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219U - 외부경음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외부경음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219U
KR19980033219U KR2019960046126U KR19960046126U KR19980033219U KR 19980033219 U KR19980033219 U KR 19980033219U KR 2019960046126 U KR2019960046126 U KR 2019960046126U KR 19960046126 U KR19960046126 U KR 19960046126U KR 19980033219 U KR19980033219 U KR 199800332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vehicle
car
external
acoustic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6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219U/ko
Publication of KR19980033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21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경음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의 앞/뒤에 음향센서를 설치하여 차창을 밀폐한 상태에서 차 전후방에서 발생되는 경적음을 상기 음향센서로써 검출한 후, 차내 전후방에 설치된 오디오 스피커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외부경음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카오디오의 음량을 크게하고, 차 유리창을 닫은 상태에서도 외부 경적이 울릴 때 오디오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되어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외부경음 경보장치
본 고안은 외부경음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자동차 경보음을 감지하여 상기 실내음악을 턴오프하고,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발생하는 외부경음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경적은 전방을 보행하거나, 차량이 근접하고 있음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경적을 발생시켜 주의를 끌어 경보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자동차 경적으로는 실내음악을 크게하고, 자동차 유리창을 닫은 상태에서 운전하게 되면 외부 경적음을 들을수 없기 때문에 자칫하면 교통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의 앞/뒤에 음량센서 및 경보용 스피커를 설치하여 외부 경적음을 상기 음량센서로써 검출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넘어설 경우 상기 경보용 스피커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외부경음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경음 경보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량센서 및 스피커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 시동센서S2 : 음량센서
10 : 전자제어장치11 : 경보발생부
12 : 오디오RY1 : 제1 릴레이
RY2 : 제2 릴레이SP1 : 전방 스피커
SP2 : 후방 스피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외부경음 경보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차체 앞쪽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검출되는 경음을 검출하기 위한 전면 음량센서와 ; 차체 뒤쪽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검출되는 경음을 검출하기 위한 후면 음량센서와 ; 상기 전면 음량센서를 통하여 자동차 전방에서 자동차 경음이 검출될 경우 제1 릴레이를 자화시킴과 동시에 경보발생부로 제어신호를 보내 자동차실내 앞쪽에 설치된 제1 스피커로써 경보하고, 상기 후면 음량센서를 통하여 자동차 후방에서 경음이 검출될 경우 제2 릴레이를 자화시킴과 동시에 경보발생부로 제어신호를 보내 자동차 실내 뒤쪽에 설치된 제2 스피커로써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경음 경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자동차 전방에서 자동차 경적음을 검출하기 위한 전면 음량센서(S1)와, 자동차 후방에서 자동차 경적음을 검출하기 위한 후면 음량센서(S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음량센서(S1)를 통하여 전방에서 경적이 검출될 경우 출력단에 연결된 경보발생부(11)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1 릴레이(RY1)를 자화시켜 자동차 실내의 앞쪽에 설치된 제1 스피커(SP1)로써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후면 음량센서(S2)를 통하여 후방에서 경적이 검출될 경우 출력단에 연결된 상기 경보발생부(11)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2 릴레이(RY2)를 자화시켜 자동차 뒤쪽에 설치된 제2 스피커(SP2)로써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 음량센서(S1)는 도 2에서와 같이 차체 앞쪽에 설치되며, 이와 연동되는 제1 스피커(SP1)는 자동차 실내의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후면 음량센서(S2)는 차체 뒤쪽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피커(SP2)는 자동차 실내의 뒤쪽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같은 음량센서(S1, S2)를 통하여 검출된 자동차 경음을 경보하기 위하여 릴레이(RY1, RY2)가 동작되면 오디오(12)의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스피커(SP1, SP2)를 통하여 경보가 이뤄진 후에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카오디오의 음량을 크게하고, 차 유리창을 닫은 상태에서도 외부 경적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젊은층의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되어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외부경음 경보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차체 앞쪽에 설치되어 전방의 경음을 검출하기 위한 전면 음향센서(S1)와 ; 차체 뒤쪽에 설치되어 후방의 경음을 검출하기 위한 후면 음향센서(S2)와 ; 상기 전면 음향센서(S1)를 통하여 자동차 전방에서 자동차 경음이 검출될 경우 제1 릴레이(RY1)를 자화시킴과 동시에 경보발생부(11)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후면 음향센서(S2)를 통하여 자동차 후방에서 경음이 검출될 경우 제2 릴레이(RY2)를 자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발생부(11)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자제어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릴레이 및 제 2 릴레이의 자화에 반응하여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스피커로 연결되는 오디오 출력라인이 상기 경보발생부(11)의 출력라인으로 전환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경음 경보장치.
KR2019960046126U 1996-12-06 1996-12-06 외부경음 경보장치 KR199800332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126U KR19980033219U (ko) 1996-12-06 1996-12-06 외부경음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126U KR19980033219U (ko) 1996-12-06 1996-12-06 외부경음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219U true KR19980033219U (ko) 1998-09-05

Family

ID=5398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126U KR19980033219U (ko) 1996-12-06 1996-12-06 외부경음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21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285B1 (ko) * 2004-06-21 200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경보 방법
KR20190048207A (ko) * 2017-10-30 2019-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사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285B1 (ko) * 2004-06-21 200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경보 방법
KR20190048207A (ko) * 2017-10-30 2019-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사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132B2 (en) Vehicle approach information device with indicator to the driver
KR950005630A (ko) 차동차의 음성 경고 장치
KR19980033219U (ko) 외부경음 경보장치
KR100514484B1 (ko) 타 차량의 경적 알림 장치 및 방법
KR0181793B1 (ko) 차량용 경보음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918484B2 (ja) 盗難防止装置
KR100190403B1 (ko) 산소센서 및 진동센서의 원리를 응용한 도난경보 시스템
KR19980038584A (ko) 차량 주행시 중앙선 침범 감지 경고장치
KR19990050660A (ko) 졸음운전 경보장치
JPH0687093U (ja) 緊急車両の接近感知装置
KR0169642B1 (ko) 카 오디오셋 도난 경보 장치
KR0167524B1 (ko) 제동등 작동불량 경고장치
JPS6229446A (ja) 車両用バツクドアの半ドア警告装置
JPH0737182Y2 (ja) 警報音検知システム
JPH111146A (ja) 車両用音響装置
JPS607596A (ja) 自動車用警報装置
KR970000935A (ko) 자동차 정비내용 음성알림장치
KR19980031556A (ko) 자동차의 차선 변경 감지 장치
KR20040021054A (ko) 운전자 전용 스피커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20055698A (ko) 차량의 안전거리 경보시스템
KR19990040792A (ko) 전자 제어 방식의 혼 장치
KR970039472A (ko) 자동차 주행 안전 장치
JP2000048299A (ja) 緊急車両の接近報知システム
KR970015156A (ko) 자동차의 출발 및 주, 정차 제어 장치
KR19980012522U (ko) "혼"을 이용한 차량 도난 경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