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509B1 - 차량용 사이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509B1
KR102429509B1 KR1020200039895A KR20200039895A KR102429509B1 KR 102429509 B1 KR102429509 B1 KR 102429509B1 KR 1020200039895 A KR1020200039895 A KR 1020200039895A KR 20200039895 A KR20200039895 A KR 20200039895A KR 102429509 B1 KR102429509 B1 KR 10242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illar
coupled
pillar
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2574A (ko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5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는, 내측 루프사이드멤버와, 상기 내측 루프사이드멤버의 전방단에 연결된 내측 어퍼프론트필러와, 상기 내측 어퍼프론트필러의 전방단에 결합된 내측 로어프론트필러와, 상기 내측 어퍼프론트필러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된 제1내측 센터필러와,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실내면에 결합된 제2내측 센터필러와,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실외면에 결합된 센터필러 보강재를 포함한 내측 사이드조립체; 및 차량 루프의 측면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외측 루프사이드부 및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외측 어퍼프론트필러를 가진 외측 사이드멤버와, 상기 외측 사이드멤버의 실내면에 결합된 사이드 보강재와,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멤버의 전방단에 결합된 외측 로어 센터필러와,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멤버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된 외측 센터필러를 포함한 외측 사이드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센터필러는 상기 외측 사이멤버에 결합되는 상단조인트부를 가지며, 상기 외측 센터필러의 상단조인트부는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구조{VEHICLE SIDE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필러의 조인트부 및 센터필러의 조인트부에 대한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충돌 성능 및 강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환경 및 석유자원 고갈에 대한 위기 인식이 높아지면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등과 같은 친환경차량이 부각되고 있다.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차량은 차체의 하부에 탑재된 배터리를 가지고, 이에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차량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배터리로 인해 그 중량이 내연기관 차량(내연기관만이 탑재된 차량)에 비해 증가한다. 예컨대, 동일한 제원 조건에서 전기자동차의 중량이 내연기관 차량의 중량에 비해 200kg 정도 크고, 동일한 제원 조건에서 하이브리드차량의 중량이 내연기관 차량의 중량에 비해 120kg 정도 크다.
이와 같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차량은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그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천장강도(roof strength) 및 스몰오버랩(정면옵셋충돌) 등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으므로,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차량은 천장강도 및 스몰오버랩(정면옵셋충돌) 등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차량은 차량의 외장디자인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프론트필러가니쉬(front pillar garnish)가 프론트필러에 장착될 수 있고, 차량용 사이드구조의 단면이 프론트필러가니쉬로 인해 축소되므로 차량용 사이드구조의 강성 및 프론트필러의 조인트부 및 센터필러의 조인트부에 대한 강성이 취약해질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 발생 시에 프론트필러의 조인트부 및 센터필러의 조인트부 등이 과도하게 꺽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프론트필러의 조인트부 및 센터필러의 조인트부에 대한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충돌 성능 및 강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는, 내측 루프사이드멤버와, 상기 내측 루프사이드멤버의 전방단에 연결된 내측 어퍼프론트필러와, 상기 내측 어퍼프론트필러의 전방단에 결합된 내측 로어프론트필러와, 상기 내측 루프사이드멤버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된 제1내측 센터필러와,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실내면에 결합된 제2내측 센터필러와,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실외면에 결합된 센터필러 보강재를 포함한 내측 사이드조립체; 및 차량 루프의 측면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외측 루프사이드부 및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외측 어퍼프론트필러를 가진 외측 사이드멤버와, 상기 외측 사이드멤버의 실내면에 결합된 사이드 보강재와,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멤버의 전방단에 결합된 외측 로어 센터필러와,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멤버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된 외측 센터필러를 포함한 외측 사이드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센터필러는 상기 외측 사이멤버에 결합되는 상단조인트부를 가지며, 상기 외측 센터필러의 상단조인트부는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단조인트부는 상기 외측 센터필러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단조인트부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단조인트부의 "ㄷ"자형 단면은 용접을 통해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는 그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외측 센터필러는 제1장착부에 결합되는 제2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상단조인트부는 상기 제2장착부를 통해 상기 외측 센터필러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센터필러 보강재는 상기 제2장착부에 결합되는 상단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센터필러 보강재의 상단연장부는 상기 제2장착부의 실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장착부가 상기 제2장착부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터필러 보강재는 "U"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센터필러 보강재는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는 "W"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가장자리측 플랜지들이 상기 외측 센터필러의 가장자리측 플랜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보강재는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에 결합되는 루프측 보강부 및 상기 외측 어퍼프론트필러에 결합되는 프론트필러측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측 보강부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루프측 보강부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을 통해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루프측 보강부는 상기 외측 센터필러의 상단조인트부에 결합되는 후방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후방연장부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후방연장부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을 통해 상기 상단조인트부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조인트부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을 통해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는 도어개구와 인접한 실외벽의 내주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부를 가지고, 프론트필러 보강재가 상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의 절개부를 커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필러 보강재는 상기 도어개구의 일부 외곽라인과 평행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필러 보강재는 상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단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프론트필러 보강재는 경사진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필러 보강재는 칵핏 카울크로스 바가 장착되는 제1장착비드를 가지고, 상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는 커튼에어백이 장착되는 제2장착비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필러의 조인트부 및 센터필러의 조인트부에 대한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충돌 성능 및 강성 등을 강화할 수 있고, 특히 천장강도 및 스몰오버랩 정면충돌 등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가 종래기술에 비해 두께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그 중량 절감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 발생 시에 프론트필러의 조인트부, 센터필러의 조인트부가 꺽이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프론트필러에 장착되는 가니쉬의 디자인을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의 외측 루프사이드부 및 외측 센터필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측 루프사이드부 및 외측 센터필러의 상단조인트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측 루프사이드부 및 외측 센터필러의 상단조인트부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의 외측 루프사이드부 및 외측 센터필러의 상단조인트부가 결합된 구조를 차량의 실외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에서 내측 루프사이드멤버, 제1내측 센터필러, 제2내측 센터필러, 센터필러 보강재, 및 사이드 보강재의 루프측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에서 사이드 보강재의 루프측 보강부가 외측 센터필러에 결합된 구조를 차량의 실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에서 외측 센터필러, 센터필러 보강재, 사이드 보강재의 루프측 보강부가 연결된 구조를 차량의 실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에서 내측 로어프론트필러 및 프론트필러 보강재가 내측 어퍼프론트필러에 결합된 구조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구조의 내측 로어프론트필러 및 프론트필러 보강재에 칵핏 카울크로스 바 및 커튼에어백이 장착된 구조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사이드구조(10)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한 내측 사이드조립체(11, inner side assembly) 및 차량의 실외를 향해 면한 외측 사이드조립체(12, outer side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사이드구조(10)는 차량도어가 장착되는 도어개구(5)를 가질 수 있으며, 도어개구(5)는 루프 사이드, 프론트필러, 센터필러 등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내측 사이드조립체(11)는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와,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의 전방단에 연결된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 inner upper front pillar)와,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전방단에 결합된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 inner lower front pillar)와,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된 제1내측 센터필러(31, first inner center pillar)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는 차량 루프의 측면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특히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의 전방단은 차량의 전방을 향해 면할 수 있고,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의 후방단은 차량의 후방을 향해 면할 수 있다.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는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상단이 결합되는 장착좌면(23)을 가질 수 있다.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후방단이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는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보강재(46)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내주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고,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내주가장자리는 도어개구(5)와 인접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보강재(46)는 칵핏 카울 크로스바(8), 커튼에어백(9) 등과 같은 부속품의 장착강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의 장착좌면(23)에 결합되는 상단장착부(31a)를 가질 수 있다.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내면 및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외면을 가질 수 있다.
제2내측 센터필러(32)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내면 및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외면을 가질 수 있다. 제2내측 센터필러(32)는 후술하는 외측 센터필러(6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내측 센터필러(32)는 상부영역(32a) 및 하부영역(32b)을 가질 수 있다.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상부영역(32a)의 실외면이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상부영역(32a)이 제1내측 센터필러(31)에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내측 센터필러조립체(30)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상부영역(32a)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길이는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길이의 절반에 해당할 수 있다.
센터필러 보강재(33)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내면 및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외면을 가질 수 있다. 센터필러 보강재(33)의 길이는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길이 보다 길고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길이 보다는 짧다.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실내면이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센터필러 보강재(33)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실외면 및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외측 사이드조립체(12)는 외측 루프사이드멤버(50, outer roof-side member)와, 외측 사이드멤버(50)의 실내면에 결합된 사이드 보강재(55)와, 외측 사이드멤버(50)의 전방단에 결합된 외측 로어프론트필러(44)와, 외측 사이드멤버(50)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된 외측 센터필러(6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사이드멤버(50)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면 및 차량의 실외를 향해 면하는 실외면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사이드멤버(50)는 차량 루프의 측면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및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루프사이드부(51)는 차량 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특히 외측 루프사이드부(51)는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는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는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는 핫스탬핑 등과 같은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에 대해 일체로 가공될 수 있다. 즉,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 및 외측 루프사이드부(51)는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는 외측 루프사이드부(51)에 대해 별도로 제작될 수 있고, 이에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보강재(55)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면 및 차량의 실외를 향해 면하는 실외면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보강재(55)는 차량 루프의 측면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루프측 보강부(56) 및 루프측 보강부(56)의 전방단으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프론트필러측 보강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측 보강부(56)의 실외면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프론트필러측 보강부(45)의 실외면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프론트필러측 보강부(45)는 핫스탬핑 등과 같은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해 루프측 보강부(56)에 대해 일체로 가공될 수 있다. 즉, 프론트필러측 보강부(45) 및 루프측 보강부(56)는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프론트필러측 보강부(45)는 루프측 보강부(56)에 대해 별도로 제작될 수 있고, 이에 프론트필러측 보강부(45)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측 보강부(56)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 로어프론트필러(44)는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외측 로어프론트필러(44)의 상단이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내측 센터필러(31), 제2내측 센터필러(32), 센터필러 보강재(33), 외측 센터필러(60)가 센터필러를 구성할 수 있다.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 사이드 보강재(55)의 루프측 보강부(56), 외측 사이드멤버(50)의 외측 루프사이드부(51)는 루프사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 사이드 보강재(55)의 프론트필러측 보강부(45), 외측 어퍼프론트필러(43)가 어퍼프론트필러를 구성할 수 있다.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 프론트필러 보강재(46), 외측 로어프론트필러(44)는 로어프론트필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루프사이드부(51)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면하는 실외벽(81)과, 실외벽(81)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외측 상부벽(82)과, 실외벽(8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외측 하부벽(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루프사이드부(51)의 적어도 일부는 실외벽(81), 외측 상부벽(82), 외측 하부벽(83)에 의해 형성된 "ㄷ"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외측 루프사이드부(51)는 외측 하부벽(83)에 일체로 형성된 제1장착부(7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장착부(70)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면하는 제1장착벽(71)과, 제1장착벽(71)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1전방측 장착벽(72)과, 제1장착벽(71)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1후방측 장착벽(73)을 가질 수 있다. 제1장착벽(71)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전방측 장착벽(72)은 제1장착벽(71)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후방측 장착벽(73)은 제1장착벽(71)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내면 및 제1장착부(70)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 센터필러(60)는 외측 사이드멤버(50)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상단조인트부(61) 및 사이드실(미도시)에 결합되는 하단조인트부(62)를 가질 수 있다.
상단조인트부(61)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벽(85)과, 실내벽(85)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내측 상부벽(86)과, 실내벽(85)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내측 하부벽(8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단조인트부(61)는 실외벽(81), 외측 상부벽(82), 외측 하부벽(83)에 의해 "ㄷ"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센터필러(60)는 제1장착부(70)에 장착되는 제2장착부(90)를 가질 수 있고, 상단조인트부(61)는 제2장착부(90)를 통해 외측 센터필러(6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장착부(90)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제2장착벽(91)과, 제2장착벽(91)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2전방측 장착벽(92)과, 제2장착벽(91)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2후방측 장착벽(9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 센터필러(60)의 제2장착부(90)는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제1장착부(70)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가 외측 루프사이드부(51)에 대해 보다 결합될 수 있으므로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 및 외측 루프사이드부(51) 사이의 연결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제2장착부(90)의 제2장착벽(91)이 용접(W7)을 통해 제1장착부(70)의 제1장착벽(71)에 결합될 수 있고, 제2장착부(90)의 제2전방측 장착벽(92)이 용접(W8)을 통해 제1장착부(70)의 제1전방측 장착벽(7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장착부(90)의 제2후방측 장착벽(93)이 용접(W9)을 통해 제1장착부(70)의 제1후방측 장착벽(7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측 센터필러(60)의 제2장착부(90)는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제1장착부(70)에 대해 매우 강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는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단조인트부(61)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W1, W2)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조인트부(61)의 내측 상부벽(86)이 용접(W1)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외측 상부벽(82)에 결합될 수 있고, 상단조인트부(61)의 내측 하부벽(87)이 용접(W2)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외측 하부벽(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단조인트부(61)의 실내벽(85)은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외벽(81)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 및 외측 루프사이드부(51)가 상호 대응한 "ㄷ"자형 단면의 2중벽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하중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에 인가될 때 그 하중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외측 상부벽(82) 및 상단조인트부(61)의 내측 상부벽(86),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외측 하부벽(83) 및 상단조인트부(61)의 내측 하부벽(87)을 통해 상하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즉, 센터필러 및 루프사이드 사이의 조인트부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사이드구조(10)의 충돌 성능 및 강성 등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가 별도의 브라켓 없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에 결합되므로 그 중량 및 원가 절감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루프사이드부(51)는 외측 상부벽(82)으로부터 연장된 상측플랜지(82a) 및 외측 하부벽(83)으로부터 연장된 하측플랜지(83a)를 가질 수 있다.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상측플랜지(82a)는 용접(W3)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하측플랜지(83a) 및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용접(W4)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및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 사이에는 외부에 대해 밀폐된 캐비티(88, 89)가 한정될 수 있고, 특히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가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및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 사이에는 2개의 캐비티(88, 89)가 구획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센터필러 및 루프사이드 사이의 연결강성 및 충동성능 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센터필러 보강재(33)가 용접(W7, W8, W9)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제1장착부(70)와 함께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의 제2장착부(90)에 결합됨으로써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 및 외측 루프사이드부(51) 사이의 연결강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이드 보강재(55)는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고, 센터필러 보강재(33)는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실외면 및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하부영역(32b)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7 및 도 9와 같이, 센터필러 보강재(33)는 그 상단으로부터 루프사이드를 향해 연장된 상단연장부(33a)를 가질 수 있다. 상단연장부(33a)의 단면은 센터필러 보강재(33)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단연장부(33a)는 루프사이드를 구성하는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및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단연장부(33a)가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의 제2장착부(90) 및 제1내측 센터필러(31)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단연장부(33a)는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 및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센터필러 보강재(33)는 상단연장부(33a)에 의해 센터필러 및 루프사이드 사이의 조인트부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단연장부(33a)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벽(101)과, 실내벽(101)의 전방가장자리에 연결된 전방벽(102)과, 실내벽(101)의 후방가장자리에 연결된 후방벽(103)과, 전방벽(102)으로부터 연장된 전방측 플랜지(104)와, 후방벽(103)으로부터 연장된 후방측 플랜지(105)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상단연장부(33a)는 실내벽(101), 전방벽(102), 후방벽(103)에 의해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단연장부(33a)는 외측 센터필러(60)의 제2장착부(90)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제1장착부(70)는 외측 센터필러(60)의 제2장착부(90)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가 루프사이드부(5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단연장부(33a)의 실내벽(101)은 용접(W7)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제1장착부(70)의 제1장착벽(71)과 함께 외측 센터필러(60)의 제2장착부(90)의 제2장착벽(91)에 결합될 수 있고, 상단연장부(33a)의 전방측 플랜지(104)는 용접(W5)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와 함께 제1내측 센터필러(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단연장부(33a)의 후방측 플랜지(105)는 용접(W6)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와 함께 제1내측 센터필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상단연장부(33a)의 실내벽(101)이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에 결합되고,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상단연장부(33a)가 제1내측 센터필러(31)에 결합됨으로써 센터필러 보강재(33)는 차량용 사이드구조(10)의 외측부재 및 내측부재 사이의 연결성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두께의 축소가 용이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중량 및 원가 절감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는 용접을 실행하는 용접건의 진입을 허용하는 제1개구(21c)를 가질 수 있고,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제1개구(21c)에 정렬되는 제2개구(31c)를 가질 수 있다. 제1개구(21c) 및 제2개구(31c)가 센터필러 보강재(33)의 "U"자형 단면에 의해 포위됨으로써 제1개구(21c) 및 제2개구(31c)로 인한 차량용 사이드구조(10)의 강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센터필러 보강재(33)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벽(201)과, 실내벽(201)의 전방가장자리에 형성된 전방벽(202)과, 실내벽(201)의 후방가장자리에 형성된 후방벽(203)과, 전방벽(202)으로부터 연장된 전방측 플랜지(204)와, 후방벽(203)으로부터 연장된 후방측 플랜지(205)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센터필러 보강재(33)는 실내벽(201), 전방벽(202), 후방벽(203)에 의해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벽(111)과, 실내벽(111)의 전방가장자리에 형성된 전방벽(112)과, 실내벽(111)의 후방가장자리에 형성된 후방벽(113)과, 전방벽(112)으로부터 연장된 제1전방측 플랜지(114)와, 후방벽(113)으로부터 연장된 제1후방측 플랜지(115), 제1전방측 플랜지(114)에 단턱지게 연결된 제2전방측 플랜지(116)와, 제1후방측 플랜지(115)에 단턱지게 연결된 제2후방측 플랜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실내벽(111)의 중앙으로부터 차량의 실외를 향해 돌출한 돌출벽(119)을 가질 수 있고,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돌출벽(119)은 용접(W14)을 통해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실내벽(20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실내벽(111), 전방벽(112), 후방벽(113), 돌출벽(119), 제1전방측 플랜지(114), 제2전방측 플랜지(116), 제1후방측 플랜지(115), 제2후방측 플랜지(117)에 의해 형성된 "W"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외측 센터필러(60)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면하는 실외벽(121)과, 실외벽(121)의 전방가장자리에 연결된 전방벽(122)과, 실외벽(121)의 후방가장자리에 연결된 후방벽(123)과, 전방벽(122)으로부터 연장된 전방측 플랜지(126)와, 후방벽(123)으로부터 연장된 후방측 플랜지(127)를 가질 수 있다. 외측 센터필러(60)는 실외벽(121)의 중앙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를 향해 함몰된 함몰벽(129)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센터필러(60)의 함몰벽(129)은 용접(W14)을 통해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실내벽(20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실내벽(111), 전방벽(112), 후방벽(113), 돌출벽(119)에 의해 형성된 "W"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센터필러 보강재(33)는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상부영역(32a)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내측 센터필러(31)는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상부영역(32a) 및 센터필러 보강재(33)에 의해 그 강성, 강도 등이 보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차량의 전복 사고 시에 센터필러의 꺽임,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센터필러 보강재(33)의 "U"자형 단면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W"자형 단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센터필러 보강재(33)의 변형 내지 파손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전방벽(202)이 용접(W10)을 통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전방벽(112)에 결합되고, 센터필러 보강재(33)의 후방벽(203)이 용접(W11)을 통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후방벽(113)에 결합되며,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전방측 플랜지(204) 및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상부영역(32a)이 용접(W12)을 통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제1전방측 플랜지(114)에 공통으로 결합되고, 센터필러 보강재(33)의 후방측 플랜지(205) 및 제2내측 센터필러(32)의 상부영역(32a)이 용접(W13)을 통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제1후방측 플랜지(115)에 공통으로 결합된다.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돌출벽(119) 및 외측 센터필러(60)의 함몰벽(129)이 용접(W14)을 통해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실내벽(201)에 공통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폭이 센터필러 보강재(33)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가장자리측 플랜지(116, 117)들이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외측 센터필러(60)의 가장자리측 플랜지(126, 127)들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제2전방측 플랜지(116)는 용접(W15)을 통해 외측 센터필러(60)의 전방측 플랜지(126)에 결합되고,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제2후방측 플랜지(117)는 용접(W16)을 통해 외측 센터필러(60)의 후방측 플랜지(127)에 결합된다.
차량의 전복사고 발생 시에,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전방벽(112)이 센터필러 보강재(33)의 전방벽(202)을 지지하고, 제1내측 센터필러(31)의 후방벽(113)이 센터필러 보강재(33)의 후방벽(203)을 지지함으로써 센터필러 보강재(33)의 "U"자형 단면이 벌어지거나 붕괴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이드 보강재(55)는 루프측 보강부(56)의 후방단으로부터 외측 센터필러(60)를 향해 연장된 후방연장부(56a)를 가질 수 있다. 후방연장부(56a)의 단면은 루프측 보강부(56)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연장부(56a)는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루프측 보강부(56)의 후방연장부(56a)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벽(131)과, 실내벽(131)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상부벽(132)과, 실내벽(13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하부벽(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후방연장부(56a)는 실내벽(131), 상부벽(132), 하부벽(133)에 의해 "ㄷ"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보강재(55)의 루프측 보강부(56)의 후방연장부(56a),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 및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도 12를 참조하면, 루프측 보강부(56)의 후방연장부(56a)는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후방연장부(56a)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W17, W18)을 통해 상단조인트부(61)의 "ㄷ"자형 다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단조인트부(61)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W17, W18)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연장부(56a)의 상부벽(132)은 용접(W17)을 통해 상단조인트부(61)의 내측 상부벽(86)에 결합되고, 상단조인트부(61)의 내측 상부벽(86)이 용접(W17)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외측 상부벽(82)의 실내면에 결합된다. 후방연장부(56a)의 하부벽(133)은 용접(W18)을 통해 상단조인트부(61)의 내측 하부벽(87)의 실내면에 결합되고, 상단조인트부(61)의 내측 하부벽(87)은 용접(W18)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외측 하부벽(83)의 실내면에 결합된다. 후방연장부(56a)의 실내벽(131)은 상단조인트부(61)의 실내벽(85)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보강재(55)의 루프측 보강부(56)가 후방연장부(56a)를 통해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센터필러의 조인트부에 대한 연결성, 강성, 강도 등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보강재(55)의 루프측 보강부(56)의 후방연장부(56a),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 및 외측 루프사이드부(51)가 상호 대응한 "ㄷ"자형 단면의 3중벽 구조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터필러 및 루프사이드 사이의 조인트부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사이드구조(10)의 충돌 성능 및 강성 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상측플랜지(82a)는 용접(W19)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하측플랜지(83a) 및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는 용접(W20)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및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 사이에는 외부에 대해 밀폐된 캐비티(181, 182, 183)가 한정될 수 있고, 특히 외측 센터필러(60)의 상단조인트부(61) 및 루프측 보강부(56)의 후방연장부(56a)가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및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 사이에는 3개의 캐비티(181, 182, 183)가 구획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센터필러 및 루프사이드 사이의 연결강성 및 충동성능 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이드 보강재(55)의 루프측 보강부(56)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벽(141)과, 실내벽(141)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상부벽(142)과, 실내벽(14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하부벽(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루프측 보강부(56)는 실내벽(141), 상부벽(142), 하부벽(143)에 의해 "ㄷ"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이드 보강재(55)의 루프측 보강부(56)는 외측 사이드멤버(50)의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루프측 보강부(56)의 상부벽(142)은 용접(W21)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외측 상부벽(82)에 결합되고, 루프측 보강부(56)의 하부벽(143)은 용접(W22)을 통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외측 하부벽(83)에 결합된다. 루프측 보강부(56)의 실내벽(141)은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외벽(81)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보강재(55)의 루프측 보강부(56) 및 외측 루프사이드부(51)가 상호 대응한 "ㄷ"자형 단면의 2중벽 구조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용 사이드구조(10)의 충돌 성능 및 강성 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상측플랜지(82a)는 용접(W23)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하측플랜지(83a)는 용접(W24)을 통해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및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 사이에는 외부에 대해 밀폐된 캐비티(184, 185)가 한정될 수 있고, 특히 사이드 보강재(55)의 루프측 보강부(56)가 외측 루프사이드부(51)의 실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외측 루프사이드부(51) 및 내측 루프사이드멤버(21) 사이에는 2개의 캐비티(184, 185)가 구획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루프사이드의 강성 및 충동성능 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는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벽(161)과, 차량의 실내를 향해 면하는 실내벽(162)과, 실외벽(161)의 일부에 형성된 절개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63)는 도어개구(5)와 인접한 실외벽(161)의 내주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필러 보강재(46)가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절개부(163)를 커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는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전방단까지 연장된 상단연장부(42a)를 포함할 수 있고, 상단연장부(42a)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보강재(46)는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절개부(163)를 커버하는 제1커버벽(151) 및 제2커버벽(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벽(151)은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실외벽(161)에 대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커버벽(152)은 제1커버벽(151)으로부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실내벽(16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커버벽(152)은 제1커버벽(151)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필러 보강재(46)는 제1커버벽(151)으로부터 연장된 제1결합플랜지(153)와, 제2커버벽(152)으로부터 연장된 제2결합플랜지(154)와, 제1결합플랜지(153)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보강리브(15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보강재(46)의 제1결합플랜지(153)는 용접(W25)을 통해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실외벽(16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프론트필러 보강재(46)의 제2결합플랜지(154)는 용접(W26)을 통해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실내벽(162)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리브(155)는 제1결합플랜지(153)로부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실내벽(162)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보강재(46)는 보강리브(155)에 의해 그 강도 및 강성 등이 보강됨으로써 부속품의 장착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절개부(163) 및 프론트필러 보강재(46)는 도어개구(5)의 외곽라인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보강재(46)는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전방단까지 연장된 상단연장부(46a)를 가질 수 있고, 상단연장부(46a)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보강재(46)의 상단연장부(46a)는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상단연장부(42a)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프론트필러 보강재(46)의 상단연장부(46a) 및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의 상단연장부(42a)는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의 전방단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론트필러 보강재(46)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1장착비드(171)를 가질 수 있고, 제1장착비드(171)는 제1커버벽(151)으로부터 차량의 실외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칵핏 카울크로스 바(8, cockpit cowl cross bar)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제1장착비드(17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는 체결공이 제2장착비드(172)를 가질 수 있고, 제2장착비드(172)는 상단연장부(42a)에서 차량의 실외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커튼에어백(9, curtain air bag)의 장착러그(9a)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제2장착비드(172)에 장착될 수 있다. 체결구가 커튼에어백(9)의 장착러그(9a)의 체결공 및 제2장착비드(172)의 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커튼에어백(9)은 내측 로어프론트필러(42)는 내측 어퍼프론트필러(41)에 공통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필러의 조인트부 및 센터필러의 조인트부에 대한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충돌 성능 및 강성 등을 강화할 수 있고, 특히 천장강도 및 스몰오버랩 정면충돌 등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가 종래기술에 비해 두께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그 중량 절감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 발생 시에 프론트필러의 조인트부, 센터필러의 조인트부가 꺽이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프론트필러에 장착되는 가니쉬의 디자인을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도어개구 8: 칵핏 카울크로스 바
9: 커튼에어백 10: 차량용 사이드구조
11: 내측 사이드조립체 12: 외측 사이드조립체
21: 내측 루프사이드멤버 23: 장착좌면
31: 제1내측 센터필러 32: 제2내측 센터필러
33: 센터필러 보강재 41: 내측 어퍼프론트필러
42: 내측 로어프론트필러 43: 외측 어퍼프론트필러
44: 외측 로어프론트필러 45: 프론트필러측 보강부
50: 외측 사이드멤버 51: 외측 루프사이드부
55: 사이드 보강재 56: 루프측 보강부
60: 외측 센터필러 61: 상단조인트부
62: 하단조인트부 70: 제1장착부
71: 제1장착벽 72: 제1전방측 장착벽
73: 제1후방측 장착벽 81: 실외벽
82: 외측 상부벽 83: 외측 하부벽
85: 실내벽 86: 내측 상부벽
87: 내측 하부벽 90: 제2장착부
91: 제2장착벽 92: 제2전방측 장착벽
93: 제2후방측 장착벽

Claims (10)

  1. 내측 루프사이드멤버와, 상기 내측 루프사이드멤버의 전방단에 연결된 내측 어퍼프론트필러와, 상기 내측 어퍼프론트필러의 전방단에 결합된 내측 로어프론트필러와, 상기 내측 루프사이드멤버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된 제1내측 센터필러와,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실내면에 결합된 제2내측 센터필러와,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실외면에 결합된 센터필러 보강재를 포함한 내측 사이드조립체; 및
    차량 루프의 측면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외측 루프사이드부 및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외측 어퍼프론트필러를 가진 외측 사이드멤버와, 상기 외측 사이드멤버의 실내면에 결합된 사이드 보강재와, 상기 외측 어퍼프론트필러의 전방단에 결합된 외측 로어프론트필러와, 상기 외측 사이드멤버의 하측가장자리에 결합된 외측 센터필러를 포함한 외측 사이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센터필러는 상기 외측 사이드멤버에 결합되는 상단조인트부를 가지며, 상기 외측 센터필러의 상단조인트부는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실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 보강재는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에 결합되는 루프측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측 보강부는 상기 외측 센터필러의 상단조인트부에 결합되는 후방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후방연장부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후방연장부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을 통해 상기 상단조인트부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조인트부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을 통해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조인트부는 상기 외측 센터필러에 일체로 연결되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단조인트부의 "ㄷ"자형 단면은 용접을 통해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는 그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외측 센터필러는 제1장착부에 결합되는 제2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상단조인트부는 상기 제2장착부를 통해 상기 외측 센터필러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센터필러 보강재는 상기 제2장착부에 결합되는 상단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센터필러 보강재의 상단연장부는 상기 제2장착부의 실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장착부가 상기 제2장착부의 실외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필러 보강재는 "U"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센터필러 보강재는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실외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는 "W"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내측 센터필러의 가장자리측 플랜지들이 상기 외측 센터필러의 가장자리측 플랜지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보강재는 상기 외측 어퍼프론트필러에 결합되는 프론트필러측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측 보강부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루프측 보강부의 "ㄷ"자형 단면이 용접을 통해 상기 외측 루프사이드부의 "ㄷ"자형 단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는 도어개구와 인접한 실외벽의 내주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부를 가지고,
    프론트필러 보강재가 상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의 절개부를 커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필러 보강재는 상기 도어개구의 일부 외곽라인과 평행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필러 보강재는 상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단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프론트필러 보강재는 경사진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필러 보강재는 칵핏 카울크로스 바가 장착되는 제1장착비드를 가지고, 상기 내측 로어프론트필러는 커튼에어백이 장착되는 제2장착비드를 가지는 차량용 사이드구조.
KR1020200039895A 2020-04-01 2020-04-01 차량용 사이드구조 KR10242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95A KR102429509B1 (ko) 2020-04-01 2020-04-01 차량용 사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95A KR102429509B1 (ko) 2020-04-01 2020-04-01 차량용 사이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74A KR20210122574A (ko) 2021-10-12
KR102429509B1 true KR102429509B1 (ko) 2022-08-05

Family

ID=7807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895A KR102429509B1 (ko) 2020-04-01 2020-04-01 차량용 사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5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067A (ja) * 2000-08-11 2002-02-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の骨格構造
JP2003118635A (ja) * 2001-10-10 2003-04-23 Aska Kk 車体構造
JP2005125808A (ja) * 2003-10-21 2005-05-19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センタピラー上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5011B2 (ja) * 1989-03-10 1998-06-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ピラー構造
KR20030000066A (ko) * 2001-06-22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형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067A (ja) * 2000-08-11 2002-02-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の骨格構造
JP2003118635A (ja) * 2001-10-10 2003-04-23 Aska Kk 車体構造
JP2005125808A (ja) * 2003-10-21 2005-05-19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センタピラー上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74A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908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9981695B2 (en) Vehicle lower-body structure
EP0825096B1 (en) Body construction
US8585134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9688311B2 (en) Vehicle body front portion structure
KR100339216B1 (ko) 자동차의 전방필러부 보강구조
US20170106914A1 (en) Vehicle lower structure
WO2015146902A1 (ja) 車体側部構造
CN109109979B (zh) 车辆前部结构及车身模块结构
WO2015146903A1 (ja) 車体側部構造
KR102429509B1 (ko) 차량용 사이드구조
CN215475381U (zh) 车身侧部结构
KR20200117277A (ko) 차량용 프론트필러구조
CN211493621U (zh) 车辆尾门的安装结构和车辆
JP2005170228A (ja) 車体後部構造
CN114590324A (zh) 车体前部结构
CN215245118U (zh) A柱与下门槛安装组件和车辆
CN220220916U (zh) 发动机舱侧边梁结构和具有其的车辆
CN115214790B (zh) 汽车前机舱及汽车
CN219406602U (zh) 车身前部结构及车辆
CN211308735U (zh) 侧围前部连接板组件及具有其的车辆
US20230170607A1 (en) Vehicle skeleton structure
JP7414765B2 (ja) 車両
US20230303180A1 (en) Vehicle Rear Structure
CN210063137U (zh) 车顶框架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