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115B1 -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115B1
KR102452115B1 KR1020220010073A KR20220010073A KR102452115B1 KR 102452115 B1 KR102452115 B1 KR 102452115B1 KR 1020220010073 A KR1020220010073 A KR 1020220010073A KR 20220010073 A KR20220010073 A KR 20220010073A KR 102452115 B1 KR102452115 B1 KR 10245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arvest
weight
ring
ton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다운
이영환
유정영
최승수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22001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8Crane hooks adapted for automatic disengagement from loads on release of cable t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5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deforming the articles, e.g. by using gripping members such as tongs or grapples
    • B66C1/59Tongs for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현장을 이동시키는 본체 이송부가 구비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수거 장치 본체와 상기 수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수확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거하는 톤백이 구비되고, 상기 톤백에서 수거되는 수확물량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며 상기 톤백을 지지하되, 상기 톤백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에 해당하면 상기 톤백을 연결시키는 톤백 고리를 이탈시키는 수확물 수거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무게에서 고리를 자동으로 이탈시켜 작업자의 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고, 추가적으로 해제 작업을 실시하지 아니하게 되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톤백 고리를 자동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톤백의 무게를 설정하여 편의성이 향상되며, 사용자가 톤백의 무게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고리를 이탈시키기 때문에 톤백에 수거된 수확물의 무게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어서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이송시 톤백의 무게를 재측정하지 않게 되어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SELF-SUSTAINING CABBAGE COLLECTOR SYSTEM THAT CAN MEASURE YIELD}
본 발명은 톤백 고리를 일정한 무게에서 자동으로 이탈시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추 등 채소의 수확작업은 거의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일손의 부족현상과 노령화에 기인한 농촌의 실정을 감안할 때 작업 능률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생산성 저하는 채소의 수확시기에 따라 적기 수확에 의한 유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결국 농가수입에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여기서, 톤백이라 함은 비료, 광물, 화학원료, 곡물 등과 같은 수확물을 많이 담을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수확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해 운반할 때 혹은 포장 등으로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톤백은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로서 상단 테두리에는 2개 내지 3개 이상의 톤백 고리가 형성되고, 톤백 고리는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 등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톤백이 구비되어 톤백에 수확물을 수거시키는 수거장치는 수확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유닛은 본체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수확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수확물이 이송되는 방향의 이송유닛 단부에는 톤백이 구비되어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수확물이 톤백에 낙하하며 수거된다.
수확물이 톤백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톤백에 수거될 수 있도록 톤백 고리를 수확물이 낙하하는 위치에서 수확 장치 상부측의 후크에 각각 걸어 톤백 내부를 개방시켜 수확물을 수거한다.
이때, 톤백 고리가 작업자의 키보다 높은 후크에 걸림되었을 경우 후크로부터 톤백 고리의 해제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톤백 내부에 수확물이 있는 상황에서는 수확물이 무너지거나 작업자가 톤백의 높이보다 높은 곳으로 올라가서 해제하려 할 때 바닥이 고르지 못한 작업현장에서는 작업자가 낙상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톤백에 수거된 수확물들은 톤백 내에 같은 수위에 수확물이 있더라도 수확물에 따라 무게(중량)가 다르기 때문에 운송수단에 의해 이송할 경우 이송할 수 있는 무게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7649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7286호
본 발명은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톤백 고리가 높은 후크에 걸림되었을 경우에도 안전하게 해제할 수 있는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톤백에 수용되는 수확물들의 무게를 추가로 측정하지 않아도 되는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현장을 이동시키는 본체 이송부가 구비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수거 장치 본체와 상기 수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수확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거하는 톤백이 구비되고, 상기 톤백에서 수거되는 수확물량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며 상기 톤백을 지지하되, 상기 톤백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에 해당하면 상기 톤백을 연결시키는 톤백 고리를 이탈시키는 수확물 수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확물 수거부는, 상기 수거 장치 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수확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마련된 톤백 고정 프레임과, 상기 톤백이 구비되고, 상기 수거 장치 본체에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리프트 및 상기 톤백 고리가 연결되어 상기 톤백 고정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톤백 고리를 지지하다가 상기 톤백 내부에 수거되는 수확물량이 미리 설정된 무게가 되면 상기 톤백 고리를 이탈시키는 톤백 고리 이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톤백 고리 이탈부는, 상기 톤백 고리가 연결되는 후크부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후크 조절부 및 상기 톤백을 지지하되, 상기 톤백에서 수거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딩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조절 바디와, 상기 후크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후크부를 작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는, 상기 수거 장치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는, 상기 톤백의 수거되는 수확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무게에서 고리를 자동으로 이탈시켜 작업자의 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고, 추가적으로 해제 작업을 실시하지 아니하게 되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톤백 고리를 자동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톤백의 무게를 설정하여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톤백의 무게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고리를 이탈시키기 때문에 톤백이 수용하는 수확물의 무게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어서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이송시 톤백의 무게를 재측정하지 않게 되어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일러의 적재되는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사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농기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일러의 적재되는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사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농기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일러의 적재되는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사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농기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수확물 수거장치(1)는 수거 장치 본체(2), 수거 장치 본체(2)를 이송시키는 본체 이송부(2a), 수확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3),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거하는 수확물 수거부(4)를 포함한다.
수거 장치 본체(2)는 이송유닛(3), 수확물 수거부(4)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타측에 수확물(C)을 수거하는 수확물 수거부(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거 장치 본체(2)는 수거 장치 본체(2)를 이송시키는 본체 이송부(2a)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 장치 본체(2)는 일측에 이송유닛(3)이 연결되어 수거 장치 본체(2)의 타측으로 수확물(C)을 이송시킬 수 있다.
구동수단은 수거 장치 본체(2)에 장착되어 본체 이송부(2a), 이송유닛(3), 수확물 수거부(4)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구동모터, 구동축과, 본체 이송부(2a), 이송유닛(3), 수확물 수거부(4)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구동기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 및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 이송부(2a)는 수거 장치 본체(2)를 작업현장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 이송부(2a)는 작업현장의 고르지 않은 지면에서도 이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퀘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이송유닛(3)은 수거 장치 본체(2)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수확물(C)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유닛(3)은 수확물(C)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이송벨트), 트레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유닛(3)은 무게가 있는 수확물(C)을 수회 이송시키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이송벨트)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수확물(C)의 무게와 이송유닛(3)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절첩식의 트레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송유닛(3)은 절첩식의 트레일로 절첩되는 위치에서 회동에 따른 절첩 상태에서도 그 외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송유닛(3)은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안정적인 궤도 운동과 지지를 위하여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각 측판 사이에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유닛(3)은 일정 간격을 따라 수확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구획판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이송유닛(3)은 수확물(C)의 이송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으며, 수확물(C)이 경사 구간을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확물 수거부(4)는, 톤백 고정 프레임(5), 리프트(6), 톤백(7), 톤백 고리 이탈부(8)를 포함하여 수확물(C)의 이송을 손쉽게 이송시키고, 톤백 내부에 수확물(C)을 적층시킬 수 있다.
톤백 고정 프레임(5)은 이송유닛(3)에 의해 수확물(C)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수거 장치 본체(2)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톤백 고정 프레임(5)은 수거 장치 본체(2)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은 복수개가 이송유닛(3)을 사이에 두고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거 장치 본체(2)에 고정브라켓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브라켓은 클램프형일 수 있으며, 클램프는 고정형 클램프, 회전형 클램프 중 어느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는 고정 프레임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송유닛(3)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에 구비되되 수확물(C)에 방해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프레임은 톤백(7)의 지지로 인한 힘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사각형상으로 구비되고, 수확물(C)이 이송유닛(3)에서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톤백 고리 이탈부(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톤백 고리 이탈부(8)는 고정 프레임에서 톤백(7)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리프트(6)는 톤백(7)이 상측에 마련되고, 고정 프레임의 하측에서 상하강하도록 수거 장치 본체(2)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6)는 톤백(7)에 수거되는 수확물(C)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리프트(6)가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리프트(6)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하강(리프팅)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트(6)는 톤백(7)에 수확물(C)이 없을 경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상승해 있다가 수확물(C)이 적층(수거)되면서 리프트(6)에 가해지는 무게가 커지면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톤백 고리(7b)는 톤백 고리 이탈부(8)에 의해 지지되어 톤백(7)은 펼쳐질 수 있다.
리프트(6)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수확물(C)을 수거하게 되어 수확물(C)의 낙하를 방지하여 수확물(C)의 상품성을 유지시키고,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6)는 전기적 또는 모터, 유압 등에 의해 상승, 하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리프트(6)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리프트(6)는 수거 장치 본체(2)에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톤백(7)은 리프트(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톤백(7)을 이송시킬 수 있다. 또, 리프트(6)의 타측에 이송차를 대기시킨 뒤, 리프트(6)를 회동시키면 톤백(7)의 이송이 더욱 쉬워지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톤백(7)은 수확물(C)이 담기는 톤백 수용부(7a)가 형성되고 수개의 톤백 고리(7b)가 형성되어 리프트(6)의 상측에 마련할 수 있다. 톤백(7)은 톤백 수용부(7a)에 다량의 곡류나 수확물(C), 소금 기타 물량 등의 무게를 1톤급 이상 담을 수 있는 대형 마대를 일컬어 부를 수 있다.
톤백 고리 이탈부(8)는 톤백 고정 프레임(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톤백 고리(7b)를 각각 걸어 톤백(7)을 지지시킬 수 있다. 톤백 고리 이탈부(8)는 톤백(7)에 수확물(C)이 수거(수용)되어 증가되는 톤백(7)의 무게에 의해 톤백 고리 이탈부(8)에서 톤백 고리(7b)를 이탈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톤백 고리 이탈부(8)는 본체(10), 후크부(20), 후크 조절부(30), 손잡이(40), 탄성 지지부(50)를 포함하여, 톤백 고리를 각각 걸어 톤백(7)을 지지하되, 톤백에 수확물이 수거되어 톤백의 증가된 무게에 의해 톤백 고리(7b)를 이탈시킬 수 있다.
본체(10)는 탄성 지지부(5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본체(10)는 바디부(12)와, 바디부(12)를 통과하며 탄성 지지부(50)를 지지하는 지지볼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2)는 측면에 후크형상의 걸이부(16)가 구비되어 사용하지 않는 톤백을 걸어둘 수 있고, 다른 측면 즉, 걸이부(16)와 대향된 바디부(12)의 측면에 후크 조절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디부(12)는 내부에 바디 수용부(121)가 형성되어 탄성 지지부(50)가 수용될 수 있다.
바디부(12)는 바디 수용부(121)로부터 일측이 개구되어 탄성 지지부(50)가 바디 수용부(121)에서 바디부(12) 외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바디부(12)는 원통형 또는 하나 이상의 각을 가지고, 상호 마주하게 관통된 관통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22)은 바디부(12)의 개구된 일측에 마련되고, 관통홀(122)을 통과하는 지지볼트(14)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볼트(14)는 관통홀(122)과 지지부 슬라이딩홀(521)을 통과하며 탄성 지지부(50)의 슬라이딩시 탄성부재 지지판(56)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볼트(14)는 바디부(12) 외부로 일부 돌출되게 관통홀(122)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로 바디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후크부(20)는 후크 고정 바디(22)와, 제 1후크(24), 제 1회전축(25), 제 2후크(26), 제 2회전축(27)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0)는 본체(10) 일단에서 톤백 고리(7b)를 삽입시키고 상호간에 결합시킬 수 있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톤백 고리(7b)가 걸림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후크부(20)는 톤백(7)의 무게에 의해 톤백 고리(7b)를 해제시킬 수 있다.
후크 고정 바디(22)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221a,221b)와,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며 플레이트(221a,221b)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핀(222)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고정 바디(22)는 플레이트(221a,221b) 사이에 제 1후크(24)의 일측과 제 2후크(26)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221a,221b)는 소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마주하게 구비되고, 이격된 사이로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221a,221b)에는 제 1후크(24) 또는 제 2후크(26) 중 어느 하나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수개의 고정핀(222)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핀은 사용자가 설정한 무게에서 톤백 고리(7b)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제 2후크(26)의 회동을 제한한다. 또한, 다른 고정핀은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가 결합하도록 회동할 때 상호간 결합위치에서 과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무게는 후크 조절부(3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후크(24)는 일측이 플레이트(221a,221b)의 사이에서 제 1회전축(2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제 1회전축(25)을 중심으로 플레이트(221a,221b)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제 1후크(24)는 타측이 제 2후크(26)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후크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후크(26)는 제 1후크(24)와 마주하고, 일측이 플레이트(221a,221b)의 사이에서 제 2회전축(2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제 1후크(24)에 의해 제 2회전축(27)을 중심으로 플레이트(221a,221b)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제 2후크(26)는 타측 일단(261)이 후크홈(241)에 인입될 수 있다.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는 상호 접하는 면에 각각 제 1기어(242), 제 2기어(262)가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어, 하나의 후크의 조작에 의해 다른 후크도 동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 1후크(24)가 제 1회전축(25)을 중심으로 회동할 경우, 제 2기어(262)와 맞물린 제 1기어(242)의 움직임으로 제 2후크(26)가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후크(24)는 후크 조절부(30)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후크(26)는 일측이 제 2회전축(27)에 연결되어 제 2회전축(2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8)에 의해 후술하는 탄성 지지부(50)와 함께 제 2후크(26)에 탄성을 제공받아 원복될 수 있다.
후크 조절부(30)는 조절 바디(32), 슬라이딩 부재(34)를 포함하여, 후크부(20)를 작동시키도록 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되고,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동시킬 수 있다.
조절 바디(32)는 바디부(12)의 측면에 바디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제 1후크(24)와 수직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 바디(32)는 길이방향으로 후술하는 손잡이(40)가 슬라이딩되도록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이 관통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34)는 조절 바디(3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34)는 손잡이(40) 또는 톤백(7)의 무게에 의해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34)는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로 구비한 것으로 설명한다.
슬라이딩 부재(34)는 일측이 조절 바디(32)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되는 슬라이딩 바디(341)와, 타측이 제 1후크(24)에 연결되는 연결부(342)가 구비되어 톤백(7)의 무게에 의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디(341)는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과 대응하여 형성된 슬라이딩 홀(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34)는 조절 바디(32)를 사이에 두고 제 1슬라이딩 부재(미도시)와 제 2슬라이딩 부재(미도시)가 손잡이(40)에 의해 조절 바디(32)에 슬라이딩되게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바디(341)는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홀(341a)이 형성되어,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에 맞춰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42)는 슬라이딩 바디(341)로부터 후크부(20)를 향하여 연장되고, 연결부(342)의 단부에 후크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342)의 단부에는 제 1후크(24)가 연결되어 슬라이딩 부재(34)의 슬라이딩으로 제 1후크(24)가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34)는 슬라이딩홀(341a)과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을 통과하는 손잡이(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40)는 슬라이딩 부재(34)를 조절 바디(32)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손잡이(40)는 슬라이딩홀(341a)과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을 통과하며, 슬라이딩 부재(34)를 후크 조절부(3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손잡이(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40)는 슬라이딩 부재(34)와 조절 바디(32)를 통과하는 바아와 슬라이딩 부재(34)와 조절 바디(32)를 통과한 바아에 연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아는 슬라이딩홀(341a)과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 순으로 통과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아는 제 1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홀과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 제 2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홀을 통과하고,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과 제 2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너트가 구비되어 제 1슬라이딩 부재가 조절 바디(32)에 슬라이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바아는 조절 바디(32)의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을 통과하여 여전히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 2슬라이딩 부재가 걸쳐질 수 있고, 이때, 제 2슬라이딩 부재를 통과하며 돌출된 바아에 너트로 고정하여 슬라이딩 부재와 조절 바디를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40)에 의하면, 손잡이(40)가 후크 조절부(3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홀(341a)과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부재(34)가 후크 조절부(3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40)를 슬라이딩(341a)과 조절 바디 슬라이딩홀(32a)에서 슬라이딩시켜 톤백 고리(7b)의 이탈시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작동방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 지지부(50)는 가이드바(52), 탄성부재(54), 지지판(56)을 포함하여 후크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는 바디 수용부(121)에서 바디부(12)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노출된 일부에 후크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는 후크부(20)에 걸린 톤백(7)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신장될 수 있다.
가이드바(52)는 바디부(12)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가이드바(52)의 외주면은 바디부(12)의 내주연에 맞춰 형성되어 바디 수용부(121)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이드바(52)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 지지부 슬라이딩홀(521)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52)는 내부에 탄성부재(54)와, 탄성부재(54)의 이탈을 방지하며, 탄성부재(54)를 지지하는 지지판(56)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56)은 일면에 탄성부재(54)가 배치되고, 탄성부재(54)가 마련된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가이드바(52)의 외부를 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지지판(56)의 타면에는 지지볼트(14)가 배치되어 탄성부재(54)의 이탈을 방지 및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볼트(14)는 관통홀과 후술하는 지지부 슬라이딩홀(521)을 통과한 뒤 다른 관통홀을 통과하는 순서로 지지판(56)을 지지하게 되어, 탄성부재(54)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 지지부(5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바(52)는 후크부(20)에 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바디 수용부에서 슬라이딩되며 탄성부재(54)가 신축되면서 장력을 유지하여 톤백(7)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후크부(20)에서 톤백 고리(7b)를 해제시키면 탄성부재(54)의 장력에 의해 가이드바(52)는 원복하게 되고 후크부(20)는 상승하며, 슬라이딩 부재(34)도 같이 상승하게 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손잡이(40)를 잡아서 상승시키면, 제 1후크(24)가 슬라이딩 부재(34)에 의해 제 1회전축(2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제 2후크(26)와 결합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개방된다.
톤백 고리(7b)를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 사이에 넣고 손잡이(40)를 내려서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를 결합시켜 톤백 고리(7b)가 걸리게 된다.
톤백(7)의 수용부에 수확물(C)이 쌓이게 되면서 톤백(7)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게 되어 후크부(20)에 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후크부(20)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후크부(20)가 하강하게 되면서 탄성 지지부(50)도 슬라이딩되고, 손잡이(40)도 후크 조절부(30)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손잡이(40)를 슬라이딩시켜 고정시킨 미리 설정한 중량에 해당하면, 손잡이(40)는 조절 바디(32)에 걸림되어 더 이상 제 1후크(24)가 내려가지 않게 되면서, 제 1후크(24)는 제자리에 머물게 된다.
그러나, 탄성 지지부(50)는 후크부(20)에서 받는 하중 때문에 지속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결합된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가 해제되어 톤백 고리(7b)가 이탈하게 된다.
이 후, 탄성 지지부(50)는 바디부(12)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손잡이(40)와 후크부(20)가 상승하며, 손잡이(40)를 이용하여 후크부(20)와 탄성 지지부(50)를 더욱 상승시켜 손잡이 고정부(32b)에 손잡이(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톤백(7)에 실리는 무게를 설정하는 것은 슬라이딩홀(32a)에서 손잡이(4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고정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확물(C)이 수용되는 톤백(7)의 무게를 높이고자 할 경우, 손잡이(40)를 높이 상승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바아가 조절 바디(32)에 걸리는 시점을 늦출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6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을 설명하면, 수확물 수거부(4)는, 톤백 고정 프레임(5), 리프트(6), 톤백(7),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부(8)를 포함하여 수확물(C)의 이송을 손쉽게 이송시키고, 톤백 내부에 수확물(C)을 적층시킬 수 있다.
이송유닛(3)을 따라 농작물이 이송되며, 이송되는 농작물은 톤백 수용부(7a)에서 수거된다.
이 후, 톤백(7)에 수거되는 농작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에 따라 리프트(6)가 하강하면 톤백(7)이 걸린 톤백 고리 이탈부(8)의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톤백 고리 이탈부(8)에서 작업자가 지정한 무게 이상으로 톤백 내에 농작물이 수거되면 제 1후크(24)와 제 2후크(26)가 상호 해제되면서 톤백 고리(7b)가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리프트(6)는 계속하강하거나 작업차량이 리프트(6)에 맞춰 정차하면 톤백(7)을 작업차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리프트(6)를 작업차량을 향하여 기울여 중력에 의해 톤백이 이동시키거나 작업자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무게에서 고리를 자동으로 이탈시켜 작업자의 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고, 추가적으로 해제 작업을 실시하지 아니하게 되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톤백 고리를 자동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톤백의 무게를 설정하여 편의성이 향상되며, 사용자가 톤백의 무게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고리를 이탈시키기 때문에 톤백에 수거된 수확물의 무게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어서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이송시 톤백의 무게를 재측정하지 않게 되어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실시예를 조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기술적 사상)을 이용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수확물수거장치 2: 수거 장치 본체
3: 이송유닛 4: 수확물 수거부
5: 톤백 고정 프레임 6: 리프트
7: 톤백 8: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부재
10: 본체 20: 후크부
30: 후크 조절부 40: 손잡이
50: 탄성 지지부

Claims (6)

  1. 작업현장을 이동시키는 본체 이송부가 구비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수거 장치 본체;
    상기 수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수확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거하는 톤백이 구비되고, 상기 톤백에서 수거되는 수확물량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며 상기 톤백을 지지하되, 상기 톤백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에 해당하면 상기 톤백을 연결시키는 톤백 고리를 이탈시키는 수확물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확물 수거부는,
    상기 수거 장치 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수확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마련된 톤백 고정 프레임과,
    상기 톤백이 구비되고, 상기 수거 장치 본체에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리프트 및
    상기 톤백 고리가 연결되어 상기 톤백 고정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톤백 고리를 지지하다가 상기 톤백 내부에 수거되는 수확물량이 미리 설정된 무게가 되면 상기 톤백 고리를 이탈시키는 톤백 고리 이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톤백 고리 이탈부는,
    상기 톤백 고리가 연결되는 후크부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후크 조절부 및
    상기 톤백을 지지하되, 상기 톤백에서 수거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딩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조절 바디와,
    상기 후크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후크부를 작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수거 장치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톤백의 수거되는 수확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KR1020220010073A 2022-01-24 2022-01-24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KR10245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73A KR102452115B1 (ko) 2022-01-24 2022-01-24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73A KR102452115B1 (ko) 2022-01-24 2022-01-24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115B1 true KR102452115B1 (ko) 2022-10-11

Family

ID=8359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073A KR102452115B1 (ko) 2022-01-24 2022-01-24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1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033A (ja) * 2001-06-08 2002-12-17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および収容袋の交換方法
KR20180116789A (ko) * 2017-04-18 2018-10-26 연재득 농작물 수확장치
KR102127286B1 (ko) 2020-02-07 2020-06-26 정다운 절첩식 구조를 갖는 농작물 수집장치
KR102204073B1 (ko) * 2015-12-23 2021-01-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KR102247649B1 (ko) 2020-11-16 2021-05-04 정다운 수집형 배추수확기
KR102334939B1 (ko) * 2019-10-29 2021-12-06 김재동 자주식 대파 수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033A (ja) * 2001-06-08 2002-12-17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および収容袋の交換方法
KR102204073B1 (ko) * 2015-12-23 2021-01-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KR20180116789A (ko) * 2017-04-18 2018-10-26 연재득 농작물 수확장치
KR102334939B1 (ko) * 2019-10-29 2021-12-06 김재동 자주식 대파 수확기
KR102127286B1 (ko) 2020-02-07 2020-06-26 정다운 절첩식 구조를 갖는 농작물 수집장치
KR102247649B1 (ko) 2020-11-16 2021-05-04 정다운 수집형 배추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108B1 (ko) 과일 집하장치
KR102452115B1 (ko) 수확량 측정이 가능한 자주식 배추수집 장치의 시스템
KR102444130B1 (ko) 톤백 고리의 자동 이탈 장치가 구비된 자주식 배추수집기
CN106489387A (zh) 一种全自动钵苗移栽机叠盘机构
US6282878B1 (en) Produce catcher
JPH09271230A (ja) 自走式根菜収穫機の根菜収納部
US6925792B2 (en) Tree-fruit harvester including deflector with pivoting upper portion and associated methods
CN116267173A (zh) 一种大白菜收获机
KR102334939B1 (ko) 자주식 대파 수확기
JP5782693B2 (ja) 根菜類収穫機
JP5054606B2 (ja) 作物収穫機
KR200451630Y1 (ko)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JP4441063B2 (ja) 苗移植機
JP2012029601A (ja) 根菜類収穫機
JP2009201488A (ja) 野菜収穫機
JP6737386B2 (ja) 移植機
KR102432064B1 (ko) 접이식 컨베이어를 구비한 무 수집 장치
CN113748822B (zh) 马铃薯联合收获机
KR101313216B1 (ko) 농작물 수확장치
CN215835980U (zh) 马铃薯联合收获机
KR20180116790A (ko) 농작물 수확장치
KR102224565B1 (ko) 톤백 스프레더
CN218526791U (zh) 收获物用收纳容器
CN213138877U (zh) 一种电线电缆防滚装置
KR20190095989A (ko) 포크레인 연동형 농작물 수확 방법 및 농작물 수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