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649B1 - 수집형 배추수확기 - Google Patents

수집형 배추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649B1
KR102247649B1 KR1020200153143A KR20200153143A KR102247649B1 KR 102247649 B1 KR102247649 B1 KR 102247649B1 KR 1020200153143 A KR1020200153143 A KR 1020200153143A KR 20200153143 A KR20200153143 A KR 20200153143A KR 102247649 B1 KR102247649 B1 KR 102247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llection
frame
transfer unit
cab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종
강태경
이상희
강연구
최용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20015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2017/105Driving means for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추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수확물을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트랙터 등에 견인되어 배추 또는 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수확된 배추 또는 무의 이송 및 수집이 가능하여 기존 인력에 의존하였던 배추 또는 무 등의 운반과 수집 등을 포함한 일련의 작업들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수집되는 과정에서 배추 또는 무 등이 낙하하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수확물의 상품가치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수집형 배추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집형 배추수확기{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er}
본 발명은 배추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견인되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배추 또는 무 등 수확물을 수확하여 이송 및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수집형 배추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추의 수확작업은 거의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일손의 부족현상과 노령화에 기인한 농촌의 실정을 감안할 때 작업 능률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생산성 저하는 배추의 수확시기에 따라 적기 수확에 의한 유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결국 농가수입에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한편, 종래에도 농가의 현 실정을 감안하여 각종 구근류의 수확을 위한 수확장치가 다수 개시된 바 있으나, 배추의 수확에 적합한 수확장치가 개발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상기한 수확장치를 이용하여 배추를 뽑아올려 수확한다고 해도 수확된 배추를 특정 장소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후작업이 요구되어 결국 농가의 일손을 덜어주는데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배추를 수확한 후에, 트럭 등 운송수단으로의 상차 작업이 오직 인력으로만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시간 소모가 많은 등 작업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배추의 수집시 인력 또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박스, 비닐 또는 자루 등에 일정량을 겹겹이 쌓는 과정에서 낙하 충격에 의해 배추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00180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랙터 등에 견인되어 배추 또는 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수확된 배추 또는 무를 이송 및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되는 배추 또는 무가 낙하하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절첩식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 구성에 의해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이동 시 공간 활용과 이동성이 우수한 수집형 배추수확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는 수확물을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는 견인수단에 견인 또는 체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서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도록 장착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후단에 연하여 평면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경사면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동되는 제 1회동부와, 상기 제 1회동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 1회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회동부를 포함하는 절첩유닛; 상기 경사면부, 평면부, 제 1회동부 및 제 2회동부 간을 따라 장착되어 궤도운동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유닛 또는 절첩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집부는 상기 평면부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 1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원호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이격된 상부영역을 마감하는 제 1완충판; 및 상기 제 1프레임 간 간격에서 상기 제 1완충판을 제외한 개구된 하부영역인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완충부재; 한 쌍의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단에 제 2힌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바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는 제 2완충판;을 포함하는 제 2완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에,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1탄성체 및 제 2탄성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 1힌지를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집부의 높이조절에 따라 수확물은 상기 제 2완충부재의 선단측 또는 후단측 중 일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줄의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줄의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의 제 2힌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써, 상기 결합프레임은 'V'자 형태로 마련되며, 'V'자의 절곡된 지점이 상기 평면부에 결합되며, 그 일단과 타단은 상기 제 1프레임의 이격된 두 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는 트랙터 등에 견인되어 배추 또는 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수확된 배추 또는 무의 이송 및 수집이 가능하여 기존 인력에 의존하였던 배추 또는 무의 운반과 수집 등을 포함한 일련의 작업들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집되는 과정에서 배추 또는 무가 낙하하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수확물의 상품가치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가 수집부재에 적재된 수확물의 양에 따라 작동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가 수집부재에 적재된 수확물의 양에 따라 작동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 및 수집부(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이송부(1)는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견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배추 또는 무 등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수확된 배추 또는 무(이하, 수확물이라함)를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부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0), 이송유닛(20), 절첩유닛(30), 이송벨트(40) 및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수확된 수확물을 선단측인 수확지로부터 후단측에 배치된 수집부(4)까지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유닛(10)은 복수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 등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유닛(10)은 견인식 또는 부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체결 구조가 적용되어 트랙터와 같은 견인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견인식의 체결 구조가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견인수단에 견인 또는 체결되기 위한 연결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10)은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연결된 견인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 등의 구동원으로 활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본체유닛(10)의 상부에서 마련되는 경사면부(200)와 평면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부(200)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의 경사 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평면부(210)는 상기 경사면부(200)의 후단에 연하여 일정한 평면 이송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210)는 상기 경사면부(2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수확물의 이송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200)의 후단에 수평 상태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배추수확기의 이동이나 보관시에는 부피가 줄도록 상기 경사면부(200)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사면부(200)에는 상기 평면부(210)와 대향하는 후단이 상기 평면부(210)의 선단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평면부(2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첩유닛(30)은 상기 경사면부(200)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회동부(300)와, 상기 제 1회동부(300)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 1회동부(300)의 상부면을 향하는 즉,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 2회동부(31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 수확지가 위치한 방향을 '선단' 또는 '선단측'(도 2에서 우측방향)이라 정의하고 상기 수집부(4)가 배치되는 방향을 '후단' 또는 '후단측'(도 2에서 좌측방향)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송벨트(40)는 상기 경사면부(200), 평면부(210), 제 1회동부(300) 및 제 2회동부(310)에 걸쳐 장착되어 궤도 운동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40)는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재질로 선택되거나 또는 복수의 단위평판이 상호 힌지 연결된 구조로 선택됨으로써 상기 이송유닛(20) 또는 절첩유닛(30)의 회동에 따른 절첩 상태에서도 그 외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부(200), 평면부(210), 제 1회동부(300) 및 제 2회동부(310)는 각각 내부 공간과 양측벽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부호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벨트(40)의 안정적인 궤도 운동과 지지를 위하여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각 측판(부호 미도시)의 내측면에 상기 이송벨트(40)가 접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40)는 일정 간격을 따라 수직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구획판(400)이 마련되어 수확물의 이송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수확물이 상기 경사면부(200)의 경사 구간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이송유닛(20) 또는 절첩유닛(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40)의 궤도 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5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평면부(21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평면부(210)의 양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을 상호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동력전달부재(500) 및 상기 평면부(210)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며 그 외주연에는 상기 이송벨트(40)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00)는 체인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은 상기 체인에 맞물리는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40)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의 기어는 적합한 회전비를 갖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 다양한 모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유압모터가 적용될 경우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 및 유압라인의 경로 설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1)는, 상기 이송유닛(20)의 평면부(210)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40)를 통해 이동하는 객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센서모듈(6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40)로 부여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객체는 본 발명의 수집장치에 의한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수확물 즉 배추 또는 무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60)은 수확농작물이 평면부(210)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집되지 못한 상태로 계속 이송되어 평면부(210)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이송 구간을 벗어나 후단으로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센서모듈(60)의 객체 감지 시에 상기 구동수단(50)의 구동이 정지되게 함으로써 수확농작물의 낙하로 인한 상처로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이송부(1)는 컨베이어를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을 분리 구성하면서 상기 절첩유닛(30)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수집장치의 이동이나 보관 시에는 상기 절첩유닛(30)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하고, 농작물의 수확 시에는 수확지에 컨베이어를 최대한 근접 배치시켜 수확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4)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수집부(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1)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C)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집부(4)는 결합프레임(41), 제 1완충부재(42), 제 2완충부재(43) 및 탄성줄(4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프레임(41)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의 일 구성인 평면부(210)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 1힌지(411)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 1힌지(411)에는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상기 결합프레임(41)의 회전각 조절과 회전각을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회전제어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회전제어부(미도시)는 그 회전각 조절과 고정을 위한 다양한 종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41)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V'자의 뾰족한 절곡지점(412)이 상기 평면부(210)에 힌지결합되고 'V'자의 양단부인 제 1단(413) 및 제 2단(414)은 각각 상기 제 1프레임(421)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도 2 등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평면부(210)로부터 비교적 하중이 큰 수확물(C)이 지속적으로 이하의 제 1완충부재(42) 및 제 2완충부재(43)에 낙하하면서 전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단(413)은 상기 제 1프레임(42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단(414)은 상기 제 1프레임(421)에 고정되되, 상기 제 1단(413)과 소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완충부재(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421), 제 1완충판(422) 및 개구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프레임(421)은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 상기 결합프레임(41)에 고정되는 것으로, 원호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완충판(422)은 서로 이격된 상기 제 1프레임(421)의 상부영역을 마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423)는 상기 제 1프레임(421) 간 간격에서 상기 제 1완충판(422)을 제외한 개구된 영역인 것으로, 상기 이송부(1)의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들은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수집부(4)가 취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 1완충판(422)을 거친 후 또는 거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개구부(423)를 통과하여 상기 제 2완충부재(43)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완충판(422)과 개구부(423)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원호 형태의 제 1프레임(421) 상에서 5:5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수확물(C)의 종류 또는 무게 등에 따라 제 1완충판(422)의 면적이 더 크게 구성되거나 또는 개구부(423)의 면적이 더 크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제 2완충부재(43)는 제 2프레임(432) 및 제 2완충판(4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제 2프레임(432)은 도면에서와 같이 바형태로써, 그 일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제 1프레임(421)의 하단과 제 2힌지(431)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완충부재(43)는 상기 제 2프레임(432)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완충부재(42) 및 제 2완충부재(43)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고무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완충부재(42) 및 제 2완충부재(43)는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어 테두리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제 1프레임(421) 및 제 2프레임(432) 사이를 마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 1완충부재(42) 및 제 2완충부재(43)는 그 재질에 의해 낙하하는 수확물(C)에 대한 1차적 완충작용이 발현될 수 있으며, 그에 더하여 각 제 1프레임(421) 및 제 2프레임(432) 간 사이 공간에서 그 양측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낙하하는 수확물(C)에 대한 쿠션 작용을 통한 2차적 완충작용이 발현될 수 있는 바, 수확물(C)이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낙하할 때 그 완충 효과가 배가될 수 있어 수확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수확물(C)의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줄(44)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42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432)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배추 또는 무 등 비교적 하중이 큰 수확물(C)이 상기 제 1완충부재(42)를 거쳐 제 2완충부재(43)로 낙하할 때 그 충격에 의해 제 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 2완충부재(43)가 도 3에서 화살표의 ①번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다시 탄성줄(44)에 의해 제 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 2완충부재(43)가 도 3에서 화살표의 ②번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원하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줄(44)의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432)에 고정되되, 바람직하게는 제 2힌지(431)로부터 이격된 그 대향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 2힌지(431)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 2완충부재(43)와 제 1완충부재(42) 간 회전반경을 확보하여 그 완충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집부(4)에 수확물(C)이 수집될 수 있는 자루형태의 수거부재(451)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수집부(4)를 감싸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수거부재(451)는 상기 이송부(1)의 본체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45)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4)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설명에 앞서,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상기 제 1힌지(41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수집부(4)의 높이가 다르게 조절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수거부재(451)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에 따라 상기 수집부(4)의 적절한 회전각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 및 도 5a의 경우 수거부재(451)의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이 비교적 적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거부재(451)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이 적은 경우 상기 수집부(4)로부터 수거부재(451)의 바닥면까지 높이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므로, 수확물(C)이 낙하하면서 수거부재(451)의 바닥면 또는 바닥면에 쌓여있는 다른 수확물(C)과 낙하충격에 의해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4)는 제 1힌지(411)를 기준으로 하측(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완충부재(43)가 수거부재(451)의 바닥면에 인접 배치되어 낙하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상기 제 1완충부재(42)의 제 1완충판(422)으로 완충되어 전달되고, 원호 형태로 구성된 제 1완충판(422)의 구조에 의해 저속의 구름 방식에 의해 하측 개방구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낙하하는 속도가 제어된 수확물(C)은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 2완충판(433)으로 전달되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 2완충판(433)은 제 2힌지(431)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완충판(422)과 제 2완충판(433) 간 회전 각도가 확장하면서 추가적인 완충작용이 발현되면서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완충판(422)과 제 2완충판(433) 간 회전 각도가 확장함에 따라 상기 제 2완충판(433)의 끝단과 수거부재(451)의 바닥면 간 간격이 줄어들어 수확물(C)의 낙하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탄성줄(44)의 작용에 의해 제 1완충판(422)과 제 2완충판(433) 간 화전 각도가 수축하여 추가적으로 이송되는 수확물(C)에 대해 일정한 완충작용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낙하하면서 이송되는 수확물(C)은 그 위치에너지가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원리가 작용하여 수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낙하충격으로부터 수확물(C)을 보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품가치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b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5a 대비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 내측에 보다 많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수집부(4)는 상기 실시 예와 대비하여 제 1힌지(411)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완충부재(43)가 도 5b에서와 같이 적재된 수확물(C)의 최상단에 인접하되 그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그 진행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완충판(422)에 완충된 후 개구부(423)를 통과해 제 2완충판(433)에 완충되면서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는 바, 이때 상기 제 2완충부재(43)는 그 후단측이 아래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확물(C)은 제 2완충판(433)의 후단측으로 낙하하여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게 된다.
또한, 도 5b는 도 4b와 대비하여 수집부(4)가 상기 제 1힌지(411) 기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상기 제 2완충부재(43)는 그 선단측이 아래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수확물(C)은 제 2완충판(433)에 완충된 후 그 선단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집부(4)의 각도 조절에 따라 수확물(C)이 제 2완충부재(43)의 후단측 또는 선단측으로 낙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거부재(451) 내측에 적재되는 수확물(C)은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게 즉, 자동으로 수거부재(451) 내측에서 골고루 적재될 수 있어 인력의 최소화와 수집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c 및 도 5c는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 내측에 가득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수집부(4)는 상기 실시 예 대비 제 1힌지(411)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완충부재(43)가 도 5c에서와 같이 적재된 수확물(C)의 최상단에 인접하되 그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도 4c에서와 같이 개구부(423)를 통과하여 상기 제 2완충판(433)에 바로 낙하한 후 제 2완충부재(43)의 선단측방향으로 유도되어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게 된다.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에 가득 적재되는 경우 수집부(4)가 도 4c 대비 제 1힌지(411)를 중심으로 더 많이 회전함으로써 수확물(C)이 수집부(4)를 거치지 않고 바로 수거부재(451)로 투입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4)는 단계적인 회전제어가 아닌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높이 제어가 가능하므로 수확물(C)의 종류 및 크기 등 작업환경에 따라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우수한 범용성과 최상의 작업효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이송부 4 : 수집부
10 : 본체유닛 20 : 이송유닛
30 : 절첩유닛 40 : 이송벨트
41 : 결합프레임 42 : 제 1완충부재
43 : 제 2완충부재 44 : 탄성줄
45 : 지지대 50 : 구동수단
200 : 경사면부 210 : 평면부
300 : 제 1회동부 310 : 제 2회동부

Claims (7)

  1. 수확물을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집하는 수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견인수단에 견인 또는 체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서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도록 장착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후단에 연하여 평면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경사면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동되는 제 1회동부와, 상기 제 1회동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 1회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회동부를 포함하는 절첩유닛;
    상기 경사면부, 평면부, 제 1회동부 및 제 2회동부 간을 따라 장착되어 궤도운동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유닛 또는 절첩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는
    상기 평면부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 1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원호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이격된 상부영역을 마감하는 제 1완충판; 및 상기 제 1프레임 간 간격에서 상기 제 1완충판을 제외한 개구된 하부영역인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완충부재;
    한 쌍의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단에 제 2힌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바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는 제 2완충판;을 포함하는 제 2완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에,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완충부재 및 제 2완충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줄;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배추수확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 1힌지를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배추수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높이조절에 따라 수확물은 상기 제 2완충부재의 선단측 또는 후단측 중 일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배추수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의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줄의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의 제 2힌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배추수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V'자 형태로 마련되며, 'V'자의 절곡된 지점이 상기 평면부에 결합되며, 그 일단과 타단은 상기 제 1프레임의 이격된 두 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배추수확기.



KR1020200153143A 2020-11-16 2020-11-16 수집형 배추수확기 KR102247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143A KR102247649B1 (ko) 2020-11-16 2020-11-16 수집형 배추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143A KR102247649B1 (ko) 2020-11-16 2020-11-16 수집형 배추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649B1 true KR102247649B1 (ko) 2021-05-04

Family

ID=7591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143A KR102247649B1 (ko) 2020-11-16 2020-11-16 수집형 배추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130B1 (ko) 2022-01-24 2022-09-16 정다운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자주식 배추수집기
KR102452115B1 (ko) 2022-01-24 2022-10-11 정다운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345A (ja) * 1997-03-10 1998-09-22 Kobashi Kogyo Co Ltd 収穫物収納装置
KR20000000180A (ko) 1999-09-28 2000-01-15 신윤호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KR100496009B1 (ko) * 2002-08-21 2005-06-16 대한민국 결구채소 수확기의 수집 및 반출장치
JP2010233466A (ja) * 2009-03-30 2010-10-21 Sasaki Corporation 地下茎作物の収穫装置
KR101006753B1 (ko) * 2009-02-17 2011-01-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렛트 산물적재 이송기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345A (ja) * 1997-03-10 1998-09-22 Kobashi Kogyo Co Ltd 収穫物収納装置
KR20000000180A (ko) 1999-09-28 2000-01-15 신윤호 무, 배추등 농산물을 밭에서 트럭으로 운반 상차하는다단계 연결용 컨베이어
KR100496009B1 (ko) * 2002-08-21 2005-06-16 대한민국 결구채소 수확기의 수집 및 반출장치
KR101006753B1 (ko) * 2009-02-17 2011-01-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렛트 산물적재 이송기계장치
JP2010233466A (ja) * 2009-03-30 2010-10-21 Sasaki Corporation 地下茎作物の収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130B1 (ko) 2022-01-24 2022-09-16 정다운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자주식 배추수집기
KR102452115B1 (ko) 2022-01-24 2022-10-11 정다운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649B1 (ko) 수집형 배추수확기
KR102247648B1 (ko) 배추 수확량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
CN109475087A (zh) 甘蔗收割机
US2788141A (en) Tobacco cropping machine
US6925792B2 (en) Tree-fruit harvester including deflector with pivoting upper por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6220810B1 (en) Chain driven belt discharge apparatus and method
CN203219733U (zh) 联合收割机的谷粒搬送储存结构
CN104488451A (zh) 一种用于切段式甘蔗收割机的可折叠刮板式输送臂
CN207022504U (zh) 花生收获机
US6938403B2 (en) Fruit harvester including telescoping boom and related methods
US7032370B2 (en) Fruit trailer for fruit harves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4493601A (en) High capacity, self-unloading forage hopper
KR20220121395A (ko)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US6945022B2 (en) Fruit harvester including pivotable fruit deflector and associated methods
JP5782693B2 (ja) 根菜類収穫機
EP3797572B1 (en) Root crop harvester comprising an elevator for lifting root crops
US3543495A (en) Harvesting mechanism
JP4194170B2 (ja) 歩行型結球野菜収穫機
JPH11243741A (ja) 根菜作物の収穫機
US3034635A (en) Harvesting apparatus
JP2013169150A (ja) 収穫機の作業部の高さ調節構造
CN113242689B (zh) 用于采收具有均匀成熟度的水果的机器、及相关方法
JP5477021B2 (ja) 根菜類収穫機
CN217836159U (zh) 一种蓝莓采摘、选果、称重、包装一体机
KR102432064B1 (ko)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