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395A -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395A
KR20220121395A KR1020210025376A KR20210025376A KR20220121395A KR 20220121395 A KR20220121395 A KR 20220121395A KR 1020210025376 A KR1020210025376 A KR 1020210025376A KR 20210025376 A KR20210025376 A KR 20210025376A KR 20220121395 A KR20220121395 A KR 2022012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ading
cabbage
coupling memb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772B1 (ko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21002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65G57/11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the conveyor being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 작동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본체부를 포함하고 수확물을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리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이 적재되거나 상기 수확물을 인접 거리로 운반하는 적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면서 이송부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장착되는 경사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이며, 이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자동화 운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로 인한 효과로 배추수확지에서 인접 위치로 배추를 운반할 때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수확물 적재시 톤백적재형, 상자적재형, 트레일러운반적재형, 트럭적재형 등 용도에 따라 적재 장치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Cabbage collection unit with optional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지에서 배추 등의 농작물을 수확과 동시에 인접지역으로 배추를 손상 없이 자동으로 대량 이송시키고 이를 수집할 수 있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추는 우리 식생활에서 사계절 없어서 안 되는 김치의 주재료로 쓰이는 채소로 전국적인 재배 분포를 가질 뿐만 아니라 봄 배추, 여름 배추, 가을 및 월동 배추 등 연중 재배된다. 이와 같은 배추의 수확작업은 일반적으로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일손의 부족현상과 노령화에 기인한 농촌의 실정을 감안할 때, 작업능률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며, 이러한 생산성 저하는 배추의 수확시기에 따라 적기 수확에 의한 유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결국 농가수입에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까지 수확지에서 인접 적재장소로 배추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장치를 선보이고 있으나 장치의 운반 및 보관에 대한 부담과 배추 수확 후 이를 인접한 트럭에 적재하기 위해 다시 수고를 해야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0366766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트랙터로 견인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배추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배추를 수집하여 컨베이어에 올려 놓음으로서 이송 및 적재할 수 있고, 또한 접이식 구조를 채택하여 화물 차량에 본 발명의 장치를 적재하여 장치 운반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선택형 적재장치를 도입하여 필요에 따라 수확물을 이송 또는 적재할 수 있는 배추수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 작동하는 리프트가 구비된 본체부를 포함하고 수확물을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리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이 적재되거나 상기 수확물을 인접 거리로 운반하는 적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면서 이송부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장착되는 경사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상향 경사를 갖도록 장착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후단에 연하여 평면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경사면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동되는 제1회동부와, 상기 제1회동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1회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부를 포함하는 절첩유닛; 상기 경사면부, 평면부, 제1회동부 및 제2회동부 간을 따라 장착되어 궤도운동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유닛 또는 절첩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에 평행면을 가지는 결합부재, 상기 본체부 후단 상부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거나 상기 본체부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되는 톤백걸이부 및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평행면에 장착되어 톤백이 안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적재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타단은 상기 선택된 경사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의 하강 시 상기 선택된 경사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적재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타단은 상기 결합부재 외측면에 핀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의 하강시 상기 결합부재가 본체부의 후단측으로 회동 되게 하는 제2체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수확물이 담긴 상자가 안치되도록 평행면을 가지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테두리에 직립으로 마련되는 가이드 및,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 테두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평행면에 접혀지거나 평행면으로부터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지게 회동되는 확장부 전개시 상기 평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연직방향으로 회동축이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일측이 상기 결합부재의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가지는 하향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연직방향으로 회동축이 마련되는 결합부재 및 일측이 상기 결합부재의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간격으로 구획막이 형성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이송부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는 상기 평면부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1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원호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이격된 상부영역을 마감하는 제1완충판; 및 상기 제1프레임 간 간격에서 상기 제1완충판을 제외한 개구된 하부영역인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부재;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에 제2힌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바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는 제2완충판;을 포함하는 제2완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완충부재 및 제2완충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줄;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수집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1힌지를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수집부의 높이조절에 따라 수확물은 상기 제2완충부재의 선단측 또는 후단측 중 일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는 자동화 운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로 인한 효과로 배추수확지에서 인접 위치로 배추를 운반할 때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배추 수확 작업에 있어, 배추 재배지 등이 밭작물임으로 경사면 또는 굴곡진 지면에 작물을 재배하는 지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컨베이어의 기울기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수확지의 지형에 따라 컨베이어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작업자의 작업 높이에 맞추어 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일 예로 농로 및 도로 이동시 본 발명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절첩 구조를 도입하여 도로폭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동 시 트럭에 탑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일 예로 수확물 적재시 톤백적재형, 상자적재형, 트레일러운반적재형, 트럭적재형 등 용도에 따라 적재 장치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추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추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가 수집부재에 적재된 수확물의 양에 따라 작동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톤백적재형 적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b 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자적재형 적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트레일러운반적재형 적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트럭적재형 적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사조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 는 본 발명의 장치를 운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추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추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가 수집부재에 적재된 수확물의 양에 따라 작동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추수집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 및 수집부(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이송부(1)는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견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배추 또는 무 등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수확된 배추 또는 무(이하, 수확물이라함)를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부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이송유닛(20), 절첩유닛(30), 이송벨트(40) 및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수확된 수확물을 선단측인 수확지로부터 후단측에 배치된 수집부(4)까지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복수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 등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부(10)는 견인식 또는 부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체결 구조가 적용되어 트랙터와 같은 견인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견인식의 체결 구조가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견인수단에 견인 또는 체결되기 위한 연결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연결된 견인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 등의 구동원으로 활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마련되는 경사면부(200)와 평면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부(200)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의 경사 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평면부(210)는 상기 경사면부(200)의 후단에 연하여 일정한 평면 이송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210)는 상기 경사면부(2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수확물의 이송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200)의 후단에 수평 상태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배추수확기의 이동이나 보관시에는 부피가 줄도록 상기 경사면부(200)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사면부(200)에는 상기 평면부(210)와 대향하는 후단이 상기 평면부(210)의 선단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평면부(2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첩유닛(30)은 상기 경사면부(200)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회동부(300)와, 상기 제1회동부(300)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1회동부(300)의 상부면을 향하는 즉,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2회동부(31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 수확지가 위치한 방향을 '선단' 또는 '선단측'(도 2에서 우측방향)이라 정의하고 상기 수집부(4)가 배치되는 방향을 '후단' 또는 '후단측'(도 2에서 좌측방향)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송벨트(40)는 상기 경사면부(200), 평면부(210), 제1회동부(300) 및 제2회동부(310)에 걸쳐 장착되어 궤도 운동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40)는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재질로 선택되거나 또는 복수의 단위평판이 상호 힌지 연결된 구조로 선택됨으로써 상기 이송유닛(20) 또는 절첩유닛(30)의 회동에 따른 절첩 상태에서도 그 외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부(200), 평면부(210), 제1회동부(300) 및 제2회동부(310)는 각각 내부 공간과 양측벽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부호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벨트(40)의 안정적인 궤도 운동과 지지를 위하여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각 측판(부호 미도시)의 내측면에 상기 이송벨트(40)가 접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40)는 일정 간격을 따라 수직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구획판(400)이 마련되어 수확물의 이송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수확물이 상기 경사면부(200)의 경사 구간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이송유닛(20) 또는 절첩유닛(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40)의 궤도 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5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평면부(21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평면부(210)의 양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을 상호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동력전달부재(500) 및 상기 평면부(210)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며 그 외주연에는 상기 이송벨트(40)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00)는 체인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은 상기 체인에 맞물리는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40)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의 기어는 적합한 회전비를 갖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 다양한 모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유압모터가 적용될 경우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 및 유압라인의 경로 설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1)는, 상기 이송유닛(20)의 평면부(210)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40)를 통해 이동하는 객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센서모듈(6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40)로 부여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객체는 본 발명의 수집장치에 의한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수확물 즉 배추 또는 무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60)은 수확농작물이 평면부(210)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집되지 못한 상태로 계속 이송되어 평면부(210)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이송 구간을 벗어나 후단으로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센서모듈(60)의 객체 감지 시에 상기 구동수단(50)의 구동이 정지되게 함으로써 수확농작물의 낙하로 인한 상처로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이송부(1)는 컨베이어를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을 분리 구성하면서 상기 절첩유닛(30)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수집장치의 이동이나 보관 시에는 상기 절첩유닛(30)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하고, 농작물의 수확 시에는 수확지에 컨베이어를 최대한 근접 배치시켜 수확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4)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수집부(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1)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C)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집부(4)는 결합프레임(41), 제1완충부재(42), 제2완충부재(43) 및 탄성줄(4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프레임(41)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의 일 구성인 평면부(210)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1힌지(411)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1힌지(411)에는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상기 결합프레임(41)의 회전각 조절과 회전각을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회전제어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회전제어부(미도시)는 그 회전각 조절과 고정을 위한 다양한 종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41)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V'자의 뾰족한 절곡지점(412)이 상기 평면부(210)에 힌지결합되고 'V'자의 양단부인 제1단(413) 및 제2단(414)은 각각 상기 제1프레임(421)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도 2 등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평면부(210)로부터 비교적 하중이 큰 수확물(C)이 지속적으로 이하의 제1완충부재(42) 및 제2완충부재(43)에 낙하하면서 전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단(413)은 상기 제1프레임(42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단(414)은 상기 제1프레임(421)에 고정되되, 상기 제1단(413)과 소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부재(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421), 제1완충판(422) 및 개구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프레임(421)은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 상기 결합프레임(41)에 고정되는 것으로, 원호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판(422)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프레임(421)의 상부영역을 마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423)는 상기 제1프레임(421) 간 간격에서 상기 제1완충판(422)을 제외한 개구된 영역인 것으로, 상기 이송부(1)의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들은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수집부(4)가 취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1완충판(422)을 거친 후 또는 거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개구부(423)를 통과하여 상기 제2완충부재(43)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완충판(422)과 개구부(423)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원호 형태의 제1프레임(421) 상에서 5:5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수확물(C)의 종류 또는 무게 등에 따라 제1완충판(422)의 면적이 더 크게 구성되거나 또는 개구부(423)의 면적이 더 크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제2완충부재(43)는 제2프레임(432) 및 제2완충판(4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제2프레임(432)은 도면에서와 같이 바형태로써, 그 일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421)의 하단과 제2힌지(431)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완충부재(43)는 상기 제2프레임(432)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완충부재(42) 및 제2완충부재(43)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고무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완충부재(42) 및 제2완충부재(43)는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어 테두리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제1프레임(421) 및 제2프레임(432) 사이를 마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완충부재(42) 및 제2완충부재(43)는 그 재질에 의해 낙하하는 수확물(C)에 대한 1차적 완충작용이 발현될 수 있으며, 그에 더하여 각 제1프레임(421) 및 제2프레임(432) 간 사이 공간에서 그 양측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낙하하는 수확물(C)에 대한 쿠션 작용을 통한 2차적 완충작용이 발현될 수 있는 바, 수확물(C)이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낙하할 때 그 완충 효과가 배가될 수 있어 수확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수확물(C)의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줄(44)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42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432)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배추 또는 무 등 비교적 하중이 큰 수확물(C)이 상기 제1완충부재(42)를 거쳐 제2완충부재(43)로 낙하할 때 그 충격에 의해 제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2완충부재(43)가 도 3에서 화살표의 ①번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다시 탄성줄(44)에 의해 제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2완충부재(43)가 도 3에서 화살표의 ②번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원하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줄(44)의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432)에 고정되되, 바람직하게는 제2힌지(431)로부터 이격된 그 대향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2힌지(431)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2완충부재(43)와 제1완충부재(42) 간 회전반경을 확보하여 그 완충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집부(4)에 수확물(C)이 수집될 수 있는 자루형태의 수거부재(451)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수집부(4)를 감싸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수거부재(451)는 상기 이송부(1)의 본체부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45)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4)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설명에 앞서,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상기 제1힌지(41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수집부(4)의 높이가 다르게 조절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수거부재(451)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에 따라 상기 수집부(4)의 적절한 회전각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 및 도 5a의 경우 수거부재(451)의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이 비교적 적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거부재(451)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이 적은 경우 상기 수집부(4)로부터 수거부재(451)의 바닥면까지 높이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므로, 수확물(C)이 낙하하면서 수거부재(451)의 바닥면 또는 바닥면에 쌓여있는 다른 수확물(C)과 낙하충격에 의해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4)는 제1힌지(411)를 기준으로 하측(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완충부재(43)가 수거부재(451)의 바닥면에 인접 배치되어 낙하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상기 제1완충부재(42)의 제1완충판(422)으로 완충되어 전달되고, 원호 형태로 구성된 제1완충판(422)의 구조에 의해 저속의 구름 방식에 의해 하측 개방구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낙하하는 속도가 제어된 수확물(C)은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2완충판(433)으로 전달되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2완충판(433)은 제2힌지(431)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완충판(422)과 제2완충판(433) 간 회전 각도가 확장하면서 추가적인 완충작용이 발현되면서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완충판(422)과 제2완충판(433) 간 회전 각도가 확장함에 따라 상기 제2완충판(433)의 끝단과 수거부재(451)의 바닥면 간 간격이 줄어들어 수확물(C)의 낙하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탄성줄(44)의 작용에 의해 제1완충판(422)과 제2완충판(433) 간 화전 각도가 수축하여 추가적으로 이송되는 수확물(C)에 대해 일정한 완충작용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낙하하면서 이송되는 수확물(C)은 그 위치에너지가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원리가 작용하여 수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낙하충격으로부터 수확물(C)을 보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품가치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b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5a 대비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 내측에 보다 많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수집부(4)는 상기 실시 예와 대비하여 제1힌지(411)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2완충부재(43)가 도 5b에서와 같이 적재된 수확물(C)의 최상단에 인접하되 그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그 진행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완충판(422)에 완충된 후 개구부(423)를 통과해 제2완충판(433)에 완충되면서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는 바, 이때 상기 제2완충부재(43)는 그 후단측이 아래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확물(C)은 제2완충판(433)의 후단측으로 낙하하여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게 된다.
또한, 도 5b는 도 4b와 대비하여 수집부(4)가 상기 제1힌지(411) 기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상기 제2완충부재(43)는 그 선단측이 아래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수확물(C)은 제2완충판(433)에 완충된 후 그 선단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집부(4)의 각도 조절에 따라 수확물(C)이 제2완충부재(43)의 후단측 또는 선단측으로 낙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거부재(451) 내측에 적재되는 수확물(C)은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게 즉, 자동으로 수거부재(451) 내측에서 골고루 적재될 수 있어 인력의 최소화와 수집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c 및 도 5c는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 내측에 가득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수집부(4)는 상기 실시 예 대비 제1힌지(411)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2완충부재(43)가 도 5c에서와 같이 적재된 수확물(C)의 최상단에 인접하되 그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도 4c에서와 같이 개구부(423)를 통과하여 상기 제2완충판(433)에 바로 낙하한 후 제2완충부재(43)의 선단측방향으로 유도되어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게 된다.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에 가득 적재되는 경우 수집부(4)가 도 4c 대비 제1힌지(411)를 중심으로 더 많이 회전함으로써 수확물(C)이 수집부(4)를 거치지 않고 바로 수거부재(451)로 투입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4)는 단계적인 회전제어가 아닌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높이 제어가 가능하므로 수확물(C)의 종류 및 크기 등 작업환경에 따라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우수한 범용성과 최상의 작업효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장치 중 적재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a 내지 도 6d 는 톤백적재형 적재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는 후단에 승강 작동하는 리프트(50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리프트(501)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1)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이 적재되거나 상기 수확물을 인접 거리로 운반하는 적재부(510, 530, 550, 570) 및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부(1)를 지지하면서 이송부(1)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장착되는 경사조정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구성되는 적재부(510, 530, 550, 570)는 리프트(501)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톤백적재형 적재부(510), 상자적재형 적재부(530), 트레일러운반적재형 적재부(550) 및 트럭적재형 적재부(570) 중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먼저 톤백적재형 적재부(510)를 설명한다. 톤백(502)이란 다량의 곡류나 수확물, 소금 기타 물량을 무게로 1톤급 이상 담을 수 있는 대형 마대를 일컬어 부르는 명칭이며,
톤백적재형 적재부(510)는 리프트(501)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에 평행면을 가지는 결합부재(600), 상기 본체부(10) 후단 상부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거나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되는 톤백걸이부(516) 및 대면하는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쌍의 경사판(513)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600)의 평행면에 장착되어 톤백(502)이 안치되는 경사부(512)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리프트(501)는 본체부(10) 후단에 마련되며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리프트(501) 하단과 결합부재(600)는 힌지 결합을 위한 체결부(6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리프트(501)와 결합부재(600)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재(600)는 회동 시 본체부(10)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장치를 운반할 때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톤백적재형 적재부(510)에 사용되는 결합부재(600)는 제1부재(601) 및 제2부재(602)의 체결로 구성되며, 제1부재(601)는 상측에 결합부(603)가 형성되며 제2부재(602)의 일단이 상기 결합부(603)에 결합된다. 리프트(501) 하단에 마련된 체결부(620)는 후단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603)와 힌지 결합되고, 결합부재(600)가 리프트(501)와 결합되어 후단측으로 평행면을 이루도록 펼쳐졌을 때 제1부재(601)의 일측이 상기 리프트(501) 하단과 걸림이 이루어져 본체부(10)와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톤백(502)에 수확물이 대량으로 담겼을 경우 이를 수월하게 하역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경사부(512)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512)는 한 쌍의 경사판(513)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600) 상면에 놓여지며 힌지 결합부위가 경사부(512)의 정상을 이루고 양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부(512)의 형상으로 인해 톤백(502)에 수확물이 적재될 때 중앙에 수확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측으로 분산시켜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톤백(502)을 수월하게 하역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일정 길이로 구성되는 제1체인(51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체인(514)의 일단은 본체부(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경사판(513)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톤백적재형 적재부(510)에서 톤백(502)이 하역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리프트(501)를 하강시키면 본체부(10)와 경사판(513)이 제한된 길이로 구성되는 제1체인(514)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경사판(513)이 중앙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향 회동되게 되며 경사부(512) 상면에 놓여 있던 톤백(502)이 일측으로 기울게 된다. 따라서 톤백(502)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경사부(512)에서 미끄러지며 이를 이용하여 톤백(502)을 경사부(512)에서 내릴 수 있다.
또한, 적재부(510)를 본체부(10)에 밀착되게 접을 수 있고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제2체인(515)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체인(515) 또한 제한된 길이로 구성되며 일단은 본체부(10) 상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결합부재(600) 외측면에 핀 결합되며, 리프트(501)가 하강시 제한된 제2체인(515)의 길이로 인해서 톤백적재형 적재부(510)는 리프트(501)와 힌지 결합된 체결부(62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고 이후 작업자가 일정 각도 회동된 적재부(510)를 본체부(10)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톤백적재형 적재부(510)의 일 구성으로서 톤백걸이부(516)를 설명한다.
톤백걸이부(516)는 바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일단에 톤백을 걸수 있는 걸이부(517) 및 몸체의 선택된 지점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본체부(10)와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5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톤백걸이부(516)는 본체부(10) 후단측으로 펼쳐지며 지지대(519)를 고정하여 펼쳐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자적재형 적재부(530) 실시 예를 설명한다.
수확된 배추는 즉석에서 상자에 담겨 적재부(530)에 쌓일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자적재형 적재부(530)는, 리프트(501)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수확물이 담긴 상자가 안치되도록 평행면을 가지는 결합부재(600), 상기 결합부재(600)의 일측 테두리에 직립으로 마련되는 가이드(533) 및 상기 결합부재(600)의 타측 테두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600)의 평행면에 안치되도록 접혀지거나 또는 평행면으로부터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펼쳐지게 회동되는 제1확장부(531)를 포함하다.
그리고 상기 상자적재형 적재부(530)는 본체부(10)의 측면에 상자를 쌓을 수 있는 제2확장부(532)가 더 구성될 수 있고, 상자적재형 적재부(530)와 제1확장부(531) 및 제2확장부(532)를 펼쳐 작업공간 내지 적재공간 등의 확장된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이에 작업자가 상기 작업공간에 탑승하여 상자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트레일러운반적재형 적재부(550)를 설명한다.
트레일러운반적재형 적재부(550)는 수확된 배추를 곧바로 인접한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에 이송시키기 위한 실시 예이다.
트레일러운반적재형 적재부(550)는, 리프트(501)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연직방향으로 회동축(551)이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방향전환에 이점이 있는 결합부재(600)와, 일측이 결합부재(600)의 회동축(5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가지는 하향 슬라이드(5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향 슬라이드(552)에는 수확물이 미끄러질 때 수확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측면에 벽면이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트럭적재형 적재부(570)를 설명한다.
앞서 실시 예에 따른 하향 슬라이드(552)에 수확물이 놓여질 경우, 수확물의 자중으로 인해 인접한 트레일러에 이송될 수 있으나 하향 경사가 형성되기 어려운 환경에 트레일러가 위치하게 되면 이를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한 적재부(570)의 실시 예로서 트럭적재형 적재부(570)가 활용될 수 있다.
트럭적재형 적재부(570)는 리프트(501)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연직방향으로 회동축(551)이 마련되는 결합부재(600) 및 일측이 결합부재(600)의 회동축(5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간격으로 구획막이 형성되는 컨베이어(5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트레일러운반적재형 적재부(570)는 컨베이어(553)의 구동으로 인해서 이송부(1)로부터 전달되는 수확물을 선택된 위치나 선택된 방향까지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 은 경사조정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경사조정부(700)는 이송부(1)와 본체부(10)의 상대적 높이 및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실린더(7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가 선단측 또는 후단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 은 본 발명의 장치가 운반수단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도시한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절첩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량에 실려 운송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트랙터 등의 운송수단으로 견인되어 수확지로 이송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501 : 리프트 502 : 톤백
512 : 경사부 513 : 경사판
514 : 제1체인 515 : 제2체인
516 : 톤백걸이부 517 : 걸이부
519 : 지지대 531 : 제1확장부
532 : 제2확장부 533 : 가이드
510 : 톤백적재형 적재부
530 : 상자적재형 적재부
550 : 트레일러운반적재형 적재부
570 : 트럭적재형 적재부

Claims (11)

  1. 수확물을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며 승강 작동하는 리프트가 후단에 구비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리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이 적재되거나 상기 수확물을 인접 거리로 운반하는 적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면서 이송부의 기울기와 전, 후방 이동을 조정하도록 장착되는 경사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상향 경사를 갖도록 장착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후단에 연하여 평면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경사면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동되는 제1회동부와, 상기 제1회동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1회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부를 포함하는 절첩유닛;
    상기 경사면부, 평면부, 제1회동부 및 제2회동부 간을 따라 장착되어 궤도운동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유닛 또는 절첩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에 평행면을 가지는 결합부재,
    상기 본체부 후단 상부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거나 상기 본체부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되는 톤백걸이부 및
    대면하는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평행면에 장착되어 톤백이 안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타단은 상기 선택된 경사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의 하강 시 상기 선택된 경사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타단은 상기 결합부재 외측면에 핀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의 하강시 상기 결합부재가 본체부의 후단측으로 회동 되게 하는 제2체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수확물이 담긴 상자가 안치되도록 평행면을 가지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테두리에 직립으로 마련되는 가이드 및,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 테두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평행면에 안치되도록 접혀지거나 평행면으로부터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펼쳐지게 회동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연직방향으로 회동축이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일측이 상기 결합부재의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가지는 하향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연직방향으로 회동축이 마련되는 결합부재 및
    일측이 상기 결합부재의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간격으로 구획막이 형성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는
    상기 평면부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1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원호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이격된 상부영역을 마감하는 제1완충판; 및 상기 제1프레임 간 간격에서 상기 제1완충판을 제외한 개구된 하부영역인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부재;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에 제2힌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바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는 제2완충판;을 포함하는 제2완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완충부재 및 제2완충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줄;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1힌지를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높이조절에 따라 수확물은 상기 제2완충부재의 선단측 또는 후단측 중 일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KR1020210025376A 2021-02-25 2021-02-25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KR102603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76A KR102603772B1 (ko) 2021-02-25 2021-02-25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76A KR102603772B1 (ko) 2021-02-25 2021-02-25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95A true KR20220121395A (ko) 2022-09-01
KR102603772B1 KR102603772B1 (ko) 2023-11-16

Family

ID=8328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376A KR102603772B1 (ko) 2021-02-25 2021-02-25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7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600A (ja) * 1992-03-28 1994-05-27 Mitsui Constr Co Ltd 建築資材用積降し装置
KR100366766B1 (ko) 2000-07-28 2003-01-09 주식회사 삼력테크 배추 수확장치
KR102127286B1 (ko) * 2020-02-07 2020-06-26 정다운 절첩식 구조를 갖는 농작물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600A (ja) * 1992-03-28 1994-05-27 Mitsui Constr Co Ltd 建築資材用積降し装置
KR100366766B1 (ko) 2000-07-28 2003-01-09 주식회사 삼력테크 배추 수확장치
KR102127286B1 (ko) * 2020-02-07 2020-06-26 정다운 절첩식 구조를 갖는 농작물 수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772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90965A (en) Collapsible vegetable packing apparatus
US3964244A (en) Tree shaker and fruit and nut harvester
KR102127286B1 (ko) 절첩식 구조를 갖는 농작물 수집장치
CA2398015A1 (en) Telescoping tube conveyor
KR102247649B1 (ko) 수집형 배추수확기
KR102138108B1 (ko) 과일 집하장치
US6925792B2 (en) Tree-fruit harvester including deflector with pivoting upper por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220121395A (ko) 선택적 적재장치를 구비한 배추수집장치
ES2211350A1 (es) Maquina recolectora clasificadora y envasadora de cebollas, tuberculos, productos hortofruticolas y otros frutos del suelo.
US6938403B2 (en) Fruit harvester including telescoping boom and related methods
US2576992A (en) Harvesting machine
US7032370B2 (en) Fruit trailer for fruit harves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207022504U (zh) 花生收获机
US4493601A (en) High capacity, self-unloading forage hopper
US5380142A (en) Drop chute extension for a shuttle dumping transport vehicle for harvested cotton
JP2000125643A (ja) 乗用型茶樹摘採機
US6945022B2 (en) Fruit harvester including pivotable fruit deflector and associated methods
JP3956002B2 (ja) 穀類搬送用容器
US4345655A (en) Rock picker with storage conveyors
EP3797572B1 (en) Root crop harvester comprising an elevator for lifting root crops
US3592331A (en) Watermelon harvesting machine
US5826947A (en) Fold-out chute extension for a shuttle dumping transport vehicle for harvested cotton
JP3380866B2 (ja) 茶畝跨走型茶刈機における刈取茶の荷捌き装置
US3034635A (en) Harvesting apparatus
JPH02209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