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180A -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180A
KR20000000180A KR1019990041632A KR19990041632A KR20000000180A KR 20000000180 A KR20000000180 A KR 20000000180A KR 1019990041632 A KR1019990041632 A KR 1019990041632A KR 19990041632 A KR19990041632 A KR 19990041632A KR 20000000180 A KR20000000180 A KR 2000000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truck
pulle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호
Original Assignee
신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호 filed Critical 신윤호
Priority to KR101999004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180A/ko
Publication of KR2000000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1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배추 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도1-1)으로 운반상차하는 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이다. 대표도에 따르면 짧게는 4m에서 길게는 40m까지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이 가능한 여러개의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길게도 할 수 있고 탈착하여 짧게도 할수 있으며 (도1-4와 5) 트럭(도1-1)아 앞, 뒤, 좌, 우 어느곳에 있어도 트럭에 운반 상차 작업이 가능하며(도1-6) 평야지는 물론 경사지에서도 가능하며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또 위쪽에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또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운반상차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차체(도1-2)는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과 전진과 후진 또 좌, 우 방향 전환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 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본 발명은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 길이 조정용 다단계 연결 컨베이어 이다.
현제는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상차할때는 인력에 의존한다. 특히 강원도 지방같은 경사지에서는 100% 전량 인력에 의존한다. 그리고 트럭을 기준으로 반경 40m이내의 량을 상차해야만 5톤 1트럭이 된다.
남자 6명과 여자 6명 그리고 무나 배추를 트럭에 쌓는 상차1명등 13명이 한 팀을 구성하여 작업을 한다.
이들중 남자들은 무나 배추를 밭에서 지게에 담아 등짐으로 짊어지고 트럭으르 옮기면 트럭에서는 여자들이 이를 받아 신문에 싸거나 그냥 쌓아 올린 시람에게 던져주면 짐을 쌓는 사람이 이를 받아 트럭에 쌓는다.
이럴 때 배추의 경우 특히 강원도 고랭지의 경우 잎이 많이 부러져서 상품의 가치가 떨어진다. 또한 비가오면 작업의 능률이 떨어져 수송이 원할하지 못하여 산지에서는 무나 배추가 많아도 대도시의 소비지에서는 품귀현상이 일어나 가격 폭등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나열한 상품 저하의 가치와 비 능률적인 작업조건을 개선하여 소득증대와 가격 폭등에 안정을 위하여 개선한 다단계 연결 컨베이어인 기계가 있어야 한다.
또 무나, 배추를 트럭에 상차를 할 때는 상차작업이 끝날때까지 절대로 트럭은 움직일수가 없다. 움직이면 트럭에 쌓은 무나 배추가 다 무너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밭에서 길이를 길게도 할 수 있고 짧게도 할 수 있는 자유로이 조정이 가능한 다단계 연결컨베이어 (도2)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받아 트럭으로 운반하는 270도 회전(도7)이 가능하며 트럭이 좌측이나 우측 혹은 앞과 뒤 어느곳에 있어도 상차 작업이 가능하여야 한다.(도6)
또한 트럭의 앞쪽에서 무나 배추를 쌓아서 뒤쪽으로 나오면서 쌓기 때문에 이에 맞게 컨베이어도 밀려 나올 수 있어야 한다.(도8)
그리고 연결용 컨베이어 길이를 길게도 하고 짧게도 하면 (도2)이에 맞게 컨베이어 벨트(도14 - 85) 길이도 길게도 하고 짧게도 할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컨베이어 벨트 조정용 저장용기 (도9)가 있어야 한다.
도1은 전체의 조립 작업도
도2는 밭에서 몸체로 운반하는 연결용 컨베이어 조립도(도1의 3,4,5)
도3은 연결용 컨베이어 탈부착용 지지대 및 유압기 장치도
도4는 (도1의 4) 컨베이어 조립도
도5는 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도6은 몸체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 하는 컨베이어 조립도(도1의6)
도7은 (도6)의 270도 회전용 지지대와 동력 전달도
도8은 몸체에서 트럭으로 운반상차하는 컨베이어
도9는 (도8)의 지지대와 안내레일
도10은 컨베이어 벨트길이 조립 및 벨트 저장 용기 조립도
도11은 몸체 이동시 동력 전달 장치도
도12는 운반상차 작업시 동력전달 장치도
도13은 조작 레버 및 페달 장치도
도14는 밭에서 몸체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 이동도
도15는 몸체에서 트럭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 이동도
(도10)과 (도11)에서 ""은 텐션풀리로써 "V"벨트을 당겨서 팽팽하게도 하고 놓으면 느슨하게 되어 클러치 역할을 한다. 텐션풀리가 있는 곳의 "V"벨트는 느슨하게 걸어주며 없는 곳의 "V"벨트는 생략하였으나 같은 번호의 "V"풀리와 "V"풀리가 걸려있는것으로 생각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와 같이 앞쪽에 있는 연결용 컨베이어 (도1-4)가 (이하 컨베이어라 한다)있고 뒤쪽으로 컨베이어(도1-5)가 여러개가 연결된다. 많이 연결하면 길이가 길어지고 적게 연결하면 길이가 짧아진다.
이렇게 연결된 컨베이어 위에 운반용 컨베이어 벨트(도14-85)가 (이하 벨트라 한다)얹어져 있으며 구동용 로울러(도3-7)가 벨트 (도14-85)를 "→"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위에 무나 배추를 놓으면 밭에서 몸체 (도1-2)로 운반된다.
270도 회전 가능하며 좌, 우로 움직이는 컨베이어 (도1-6)가 이를 받아 몸체 (도1-2)에서 트럭(도1-1)으로 운반상차 작업을 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도2)는 밭에서 몸체로 운반하는 다단계 연결 컨베이어(도1-4와5)와 탈부착용 지지대(도1-3)의 조립도이다.
[도3]은 컨베이어 (도1-4와5)가 탈부착하는 안내와 지지대이며 컨베이어 (도1-5)을 여러개 연결하여 길이를 길게도 하고 떼어내어 짧게도 한다. 길이를 길게 하려면 유압피스톤(도3-12)을 앞쪽으로 밀어내면 이 끝에 붙은 책크벨브키(도3-13)가 밀려나가면서 컨베이어(도1-4)의 뒤쪽(도4-16)을 밀어낸다. 이 뒤에 또다시 컨베이어(도1-5)의 앞쪽 (도5-17)을 기워 연결하여 또 다시 밀어낸다. 이런방식으로 또 다시 컨베이어(도5)을 여러개 여결하면서 밀어내면 길이가 길어진다. 이 때 책크밸브키 (도3-13)는 밀어낼때는 일어서서 키의 역할을 하고 끌어 당길때는 누워서 키의 역할을 못한다. 반대로 누워서 키의 역할을 하고 끌어 당길때는 누워서 키의 역할을 못한다, 반대로 컨베이어(도5)을 탈착하여 길이를 짧게 하려면 유압피스톤의 책크밸브키(도3-13)을 반대 작용을 하게 하여 끌어 당긴다. 그러면 책크밸브키가 컨베이어 뒤쪽 (도5-16)을 끌어 당긴다.
이때 책크 밸브키(도3-13)은 밀어낼때는 누워서 키의 역할을 못하고 잡아 당길때는 일어서서 키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여 당겨진 컨베이어(도5)을 떼어내면 된다. 또 다시 컨베이어(도5)를 잡아당겨 떼어내면 길이는 짧아진다.
[도4]는 연결용 컨베이어(도1-4)로서 앞쪽에는 베어링이 장착된 큰 로울러(도4-10)와 뒤쪽으로는 베어링이 장착된 작은 로울러(도4-11)가 있다. 이들 로울러 위에 컨베이어 벨트(도14-85)가 얹어져 로울러 (도4-10)을 반환점으로 돌아간다. 또한 벨트 (도14-85)가 돌아갈 때 땅에 닿지 않게 로울러(도4-15)가 밑에서 받쳐주며 높낮이 조정이 용이한 바퀴 달린 발 (도4-14)가 있다. 뒤 컨베이어(도5)의 앞 연결부분 (도5-17)이 끼워지는 연결부분 (도5-16)이 뒤쪽에 있다.
[도5]는 연결용 컨베이어(도1-5)로서 앞컨베이어 (도4)의 뒤 연결부분(도4-16)에 끼워지는 부분의 앞쪽인 (도5-17)이 앞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5-11,14,15, 16)은 (도4)의 설명과 같다.
앞 컨베이어 뒤쪽 연결부분(도4-16)과 뒤컨베이어 앞쪽 연결부분(도5-17)이 서로 끼워져 여러개 (도5와 같은 여러개)를 연결하면 컨베이어 길이가 길어지고 떼어내면 길이는 짧아진다.
또한 이 위에 얹어져 돌아가는 벨트(도14-85)는 구동 로울러(도2-7)가방향으로 회전하면 여기에 맞물려 "→" 방향으로 움직인다.(도 14 참고)
이때 무나 배추를 벨트 (도14-85)위에 놓으면 밭에서 몸체(도1-2)로 운반된다.
피동로울러(도2-8)는 구동로울러(도2-7)가 회전하여 잡아당긴 거리와 같은 거리를방향으로 회전하며 풀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평야지에서나 경사진인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차작업을 할 때는 무사하나 경사지인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상차작업을 할 때는 무나 배추의 무게 때문에 벨트(도14-85)가 몸체(도1-2)쪽으로 밀려 내려와서 서로 엉키어 상차작업이 불가능하다. 피동로울러 (도3-8)는 이런 것을 막아준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구동 로울러(도3-7)가 1m을 잡아 당기면 피동 로울러(도3-8)도 1m을 풀어주어 한다.
그리고 구동로울러(도3-7)과 피동로울러(도3-8)에 맞물려 돌아가는 벨트 (도14-85)가 미끄러지지 않게 팽팽하게 밀어주는 작은 텐션로울러(도3-9)가 여러개 붙어있다.
[도6]은 밭에서 몸체 (도1-2)로 운반된 컨베이어 (도1-3,4,5)의 무나 배추를 트럭(도1-1)으로 운반 상차하는 컨베이어 (도1-6)의 조립도이다. 트럭(도1-1)이 앞과 뒤, 좌와 우, 어느곳에 있어도 상차작업이 용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상차용 컨베이어(도6-20)가 270도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도7]은 (도6-18)로써 270도 좌, 우 회전하는 지지대이다. 지지대(도7-18)을 기점으로지지 바퀴가 달리 다른 한쪽의 지지대 (도7-19)가방향으로 좌, 우 이동이 가능하며 각도는 270도이다. 트럭이 좌측에서 상차 작업을 할 때나 우측에서 상차작업을 할 때나 용이한 상차작업을 하기 위함이다.
[도8]을 (도2)에서 오는 무, 배추를 받아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 컨베이어 (도6-20) 베어링이 장착된 작은 로울러(도6-20) 베어링이 장착된 작은 로울러(도8-22)가 부착 되어 있으며 이위에 벨트 (도15-86)가 얹어져서 큰 로울러 (도8-21)의 양끝을 반환범으로 구동로울러 (9-26)에 맞물려 돌아간다. 이때 구동로울러(9-26)과 벨트(도15-86)가 맞물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텐션 로울러(도9-27)가 부착되어 있다.
[도9]는 (도8)의 지지대 및 좌, 우 이동과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안내 레일이다.
트럭(도1-1)에 무, 배추를 쌓을 때 앞쪽에서부터 쌓아 뒤쪽으로 나오면서 쌓아야 된다.
그러기 때문에 컨베이어 (도6-20)도 앞쪽에서부터 뒤쪽으로 움직이면서 상차 작업을 해야 한다.
유압피스톤(도9-20)의 양쪽끝이 컨베이어 (도8-20)의 양쪽 끝에 부착이 되어 유압피스톤(도9-28)을 앞으로 밀었다가 서서히 당기면 컨베이어 (도8-20)도 트럭(도1-1)의 앞쪽에서부터 서서히 뒤쪽으로 밀려온다. 그러므로 용이하게 짐을 쌓을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도8-20)가 용이하게 잘 움직일 수 있게 로울러 베어링 (도9-24)이 지지대(도9-23)에 부착되어 있다. 몸체(도1-2)의 높이와 트럭(도1-1)의 높이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컨베이어 (도6-20)의 높낮이 조정은 유압 피스톤(도6- 29)이 (도6)에서와 같이 한쪽끝은 (도6-23)의 지지대와 다른 한쪽끝은 (도6-19)의 지지대에 연결되어 유압피스톤(도6-29)이 늘어나면 컨베이어(도6-20)의 끝이 낮아지고 반대로 짧게하면 높아진다.
그러므로 높낮이가 조정된다. 이것은(도9-25)와 (도7-25)가 서로 연결되어 "시소"같은 운동을 하므로 컨베이어 (도6-20)가 상하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도10]은 벨트 (도14-85)의 입출이 가능한 저장용기(도14-30)로서 연결컨베이어 (도1-5)가 연결되어 길이가 길어질때는 이에 맞게 벨트(도14-85)도 길이가 길어져야 하며 연결컨베이어(도1-5)을 탈착하여 길이를 짧게하면 벨트(도14-85)의 길이도 같이 짧아야 한다. 그러므로 위쪽으로 들어온 벨트(도14-85)는 ""형태로 쌓이며 아래출구(도10-32) 쪽으로 빠져 나간다. (도12)의 풀리(도12-56)에 맞물린 캠(도10-33)이형태로 원운동하는 것을 연결레버(도10-34)가 왕복운동 "↔" 으로 바꾸어 벨트 안내 로울러(도10-31)로 왕복운동"↔"을 전달한다. 이 안내 로울러 (도10-31)사이에 끼워져 내려가는 벨트(도14-85)는 저장용기에 ""형태로 쌓인다. 구동로울러 (도2-7)에서 잡아당긴 벨트(도14-85)을 보조 로울러(도2-35)가 다시 끌어당겨 벨트 안내 로울러 (도10-31)로 밀어주며 저장용기 (도10-30)에 " "형태로 저장되며 출구(도10-32) 쪽으로 나가는 것은 피동로울러(도2-8)가 벨트 (도14-85)을 잡아당겨 풀어주기 때문이다. 이때 피동로울러(도2-8)는 구동로울러(도2-7)가 회전하여 감는 거리와 똑같은 거리를 풀어주어야만 한다. 상기에서도 설명을 하였지만 경사지인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운반 작업을 할 때는 무나 배추의 무게 때문에 벨트(도14-85)가 몸체(도1-2) 쪽으로 밀려내려와서 서로 엉키기 때문이다.
[도11] 이동시 동력전달장치도로서 ""은 1개의 "V" 벨트가 걸리는 "V"풀리이며은 2개의 벨트가 걸리는 "V" 풀리이다.
"V"벨트는 도면상에 생략하였으며 같은 번호끼리의 "V" 풀리에 연결하였다고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은 텐션풀리로써 "V" 벨트를 밀며는 팽팽하게 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당겨 느슨하게 하면 동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역할을 한다. 톈션풀리 ""이 없는 곳의"V" 벨트는 단단하게 걸어주며 있는 곳의 "V" 벨트는 느슨하게 같은 번호끼리 걸어준다.
[도13]은 조작용레버와 페달의 장치도 이다.
(61)은 고리속 레버 위치도 이며 고속(62) 중립(63) 저속(64)이다.
(65)는 전후진 레버위치도 이며 전진(66) 중립(67) 후진(68)이다.
(69)는 작업시 레러 위치도 이며 작업시 (70) 정지시(71)이다.
(72) 은 상차용 컨베이어 (도6)의 (20)가 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위치도이며 정방향(73) 반대방향(74)
(75) 은 우회전과 우측으로 360도 회전시 밟는 페달이다.
(76)은 좌회전과 좌측으로 360도 회전시 밟은 페달이다.
페달(75)과 (76)을 동시에 밟으면 정지를 한다.
이동시 동력 전달 장치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시에는 반드시 작업레버를 정지위치(도13-71)에 놓는다. 이때 클러치 죠인트(도11-55)가 떨어져 엔진의 동력이 작업쪽 풀리(도11의 56,57,58,59)에는 전달되지 않고 차단이 된다.
저속이 동시에는 손으로 고, 저속레버를 저속위치(도13-64)에 놓으면 텐션풀리(도11-37)이 "V" 벨트를 밀어 팽팽하게 하여 엔진(도11-60)의 동력을 풀리(도11-35-35')로 전달되며 이축에 연결된 풀리(도11-36)에서 풀리(도11-36')로 전달된다. 이때 입력쪽 풀리(도11-36)는 외경이 작고 출력 쪽 풀리 (도11-36')는 외경이 크기 때문에 회전 비율에 의해 저속이 된다.
이때 고속 쪽 텐션풀리 (도11-39)는 중립위치에서 느슨하게 하여 "V"벨트는 미그러지는 상태이다.
고속 이동시에는 고·저속 레버를 고속위치(도13-62)에 놓으면 텐션풀리 (도11-39)가 "V" 벨트를 밀어 팽팽하게 하여 엔진의 (도11-60)의 동력을 풀리 (도11-35→35')로 전달되며 이쪽에 연결된 풀리(도11-38)에서 (도11-38')로 전달된다. 이때 입력쪽 풀리(도11-38)는 외경이 크고 출력쪽 풀리(도11-38')는 외경이 작기 때문에 회전 비율에 의해 고속이 된다. 이때 외경이 작기 때문에 회전 비율에 의해 고속이 된다. 이때 저속 텐션풀리(도11-37)은 중립위치에 느슨하게되어 "V"벨트는 미그러지는 상태이다.
전진 이동시에는 고·저속레버를 원하는 위치에 놓은 다음 전·후진 레버를 전진위치(도13-66)에 놓으면 텐션풀리 (도11-41)가 "V"벨트를 밀어 팽팽하게 하여 동력은 풀리(도11-40 →40')의 축을 돌려 축에 연결된 풀리(도11-45와 50)을 동시에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에 연결된 좌측의 동력은 풀리 (도11-45 →45' →47)로 전달되며 또다시 좌측 바퀴(도11-48)에 전달된다. 또한 우측의 동력은 풀리(도11-50→50'→52)로 전달되며 또 다시 우측바퀴 (도11-53)에 전달된다. 좌, 우측 바퀴가 동시에 정방향으로 회전 하기 때문에 차체가 전진한다.
이때 좌측 텐션풀리(도11-46) 우측 텐션 풀리(도11-51)은 밀려 팽팽하게 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쪽으로 되어 있다.
후진 이동시에는 고·저속 레버를 원하는 위치에 놓은 다음 전후진 레버를 후진위치(도13-68)에 놓으면 텐션풀리(도11-44)가 "V" 벨트를 밀어 팽팽하게 하여 동력은 풀리(도11-40)의 축이 회전하며 여기에 맞물려 있는 기어(도11-42와 42')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바구어져 풀리(도11-43→43')로 전달된다. 이 축에 연결된 풀리 (도11-45와 50)을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에 연결된 좌측의 동력을 풀리 (도11-45→45'→47)로 전달되며 또 다시 좌측 바퀴(도11-48)에 전달된다. 또한 우측의 동력은 풀리(도11-50→50'→52)로 전달되며 또다시 우측 바퀴 (도11-53)에 전달된다. 좌, 우측바퀴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차체는 후진한다.
우회전과 우측으로 360도로 회전할때는 우측 페달(도13-75)을 발로 밟은 다음 손으로 고, 저속레버를 저속 위치(도13-64)에 놓고 전,후진 레버를 전진 (도13-66)쪽에 놓는다.
동력전달은 상기에 나열한 "전진 이동시"와 같다.
그러나 우측 페달에 연결된 텐션 풀리(도11-51)가 당겨져 "V"벨트를 느슨하게 하여 미끄러지기 때문에 우측 동력이 차단됨과 동시에 우측페달에 연결된 브레이크 (도11-54)가 작동된다. 그러므로 우측바퀴는 정지상태가 된다. 반대로 좌측 바퀴는 동력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어 회전하므로 우측으로 방향 전환이 된다.
이때 계속 우측 페달을 밟고 있으면 360도 우측으로 방향 전환이된다.
좌회전과 좌측으로 306도 회전 할 때는 좌측 페달(도13-76)을 발로 밟은 다음 손으로 고·저속 레버를 저속 위치(도13-64)에 놓고 전·후진 레버를 전진 (도13-66)쪽에 놓는다. 동력은 "전진 이동시"와 같다.
그러나 좌측 페달에 연결된 텐션풀리(도11-46)이 당겨져서 "V"벨트를 느슨하게 하여 미끄러지기 때문에 좌측의 동력은 차단된다.
동시에 좌측페달에 연결된 브레이크 (도11-49)가 작동된다. 그러므로 좌측 바퀴는 정지상태가 된다. 반대로 우측 바퀴는 정상적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므로 좌측으로 방향전환이 된다.
이때 계속 좌측 페달을 밟고 있으면 좌측으로 360도 방향전환이된다. 정지할때는 발로 좌측페탈(도13-76)과 우측페달(도13-75)을 동시에 같이 밟는다. 이때 좌측 텐션풀리(도11-46)과 우측 텐션풀리(도11-51)가 당겨져 "V" 벨트를 느슨하게 하여 미끄러지기 때문에 동력을 차단됨과 동시에 좌측 브레이크(도11-49)와 우측 브레이크(도11-54)가 작동되어 정지하게 된다.
[도12]는 작업할때의 동력 전달 장치도이다.
작업시에는 고·저속 레버를 중립위치 (도13-63)에 놓고 전,후진 레버도 중립위치(도13-67)에 놓는다. 그리고 좌측 브레이크 페달(도13-76)과 우측 브레이크 페달(도13-75)도 동시에 밟아 놓는다.
이렇게 하므로 엔진 (도12-60)의 동력이이동쪽 (도12-36과38)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의 모든 부분을 정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작업레버를 작업(도13-70)위치에 놓는다. 그러면 클러치 죠인트 (도12-55)가 연결되어 동력을 작업쪽 풀리(도12-56,57,58,59)로 만 전달되기 위함이다.
텐션 풀리 ""그림이 있는 곳의 "V" 벨트는 느슨하게"V" 풀에 걸며 없는 곳의 "V" 벨트는 팽팽하게 하여 같은 번호의 "V"풀리끼리 걸어준다. "V" 벨트는 도면상 생략하였으므로 같은 번호끼리 걸어준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하면 엔진의 동력이 전량 여기에 연결되어 모든 컨베이어 벨트가 돌아가며 작동이 된다. (도12) 이때 컨베이어 벨트위에 무나 배추등 농산물을 올려 놓으면 밭에서 트럭으로 자동이송이 된다.
또한 작업 레버를 정지(도13-71)위치에 놓으면 클러치 죠인트(12-55)가 떨어져 동력이 차단되며 모든 컨베이어 벨트는 정지하게 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도12)은 작업시 동력전달 장치로서 작업레버를 작업(도13-70)위치에 놓으면 클러치 죠인트(도12-55)가 연결되어 엔진(도12-60)의 동력은 풀리(도12-35→35')축을 거쳐 여기에 연결된 풀리(도12-56,57,58,59)에 동력이 전달되어 또한 여기에 연결된 각각의 풀리에 전달되어 여기에 연결된 컨베어이 벨트에 연결되어 이송된다.
각 풀리 별로 동력 전달과 작동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풀리(도12-56)의 동력은 컨베이어 벨트 저장 용기(도10)에 저장이 용이하게끔 벨트 안내(도10-31)의 왕복운동(↔)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여기에 연결된 캠(10-33)이 회전 운동을 왕복운동을 하므로 컨베어 벨트가 "" 형식으로 저장이 가능하다.
풀리(도12-57)의 동력은 몸체(도1-2)에서 트럭(도1-1)으로 운송하는 컨베이어 (도1-6)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구동로울러(도6-26) 트럭이 우측에서 상차작업을 할 때는 정방향으로 컨베어 벨트(도15-86)가 움직여야 되고 좌측에서 상차 작업을 할 때는 반대 방향으로 컨베어 벨트 (도15-86)도 움직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방향 회전 풀리(도12-77와 77')와 반대 방향 회전 풀 리가 (도12-79와 79') 있어야 한다.
정방향 회전 풀리는 (도12-77과 77')을 직선으로 "V"벨트를 연결하면 된다. 이때 레버를 정방향 위치에 (도13-73)에 놓으면 텐션풀리(도12-78)이 "V"벨트를 팽팽하게 밀어 정방향 쪽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반대방향 텐션풀리(도12-81)은느슨하게 하여 미그러져 정지된다.
반대 방향 회전은 2개의 기어를 맞물려 돌리면 입력 쪽 기어(도 12-79) 정방향으로 회전하나 출력쪽 기어 (도12-79')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된다.
이때 레버를 반대방향 (도13-74)쪽에 놓으면 텐션풀리(도12-81) "V"벨트를 팽팽하게 밀어 반대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정방향 텐션풀리(도12-78)은 느슨하게 하여 미끄러져 정지된다.
여기에 연결된 베벨기어 (도12-82→82'→83→83')를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된 풀리 (도12-84→84')에 연결된 고무코팅된 로울러 (도6-26)을 회전시키면 여기에 맞물려 회전하는 컨베어이 벨트(도15-86)를 정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려 트럭이 좌측에서 상차 작업을 하거나 우측에서 상차 작업을 할 때난 어느 곳에서나 작업이 용이하게끔 된다.
밭에서 몸체로 이송된 컨베이어 벨트(도14-85)위의 무, 배추가 이 컨베이어 벨트(도15-86)를 통하여 트럭에 상차된다.
풀리(도12-58)의 동력은 밭에서 몸체로 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용 로울러(도2-7)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풀리(도12-58→58')로 전달되며 여기에 연결된 고무코팅된 로울러(도2-7)회전을 하면 여기에 맞물려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도 14-85)가 "→"방향으로 감으면 돌아간다.
이 위에 무, 배추를 놓으면 밭에서 몸체로 이송이 된다.
풀리(도12-59)의 동력은 밭에서 몸체로 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피동용 고무코팅된 로울러 (도2-8)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풀리(도12-59→59')에 전달되며 여기에 연결된 고무코팅된 로울러(도2-8) 회전을 하면 여기에 맞물려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도14-85)가 "←"방향으로 풀어주면서 돌아간다.
[도14]는 밭에서 몸체로 (도1-2)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장치도 이다.
연결 컨베이어 앞쪽 로울러(도4-10)과 고정지지대 뒤쪽 로울러 (도3-10)을 반환점으로 돌아가며 구동로울러 (도2-7)가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보조로울러(도2-35)에 보내 진다.
또 다시 벨트 안내 로울러(도10-31)을 지나서 벨트 저장용용기(도10-30)에 ""에 형태로 저장이 되며 또한 아래쪽 출구쪽(도10-32) 나간다. 여기에는 피동로울러(도2-8)가 잡아당겨서 풀어준다. 이때 반드시 피동로울러 (도2-8)는 구동로울러(도2-7)가 벨트(도14-85)을 감는 거리와 같은 거리를 풀어주어야만 한다.
이유는 상기에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벨트(도14-85)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하므로 이외에 무나배추를 올려 놓으면 밭에서 몸체(도1-2)로 자동 운반된다.
[도15] 은 (도14)에서 운반된 무, 배추를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 컨베이어이다.
양쪽 끝의 큰 로울러(도8-21)을 반환점으로 구동로울러 (도6-26)에 의해 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트럭(도1-1)이 우측에 있을 때는 정방향으로 움직이고 트럭(도1-1)이 좌측에 있을때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은 트럭에 무, 배추등 농산물을 싣는 인력과 경비를 50% 줄일 수있으며 농산물의 생산지의 신속한 작업과 소비지의 유통이 원활하여 생산지와 소비지의 가격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비가 오면 작업이 능률이 떨어져 생산지에는 무, 배추가 썩어도 소비지인 대도시에서는 품귀 현상으로 가격 폭등이 되나 이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현제 5톤 트럭 상차 작업하는데 평균 30만원인데 여기에서 여자 1인당 15,000원 ×6=90,000원, 지게꾼 남자 1인당 25,000원 ×6=150,000원, 상차 1명 60,000원, 이들 중 50%가 지게꾼 남자의 몫이다.
본 발명은 이것을 한다.

Claims (3)

  1. 밭에서 몸체 (도1-2)를 이송하는 다단계 연결 컨베이어(도2)에 있어 짧게는 4m에서 길게는 40m까지 연결용 컨베이어 (도4)와 (도5)을 연결하여 길게도 할 수 있고, 탈착하여 짧게도 할 수 있는 장치
  2. 몸체 (도1-2)에서 트럭 (도1-1)으로 운반상차 하는 270도 회전(도7)이 가능하며 컨베이어 (도8)가 앞뒤고 움직이며(도9) 이송이 가능하며 트럭이 좌측에서 상차작업을 할 때나 우측에서 상차작업을 할 때나 어느곳에서나 용이한 운반상차 작업이 가능한 장치(도6)
  3. 밭에서 몸체 (도1-2)로 운반한 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도2)의 길이를 길게 할 때는 벨트(도14-85)의 길이도 길어야 하고 컨베이어 길이가 짧을 때는 이에 맞게 벨트(도14-85)의 길이도 짧아야 한다.
    그러므로 입구쪽으로 들어온 벨트는 ""형식으로 저장이 되며 출구쪽으로 풀려나가는 용기(도10)의 장치
KR1019990041632A 1999-09-28 1999-09-28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KR20000000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632A KR20000000180A (ko) 1999-09-28 1999-09-28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632A KR20000000180A (ko) 1999-09-28 1999-09-28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180A true KR20000000180A (ko) 2000-01-15

Family

ID=1961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632A KR20000000180A (ko) 1999-09-28 1999-09-28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1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431B1 (ko)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이동식 무 수집장치
KR102127286B1 (ko) 2020-02-07 2020-06-26 정다운 절첩식 구조를 갖는 농작물 수집장치
KR102247648B1 (ko) 2020-11-16 2021-05-04 정다운 배추 수확량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
KR102247649B1 (ko) 2020-11-16 2021-05-04 정다운 수집형 배추수확기
KR20210150634A (ko) 2020-06-03 2021-12-13 정다운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431B1 (ko)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이동식 무 수집장치
KR102127286B1 (ko) 2020-02-07 2020-06-26 정다운 절첩식 구조를 갖는 농작물 수집장치
KR20210150634A (ko) 2020-06-03 2021-12-13 정다운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KR102247648B1 (ko) 2020-11-16 2021-05-04 정다운 배추 수확량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
KR102247649B1 (ko) 2020-11-16 2021-05-04 정다운 수집형 배추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531392B (zh) 组合式打包机/料捆包装机
US4042140A (en) Self-loading and unloading hay bale trailer
CN106608551A (zh) 可变幅变向的伸缩式皮带输送双向装卸机
CN101654215B (zh) 一种货架升降机
JPH08508223A (ja) 物品の包装方法及び装置
CN106629091A (zh) 伸缩式皮带输送双向装卸机
CN102390663B (zh) 升降式船舱输送器
CN106629092A (zh) 可变幅的伸缩式皮带变向输送双向装卸机
KR20000000180A (ko)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CN106629136A (zh) 一种移动带式输送装卸机
CN201530704U (zh) 货架升降机及自卸翻转装置
CN111717099A (zh) 带举升翻斗的履带运输机
CN102602638A (zh) 一种自卸翻转装置
CN116969147B (zh) 一种皮带输送机
EP0694249A1 (fr) Dispositif de collecte, de transport de balles et d'alimentation d'une enrubanneuse
GB2203119A (en) Trailer
KR100952058B1 (ko) 소형 동력 윈치
CN105501495A (zh) 便捷式薄膜缠绕机构
CN105480455A (zh) 全自动缠绕膜机
US2986266A (en) Endless belt conveyor
US3907133A (en) Bulk cargo unloading mechanism
CN114572285A (zh) 一种吊带生产用原材料线辊转运小车及其使用方法
CN115848889A (zh) 一种用于道路货物运输的货物快速装卸装置
US4539877A (en) Sawmill
CN210016994U (zh) 一种半自动西瓜采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