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021B1 -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 Google Patents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021B1
KR102428021B1 KR1020170155375A KR20170155375A KR102428021B1 KR 102428021 B1 KR102428021 B1 KR 102428021B1 KR 1020170155375 A KR1020170155375 A KR 1020170155375A KR 20170155375 A KR20170155375 A KR 20170155375A KR 102428021 B1 KR102428021 B1 KR 10242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ushion
hinge pin
movab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904A (ko
Inventor
국중걸
황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7015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0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부재와 조작부재 및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마련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매개로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부위에 대한 구성을 간략화하여 조립 성능을 개선하고 힌지핀의 폐지에 따른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를 개시한다.
전술한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는 쿠션 프레임(5)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0),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식 쿠션부(9)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20),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조작부재(30), 상기 조작부재(30)의 선회 동작과 연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50), 및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조작부재(30) 및 상기 링크부재(50)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구비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Hinge structure for manual cushion exten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 쿠션부위의 좌면 중 전방측 일부를 쿠션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좌면의 크기를 보다 넓게 확장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대퇴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부재와 조작부재및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마련하여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부위에 대한 조립 성능을 개선하고 힌지핀의 폐지에 따른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시트는 쿠션의 전후방향 길이가 일정한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탑승자의 체형과 같은 신체적 특성에 맞춰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체형이 큰 탑승자의 경우에는 하체부위 중에서 대퇴부의 하중을 쿠션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시트의 쿠션부위에 대한 넓이를 보다 넓게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는바,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5-0114053호에 개시된 자동차 시트의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고 고정식 쿠션부에 대해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하여 변위되는 경사면부를 갖추고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결합과 해제를 조절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경사면부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위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조작부재의 상단부는 링크부재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조작부재의 하단부는 이동부재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동부재와 조작부재 사이의 힌지부와 조작부재와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부에는 각각 힌지핀이 장착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힌지부에 장착되는 힌지핀은 조립후 이탈 방지를 위해 자유단부측 표면에 널링과 같은 후가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결과, 종래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는 이동부재와 조작부재 사이의 힌지부와 조작부재와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부에 각각 힌지핀을 설치하는 공정과 함께 힌지핀의 자유단부에 널링과 같은 후가공 처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의 과다 및 추가적 가공 공정의 소요로 인해 생산성의 저하 및 비용 상승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15-011405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 쿠션부위의 좌면 중 전방측 일부를 쿠션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좌면의 크기를 보다 넓게 확장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대퇴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록킹 장치에 있어, 이동부재와 조작부재 및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마련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매개로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부위에 대한 구성을 간략화하여 조립 성능을 개선하고 힌지핀의 폐지에 따른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고 고정식 쿠션부에 대해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로서, 상기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의 선회 동작과 연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구비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은 상기 조작부재에서 상기 이동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 및 상기 링크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 상기 이동부재에서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한 트임형 제1힌지홈부, 및 상기 링크부재에서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한 트임형 제2힌지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힌지핀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하측 양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홈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양단부에서 상기 제1힌지핀부를 향해 내측방향으로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핀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상측 양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홈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 양단부에서 상기 제2힌지핀부를 향해 외측방향으로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는 상기 돌출형 제1힌지핀부와의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결합을 위해 중앙에 제1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개구부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트임부를 형성하며,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는 상기 돌출형 제2힌지핀부와의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결합을 위해 중앙에 제2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구부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트임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트임부에는 상기 돌출형 제1힌지핀부의 반경방향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제1내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트임부에는 상기 돌출형 제2힌지핀부의 반경방향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제2내향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부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부, 및 상기 링크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후크부와 접촉 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이동부재와 조작부재및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마련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부위에 대한 구성을 간략화함으로써 조립 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특히 기존의 힌지부위에 조립되던 힌지핀의 폐지에 따른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에 적용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은 이동부재와 조작부재및 링크부재에 대한 각각의 사출 성형의 과정에서 각 부재에 대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조립 공정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힌지부위에서 조립되던 힌지핀의 배제에 따른 부품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프레임 중 특정의 부위를 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는 쿠션부위도 이분화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쿠션부위의 전방측 좌면의 일부를 쿠션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좌면의 넓이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신체부위 중 대퇴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부위 중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부위에 의해 설정되는 시트 착좌면의 넓이 확장을 매개로 다양한 신체적 특성을 가지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 최적의 안착 및 지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부와 체결구멍 사이에 복열방식의 이중 록킹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이동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의 체결부위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자동차 시트의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대한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안착부재를 분리시켜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저면에서 1차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링크부재와 체결부재를 2차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이동부재(20)와 링크부재(50) 사이의 변위 제한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부재와 조작부재 및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에 대한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자동차의 시트는 차실내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좌면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탑승자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백(1)과,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3)으로 구분된다. 상기 시트 백(1)은 내부에 백 시트의 지지를 위한 백 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 쿠션(3)은 내부에 쿠션 시트의 지지를 위한 쿠션 프레임(5)을 구비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좌면의 확장을 위한 시트 쿠션(3)은 전체 좌면 중 상기 시트 백(1)과 인접한 부위에서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식 쿠션부(7)와, 전체 좌면 중 상기 고정식 쿠션부(7)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좌면을 확장시키는 이동식 쿠션부(9)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식 쿠션부(7)와 상기 이동식 쿠션부(9) 사이는 주름진 외장재를 매개로 그 위치를 연장 가능한 부위로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연장시 사이의 공간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상기 이동식 쿠션부(9)를 고정식 쿠션부(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쿠션부(9)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식 쿠션부(9)를 지지하는 안착부재(10), 상기 안착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9)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재(20),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재(30),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에서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40), 상기 조작부재(30)와 연동하여 변위되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변위 조절을 통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결합과 해제를 조절하는 링크부재(50), 상기 링크부재(50)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60), 및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조작부재(30) 및 상기 링크부재(50)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구비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은 상기 이동부재(20)에 구비되는 트임형 제1힌지홈부(24), 상기 조작부재(30)에 구비되는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와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 및 상기 링크부재(50)에 구비되는 트임형 제2힌지홈부(51)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착부재(10)는 상기 이동식 쿠션부(9)의 저면부위 전체를 하부에서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착부재(10)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식 쿠션부(7)에 대해 상기 이동식 쿠션부(9)를 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안착부재(10)의 저면에서 안착부재(10)의 전체부위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일부에 한정된 부위만을 직접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정해진 경로에 걸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9)의 전후방향 이동을 간접적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40)와의 정해진 경로에 한정된 이동 가능한 결합을 위해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향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향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4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40)로부터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변위를 한정적 구간에 한해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결합부(21), 및 상기 이동부재(20)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향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40)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탄력적인 길이방향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스프링(70)으로부터 직접적인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보조 결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결합부(22)는 자유단부에 상기 스프링(7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기 위해 스프링(70)의 일측 자유단부에 삽입되도록 부재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2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상기 링크부재(50)의 전후방향 이동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하부를 향해 외부로 돌출되는 후크부(21a)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후크부(21a)는 후술되는 상기 링크부재(50)의 요홈부(50a) 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한 상기 링크부재(50)의 전방을 향한 변위가 한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저면에 상기 링크부재(50)의 이탈 방지와 함께 전후방향 이동변위를 안내하기 위해 하부를 향해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3)를 일체로 구비하는 바, 상기 가이드 돌기(23)는 상호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가이드 돌기(23) 중에서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23)는 좌우방향으로 십자형태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재(50)의 후술되는 가이드 슬롯(52)과의 결합을 통해 링크부재(50)의 이탈을 억제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23)는 상기 링크부재(50)의 가이드 슬롯(52)과의 결합을 통해 링크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전방측 자유단부에 상기 조작부재(30)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한 쌍으로 돌출된 형태의 트임형 제1힌지홈부(2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24)는 상기 조작부재(30)의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와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구조로 조립되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0)의 트임형 제1힌지홈부(24)와 상기 조작부재(30)의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 사이의 결합부위에는 토션 스프링(25)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부재(30)는 토션 스프링(25)에 의한 탄력적인 복원 선회력을 제공받아 비작동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체결부재(60)의 위치를 결합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체결부재(6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중공의 수용블록(200)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블록(200)은 상기 링크부재(50)의 가압단부(54)에 대한 상하방향 변위를 제한하여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체결부재(60) 사이의 체결부위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전방 충돌시 원치않는 체결 해제를 제한할 수 있는 구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재(30)는 상기 이동부재(20)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한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의 형성과 함께 상기 링크부재(50)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해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를 각각 별도의 위치에 독립적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는 상기 조작부재(30)의 하측 양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는 상기 조작부재(30)의 상측 양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는 상기 이동부재(20)의 트임형 제1힌지홈부(24)와 착탈 가능한 조립형 힌지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는 상기 링크부재(50)의 트임형 제2힌지홈부(51)와 착탈 가능한 조립형 힌지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메인 결합부(21)와의 결합을 위해 대응하는 상측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형태의 메인 가이드부(41)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 가이드부(41)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메인 결합부(21)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태의 가이드 레일(26)의 걸림홈(26a)과 상호 대응하는 부위에서 걸림작용을 수반하기 위해 일단부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턱(41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변위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림턱(41a)은 상기 메인 가이드부(41)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 결합부(21)의 하부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26)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26a)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전방을 향한 변위의 정도를 한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부에 상기 이동부재(20)의 보조 결합부(22)와의 결합을 위해 대응하는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형태의 보조 가이드부(42)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가이드부(42)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보조 결합부(22)에 대한 전진방향으로는 개구된 형태를 이루는 반면에, 상기 보조 결합부(22)의 수용방향에 해당하는 후진방향으로는 상기 스프링(70)의 자유단부에 대한 지지를 위해 폐쇄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보조 가이드부(42)는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전진방향에 국한하여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일단부 폐쇄형 슬롯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이동부재(20)의 진행방향과 상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메인 체결구멍(43)을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메인 체결구멍(43)은 상기 체결부재(60)의 하부에 위치한 메인 삽입돌기부(62)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가변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체결구멍(43)은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복열식 다열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메인 체결구멍(43) 사이에서 전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보조 삽입돌기부(4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삽입돌기부(44)는 상기 체결부재(60)와의 치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삽입돌기부(44)는 상기 복열식의 메인 체결구멍(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링크부재(50)는 상기 조작부재(30)의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한 트임형 제2힌지홈부(51),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51)로부터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십자형 가이드 돌기(23)를 수용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십자형 가이드 슬롯(52)을 형성하는 평판부(53), 및 상기 평판부(53)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체결부재(6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체결부재(60)의 상하방향 이동을 상기 조작부재(30)와 연동하는 링크부재(50)의 이동에 따라 종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부(54a)를 갖춘 가압단부(5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가압단부(54)는 상기 체결부재(60)의 하단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자유단부의 하부에 하향 돌기부(54b)를 일체로 형성한다. 즉, 상기 링크부재(50)의 하향 돌기부(54b)는 상기 체결부재(60)를 상기 고정부재(40)의 체결부위를 향해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하향 돌기부(54b)는 상기 체결부재(60)와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상기 링크부재(50)의 축방향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50)는 상부면에 상기 이동부재(20)의 후크부(21a)와 접촉 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부(50a)를 형성하는 바, 상기 요홈부(50a)는 상기 후크부(21a)와의 사이에서 걸림작용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한 상기 링크부재(50)의 전방을 향한 변위를 한정된 범위로 제한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조작부재(30)의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와 상기 링크부재(50)의 트임형 제2힌지홈부(51) 사이의 이탈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60)는 상기 링크부재(50)의 가압단부(54)를 내부에 수용하는 박스 형태의 중공 구조물로서, 내부에 상기 링크부재(50)와의 접촉을 위해 하향 돌출되는 가압돌기(61)를 구비하고, 하측 저면부위에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체결구멍(43)과의 결합을 위해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메인 삽입돌기부(62)를 구비하며, 하부에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삽입돌기부(44)와의 결합을 위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체결구멍(63)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가압돌기(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50)의 가압단부(54)를 향해 하향 돌출됨으로써 상기 가압단부(54)를 비롯하여 상기 경사면부(54a)와 상기 평판부(53)와의 점접촉을 통해 작동시 접촉부위의 최소화에 따른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동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삽입돌기부(62)는 상기 체결부재(60)의 저면부에서 복열식 다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체결구멍(63)은 상기 복열식의 메인 삽입돌기부(6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61)는 상기 조작부재(30)의 선회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50)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가압단부(54)와 상기 경사면부(54a)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상기 평판부(53)와 접촉함으로써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체결구멍(43)과 상기 체결부재(60)의 메인 삽입돌기부(62) 사이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삽입돌기부(44)와 상기 체결부재(60)의 보조 체결구멍(6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와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 트임형 제1힌지홈부(24), 및 트임형 제2힌지홈부(51)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는 상기 조작부재(3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재(20)의 트임형 제1힌지홈부(24)와의 힌지 결합을 도모한다. 즉,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24)는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는 상기 조작부재(3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링크부재(50)의 트임형 제2힌지홈부(51)와의 힌지 결합을 도모한다. 즉,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51)는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에 대한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해 상기 링크부재(5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30)의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를 상기 이동부재(20)의 트임형 제1힌지홈부(24)에 인접하게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30)의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를 상기 링크부재(50)의 트임형 제2힌지홈부(51)에 인접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를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24)를 향해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를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51)를 향해 진입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는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24) 내에서 제1트임부(24b)로 진입한 상태가 되고,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는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51) 내에서 제2트임부(51b)를 지나 제2개구부(51a)의 내부로 완전하게 진입하여 1차 조립상태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51)의 제2내향 돌출부(51c)는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와의 접촉을 통해 외부로의 이탈을 제한하게 된다.
이어, 상기 조작부재(30)를 시계방향(도면 기준)으로 들어 올리게 선회시키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50)는 상기 조작부재(30)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부재(2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는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24) 내에서 제1트임부(24b)를 지나 제1개구부(24a)의 내부로 완전하게 진입하여 2차 조립상태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24)의 제1내향 돌출부(24c)는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와의 접촉을 통해 외부로의 이탈을 제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24)에 대해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를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51)에 대해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를 인접하게 위치한 다음,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와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51) 사이의 1차적인 힌지 결합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30)와 상기 링크부재(50)의 이동을 통해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31)와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24) 사이의 2차적인 힌지 결합을 완료함으로써,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에 의한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조작부재(30) 및 상기 링크부재(50) 사이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종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초기의 작동 전 단계에서 이동식 쿠션부(9)를 지지하는 안착부재(10)는 시트 백(1)과 인접한 후방위치에서 고정식 쿠션부(7)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의 의지에 따라 상기 이동식 쿠션부(9)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부(31)를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재(30)를 들어 올려 전방으로 선회하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30)의 내향 돌출형 제2힌지부(32)와 힌지 결합된 상기 링크부재(50)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작부재(30)의 상방향 선회에 따라 후방을 향한 상기 링크부재(50)의 이동이 종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재(60)의 가압돌기(61)는 상기 링크부재(50)의 가압단부(54)와 경사면부(54a)를 거쳐 평판부(53)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부재(20)의 수용블록(200) 내에서 상기 체결부재(6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60)의 메인 삽입돌기부(62)는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체결구멍(4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60)의 보조 체결구멍(63)은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삽입돌기부(44)로부터 상방향을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구속은 체결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링크부재(50)의 가압단부(54)에 형성되는 경사면부(54a)는 상기 체결부재(60)의 가압돌기(61)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60)는 가압돌기(61)와 상기 링크부재(50)의 경사면부(54a)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0)의 수용블록(200) 내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구속상태는 해제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가이드부(42) 내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70)은 상기 이동부재(20)의 보조 결합부(22)의 자유단부에 위치한 결합돌기(22a)에 대해 탄력적인 복원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40)로부터 전방으로 벗어나 상기 시트 쿠션(3)의 좌면을 전방을 향해 확장시키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재(20)의 메인 결합부(21)와 보조 결합부(22)는 각각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가이드부(41)와 보조 가이드부(42)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를 받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변위는 정상적인 전개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가이드부(41)에 형성된 걸림턱(41a)은 상기 이동부재(20)의 저면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26)에 형성된 걸림홈(26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전진방향 이동범위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완전한 이탈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재(20)의 후크부(21a)는 상기 링크부재(50)에 형성된 요홈부(50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한 상기 링크부재(50)의 전진방향 이동범위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작부재(30)의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32)와 상기 링크부재(50)의 트임형 제2힌지홈부(51) 사이의 이탈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30)에 가해졌던 작동력이 해제되면, 상기 링크부재(50)는 상기 조작부재(30)의 복원 선회에 의해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체결부재(60)의 가압돌기(61)는 상기 링크부재(50)의 평판부(53)에서 경사면부(54a)를 지나 가압단부(54)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체결부재(60)에 가해졌던 상승력은 사라지고 상기 수용블록(20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60)는 원래의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재(60)의 메인 삽입돌기부(62)는 최초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한 특정 위치에 있는 메인 체결구멍(43)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60)의 보조 체결구멍(63)도 역시 최초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한 특정 위치에 있는 보조 삽입돌기부(44)와 결합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구속상태로 전환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전방을 향한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구속이 상기 체결부재(60)의 메인 삽입돌기부(62)와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체결구멍(43) 사이의 결합과 상기 체결부재(60)의 보조 체결구멍(63)과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삽입돌기부(44) 사이의 결합을 통한 이중 록킹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전방 충돌시 탑승자의 대퇴부에 의한 이동식 쿠션부(9)의 타격으로부터 기인하는 잠금부위의 이탈에 의한 해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과 상반되는 고정식 쿠션부(7)에 대한 이동식 쿠션부(9)의 확장방향 이동과 반대되는 복원방향의 이동은 상기 조작부재(30)의 선회에 따른 상기 체결부재(60)에 의한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40) 사이의 구속력을 해지시킨 상태에서 이동부재(20)에 강제적인 외력을 가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조작부재(30)를 복원시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최초의 수납위치로 전환시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시트 백 3-시트 쿠션
5-쿠션 프레임 7-고정식 쿠션부
9-이동식 쿠션부 10-안착부재
20-이동부재
21-메인 결합부 21a-탄성편
22-보조 결합부 23-가이드 돌기
24-제1힌지홈부 24a-제1개구부
24b-제1트임부 24c-제1내향 돌출부
25-토션 스프링 26-가이드 레일
26a-걸림홈
30-조작부재
31-제1힌지핀부 32-제2힌지핀부
40-고정부재
41-메인 가이드부 41a-걸림턱
42-보조 가이드부 43-메인 체결구멍
44-보조 삽입돌기부
50-링크부재
51-제2힌지홈부 51a-제2개구부
51b-제2트임부 51c-제2내향 돌출부
52-가이드 슬롯 53-평판부
54-가압단부 54a-경사면부
54b-하향 돌기부
60-체결부재
61-가압돌기 62-메인 삽입돌기부
63-보조 체결구멍 70-스프링

Claims (6)

  1. 자동차 시트의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고 고정식 쿠션부에 대해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로서,
    상기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의 선회 동작과 연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구비되는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구조물은
    상기 조작부재에서 상기 이동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 및 상기 링크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
    상기 이동부재에서 상기 외향 돌출형 제1힌지핀부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트임형 제1힌지홈부; 및
    상기 링크부재에서 상기 내향 돌출형 제2힌지핀부와의 착탈 방식의 조립형 힌지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트임형 제2힌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핀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하측 양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홈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양단부에서 상기 제1힌지핀부를 향해 내측방향으로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핀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상측 양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홈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 양단부에서 상기 제2힌지핀부를 향해 외측방향으로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임형 제1힌지홈부는 상기 돌출형 제1힌지핀부와의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결합을 위해 중앙에 제1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개구부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트임부를 형성하며, 상기 트임형 제2힌지홈부는 상기 돌출형 제2힌지핀부와의 반경방향 조립식 힌지 결합을 위해 중앙에 제2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구부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트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트임부에는 상기 돌출형 제1힌지핀부의 반경방향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제1내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트임부에는 상기 돌출형 제2힌지핀부의 반경방향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제2내향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부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부, 및 상기 링크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후크부와 접촉 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KR1020170155375A 2017-11-21 2017-11-21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KR10242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75A KR102428021B1 (ko) 2017-11-21 2017-11-21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75A KR102428021B1 (ko) 2017-11-21 2017-11-21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04A KR20190057904A (ko) 2019-05-29
KR102428021B1 true KR102428021B1 (ko) 2022-08-03

Family

ID=6667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375A KR102428021B1 (ko) 2017-11-21 2017-11-21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0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654B1 (ko) 2012-08-06 2012-11-1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101518649B1 (ko) 2013-12-30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518650B1 (ko) * 2013-12-30 2015-05-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685927B1 (ko) 2016-06-09 2016-12-13 (주)디에스시 수동형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59B1 (ko) * 2012-06-13 2014-01-23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KR101991252B1 (ko) 2014-03-31 2019-06-24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654B1 (ko) 2012-08-06 2012-11-1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101518649B1 (ko) 2013-12-30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518650B1 (ko) * 2013-12-30 2015-05-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685927B1 (ko) 2016-06-09 2016-12-13 (주)디에스시 수동형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04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252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JP4770835B2 (ja) 車両用シートの移動装置
KR20100062228A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US7159922B2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KR101484234B1 (ko) 차체의 시트백 마운팅구조
EP3085578A1 (en) Headrest
US11260778B2 (en) Child safety seat
KR102428021B1 (ko)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KR102402993B1 (ko)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록킹 구조
JP2006305212A (ja) シート
JP5991207B2 (ja) スライドレール
KR101956264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JP5225610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330996B1 (ko)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KR102071504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JP2002120604A (ja) メリーゴーランドシート
KR101815449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US20200196763A1 (en) Chair
KR101231354B1 (ko)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KR102071488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KR102236680B1 (ko) 다단식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20082793A (ja) 乗物用シート
KR101900071B1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20020048793A (ko) 차량용 시트의 탈부착장치
KR200293227Y1 (ko) 차량용 보조시트의 점핑메커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