현재 울리는 경음기의 원인 제공을 본인 차량의 운전자 본인이 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경보하는 것으로, 경음기의 본연의 임무인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를 원활히 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소스에 대한 경보는, 사각지역 등에서 본인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고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본인의 차량이 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으며, 이를 다른 차량이 본인의 차량으로 경보하고 있다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려 안전 운전을 수행하게 한다.
즉, 본인 차량 주변에서 유입되는 음향 중 타 차량의 경음기로 판단되는 음향만을 필터링 하여 읽어들이고, 이 소리의 소스를 추정하여 본인 차량이 현재 거동하고 있는 방향 및 상태와 비교하여 다른 차량의 경음기가 본인 차량에 경보하기 위한 경음기인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마이크(21∼24)로 유입되는 음향은 각기 다른 신호(signal)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마이크(21∼24)의 방향성에 따른 음압의 차이 및 장애물(차체)에 의한 음압의 감소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공진 및 노이즈에 대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경음기의 음압이 주변 음압에 비하여 매우 크므로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4개의 음향 신호를 필터링하고 음압에 따른 분류를 통하여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소리라고 판단되는 부분의 데이터만을 추출하고 4개의 신호를 비교하여 경음기 소리의 소스의 방향을 판단한다.
예컨대, 음압 분포 = FR 마이크:9, RR 마이크:10, FL 마이크:4, RL 마이크:5인 경우,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소스는 본인 차량의 우측 약간 뒤편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인 차량의 거동 판단은 본인 차량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술한 바 있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신호를 근거로 본인 차량의 향후 및 현재 거동을 판단한다. 또한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본인 차량의 거동 판단 방향이 같은 경우 주변에서 발생하고 있는 경음기는 본인 차량을 향하여 울리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결과를 본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등(40)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안전 운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고 이전에 위험 요소 발견 및 판단과, 경보에 대한 것으로 사고 사전 경보 및 조치를 수행하는 프리세이프 시스템(pre-safe system)의 일환으로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현재 울리는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원인 제공을 본인 차량의 운전자인 본인이 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경보하여 경음기의 본연의 임무인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를 원활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4방향에 설치되는 마이크 및 제어기가 추가되는 요소이며 기타 센서들은 기존에 사용하는 것을 이용하므로 추가 장착에 의한 추가 비용 상승이 크지 않다.
그리고 경음기의 소스에 대한 경보는 사각지역 등에서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고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본인의 차량이 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으며 이를 다른 차량이 본인의 차량으로 경보하고 있다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려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본인 차량의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된 마이크를 감시하고, 상기 마이크의 음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와;
    (b)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가 다른 차량의 경음기의 작동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마이크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상기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경음기의 소스 위치 판별 방향과 상기 본인 차량의 거동 방향이 같은지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본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본인 차량의 거동은, 상기 본인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 스티어링 앵글 센서, 턴 시그널 및 차속센서의 신호를 상기 본인 차량의 ECU가 입력받아 상기 ECU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는,
    상기 본인 차량에 설치된 경고등 또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작동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보방법.
KR1020040046113A 2004-06-21 2004-06-21 차량용 경보 방법 KR10057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113A KR100579285B1 (ko) 2004-06-21 2004-06-21 차량용 경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113A KR100579285B1 (ko) 2004-06-21 2004-06-21 차량용 경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83A KR20050120983A (ko) 2005-12-26
KR100579285B1 true KR100579285B1 (ko) 2006-05-11

Family

ID=3729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113A KR100579285B1 (ko) 2004-06-21 2004-06-21 차량용 경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727B1 (ko) * 2012-08-07 2014-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워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363A (ko) 2014-10-15 2016-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향 신호 처리를 이용한 경적 인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8937A (ja) * 1991-06-04 1992-12-11 Asmo Co Ltd 警告音検出装置
KR19980014298A (ko) * 1996-08-09 1998-05-25 김광호 자동차 경적음 수신기
KR19980017296A (ko) * 1996-08-30 1998-06-05 박병재 청각 장애인을 위한 난청 보상장치
KR19980033219U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외부경음 경보장치
KR20040046193A (ko) * 2002-11-26 2004-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안전 주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8937A (ja) * 1991-06-04 1992-12-11 Asmo Co Ltd 警告音検出装置
KR19980014298A (ko) * 1996-08-09 1998-05-25 김광호 자동차 경적음 수신기
KR19980017296A (ko) * 1996-08-30 1998-06-05 박병재 청각 장애인을 위한 난청 보상장치
KR19980033219U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외부경음 경보장치
KR20040046193A (ko) * 2002-11-26 2004-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안전 주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727B1 (ko) * 2012-08-07 2014-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워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83A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11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direction detection in a vehicle
US7079017B2 (en) Warning device in motor vehicles
CN207257509U (zh) 用于车辆的碰撞警告系统
US8319620B2 (en) Ambient situation awarenes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JP4559626B2 (ja) 自動車用警報装置
JP6631445B2 (ja) 車両用情報提示装置
JP2008149917A (ja) 車両用周囲音報知装置
JPH0781520A (ja) 車両の障害物対応装置
JP5382155B2 (ja) 警報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3303194A (zh) 用于警告物体与静止汽车的车门可能碰撞的方法和系统
JP2016508092A (ja) 電気自動車、ハイブリッド車などのための音響信号伝達システム
CN108327626A (zh) 用于机动车辆的声音警告信号检测
JP5050720B2 (ja) 警報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90133358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097717B (zh) 喇叭装置、其控制方法及应用其的汽车
CN113002421B (zh) 一种车外安全提示方法和装置
KR100579285B1 (ko) 차량용 경보 방법
JP4873255B2 (ja) 車両用報知システム
JP2012201316A (ja) 車両接近警告装置
JP3687156B2 (ja) 自動車用追突警報装置
CN114379575A (zh) 向机动车辆的驾驶员通知危险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装置
JP2007048102A (ja) 車室内の音警報システム
JP5132626B2 (ja) 車両用警報装置
KR20190057465A (ko) 초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고 안내 출력 시스템
JP3736003B2 (ja) 車両用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