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83B1 -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 - Google Patents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83B1
KR102426483B1 KR1020200067440A KR20200067440A KR102426483B1 KR 102426483 B1 KR102426483 B1 KR 102426483B1 KR 1020200067440 A KR1020200067440 A KR 1020200067440A KR 20200067440 A KR20200067440 A KR 20200067440A KR 102426483 B1 KR102426483 B1 KR 10242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wl
channel
teeth
latching device
lock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456A (ko
Inventor
제라드 쥐. 가이거
지오바니 에이. 르윈스키
Original Assignee
헬러만타이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러만타이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헬러만타이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4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B65D63/16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 of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65D63/1063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the female lock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plastic barb
    • B65D63/1072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the female lock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plastic barb the barb having a plurality of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06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by deformation thereof
    • B65D63/08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s of th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16L3/2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 F16L3/233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a single plastic locking barb
    • F16L3/233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a single plastic locking barb the barb having a plurality of ser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tricles
    • B65D25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2563/101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 B65D2563/107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having a release mechanism, e.g. reusable bundling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tricles
    • B65D25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2563/101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 B65D2563/108Appendages formed with/on the strap for purposes other than joining, releasing or bundling, e.g. for fixing the strap to a wall, label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문헌은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를 설명한다. 특히, 일체형 해제 피처는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에 연결된 폴에 일체로 연결된다. 로킹 헤드는 로킹 헤드를 통해 연장되고 제2 채널과 결합된 제1 채널을 포함하는 슬롯을 한정한다. 폴은 제2 채널 내에 배치되고 로킹 헤드의 내부에 위치 설정된다. 폴은 세장형 스트랩이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세장형 스트랩 상의 톱니부와 맞물리는 다수의 폴 치형부를 갖는다. 일체형 해제 피처는 해제 도구를 수용하기 위해 폴의 중간부에서 개방 공동의 다수의 측면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된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하고, 벽은 제1 채널과 모두 대면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를 갖는 대향 단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INTEGRATED RELEASE FEATURE FOR PAWL-LATCHING DEVICES}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Integrated Release Feature for Pawl-Latching Devices)"이고 2020년 5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876,72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은 다시 35 U.S.C. § 119(e) 하에 발명의 명칭이 "일체형 로우 프로파일 해제 피처를 갖는 케이블 타이(Cable Tie with Integrated Low Profile Release Feature)"이고 2019년 6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60,42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케이블 타이 및 기타 폴-래칭 디바이스(예를 들어, 케이블 타이, 클립, 클램프)는 물체의 번들(예를 들어, 와이어-번들)을 고정하는 데에 오랜 사용 이력을 갖는다. 사용자가 번들 둘레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케이블 타이를 해제하게 하는 해제 탭과 같은 해제 피처를 갖는 많은 케이블 타이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케이블 타이가 번들 둘레에서 고도로 텐셔닝될 때에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종래의 해제 탭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블 타이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려고 할 때,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있는 날카로운 돌출 에지를 갖고 있다. 경우에 따라, 이들 날카로운 에지는 포장 백에 구멍을 절단하고, 나일론 케이블 타이가, 예를 들어 건조한 환경에서 탈수되게 하여 파손되기 쉽게 될 수 있다. 많은 종래의 해제 탭은, 사용자가 번들 둘레에 고도-텐셔닝된 케이블 타이를 해제하려고 할 때, 해제 없이 벤딩, 변형, 및 항복되어, 해제 탭을 작동 불가능하게 만들고 절단과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케이블 타이를 제거할 때 번들에 대한 손상 위험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종래의 해제 탭은 또한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해제 도구가 미끄러져 해제 탭과 맞물리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상해 및 번들에 대한 손상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돌출형 해제 탭은 또한 설치 또는 유지 보수 중에, 특히 케이블 타이가 낮은 텐션 하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나 도구에 의한 우발적인 접촉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해제에 취약할 수 있다. 돌출형 해제 탭은 또한 설치 중에 케이블 타이를 텐셔닝시키고 케이블 타이로부터 과도한 재료를 절단하는 설치 도구를 방해하여, 설치 도구가 케이블-타이 헤드와 동일한 높이로 케이블 타이를 절단하지 못하게 한다. 간섭하는 돌출형 해제 탭으로 인해 스트랩을 헤드에 가깝게 절단 불가능하면 날카로운 절단 스트랩이 돌출되고 케이블-타이 헤드 위에 추가의 날카로운 돌출부가 생성되어 또한 설치 도구에 의해 해제 탭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될 위험이 있다.
본 문헌은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를 설명한다. 특히, 일체형 해제 피처는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에 연결된 폴에 일체로 연결된다. 로킹 헤드는 로킹 헤드를 통해 연장되고 제2 채널과 결합된 제1 채널을 포함하는 슬롯을 한정한다. 제1 채널은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 세장형 스트랩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폴은 슬롯의 제2 채널 내에 배치되고 로킹 헤드의 내부에 위치 설정된다. 폴은 세장형 스트랩이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세장형 스트랩 상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다수의 폴 치형부를 갖는다. 일체형 해제 피처는 해제 도구를 수용하기 위해 폴의 중간부에서 개방 공동의 다수의 측면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된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하고, 이 벽은 제1 채널과 모두 대면하는 대향 단부를 갖는다. 일체형 해제 피처는 또한 제1 채널과 대면하는 벽의 대향 단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세장형 스트랩, 로킹 헤드, 폴, 및 일체형 해제 피처를 포함하는 폴-래칭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세장형 스트랩은 헤드 단부, 헤드 단부에 대향하는 테일 단부, 및 세장형 스트랩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다. 로킹 헤드는 세장형 스트랩의 헤드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게다가, 로킹 헤드는 로킹 헤드를 통해 연장되고 제1 채널 및 결합된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슬롯을 한정한다. 제1 채널은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 스트랩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폴은 로킹 헤드에 대한 힌지 연결을 통해 제2 채널 내에 배치되고 로킹 헤드의 상단 표면 아래에 위치 설정된다. 폴은 제1 채널과 대면하는 폴의 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폴 치형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폴 치형부는 세장형 스트랩의 테일 단부가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복수의 톱니부 중 하나 이상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일체형 해제 피처는 폴에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일체형 해제 피처는 공동의 다수의 측면을 한정하고 제1 채널과 대면하는 단부를 갖는 다중벽 구조를 포함한다. 다중벽 구조는 폴의 중간부에 해제 도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을 한정한다. 다중벽 구조의 단부는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를 갖는다.
이 요약은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에 대한 단순화된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필수적인 피처를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의 하나 이상의 양태의 세부 사항이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문헌에서 설명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피처 및 구성요소를 참조하기 위해 동일한 번호가 사용된다.
도 1은 일체형 해제 피처를 갖는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에 따른 일체형 해제 피처를 갖는 도 1의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로부터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단면선 4-4를 따라 취한, 도 2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단면선 5-5를 따라 취한, 도 3으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단면선 6-6을 따라 취한, 도 3으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에 따른 일체형 해제 피처를 갖는 로킹 헤드의 예시적인 구현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단면선 8-8을 따라 취한, 도 7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에 따른 일체형 해제 피처를 갖는 로킹 헤드의 예시적인 구현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단면선 10-10을 따라 취한, 도 9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번들 둘레에 고정되는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설치 도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 11a 및 도 11b로부터의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 13은 압축 가능한 번들 둘레에 고정된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으로부터의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단면선 15-15를 따라 취한, 도 14로부터의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a 내지 도 16f는 일체형 해제 피처와 인터페이스하는 해제 도구에 의해 해제되는 도 15로부터의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일체형 해제 피처와 인터페이스하는 해제 도구에 의해 해제되는 도 15로부터의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 18은 일체형 해제 피처를 갖는 로우-프로파일 로킹 헤드의 예시적인 구현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단면선 19-19를 따라 취한, 도 18로부터의 로우-프로파일 로킹 헤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 내지 도 19로부터의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의 대안적인 구현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20으로부터의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의 다른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의 하나 이상의 양태의 세부 사항이 아래에 설명된다. 케이블-타이 조립체와 같은 폴-래칭 디바이스를 위한 종래의 해제 피처는, 사용자를 상해를 입히거나 포장 백을 절단할 수 있는 날카로운 돌출형 해제 탭을 갖는다. 사용자가 번들 둘레에 고도로 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를 해제하려고 할 때 해제 탭은 벤딩, 변형, 및 항복되어, 해제 탭이 작동 불가능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돌출형 해제 탭은 설치 도구를 방해할 수 있으며 또한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받기 쉬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번들"은 폴-래칭 디바이스(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임의의 물체 또는 물체들을 지칭한다. 예시적인 폴-래칭 디바이스를 통해 고정될 수 있는 번들의 일반적인 예는 와이어-번들 또는 케이블 번들, 라인, 호스, 배관, 도관 또는 고정이 필요한 기타 물체(예를 들어, 세장형 물체)를 포함한다. 번들을 고정하는 추가의 예시적인 구현은 덩굴(vine)을 격자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 작은 나무를 말뚝에 고정하는 것, 동물 울타리를 기둥에 고정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체형 해제 피처는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또한, 케이블-타이 헤드라고도 지칭됨) 내의 폴과 같은 폴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일체형 해제 피처는 로킹 헤드의 내부에 위치 설정되어, 로킹 헤드의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종래의 돌출형 해제 피처와 달리,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이웃한 물질에 손상을 줄 위험을 제거한다.
일체형 해제 피처는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의 일부에서 분기점에 의해 형성되어 벽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일체형 해제 피처는 종래의 케이블-타이 폴에 비해 폴-대-스트랩-톱니부 맞물림 강도(또한 루프 인장 강도라고도 지칭됨)를 개선하기 위해 폴 치형부의 부분 열(예를 들어, 분기된 폴 치형부의 잔여 부분)을 포함한다.
양태에서, 벽 구조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벤딩, 변형 등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보강 구조이다. 예를 들어, 벽 구조는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해제 도구와 크기 일치되는 U 형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드라이버의 해제 이동을 구속하여 설치자의 손에 인접한 외부 구성요소의 가우징(gouging)을 방지한다. 따라서, 일체형 해제 피처의 보강된 구조는, 특히 폴 메커니즘이 벤딩, 변형, 또는 다른 방식의 결함 없이 높은 힘(예를 들어, 스트랩 톱니부와 폴 치형부 사이에 높은 결합력을 야기하는 폴-래칭 디바이스의 스트랩에서의 높은 인장력)으로 맞물릴 때 폴 메커니즘을 맞물림 해제하기 위한 구조적 강성 및 개선된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일체형 해제 피처는 케이블-타이 폴과 같은 많은 표준 폴을 부품의 외부-전체 치수를 변경시키지 않고 해제 가능한 폴로 변환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환경
도 1은 일체형 해제 피처의 하나 이상의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폴-래칭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케이블-타이 조립체)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폴-래칭 디바이스(100)는 헤드 단부(104) 및 헤드 단부(104)에 대향하는 테일 단부(106)를 갖는 세장형 스트랩(102)(또는 밴드)을 포함한다. 폴-래칭 디바이스(100)는 또한 스트랩(102)의 헤드 단부(104)에 일체로 연결된 로킹 헤드(108)를 포함한다. 스트랩(102)은 또한 로킹 헤드(108) 내에서 폴 메커니즘(110)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스트랩의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 상에 복수의 톱니부(톱니부는 스트랩의 바닥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폴 메커니즘(110)은 로킹 헤드(108)의 내부 내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폴-래칭 디바이스(100)는 일체형 해제 피처가 구현될 수 있는 예일 뿐이고; 임의의 적절한 폴-래칭 디바이스가 사용되어 클립 및 클램프와 같은 일체형 해제 피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에 따른 일체형 해제 피처(202)를 갖는 도 1로부터의 폴-래칭 디바이스(100)의 로킹 헤드(108)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로부터의 폴-래칭 디바이스(100)의 로킹 헤드(10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로킹 헤드(108)는 제1 채널(302) 및 제1 채널(302)과 결합된 제2 채널(304)을 갖는 슬롯(204)을 한정한다. 슬롯은 로킹 헤드(108)를 통해 연장된다. 제1 채널(302)은 스트랩(102)의 테일 단부(106)와 같은 스트랩(10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폴 메커니즘(110)은, 스트랩(102)이 제1 채널(302) 내에 배치될 때, 폴 메커니즘이 스트랩(102)과 맞물려서 제1 채널(302)을 통한 스트랩(102)의 단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스트랩(102)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제2 채널(304) 내에 배치된다. 더 많은 세부 사항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는 단면선 4-4를 따라 취한, 도 2로부터의 로킹 헤드(108)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폴 메커니즘(110)은 슬롯(204)의 제2 채널(304) 내에 힌지 연결부(404)를 형성하는 로킹 헤드(108) 내부에 테더링된 폴(402)을 포함한다. 폴은 제1 채널(302)과 대면하는 복수의 폴 치형부(406)를 포함한다. 폴 치형부는 폴(402)로부터 제1 채널(302)을 향해 연장되고, 제1 채널(302)의 일단부를 향해, 예를 들어 로킹 헤드(108)의 상단 표면(408)(외부 표면)을 향해 경사진 돌출부를 포함한다. 폴 치형부(406)는, 스트랩(102)의 테일 단부(106)의 일부가 제1 채널(302) 내에 배치될 때, 스트랩(102)의 테일 단부(106) 상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폴(402)은, 폴(402)이 로킹 헤드(108)의 상단 표면(408) 위로 또는 로킹 헤드(108)의 하단 표면(410) 아래로 연장되지 않도록(예를 들어, 폴(402)이 제2 채널(304)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로킹 헤드(108) 내부에 위치 설정된다. 폴(402)은 로킹 헤드(108) 내에 완전히 수용되며, 이는 폴(402)이 사용자를 상해를 입히거나 연질 번들 및/또는 호스와 중첩되는 인접한 라우팅 재료 또는 폴-래칭 디바이스의 포장 백을 손상시킬 수 있는 날카로운 돌출부를 가질 위험을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도 5는 단면선 5-5를 따라 취한, 도 3으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단면선 6-6을 따라 취한, 도 3으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그리고 또한 도 2 및 도 3에도 도시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402)은 일체형 해제 피처(202)를 포함한다. 일체형 해제 피처(202)는 폴(402)에 일체로 연결된 벽 구조(502)에 의해 한정된다. 벽 구조(502)는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해제 도구의 팁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폴(402)의 중간부에 개방 공동(504)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된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벽 구조(502)는 후방벽(602) 및 2개의 측벽(604)을 갖는 다중벽 구조이다. 양태에서, 후방벽(602)은 측벽(604)과 병합되어 공동(504) 둘레에 U 형상 구조를 형성한다. 벽 구조(502)의 각각의 단부는 제1 채널(302)과 대면하는 폴 치형부(406)와 같은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를 포함한다. 후방벽(602)은 고 루프 인장 강도 적용 동안 증가된 쐐기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측벽(604)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며, 그 예는 도 13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또한, 측벽(604)과 후방벽(602)의 통합은, 폴 치형부가 스트랩(102)의 테일 단부(106) 상의 톱니부와 압축하여 맞물리고 해제 도구가 스트랩(102)으로부터 후방벽(602)에 대해 힘을 가할 때 폴 치형부(406)를 맞물림 해제하기 위해 후방벽(602)에 보강 강도를 제공한다.
양태에서, 공동(504)은 제1 채널(302)과 대면하는 폴 치형부(406)의 일부를 포함하는, 폴(402)의 일부에서 분기점(또는 간극, 리세스, 공극, 결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폴(402) 부분의 분기점은, 스트랩(102)이 제1 채널(302) 내에 배치될 때 스트랩(102)의 테일 단부(106) 상의 톱니부와 접촉할 폴 치형부(406)의 2개의 열의 중간부를 포함한다. 폴(402) 부분의 분기점은 폴 치형부(406)의 1개, 2개 또는 3개의 열을 비롯하여 폴 치형부(406)의 임의의 적절한 수의 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벽 구조(502)에 의해 형성된 공동(504)은, 산업 표준 일자 드라이버(industry-standard flat-blade screwdriver) 또는 폴 메커니즘(110)을 해제하는 데에 사용 가능한 다른 물체일 수 있는 해제 도구 팁의 윤곽 및 크기에 맞도록 한정될 수 있다. 벽 구조(502)는 해제 도구를 공동(504) 내로 안내하고 해제 도구가 후방벽(602)과 맞물리지 않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제 도구의 헤드 또는 팁의 윤곽에 맞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벽 구조(502)는, 벽 구조(502)의 단부 상에 배치된 폴 치형부(406)의 잔여 부분(분기점의 양 측면 부분)이 공동(504)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행으로 배치되도록 형상화된다.
벽 구조(502)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 구조(502)는 해제 도구의 둥근 팁에 맞도록 반원 또는 반타원을 한정하기 위해 라운딩된 단일 벽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는 단일 벽의 대향 단부 상에 배치되고 제1 채널(302)과 대면한다. 대안적으로, 벽 구조(502)는 V 형상을 형성하는 2개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 구조(502)는 U 형상을 형성하는 3벽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벽 구조(502)는 해제 도구의 윤곽에 맞도록 적절한 형상을 형성하는 4개 이상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서, 작은 로킹 헤드에서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얇은 해제 도구에 형상 끼워맞춤하도록 벽 구조(502)를 구현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측벽(604)은 산업 표준 일자 드라이버에 크기 일치하도록 약 0.8 mm 내지 약 10.0 mm의 범위 내에 있는 거리(예를 들어, 도 3의 y-축을 따른 공동(504)의 폭)만큼 분리될 수 있다. 후방벽(602)은 약 0.5 mm 내지 약 2.0 mm의 범위 내에 있는 거리(예를 들어, 도 3의 x-축을 따른 공동(504)의 깊이)만큼 제1 채널(302)과 대면하는 폴(402)의 면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벽 구조(502)(측벽(604) 및 후방벽(602))는 약 1.0 mm 내지 약 3.0 mm의 범위 내에 있는 높이(공동(504)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벽 구조(502)의 높이는 폴 치형부(406)의 2개의 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 2.0 mm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후방벽(602)은 측벽(60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후방벽(602)은 측벽(604) 위로 상승될 수 있거나 측벽(604)은 후방벽(602) 위로 상승될 수 있다. 게다가, 후방벽(602)은 측벽(60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후방벽(602)은 측벽(604)보다 얇을 수 있거나 후방벽(602)은 측벽(604)보다 두꺼울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에 따른 일체형 해제 피처를 갖는 로킹 헤드의 예시적인 구현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단면선 8-8을 따라 취한, 도 7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해제 피처(202)는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구현에 비해 더 짧은 높이로 구현될 수 있다. 벽 구조(502)의 높이는 폴 치형부(406)의 1개의 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거나 약 1.0 mm일 수 있다. 벽 구조(502)의 이러한 보다 짧은 높이는, 폴-래칭 디바이스(100)가 번들 둘레에 고도로 텐셔닝되어 폴(402) 및 그 폴 치형부(406)에 높은 부하(예를 들어, 높은 로킹-결합력)를 제공하는 경우와 같은 고부하 용례에 유용할 수 있다. 보다 높은 벽 구조(502)(및 폴 치형부(406)의 추가 열들 사이의 보다 깊은 공동(504))는 측벽(604)의 단부에서 폴 치형부(406)의 부분의 쐐기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고; 그러나, 보다 높은 쐐기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측벽(604)의 증가된 폭을 제공하는 옵션이 존재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에 따른 일체형 해제 피처를 갖는 로킹 헤드의 예시적인 구현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단면선 10-10을 따라 취한, 도 9로부터의 로킹 헤드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해제 피처(202)는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구현에 비해 더 큰 높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벽 구조(502)의 높이는 폴 치형부(406)의 3개의 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 3.0 mm일 수 있다. 벽 구조(502)의 이러한 더 높은 높이는, 폴-래칭 디바이스(100)가 번들 둘레의 보다 낮은 상대 텐션 하에 위치되어, 폴(402) 및 그 폴 치형부(406)에 보다 적은 부하(예를 들어, 더 작은 로킹-결합력)를 제공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일체형 해제 피처(202)를 구성하면 보다 큰 공동(504) 및 스트랩(102)으로부터 폴(402)을 보다 쉽게 맞물림 해제하도록 해제 도구에 대해 추가적인 레버리징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예는 도 16a 내지 도 16f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번들 둘레에 고정되는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래칭 디바이스(100)의 스트랩(102)은 번들(1102) 둘레에 랩핑되고 스트랩(102)의 테일 단부(106)는 제1 채널(302)을 통해 삽입되어, 스트랩(102) 상의 톱니부(1104)는 제2 채널(304)에 위치된 폴(402)의 폴 치형부(406)와 대면한다. 스트랩(102)이 (화살표(110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채널(302)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톱니부의 경사진 부분은 폴(402) 상의 폴 치형부(406)의 각도 부분과 맞물려서, 폴(402)이 화살표(1108)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로킹 헤드(108)에 대한 힌지 연결부(404)를 중심으로 스트랩(10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되게 한다. 폴(402) 및 일체형 해제 피처(202)는 로킹 헤드(108)의 상단 표면(408) 아래에 유지되어, 폴(402)이 제2 채널(304)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12a 및 도 12b는 설치 도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 11a 및 도 11b로부터의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구현에서, 설치 도구(1202)는 폴-래칭 디바이스(100)에 텐션을 인가하고 또한 로킹 헤드(108)의 상단 표면(408) 위로 연장되는 스트랩(102)의 초과 길이를 전단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2a에서, 설치 도구(1202)는 로킹 헤드(108)의 상단 표면(408)을 밀면서 스트랩(102)을 잡아 당김으로써 폴-래칭 디바이스(100)에 텐션을 인가하고 있다. 도 12b에서, 설치 도구(1202)는 스트랩(102)을 전단하기 위해 블레이드(1204)를 사용한다. 순차적으로, 폴(402)은 스트랩(102)을 향해 회전되어, 폴(402) 상의 폴 치형부(406)가 스트랩(102) 상의 톱니부(1104)와 맞물리고 폴-래칭 디바이스(100)를 제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폴-래칭 디바이스(100)가 번들(1102) 둘레에서 텐셔닝되기 때문에, 스트랩(102)이 전단될 때, 잔여 스트랩 텐션은 폴 치형부(406)가 스트랩(102) 상의 톱니부(1104)와 맞물릴 때까지 순간적으로 해제되고; 이에 의해, 스트랩을 제1 채널(302)을 통해 번들(1102)을 향해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폴(402) 및 일체형 해제 피처(202)가 로킹 헤드(108)의 내부에 위치 설정되기 때문에, 설치 도구는 스트랩(102)을 로킹 헤드(108)의 상단 표면(40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전단하여,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인접한 라우팅 번들, 호스 등에 손상을 줄 위험을 제기할 수 있는 스트랩(102) 상의 임의의 돌출하는 날카로운 에지를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3은 압축 가능한 번들 둘레에 고정된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으로부터의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단면선 15-15를 따라 취한, 도 14로부터의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경우에, 폴-래칭 디바이스(100)는 번들(1102) 둘레에서 고도로 텐셔닝되어 번들(1102)이 압축 및 변형된다.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는, 프로세스에서 벤딩되고 손상될 수 있는 종래의 단일 벽 해제 탭 피처를 사용하여 해제하기 어려울 수 있고; 이에 의해, 폴을 해제하는 데에 필요한 레버리지가 달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폴 메커니즘의 해제 피처가 고장나면, 압축된 번들(1102)로부터 폴-래칭 디바이스(100)를 제거하는 대안적인 방법, 예를 들어 절단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될 것이고, 절단 도구는 번들(1102)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압축된 번들(1102) 둘레에서 고도-텐셔닝된 스트랩을 절단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 해제 피처(202)는 번들(1102)에 대한 손상의 위험 없이 폴 메커니즘(110)을 맞물림 해제하기 위한 높은 성능 신뢰성을 제공한다.
도 16a 내지 도 16f는 일체형 해제 피처와 인터페이스하는 해제 도구에 의해 해제되는 도 15로부터의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시퀀스를 도시한다. 여기서, 해제 도구(1602)는 일자 드라이버이다. 해제 도구(1602)는 화살표(160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형 해제 피처(202)에 의해 한정된 공동(504) 내로 삽입되는 팁(1604)을 포함한다. 해제 도구(1602)의 팁(1604)이 공동(504) 내로 수용되고 공동(504)의 바닥을 한정하는 폴(402)의 평면형 표면(1608)에 맞닿을 때, 해제 도구(1602)는 스트랩(102)을 향해 또는 스트랩으로부터 멀리 회전될 수 있다. 도 16d에서, 해제 도구(1602)는, 화살표(16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도구(1602)의 핸들(1610)이 스트랩(102)을 향해 회전되고, 해제 도구(1602)의 팁(1604)이 스트랩(102)으로부터 멀어지고 후방벽(602)을 향해 이동되도록 회전된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도 17a 및 도 17b에서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도구(1602)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6e 및 도 16f의 예를 계속하면, 해제 도구(1602)의 핸들(1610)이 스트랩(102)을 향해 회전됨에 따라(화살표(1612)로 나타냄), 해제 도구(1602)의 팁(1604)은 일체형 해제 피처(202)의 후방벽(602)의 바닥 부분에 힘을 가하여, 폴(402)이 스트랩(102)으로부터 멀리 회전되게 함으로써, 스트랩(102) 상의 톱니부(1104)로부터 폴 치형부(406)를 맞물림 해제시킨다. 스트랩(102)의 텐션으로 인해, 스트랩(102)은 제1 채널(302)을 통해 번들(1102)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일체형 해제 피처와 인터페이스하는 해제 도구에 의해 해제되는 도 15로부터의 고도-텐셔닝된 폴-래칭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여기서, 해제 도구(1602)의 핸들(1610)은 스트랩(102)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된다. 일부 양태에서, 이 방식으로 해제 도구(1602)를 회전시킬 때 해제 도구(1602)의 팁(1604)은 스트랩(102) 상의 톱니부(1104)와 맞닿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해제 도구(1602)가 일체형 해제 피처(202)의 후방벽(602)의 상단 부분에 힘을 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벽(602)은 후방벽(602)의 상단 부분에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생길 수 있는 후방벽(602)의 벤딩 또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측벽(604)에 의해 보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7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도구(1602)의 핸들(1610)을 스트랩(102)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시키면, 스트랩(102) 상의 톱니부(1104)로부터 폴(402)의 폴 치형부(406)를 맞물림 해제할 수 있다.
게다가, 폴(402)의 평면형 표면(1608)은 오목부(1704)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704)는 측벽(604) 사이에서 폴(402)의 평면형 표면(1608)의 폭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 또는 채널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704)는 평면형 표면(1608)을 가로질러 해제 도구(1602)의 팁(1604)의 측방향 이동(예를 들어, 스트랩(102)을 향한 또는 스트랩으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해제 도구(1602)의 팁(1604)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일체형 해제 피처를 갖는 로우-프로파일 로킹 헤드의 예시적인 구현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단면선 19-19를 따라 취한, 도 18로부터의 로우-프로파일 로킹 헤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로킹 헤드(108)의 로우-프로파일은 번들형 하니스, 케이블, 호스 등으로부터 덜 돌출된 방해물(로킹 헤드(108))을 제공한다. 돌출형 로킹 헤드(108)가 움직이는 차량에서 인접한 또는 중첩된 번들과 접촉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들 번들은 진동, 서스펜션 바운싱으로 인한 흔들림, 서스펜션이 없는 경우의 충격(예를 들어, 중장비에서), 및 맥동(유압 라인을 고정하는 경우)을 받게 되어, 돌출형 헤드와 번들 사이에 공격적인 접촉식 마찰(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용례에서 로우-프로파일 로킹 헤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로우-프로파일은 로킹 헤드(108)에 대해 더 낮은 높이를 제공하여, 조립된 폴-래칭 디바이스(100)가 덜 돌출된 프로파일로 작업하기에 보다 인체 공학적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로우-프로파일 헤드는 전체 부품 크기를 감소시켜, 패킹 통합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해제 피처(202)의 상단 표면(1902)은 로킹 헤드(108)의 상단 표면(40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예를 들어, 0.01 mm 이내)에 있다. 일체형 해제 피처(202)를 형성하는 벽 구조(502)는 측벽(604)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열의 폴 치형부(4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2개의 열의 폴 치형부(406)를 갖는 일체형 해제 피처(202)를 도시하지만, 로우-프로파일 로킹 헤드의 다른 실시예는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열의 폴 치형부(406)를 가질 수 있다. 로우-프로파일 로킹 헤드는 약 6.0 mm 내지 약 8.0 mm 범위 내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방벽(602)의 두께는 측벽(60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후방벽(602)은 측벽(604)보다 얇을 수 있거나 후방벽(602)은 측벽(604)보다 두꺼울 수 있다.
도 20은 도 1 내지 도 19로부터의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의 대안적인 구현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20으로부터의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의 다른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후방벽(602)은 각각의 측벽(604)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U 형상 구조를 형성하지만, U 형상 구조의 각각의 코너에서 함께 완전히 병합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U 형상 구조의 각각의 코너에서, 후방벽(602)의 일부와 각각의 측벽(604)의 일부 사이에 분기점이 존재한다. 이 실시예에서, 후방벽(602)은 측벽(604) 위로 상승된다. 그러나, 후방벽(602)은 측벽(60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거나 후방벽(602)은 측벽(604)보다 짧을 수 있다. 측벽(604)은 제1 채널(302)과 대면하는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406)의 제1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일체형 해제 피처(202)의 공동(504)은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406)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분기점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측벽(604)은 해제 도구를 공동(504) 내로 안내하고 해제 도구의 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측벽(604) 상의 폴 치형부(406)는 고 루프 인장 강도 적용 동안 추가적인 쐐기 강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구현의 나머지 특징은 도 1 내지 도 19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하다.
다음은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에 대한 기술의 추가적인 예이다.
예 1: 폴-래칭 디바이스로서,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에 연결되는 폴에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 해제 피처를 포함하며, 로킹 헤드는 로킹 헤드를 통해 연장되고 제2 채널과 결합된 제1 채널을 포함하는 슬롯을 한정하며, 제1 채널은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 세장형 스트랩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폴은 슬롯의 제2 채널 내에 배치되며 로킹 헤드의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폴은, 세장형 스트랩이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세장형 스트랩 상에 복수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다수의 폴 치형부를 가지며, 일체형 해제 피처는, 해제 도구를 수용하기 위해 폴의 중간부에서 개방 공동의 다수의 측면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된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제1 채널과 모두 대면하는 대향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벽; 및 제1 채널과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대향 단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를 포함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2. 예 1에 있어서, 폴은 공동의 바닥을 한정하는 평면형 표면을 포함하고, 평면형 표면은 해제 도구의 팁이 폴의 평면형 표면을 가로질러 제1 채널을 향해 활주 가능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해제 도구의 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를 갖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3. 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은 2개의 측벽과 병합되어 공동 둘레에 U 형상 구조를 형성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는 제1 채널과 대면하는 각각의 측벽의 단부 상에 배치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4. 예 3에 있어서, 후방벽은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에 대해 증가된 쐐기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측벽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5. 예 3에 있어서, 측벽과 후방벽의 통합은,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가 세장형 스트랩 상의 복수의 톱니부 중 하나 이상의 톱니부와 압축하여 맞물리고 세장형 스트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방벽에 힘이 가해질 때,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를 해제하기 위해 후방벽에 보강 강도를 제공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6. 예 1에 있어서, 공동은 제1 채널과 대면하는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폴의 일부에서 분기점에 의해 형성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7. 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은 산업 표준 일자 드라이버에 크기 일치하는 공동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8. 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은 해제 도구의 팁의 윤곽에 맞도록 형상화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9. 예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는 공동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행으로 배치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0. 예 1에 있어서, 일체형 해제 피처는, 일체형 해제 피처가 로킹 헤드의 외부로 연장되지 않도록 로킹 헤드의 내부에 위치 설정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1. 예 1에 있어서, 일체형 해제 피처의 표면은 로킹 헤드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2. 폴-래칭 디바이스로서, 헤드 단부, 헤드 단부에 대향하는 테일 단부, 및 세장형 스트랩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 세장형 스트랩; 세장형 스트랩의 헤드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로킹 헤드로서, 로킹 헤드는 로킹 헤드를 통해 연장되고 제1 채널 및 결합된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슬롯을 한정하며, 제1 채널은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 스트랩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헤드; 로킹 헤드에 대한 힌지 연결을 통해 제2 채널 내에 배치되고 로킹 헤드의 상단 표면 아래에 위치 설정된 폴로서, 폴은 제1 채널과 대면하는 폴의 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폴 치형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폴 치형부는 세장형 스트랩의 테일 단부가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복수의 톱니부 중 하나 이상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폴; 및 폴에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 해제 피처를 포함하고, 일체형 해제 피처는 공동의 다수의 측면을 한정하고 제1 채널과 대면하는 단부를 갖는 다중벽 구조를 포함하며, 다중벽 구조는 해제 도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을 폴의 중간부에 한정하고, 다중벽 구조의 단부는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를 갖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3. 예 12에 있어서, 폴은 공동의 바닥을 한정하는 폴의 평면형 표면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오목부는 해제 도구의 팁이 제1 채널을 향해 또는 제1 채널로부터 멀어지게 측방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제 도구의 팁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4. 예 12에 있어서, 다중벽 구조는 해제 도구의 팁의 윤곽 및 크기에 맞게 공동을 한정하도록 형성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5. 예 14에 있어서, 해제 도구는 일자 팁을 포함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6. 예 14에 있어서, 다중벽 구조는 약 1.0 mm 내지 약 3.0 mm 범위 내의 높이를 갖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7. 예 12에 있어서, 다중벽 구조는 2개의 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공동 둘레에 U 형상 구조를 형성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8. 예 17에 있어서, 측벽은 약 0.8 mm 내지 약 6.5 mm의 범위 내에 있는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19. 예 17에 있어서, 후방벽은 약 0.5 mm 내지 약 2 mm의 범위 내에 있는 거리만큼 폴의 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폴-래칭 디바이스.
예 20. 예 12에 있어서, 다중벽 구조는 공동을 함께 한정하는 후방벽 및 2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후방벽은 2개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2개의 측벽은 해제 도구의 팁을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2개의 측벽은, 제1 채널과 대면하고 세장형 스트랩이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세장형 스트랩의 복수의 톱니부 중 하나 이상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열의 폴 치형부를 갖는, 폴-래칭 디바이스.
결론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의 양태가 피처 및/또는 방법에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주제는 반드시 설명된 특정한 피처 또는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특정한 피처 및 방법은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의 예시적인 구현으로서 개시되며, 다른 동등한 피처 및 방법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또한, 여러 상이한 양태가 설명되고, 각각의 설명된 양태는 독립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설명된 양태와 연계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폴-래칭 디바이스로서,
    폴-래칭 디바이스의 로킹 헤드에 연결되는 폴에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 해제 피처를 포함하며, 로킹 헤드는 로킹 헤드를 통해 연장되고 제2 채널과 결합된 제1 채널을 포함하는 슬롯을 한정하며, 제1 채널은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 세장형 스트랩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폴은 슬롯의 제2 채널 내에 배치되며 로킹 헤드의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폴은, 세장형 스트랩이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세장형 스트랩 상에 복수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다수의 폴 치형부를 가지며, 일체형 해제 피처는,
    해제 도구를 수용하기 위해 폴의 중간부에서 개방 공동의 다수의 측면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된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제1 채널과 모두 대면하는 대향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벽; 및
    상기 제1 채널과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대향 단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은 공동의 바닥을 한정하는 평면형 표면을 포함하고, 평면형 표면은 해제 도구의 팁이 폴의 평면형 표면을 가로질러 제1 채널을 향해 활주 가능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해제 도구의 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를 갖는, 폴-래칭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은 2개의 측벽과 병합되어 공동 둘레에 U 형상 구조를 형성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는 제1 채널과 대면하는 각각의 측벽의 단부 상에 배치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은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에 대해 증가된 쐐기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측벽을 보강하는, 폴-래칭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후방벽의 통합은,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가 세장형 스트랩 상의 복수의 톱니부 중 하나 이상의 톱니부와 압축하여 맞물리고 세장형 스트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방벽에 힘이 가해질 때,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를 해제하기 위해 후방벽에 보강 강도를 제공하는, 폴-래칭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제1 채널과 대면하는 하나 이상의 폴 치형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폴의 일부에서 분기점에 의해 형성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은 산업 표준 일자 드라이버에 크기 일치하는 공동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는 공동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행으로 배치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해제 피처는, 일체형 해제 피처가 로킹 헤드의 외부로 연장되지 않도록 로킹 헤드의 내부에 위치 설정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해제 피처의 표면은 로킹 헤드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폴-래칭 디바이스.
  10. 폴-래칭 디바이스로서,
    헤드 단부, 헤드 단부에 대향하는 테일 단부, 및 세장형 스트랩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 세장형 스트랩;
    세장형 스트랩의 헤드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로킹 헤드로서, 로킹 헤드는 로킹 헤드를 통해 연장되고 제1 채널 및 결합된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슬롯을 한정하며, 제1 채널은 복수의 톱니부를 갖는 스트랩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헤드;
    로킹 헤드에 대한 힌지 연결을 통해 제2 채널 내에 배치되고 로킹 헤드의 상단 표면 아래에 위치 설정된 폴로서, 폴은 제1 채널과 대면하는 폴의 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폴 치형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폴 치형부는 세장형 스트랩의 테일 단부가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복수의 톱니부 중 하나 이상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폴; 및
    폴에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 해제 피처를 포함하고, 일체형 해제 피처는 공동의 다수의 측면을 한정하고 제1 채널과 대면하는 단부를 갖는 다중벽 구조를 포함하며, 다중벽 구조는 해제 도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을 폴의 중간부에 한정하고, 다중벽 구조의 단부는 하나 이상의 추가 폴 치형부를 갖고, 상기 다중벽 구조는 2개의 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공동 둘레에 U 형상 구조를 형성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폴-래칭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공동의 바닥을 한정하는 폴의 평면형 표면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오목부는 해제 도구의 팁이 제1 채널을 향해 또는 제1 채널로부터 멀어지게 측방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제 도구의 팁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벽 구조는 산업 표준 드라이버의 팁의 윤곽 및 크기에 맞게 공동을 한정하도록 형성되는, 폴-래칭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벽 구조는 1.0 mm 내지 3.0 mm 범위 내의 높이를 갖는, 폴-래칭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0.8 mm 내지 10 mm의 범위 내에 있는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는, 폴-래칭 디바이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은 0.5 mm 내지 2 mm의 범위 내에 있는 거리만큼 폴의 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폴-래칭 디바이스.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벽 구조는 공동을 함께 한정하는 후방벽 및 2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후방벽은 2개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2개의 측벽은 해제 도구의 팁을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2개의 측벽은, 제1 채널과 대면하고 세장형 스트랩이 제1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세장형 스트랩의 복수의 톱니부 중 하나 이상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열의 폴 치형부를 갖는, 폴-래칭 디바이스.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067440A 2019-06-12 2020-06-04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 KR102426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0424P 2019-06-12 2019-06-12
US62/860,424 2019-06-12
US16/876,722 US11027902B2 (en) 2019-06-12 2020-05-18 Integrated release feature for pawl-latching devices
US16/876,722 2020-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456A KR20200142456A (ko) 2020-12-22
KR102426483B1 true KR102426483B1 (ko) 2022-07-27

Family

ID=7111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440A KR102426483B1 (ko) 2019-06-12 2020-06-04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27902B2 (ko)
EP (1) EP3750825B1 (ko)
JP (1) JP6945687B2 (ko)
KR (1) KR102426483B1 (ko)
CN (1) CN112078963B (ko)
MX (1) MX20200059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30926A1 (en) * 2019-02-11 2020-08-20 Timothy Dudek A cable tie
US11511894B2 (en) 2019-09-26 2022-11-29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tie application tool
US11738922B2 (en) * 2021-06-22 2023-08-29 HellermanTyton Corporation Pawl-latching devices
KR20240047994A (ko) * 2021-08-12 2024-04-12 케이엠엘 홀딩 그룹 엘엘씨 잠금 해제 가능한 타이 장치
USD1012641S1 (en) 2021-10-25 2024-01-30 Aptiv Technologies Limited Tool nosepiece
WO2023154353A1 (en) * 2022-02-08 2023-08-17 Metrc Llc High strength sustainable security seal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8302A (en) * 1969-04-07 1987-08-25 Panduit Corp. One-piece cable tie
US3965538A (en) * 1969-05-05 1976-06-29 Panduit Corporation Integral cable tie
US3908233A (en) * 1969-07-03 1975-09-30 Panduit Corp Releasable one-piece cable tie
US3872547A (en) 1970-08-25 1975-03-25 Panduit Corp One-piece cable tie
DE2511240C2 (de) * 1974-03-12 1981-10-15 Bowthorpe-Hellermann Ltd., Crawley, Sussex Einstückiger, aus Kunststoff bestehender Binder für Kabel und dergleichen
ES205314Y (es) 1974-08-14 1976-06-01 Aparellaje Electrico, S. A. Brida.
JPS5848424B2 (ja) * 1980-01-08 1983-10-28 株式会社 サト−ゴ−セ− 結束止め具
FR2513328A1 (fr) * 1981-09-23 1983-03-25 Legrand Sa Collier de serrage
JPS59153856U (ja) * 1983-04-01 1984-10-16 川越 秋克 結束バンド
US5193250A (en) * 1992-04-30 1993-03-16 Panduit Corp. Releasable cable tie
US5267373A (en) * 1992-10-30 1993-12-07 Panduit Corp. Cable tie with strap tip guide ramp
US5794461A (en) 1995-10-13 1998-08-18 The Mckinley Group Key operable restraining device
JP2005045902A (ja) 2003-07-28 2005-02-17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ワイヤハーネス等の細長い部材の留め具
US6898825B1 (en) 2003-08-18 2005-05-31 Scott R. Charest Hose clamp
US7017237B2 (en) * 2003-12-02 2006-03-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High performance cable tie
US7676892B2 (en) * 2006-01-27 2010-03-16 Delphi Technologies, Inc. Tie device with cam action lock pawl
CN101541594A (zh) * 2007-01-31 2009-09-23 卡森尼可关精株式会社 线夹构造
DE102008032247B4 (de) 2008-07-01 2012-03-29 Newfrey Llc Befestigungseinrichtung
BRPI0915940A2 (pt) * 2008-07-16 2019-04-09 Baird Watson Robert cabeça de amarração, disposição de amarração e braçadeira de cabo
JP5168694B2 (ja) * 2008-12-24 2013-03-21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KR101696651B1 (ko) * 2009-02-23 2017-01-17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케이블 타이
KR20090012657U (ko) * 2009-11-23 2009-12-11 박장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US9127486B2 (en) * 2010-01-25 2015-09-08 Vision Industries Group, Inc. Sash window and door transportation clip assembly
CN102398726B (zh) * 2010-09-07 2013-07-17 健和兴端子股份有限公司 束带改良结构
CN102398727B (zh) * 2010-09-09 2013-07-10 健和兴端子股份有限公司 可退开式束紧带
US8763209B2 (en) * 2011-08-23 2014-07-01 The Burton Corporation Ratchet buckle and strap assembly
CN202670383U (zh) * 2012-05-29 2013-01-1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可拆卸式扎带
US9021681B2 (en) * 2012-09-27 2015-05-05 Thomas Dale Owen Mountable cable tie with fine adjust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03237579U (zh) * 2013-03-05 2013-10-16 上海易扣精密件制造有限公司 圆孔固定型可释放捆扎带
CN105208893B (zh) * 2013-03-15 2018-08-07 理想工业公司 缆绳束紧捆扎装置及其使用方法
US9328484B2 (en) * 2013-05-31 2016-05-03 Caterpillar Inc. Retainer systems for ground engaging tools
WO2016032507A1 (en) * 2014-08-29 2016-03-03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ner with reusable insert fastening element
CN204815098U (zh) * 2015-06-24 2015-12-02 山东省千佛山医院 一次性注射器附件
US20180080580A1 (en) 2016-09-22 2018-03-22 Henry Trevor Coulter Preformed and reusable bundling strap
CN108625819B (zh) * 2018-05-22 2023-10-13 河南理工大学 一种瓦斯抽采固定式封孔与堵漏一体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0005965A (es) 2020-12-14
US11027902B2 (en) 2021-06-08
KR20200142456A (ko) 2020-12-22
EP3750825A2 (en) 2020-12-16
US20200391916A1 (en) 2020-12-17
EP3750825B1 (en) 2022-08-03
JP6945687B2 (ja) 2021-10-06
EP3750825A3 (en) 2020-12-23
CN112078963B (zh) 2022-05-24
JP2020200948A (ja) 2020-12-17
CN112078963A (zh)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483B1 (ko) 폴-래칭 디바이스용 일체형 해제 피처
US9958089B2 (en) Lashing support spacer tie
US8365418B2 (en) Cable tie removal tool
EP1752384A2 (en) Releasable in-line cable tie
JP2007091295A (ja) 結束具及びその結束用固定具,結束バンド
EP1332980A1 (en) Locking strap with handling structure
JP4530600B2 (ja) ケーブル束のような対象物を結束する装置
US9834352B2 (en) Non-slip cable tie
JP6463834B2 (ja) 再使用可能なインサート留め要素を備えたファスナ
KR200465576Y1 (ko) 결속용 타이
WO2009094693A1 (en) Cable tie
KR102003545B1 (ko) 케이블 타이
JP4363466B2 (ja) 結束バンド用セーフティブロック及びセーフティブロック付き結束バンド
JP5452998B2 (ja) 結束具
KR101918091B1 (ko) 케이블 타이
KR101987210B1 (ko) 자체 절단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KR101335356B1 (ko) 무한반복 설치 및 인장시스템을 갖는 제거식 앵커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0473B1 (ko) 자체 절단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JP4452609B2 (ja) 結束用クロスバンド
JP2000118554A (ja) 結束具
JPS5810008Y2 (ja) 挾持具
AU2012308084B2 (en) Cable tie
JP2005082237A (ja) 止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結束部材
JP2007170483A (ja) バンド一体型クリップ
JP2010018291A (ja) 結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