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064B1 -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064B1
KR102432064B1 KR1020200066924A KR20200066924A KR102432064B1 KR 102432064 B1 KR102432064 B1 KR 102432064B1 KR 1020200066924 A KR1020200066924 A KR 1020200066924A KR 20200066924 A KR20200066924 A KR 20200066924A KR 102432064 B1 KR102432064 B1 KR 102432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adish
main body
frame
track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634A (ko
Inventor
이상희
강태경
최용
강연구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20006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0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2Machines with rigi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4Lifting or lowering mechanisms for th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227Belt conveyors for vertical convey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무를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으며, 접이식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 구성에 의해 보관 또는 이동 시 공간 활용이 우수한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프레임의 연결로 구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커팅수단이 마련되어 안치된 무를 이송하면서 무청을 커팅하는 제 1컨베이어; 및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끝단과 연하는 평면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단에서 이송되는 무를 전달받고 이를 경사면부와 평면부를 따라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 2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Radish collector having folding conveyor}
본 발명은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무를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으며, 접이식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 구성에 의해 보관 또는 이동 시 공간 활용이 우수한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의 수확작업은 거의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일손의 부족현상과 노령화에 기인한 농촌의 실정을 감안할 때 작업능률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생산성 저하는 무의 수확시기에 따라 적기 수확에 의한 유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결국 농가수입에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한편, 종래에도 농가의 현 실정을 감안하여 각종 구근류의 수확을 위한 수확장치가 다수 개시된 바 있으나, 무의 수확에 적합한 수확장치가 개발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상기한 수확장치를 이용하여 무를 채굴하여 수확한다고 해도 채굴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에 의해 채굴된 무의 잎을 절단하는 후작업이 요구되어 결국 농가의 일손을 덜어주는데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채굴수확된 무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잎의 절단없이 다수개를 묶어 유통하게 되는데 이는 무, 당근의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게 되어 농가의 입장에서는 무 재배에 의한 높은 부가가치를 올리지 못하게 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잎의 절단사용에 따른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채소쓰레기에 대한 부담감을 주는 요인이 되게 된다.
아울러, 종래에는 무를 수확한 후에, 트럭 등 운송수단으로의 상차 작업이 오직 인력으로만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시간 소모가 많은 등 작업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0018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무를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으며, 접이식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 구성에 의해 보관 또는 이동 시 공간 활용이 우수한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의 연결로 구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커팅수단이 마련되어 안치된 무를 이송하면서 무청을 커팅하는 제 1컨베이어; 및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끝단과 연하는 평면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단에서 이송되는 무를 전달받고 이를 경사면부와 평면부를 따라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 2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상기 본체의 바닥 프레임 일측에서 직립형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에 각각 결합되는 회동지지대; 양단이 상기 회동지지대에 각각 연결 및 지지되며 외주연에는 회전 연동하는 제 1구동롤러가 마련되는 제 1구동축; 상기 제 1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 1구동수단; 상기 제 1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1구동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외주연에는 회전 연동하는 제 1종동롤러가 마련되는 제 1종동축; 상기 제 1구동축의 제 1구동롤러와 제 1종동축의 제 1종동롤러을 각각 둘러싸도록 맞물려 제 1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른 제 1구동축의 회전 시 상기 제 1구동축과 제 1종동축 간에서 궤도 운동하는 제 1궤도벨트; 및 상기 제 1궤도벨트의 회전 궤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제 1궤도벨트에 안치되어 이동하는 무로부터 무청 부위를 커팅 및 분리하는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상기 제 1궤도벨트의 노출면에서 상기 제 1궤도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형성하도록 이격 장착되는 복수의 수용판과, 상기 제 1궤도벨트 노출면에서 상기 제 1궤도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판 간에 형성되는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판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무청 수용판으로 구성되는 제 1무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제 1컨베이어의 후단에서 상기 수용판과 무청 수용판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톱니형 원형칼날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경사면부와 평면부 간에서 궤도 운동하며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단에서 무청이 제거된 무를 전달받고 이를 이송하는 제 2궤도벨트; 및 상기 제 2궤도벨트의 노출면에서 상기 제 2궤도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형성하도록 이격 장착되며 상기 제 2궤도벨트의 노출면에서 수용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경사판을 포함하는 제 2무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컨베이어와 상기 제 2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 1무수용부의 수용판과 상기 제 2무수용부의 경사판은 상호 대면하면서 교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평면부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곡면구간을 형성하는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의 곡면구간을 따라 부착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완충패드가 상기 백커버의 곡면구간 하단으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어 돌기가 형성되는 완충돌기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컨베이어를 본체로 접히게 하거나 본체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절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 2컨베이어가 위치하는 본체의 바닥 프레임에서 직립형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드럼으로부터 와이어로프를 풀거나 회전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하는 와이어윈치; 및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선택된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측이 연결되는 견인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컨베이어의 평면부의 후단에서 바닥프레임의 일측이 연장되는 연장프레임; 및 상기 연장프레임의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호 이격 거리가 조정되는 한 쌍의 포크가 장착되는 적재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장프레임과 적재프레임 사이에 연직방향으로 승강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단과 적재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링크을 통해 체결되게 하여 상기 연장프레임으로부터 적재 프레임의 높낮이와 각도가 조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에 의해 무 수확지에서 밭 고랑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산개된 무청을 밭 고랑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무청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청구획부는,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면에 제 1컨베이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바; 상기 슬라이드바에 직교 방향으로 일측이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바를 따라 좌, 우 이동하는 구획프레임; 상기 본체의 이동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구획프레임의 타측에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획바; 및 상기 구획바의 상부에 결합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면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갖는 확장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청구획부는,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드바의 하부에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고 상기 구획프레임의 후면에 접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구획바의 전단에서 각각 좌, 우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여 상기 구획바로부터 멀어지게 구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는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무를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기존 인력에 의존하였던 무의 수집과 운반 등을 포함한 일련의 작업들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무 수확지의 지형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컨베이어의 기울기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무 수확 현장에 최대한 접근이 용이함으로써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접이식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 구성으로 인하여 장치의 보관 또는 이동 시 공간 활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부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청구획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접이식 구조를 갖는 제 1컨베이어(200) 및 상기 제 1컨베이어(200)에 인접하도록 이격 설치되며 제 1컨베이어(200)로부터 이동하는 무를 전달받는 제 2컨베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복수의 횡프레임(110)과 종프레임(120)의 상호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컨베이어(200) 및 제 2컨베이어(300)가 연결되도록 하면서 이들을 지지한다.
상기 본체(100)는 견인식 또는 부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체결 구조가 적용되어 트랙터 등에 연결될 수 있는데, 견인식의 체결 구조가 적용될 경우에는 트랙터와의 체결을 위한 견인링크와 이송바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연결된 트랙터 등으로부터 외부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달된 외부 동력을 상기 제 1컨베이어(200) 및 제 2컨베이어(300) 등의 구동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컨베이어(20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로부터 선택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수집된 무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어느 일 부위에 커팅수단(270)이 마련되고 상기 커팅수단(270)에 의해 무의 이송 과정에서 무청이 커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컨베이어(300)는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부(310)와, 상기 경사면부(310)의 상단에서 연장되면서 일정한의 평면 구간을 형성하는 평면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컨베이어(300)는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일단을 통해 무청이 커팅 및 제거된 상태의 무를 전달받게 되고, 상기 경사면부(310)를 통해 전달된 무가 상향 이동되도록 한 후, 상기 평면부(320)에서 상향 이동된 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하에서 설명하는 작업공간에서 작업자로 하여금 인계 또는 준비된 포대 등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컨베이어(200)는 회동지지대(210), 제 1구동축(220), 제 1구동수단(230), 제 1종동축(240), 제 1궤도벨트(250), 제 1무수용부(260) 및 커팅수단(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지지대(210)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서 직립형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1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동지지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구조가 적용되어 수평 방향으로 본체(100)에 결합되는 제 1구동축(220)의 양단을 지지함과 더불어 제 1구동축(220)이 본체(200)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 1구동축(220)은 상기 회동지지대(210)에 의해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주연을 따라 회전 연동하는 제 1구동롤러(2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1구동수단(230)은 상기 제 1구동축(220)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면서 이격 배치되는 제 1구동모터(231)와, 상기 제 1구동모터(231)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 1구동축(22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232)을 포함하여 상기 제 1구동축(220)에 회전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구동모터(231)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유압모터가 적용될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구동수단(230)으로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과 유압라인의 경로 설정 등을 통해 상기 제 1구동수단(230)을 포함한 유압모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종동축(240)은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제 1구동축(22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1구동축(22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종동축(240) 역시 제 1구동축(220)의 제 1구동롤러(221)와 마찬가지로 동일 위치에 외주연을 따라 제 1종동롤러(24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구동축(220)으로부터 제 1종동축(24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텐션부재(242)를 구비하여 제 1컨베이어(200)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궤도벨트(250)는 상기 제 1구동축(220)의 제 1구동롤러(221)와 제 1종동축(240)의 제 1종동롤러(241) 간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 1구동수단(230)의 작동에 따른 제 1구동축(220)의 회전 시 상기 제 1구동축(220)과 제 1종동축(240) 간에서 궤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1궤도벨트(250)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는 판 형상으로, 궤도 운동 시 상기 제 1구동축(220) 또는 제 1종동축(240)을 선회하는 과정에서 유동적으로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궤도벨트(250)는 복수의 판이 상호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수확된 무가 안치되어 상기 제 1구동축(220)의 회전에 연동하여 무를 제 1컨베이어(200)의 일단 즉 상기 제 2컨베이어(30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 1궤도벨트(250)는 수확된 무가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 1구동/종동롤러(221, 241)를 포함하여 구동 계통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서 수확된 무의 이동 과정에서 무로부터 박리 및 낙하될 수 있는 흙이나 돌 등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무수용부(260)는 제 1궤도벨트(250)에 안치된 무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이동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1궤도벨트(2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용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무수용부(260)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 1궤도벨트(250)의 노출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무수용부(2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궤도벨트(250)의 노출면에서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상호 이격 장착되는 복수의 수용판(261)이 포함되며, 연속적으로 장착된 수용판(261)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공간에 수확된 무가 안치 및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용판(261) 간의 이격 거리는 수확 시기의 일반적인 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무수용부(260)는 상기 제 1궤도벨트(250)의 노출면에서 상기 제 1궤도벨트(250)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판(261) 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면서 상기 수용판(261)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무청 수용판(26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청 수용판(262)은 상기 수용판(261)과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무청 수용판(262)과 수용판(261) 사이의 짧은 공간에는 무청이 시작되는 일 부분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무를 상기 제 1궤도벨트(250)에 안치함에 있어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무 부위를 상기 수용판(261) 간에 형성된 무 수용 공간에 안치시키면서, 무청 부위는 상기 무청 수용판(262) 간에 의해 형성되는 무청 수용 공간으로 안치 및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무와 무청의 경계 부위는 상기 수용판(261)과 무청 수용판(26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와 무청 부위를 구분되도록 수용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한 커팅수단(270)에 의해 무청 부위가 무의 이송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커팅될 수 있게 되며, 무 부위가 상기 수용판(261)에 의해 수용된 상태가 되므로 무청의 커팅 과정에서도 무의 이탈이나 흔들림이 방지되는 등 보다 안정적으로 커팅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판(261) 간에 이격 거리 및/또는 무청 수용판(262) 간에 이격 거리는 선택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수집 대상이 되는 무와 무청의 크기에 적합하여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팅수단(270)은 상기 제 1무수용부(260)에 수용된 상태의 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무로부터 무청 부위가 커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팅수단(270)은 회전모터(273)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톱니형 원형칼날(271)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는 없으나 커팅수단(270)으로서 콤바인 칼날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273) 역시 상기 제 1구동모터(231)과 마찬가지로 유압펌프와 유압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유압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커팅수단(270)의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무수용부(260)의 회전 궤도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컨베이어(300)와 근접한 제 1컨베이어(200)의 후단에서 상기 수용판(261)과 무청 수용판(262)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톱니형 원형칼날(271)이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수단(270)은 상기 톱니형 원형칼날(27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톱니형 원형칼날(271)의 상부 영역을 밀폐하여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안전커버(272)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팅수단(270)은 상기 안전커버(272)의 전방에 위치하게 장착되어 작업자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힌지구동하는 제어레버(27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레버(274)에 힌지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모터(273)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명령하는 제어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제 1컨베이어(200)는 작업자가 수확된 무를 제 1무수용부(260)에 동일 방향으로 안치시키는 것만으로, 앞서 설명한 작동 기작에 따라 안치된 무가 제 2컨베이어(30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커팅수단(270)을 통해 무 부위로부터 무청 부위가 커팅 및 분리되도록 하고 분리된 무청 부위가 제 1컨베이어(2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되게 하는 바, 무의 수확 과정이 자동화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컨베이어(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부(310)와 상기 경사면부(310)의 끝단과 연하는 평면부(320)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일단에서 이송되는 무를 전달받고 이를 경사면부(310)와 평면부(320)를 따라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작업공간으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컨베이어(300)는 무 수확지에 인접하도록 각도가 조정되는 상기 제 1컨베이어(200)로부터 이동되는 무를 작업자의 몸 높이에 적합한 위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에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컨베이어(300)를 설명하면, 상기 제 2컨베이어(300)는 두 개의 제 2종동축(331, 332)과 하나의 제 2구동축(340)과 제 2구동수단(350)과 제 2궤도벨트(360) 및 제 2무수용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제 2종동축(331, 332)은 상호 평행하게 장착되는 하부종동축(331)과 상부종동축(332)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면부(310)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종동축(331)의 경우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일단을 대면하는 위치로부터 높이가 낮도록 설치되며, 상부종동축(332)은 상기 하부종동축(331)의 후단에 위치하면서 하부종동축(331)로부터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종동축(331)과 상부종동축(332)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외주면에는 하부종동롤러(333)와 상부종동롤러(334)가 장착되어 회전 연동한다.
이러한 두 개의 제 2종동축(331, 332)은 하부종동축(331)과 상부종동축(332)간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 2궤도벨트(360)가 상향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경사면부(31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제 2종동축(331, 332) 중 하부종동축(331)에는 상기 상부종동축(332)과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텐션부재(335)를 구비하여 제 2컨베이어(300)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축(340)은 상기 상부종동축(332)의 후단에서 동일 평면상으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평평한 일정 구간을 형성하는 평면부(32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 2구동축(340)은 외주면에 제 2구동롤러(341)가 장착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2구동수단(350)으로부터 부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제 2궤도벨트(360)의 궤도 운동의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 2구동수단(350)은 상기 제 2구동축(340)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면서 이격 배치되는 제 2구동모터(351)과 상기 제 2구동모터(351)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 2구동축(34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352)을 포함하여 상기 제 2구동축(340)에 회전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구동모터(351)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유압모터의 적용 시 상기 제 1구동모터(231)과 마찬가지로 유압펌프와 유압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 2궤도벨트(360)는 상기 제 2구동축(340)의 제 2구동롤러(341)와 두개의 제 2종동축(330)의 하부종동롤러(333) 및 상부종동롤러(334)을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구동수단(350)의 작동에 따른 제 2구동축(340)의 회전 시 상기 제 2구동축(340)과 두 개의 제 2종동축(331, 332) 간에서 궤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2궤도벨트(360)는 앞서 설명한 제 1컨베이어(200)의 제 1궤도벨트(250)와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궤도벨트(360)는 상기 제 1컨베이어(200)에서 전달되는 무청이 제거된 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를 경사면부(310)를 거처 평면부(320)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 2무수용부(370)은 제 2궤도벨트(360)에 전달 및 안치된 무가 경사면부(310)와 평면부(32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무의 낙하 또는 움직임에 의한 무의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궤도벨트(360)를 이동방향을 따라 제 2궤도벨트(360)의 노출면 즉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무수용부(3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궤도벨트(370)의 노출면에서 상기 제 2궤도벨트(37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형성하도록 이격 장착되는 복수의 경사판(371)이 포함되어 있으며, 연속적으로 장착된 경사판(371)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공간에는 상기 제 1컨베이어(200)로부터 전달된 무가 안치 및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사판(371)은 상기 경사면부(310)에 의한 경사진 구간에서 무의 안정적인 수용과 이송을 도모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제 2궤도벨트(360)의 노출면에서 수용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일측에 상기 제 2컨베이어(300)이 이격 되게 설치되는 바, 이들 사이의 공간에서는 상기 제 1무수용부(260)의 수용판(261)과 제 2무수용부(370)의 경사판(371)이 상호 대면하면서 교차되게 구성함으로써 무의 전달 과정에서 무가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 2컨베이어(300)는 평면부(320)에서 평행 이동한 무가 본체(100)의 후단에 마련되는 작업공간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의 무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이드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320)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곡면구간을 형성하는 백커버(381)와 상기 백커버(381) 내측의 곡면구간을 따라 부착되는 완충패드(382) 및 상기 완충패드(382)가 상기 백커버(381)의 곡면구간 하단으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어 돌기가 형성되는 완충돌기(38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백커버(381)의 곡면구간은 상기 제 2구동롤러(341)를 선회하는 경사판(371)의 회전 반경을 따라 그에 인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경사판(371)이 제 2구동롤러(341)를 선회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무가 상기 완충패드(382)에 접하도록 하여 무의 안정적인 낙하를 유도하면서 완충패드(382)에 의해 외부 충격을 최소화하여 무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완충패드(382) 및 완충돌기(383)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는 무 수확지 즉 무밭의 상부에 근접하도록 본체(100)로부터 제 1컨베이어(200)를 회전 배치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작업자가 무를 수확하여 근접 배치된 제 1컨베이어(200)로 안치시키게 되면, 자동으로 수확된 무의 무청이 커팅되면서 본체(100)의 후단에 마련된 작업공간으로 이송이 가능하여 포대 등에 바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 수집의 일련의 과정에 있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최소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 수집에서부터 운송수단에 상차하는 작업까지의 과정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바, 결과적으로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부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본 발명의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장치는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접이식 구조를 갖게 되는 상기 제 1컨베이어(200)를 본체(100)로 접히게 하거나 본체(100)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절첩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첩부(400)는 상기 제 2컨베이어(300)가 위치하는 본체(100)의 바닥 프레임에서 직립형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윈치(420) 및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선택된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견인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컨베이어(300)의 상단에서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되 그 높이는 상기 제 2컨베이어(300)에 있어 무의 이송 과정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제 1컨베이어(200)의 전체 길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윈치(420)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드럼으로부터 와이어로프(421)를 풀거나 회전드럼에 와이어로프(421)를 감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로프(421)의 일측은 상기 견인프레임(430)을 통해 제 1컨베이어(2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견인프레임(430)은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선택된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 1컨베이어(200)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프레임(430)에는 상기 와이어윈치(420)의 회전드럼으로부터 풀려진 와이어로프(421)의 일측이 연결됨에 있어 도르레(431)가 장착되고 상기 도르레(431)에 와이어로프(421)의 일측이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절첩부(40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윈치(420)가 작동됨에 따라 와이어로프(421)가 회전드럼에 감겨질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본체(100)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 1컨베이어(200)가 상기 제 2컨베이어(300)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본체(100)의 내측으로 접혀지게 되며, 반대로 상기 와이어윈치(420)의 와이어로프(421)를 회전드럼으로부터 풀게 될 경우, 반대로 상기 제 1컨베이어(200)는 제 2컨베이어(300)와 대면 상태에서 본체(100)의 외측을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펼침 기울기는 상기 와이어윈치(420)의 작동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므로, 수확지의 지형 지물과 작업자의 작업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 1컨베이어(200)가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접힘에 있어, 과도한 각도로 접혀지게 되어 제 2컨베이어(300)와의 충돌 또는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에는 제 1컨베이어(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제 2컨베이어(300)의 평면부(320)의 후단에 작업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본체(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컨베이어(300)의 평면부(320)의 후단에서 바닥프레임의 일측이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140)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 프레임(140)의 일측에는 한 쌍의 포크(151)가 장착되는 적재 프레임(150)이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포크(151)는 바닥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호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성품의 팔렛트(152) 등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포크(151)에 의해 안치된 팔렛트(152) 등에 탑승한 상태에서 제 2컨베이어(300)를 통해 이동 및 낙하하게 되는 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팔렛트(152)에는 무를 수납할 수 있는 포대 등이 함께 안치하게 함으로써 포대 등을 통해 무가 수납된 상태의 팔렛트(152)를 별도의 운반수단을 통해 운반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위치에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40)과 적재 프레임(150) 사이에 연직방향으로 승강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160)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70)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상기 연장 프레임(140)의 상단과 적재 프레임(150)의 하단에 결합링크(170)을 통해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포크(151)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적재 프레임(150) 자체의 높낮이나 각도 등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한 쌍의 포크(151)의 높낮이 및 각도 등이 조정되어 한 쌍의 포크(151)에 연결된 팔렛트(152) 등을 적재하거나 이동 함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무의 수납을 위해 포대가 마련될 경우 포대에 무의 적재 상황에 따라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무가 포대에 낙하되어 수납되는 과정에서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후단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40)의 상단이나 상기 가이드부(380)의 측면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180)가 결합되어 상기 포대 등의 상부를 결속시키면서, 결속된 상태의 포대 등이 상기 팔렛트(152) 등에 안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대의 수용 공간 형태가 무의 수납 과정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청구획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본 발명의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의 이동에 의해 무 수확지에서 밭 고랑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무청구획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청구획부(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면에 제 1컨베이어(2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바(510)와, 상기 슬라이드바(510)에 직교 방향으로 일측이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바(510)를 따라 좌, 우 이동하는 구획프레임(5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청구획부(500)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방향 즉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수용판(2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구획프레임(5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구획바(530) 및 상기 구획바(5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면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갖는 확장덮개(54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무청구획부(500)는 밭 고랑을 따라 이동하여 산개된 무청이 어느 일방향 즉 무청구획부(500)의 구획바(530)를 기준으로 무청이 각각 좌, 우측 방향에 위치하게 정리하는 것으로, 제 1컨베이어(200)의 후방에서 무를 수확하기 이전에 선행적으로 무청의 정리가 가능한 바, 작업자로 하여금 무청으로 인해 가려져 있던 무의 정확한 위치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획바(530)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구획프레임(520)의 타측에 볼트 결합됨에 있어 상기 구획프레임(520)에 장공 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획바(53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 수확지 현장에 적합하게 좌우 조정은 물론 밭고랑과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무청구획부(500)는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일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드바(510)의 하부에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고 상기 구획프레임(520)의 후면에 접하여 밭 고랑의 이동 과정 중 구획프레임(520)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550)과, 상기 구획바(530)의 전단에서 각각 좌, 우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여 상기 구획바(530)로부터 멀어지게 구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560)를 더 포함함으로써, 밭 고랑으로부터 산개된 무청이 각각 좌, 우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무청구획부(500)가 상기 제 1컨베이어(200)의 일측면에서 두 개가 설치된 예가 제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본체 130 : 받침대
200 : 제 1컨베이어 210 : 회동지지대
220 : 구동축 230 : 제 1구동수단
240 : 종동축 250 : 궤도벨트
260 : 무 수용부 270 : 커팅수단
300 : 제 2컨베이어 310 : 경사면부
320 : 평면부 400 : 절첩부
410 : 지지프레임 420 : 와이어윈치
430 : 견인프레임 500 : 무청구획부

Claims (12)

  1. 복수의 프레임의 연결로 구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커팅수단이 마련되어 안치된 무를 이송하면서 무청을 커팅하는 제 1컨베이어;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끝단과 연하는 평면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단에서 이송되는 무를 전달받고 이를 경사면부와 평면부를 따라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 2컨베이어; 및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에 의해 무 수확지에서 밭 고랑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산개된 무청을 밭 고랑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무청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상기 본체의 바닥 프레임 일측에서 직립형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에 각각 결합되는 회동지지대;
    양단이 상기 회동지지대에 각각 연결 및 지지되며 외주연에는 회전 연동하는 제 1구동롤러가 마련되는 제 1구동축;
    상기 제 1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 1구동수단;
    상기 제 1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1구동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외주연에는 회전 연동하는 제 1종동롤러가 마련되는 제 1종동축;
    상기 제 1구동축의 제 1구동롤러와 제 1종동축의 제 1종동롤러을 각각 둘러싸도록 맞물려 제 1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른 제 1구동축의 회전 시 상기 제 1구동축과 제 1종동축 간에서 궤도 운동하는 제 1궤도벨트; 및
    상기 제 1궤도벨트의 회전 궤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제 1궤도벨트에 안치되어 이동하는 무로부터 무청 부위를 커팅 및 분리하는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상기 제 1궤도벨트의 노출면에서 상기 제 1궤도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형성하도록 이격 장착되는 복수의 수용판과, 상기 제 1궤도벨트 노출면에서 상기 제 1궤도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판 간에 형성되는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판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무청 수용판으로 구성되는 제 1무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제 1컨베이어의 후단에서 상기 수용판과 무청 수용판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톱니형 원형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경사면부와 평면부 간에서 궤도 운동하며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단에서 무청이 제거된 무를 전달받고 이를 이송하는 제 2궤도벨트; 및
    상기 제 2궤도벨트의 노출면에서 상기 제 2궤도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형성하도록 이격 장착되며 상기 제 2궤도벨트의 노출면에서 수용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경사판을 포함하는 제 2무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컨베이어와 상기 제 2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 1무수용부의 수용판과 상기 제 2무수용부의 경사판은 상호 대면하면서 교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평면부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곡면구간을 형성하는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의 곡면구간을 따라 부착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완충패드가 상기 백커버의 곡면구간 하단으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어 돌기가 형성되는 완충돌기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컨베이어를 본체로 접히게 하거나 본체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절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 2컨베이어가 위치하는 본체의 바닥 프레임에서 직립형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드럼으로부터 와이어로프를 풀거나 회전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하는 와이어윈치; 및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선택된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측이 연결되는 견인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컨베이어의 평면부의 후단에서 바닥프레임의 일측이 연장되는 연장프레임; 및
    상기 연장프레임의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호 이격 거리가 조정되는 한 쌍의 포크가 장착되는 적재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장프레임과 적재프레임 사이에 연직방향으로 승강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단과 적재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링크을 통해 체결되게 하여 상기 연장프레임으로부터 적재 프레임의 높낮이와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청구획부는,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면에 제 1컨베이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바;
    상기 슬라이드바에 직교 방향으로 일측이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바를 따라 좌, 우 이동하는 구획프레임;
    상기 본체의 이동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구획프레임의 타측에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획바; 및
    상기 구획바의 상부에 결합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면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갖는 확장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청구획부는,
    상기 제 1컨베이어의 일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드바의 하부에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고 상기 구획프레임의 후면에 접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구획바의 전단에서 각각 좌, 우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여 상기 구획바로부터 멀어지게 구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KR1020200066924A 2020-06-03 2020-06-03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KR10243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924A KR102432064B1 (ko) 2020-06-03 2020-06-03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924A KR102432064B1 (ko) 2020-06-03 2020-06-03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34A KR20210150634A (ko) 2021-12-13
KR102432064B1 true KR102432064B1 (ko) 2022-08-16

Family

ID=7883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924A KR102432064B1 (ko) 2020-06-03 2020-06-03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0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57B1 (ko) 2002-11-06 2005-01-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무 수확기
KR100496009B1 (ko) 2002-08-21 2005-06-16 대한민국 결구채소 수확기의 수집 및 반출장치
KR101746132B1 (ko) * 2016-04-20 2017-06-12 황방전 트랙터용 이송 컨베이어
KR102005431B1 (ko) *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이동식 무 수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80A (ko) 1999-09-28 2000-01-15 신윤호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009B1 (ko) 2002-08-21 2005-06-16 대한민국 결구채소 수확기의 수집 및 반출장치
KR100464957B1 (ko) 2002-11-06 2005-01-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무 수확기
KR101746132B1 (ko) * 2016-04-20 2017-06-12 황방전 트랙터용 이송 컨베이어
KR102005431B1 (ko) *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이동식 무 수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34A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61348A (ja) 野菜収穫機
JPH09271230A (ja) 自走式根菜収穫機の根菜収納部
KR102432064B1 (ko)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KR102005431B1 (ko) 이동식 무 수집장치
JP5782693B2 (ja) 根菜類収穫機
JP5470722B2 (ja) 根菜類収穫機
JP2009284842A (ja) 野菜収穫機
JP2013192475A (ja) 収穫機
EP0133334A1 (en) Harvester comprising a harvesting machine and a screen wagon
JP6936430B2 (ja) 球根植込装置、及び球根植込方法
JP5245396B2 (ja) 作物分離収穫機
JP2012029601A (ja) 根菜類収穫機
JP3630637B2 (ja) 乗用型根菜類収穫機
JP2578144Y2 (ja) 農産物選別装置
JP6936431B2 (ja) 球根収穫装置
JP2970977B2 (ja) 農産物収穫機
JP3287533B2 (ja) 根菜類収穫機
JP2843849B2 (ja) 農産物選別装置
JP7017750B2 (ja) 球根植込装置
US576647A (en) Corn-harvester
KR101416054B1 (ko) 콤바인용 작물 이송장치
JPH0420174Y2 (ko)
JP2843928B2 (ja) 農産物収穫機
JP2002172588A (ja) 球状作物調製機
CN112640653A (zh) 作物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