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471B1 - 콤바인용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용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471B1
KR102423471B1 KR1020170175474A KR20170175474A KR102423471B1 KR 102423471 B1 KR102423471 B1 KR 102423471B1 KR 1020170175474 A KR1020170175474 A KR 1020170175474A KR 20170175474 A KR20170175474 A KR 20170175474A KR 102423471 B1 KR102423471 B1 KR 10242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vesting
limiting
combine
lever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093A (ko
Inventor
서신원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본체의 운전석에 배치된 예취조작레버를 포함하고,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를 제어하기 위한 예취조작부; 상기 운전석에 배치된 주행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콤바인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부를 제어하기 위한 주행조작부; 및 상기 예취조작레버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 각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콤바인용 조작장치{Manipulating Apparatus for Combine}
본 발명은 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작업에 이용되는 콤바인을 조작하기 위한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Combine)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작업 및 예취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점에서 설치의 의미로 쓰인 명칭으로,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작업을 수행하는 수확기계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100)은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110), 콤바인본체(120)를 주행시키는 주행부(130), 상기 예취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예취조작부(140), 및 상기 주행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주행조작부(150)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운전석에 탑승하여 상기 예취조작부(140) 및 상기 주행조작부(15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예취부(110) 및 상기 주행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100)은 상기 예취조작부(140) 및 상기 주행조작부(150)가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100)은 상기 주행조작부(150)의 조작을 통한 상기 콤바인본체(120)의 고속주행 및 상기 예취조작부(140)의 조작을 통한 상기 예취부(110)의 작동이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100)은 상기 콤바인본체(120)가 고속주행하면서 상기 예취부(110)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예취부(110)를 구성하는 부품들에 과다한 부하가 작용하여 해당 부품들에 대한 내구한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0753호(2017.2.2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콤바인본체의 고속주행 및 예취부의 작동이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용 조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는 콤바인본체의 운전석에 배치된 예취조작레버를 포함하고,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를 제어하기 위한 예취조작부; 상기 운전석에 배치된 주행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콤바인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부를 제어하기 위한 주행조작부; 및 상기 예취조작레버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 각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예취조작레버가 조작되어 예취조작부가 예취부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제한부가 주행조작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예취부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주행조작레버를 조작하더라도, 주행조작레버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콤바인본체가 주행하는 속력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취부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 콤바인본체가 주행하는 속력이 증대됨에 따라 예취부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예취부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주행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예취부의 예취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주행조작레버가 조작되어 주행조작부가 주행부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제한부가 예취조작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콤바인본체가 주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예취조작레버를 조작하더라도, 예취조작레버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예취부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콤바인본체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예취부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됨에 따라 예취부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예취부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도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예취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주행부가 콤바인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가 설치된 콤바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예취조작레버가 예취대기위치 및 예취조작위치 간에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예취조작레버가 예취대기위치에 위치한 경우 예취조작부 및 제한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예취조작레버가 예취조작위치에 위치한 경우 예취조작부 및 제한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주행조작레버가 고속조작위치, 중속조작위치, 및 저속조작위치 간에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제한부가 회피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제한부가 제한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제한부가 제한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주행조작레버가 고속조작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주행조작레버가 제한부에 걸린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주행조작레버가 고속조작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주행조작레버가 고속조작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한부가 제한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한부가 주행조작레버에 걸린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제한부가 제한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주행조작레버가 중속조작위치 및 저속조작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제한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링크기구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주행조작레버가 제한위치에 위치한 제한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에 있어서, 이동제한부재가 제1주행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제2이음부재가 제1이음부재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는 콤바인에 구비되므로, 콤바인에 관해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콤바인(Combine)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절단하고 수집하는 예취작업 및 예취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점에서 설치의 의미로 쓰인 명칭으로,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수확기계이다. 콤바인은 콤바인본체(10), 운전석(11), 예취부(12), 및 주행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콤바인본체(10)는 콤바인의 본체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콤바인본체(1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다. 상기 콤바인본체(1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하는 속력이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석(11)은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운전석(11)은 상기 콤바인본체(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예취부(12)는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예취부(12)는 상기 콤바인본체(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13)는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작업자는 상기 주행부(13)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전진 및 후진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주행부(13)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는 속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콤바인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운전석(11)에 배치된 예취조작레버(21)를 포함하되 상기 예취부(12)를 제어하기 위한 예취조작부(2), 상기 운전석(11)에 배치된 주행조작레버(31)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부(13)를 제어하기 위한 주행조작부(3), 및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 각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조작되어 상기 예취조작부(2)가 상기 예취부(12)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는 속력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는 속력이 증대됨에 따라 상기 예취부(12)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예취부(12)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예취부(12)의 예취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조작되어 상기 주행조작부(3)가 상기 주행부(13)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예취조작레버(2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예취조작레버(21)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예취부(12)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예취부(12)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주행 도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주행부(13)가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주행시키는 주행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예취조작부(2), 주행조작부(3), 및 제한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예취조작부(2)는 상기 예취부(12)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예취조작부(2)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예취조작부(2)는 예취조작레버(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작업자가 상기 운전석(11)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예취조작부(2)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11)에 배치된 것이다. 작업자가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부(2)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거나 예취작업을 중단하도록 상기 예취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예취조작위치(OP) 및 예취대기위치(SP) 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조작위치(OP)에 위치하면, 상기 예취조작부(2)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예취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대기위치(SP)에 위치하면, 상기 예취조작부(2)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중단하도록 상기 예취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 및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위치(OP) 및 상기 예취대기위치(SP) 간에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예취대기위치(SP)에서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위치(OP)에서 상기 예취대기위치(SP)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예취조작부(2)는 회전기구(22) 및 전달기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대기위치(SP)에서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조작위치(OP)에서 상기 예취대기위치(SP)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22)에는 상기 전달기구(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전달기구(23)가 상기 예취레버축(21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예취레버축(21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22)는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전달기구(23) 상호간을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회전기구(22)는 장방형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회전기구(22)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기구(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회전기구(22)가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회전기구(22)가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22)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회전기구(22)가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22)에 의해 밀릴 수 있다. 상기 전달기구(23)는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전기구(2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기구(22)가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전달기구(23)는 장방형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도 7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예취조작부(2)는 링크기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제한부(4)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한부(4)를 이동시키는 링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로부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예취조작레버(21)로부터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향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로부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전달기구(23)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회전기구(22), 및 상기 전달기구(23)를 통해 상기 예취조작레버(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기구(24)는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전달기구(23)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밀리거나 당겨져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예취조작부(2)는 작동기구(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25)는 상기 링크기구(24)가 회전됨에 따라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기구(25)는 상기 예취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기구(25)는 상기 링크기구(24)가 회전됨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예취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동기구(25)는 상기 링크기구(24)가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작동기구(25)는 상기 링크기구(24)가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예취조작레버(21)로부터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이다.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작동기구(25)는 상기 제한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25)는 와이어(Wir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링크기구(2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예취부(12)가 제어되도록 상기 링크기구(24) 및 상기 예취부(12) 각각에 연결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주행조작부(3)는 상기 주행부(13)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행조작부(3)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주행조작부(3)는 주행조작레버(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작업자가 상기 운전석(11)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주행조작부(3)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11)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21)는 상기 콤바인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주행조작부(3)는 상기 주행부(13)가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주행시키거나 주행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주행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고속조작위치(HP), 중속조작위치(MP), 및 저속조작위치(LP) 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고속조작위치(HP)에 위치하면, 상기 주행부(13)는 상기 콤바인본체(10)를 고속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중속조작위치(MP)에 위치하면, 상기 주행부(13)는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중속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저속조작위치(LP)에 위치하면, 상기 주행부(13)는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저속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중속조작위치(MP)는 상기 고속조작위치(HP) 및 상기 저속조작위치(L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속조작위치(HP) 및 상기 저속조작위치(LP)는 상기 중속조작위치(MP)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상기 저속조작위치(LP)에서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혹은 상기 고속조작위치(HP)에서 상기 저속조작위치(LP)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점진적으로 상기 콤바인본체(10)의 속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주행레버축(3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콤바인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주행레버축(31a)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속조작위치(HP), 중속조작위치(MP), 및 저속조작위치(LP) 간에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주행레버축(31a)을 중심으로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저속조작위치(LP)에서 상기 중속조작위치(MP)를 거쳐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주행레버축(31a)을 중심으로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속조작위치(HP)에서 상기 중속조작위치(MP)를 거쳐 상기 저속조작위치(LP)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제1주행회전경로 및 제2주행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는 상기 고속조작위치(HP) 및 상기 중속조작위치(MP) 간에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회전되기 위한 경로이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부터 상기 중속조작위치(MP)로 이동되거나 상기 중속조작위치(MP)로부터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주행회전경로는 상기 중속조작위치(MP) 및 상기 저속조작위치(LP) 간에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회전되기 위한 경로이다.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제2주행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중속조작위치(MP)로부터 상기 저속조작위치(LP)로 이동되거나 상기 저속조작위치(LP)로부터 상기 중속조작위치(MP)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 각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조작되어 상기 예취조작부(2)가 상기 예취부(12)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는 속력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는 속력이 증대됨에 따라 상기 예취부(12)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예취부(12)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예취부(12)의 예취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조작되어 상기 주행조작부(3)가 상기 주행부(13)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예취조작레버(2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예취조작레버(21)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예취부(12)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예취부(12)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주행 도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주행부(13)가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주행시키는 주행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에 연결되어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이동됨에 따라 제한위치(RP) 및 회피위치(AP) 간에 제한회전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한위치(RP)는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서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이다. 상기 회피위치(AP)는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회피하기 위한 위치이다. 상기 제한회전경로는 상기 제한위치(RP) 및 상기 회피위치(AP) 간에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이동되는 경로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제한위치(RP) 및 상기 회피위치(AP) 간에 이동 가능하게 구현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제한부(4)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 각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제한부(4)를 조작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한부(4)의 조작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한위치(RP)로 이동되어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중속조작위치(MP)에서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이동을 제한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예취부(12)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상기 예취대기위치(SP)로부터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전달기구(23)를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링크기구(24)의 일측을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음, 상기 링크기구(24)는 일측이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제한부(4)를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예취부(12)는 상기 작동기구(25)를 통해 작동되어 예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4)는 상기 회피위치(AP)에서 상기 제한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제한위치(RP)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한위치(RP)가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 위치하여서,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상기 중속조작위치(MP)로부터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를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 위치한 상기 제한부(4)에 걸림에 따라,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작동되는 도중에 상기 콤바인본체(10)가 고속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콤바인본체(10)가 고속주행함에 따라 상기 예취부(12)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예취부(12)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조작하여 상기 콤바인본체(10)가 고속주행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예취부(12)의 예취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예취조작레버(21)의 이동을 제한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주행부(13)를 고속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주행레버축(31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콤바인본체(10)는 고속주행할 수 있다.
다음, 작업자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상기 예취대기위치(SP)에서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예취레버축(21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22)는 상기 전달기구(23)를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기구(23)는 상기 링크기구(24)의 일측을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음, 상기 링크기구(24)는 일측이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제한부(4)를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주행조작부(3)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제한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되다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한위치(RP)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콤바인본체(10)가 고속주행하는 도중에 상기 예취부(12)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콤바인본체(10)가 고속주행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상기 예취조작레버(21)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콤바인본체(10)가 고속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예취부(12)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예취부(12)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고속주행 도중에 상기 예취부(1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콤바인본체(10)의 주행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제2주행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한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4)가 상기 회피위치(AP) 또는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중속조작위치(MP) 및 상기 저속조작위치(LP) 간에 상기 제2주행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중속주행 또는 저속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독립적으로 이동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중속주행 또는 저속주행시키거나,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중속주행 또는 저속주행하는 도중에 상기 예취부(1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콤바인본체(10)가 고속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콤바인본체(10)가 적절한 속력으로 주행하면서 상기 예취부(12)가 연속적으로 예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예취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4)는 설치기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기구(41)는 상기 예취조작부(2)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설치기구(41)를 통해 상기 예취조작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기구(41)는 상기 링크기구(2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기구(41)는 상기 링크기구(24)가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설치기구(41)는 상기 링크기구(2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예취조작부(2)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설치기구(41)가 상기 링크기구(24)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상기 제한부(4)는 상기 링크기구(24)에 설치된 상기 작동기구(2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한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기구(25)는 상기 링크기구(24)가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작동되되, 상기 제한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작동기구(25)의 작동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제한위치(RP) 및 상기 회피위치(AP) 간에 회전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제한회전경로가 상기 작동기구(25)의 작동범위에 간섭됨으로써, 제한부(4)가 상기 작동기구(25)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작동기구(25) 및 상기 제한부(4)가 고장, 파손되는 경우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작동기구(25) 및 상기 제한부(4)의 가동수명을 증대시켜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기구(25) 및 상기 제한부(4)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4)는 연결기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42)는 상기 설치기구(41)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연결기구(42)는 상기 설치기구(41)가 상기 회피위치(AP) 및 상기 제한위치(RP) 간에 상기 제한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피위치(AP) 및 상기 제한위치(RP) 간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설치기구(4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기구(4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기구(42)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설치기구(4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링크기구(24)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더라도, 상기 연결기구(42)를 통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제한위치(RP)가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연결기구(42) 및 상기 설치기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기구(42) 및 상기 설치기구(41)는 단일의 봉 부재를 절곡(切曲)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기구(41)가 상기 링크기구(24)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기구(42)는 상기 설치기구(41)를 통해 상기 작동기구(25)의 작동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제한위치(RP) 및 상기 회피위치(AP) 간에 회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4)는 이동제한기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연결기구(42)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연결기구(42)가 상기 설치기구(41) 및 상기 연결기구(42)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연결기구(42)를 통해 상기 설치기구(4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설치기구(41)가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피위치(AP) 및 상기 제한위치(RP) 간에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설치기구(41)가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설치기구(41)가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피위치(AP)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기구(43)가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하면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회전되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이동제한기구(43)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기구(4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링크기구(24)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더라도, 상기 이동제한기구(43)를 통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제한위치(RP)가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 위치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이동제한기구(43) 및 상기 연결기구(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제한기구(43) 및 상기 연결기구(42)는 단일의 봉 부재를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기구(41)가 상기 링크기구(24)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설치기구(41)를 통해 상기 작동기구(25)의 작동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제한위치(RP) 및 상기 회피위치(AP) 간에 회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이동제한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 쪽을 향하는 일단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이동제한부재(431)가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를 따라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회전되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이동제한부재(431)에 걸릴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는 상기 이동제한기구(43)의 상기 주행조작레버(31) 쪽을 향하는 일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이동제한부재(431)에 있어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걸리기 위한 면적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외부로부터 충격, 진동 등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한 상기 이동제한부재(431)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로부터 어긋나게 되어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이동제한부재(431)에 걸리지 못하고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를 통해 상기 주행조작레버(31)에 걸림을 형성하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는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설치기구(41)를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한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한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이동제한부재(431)가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제한부재(431)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지 못하고 상기 회피위치(AP)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조작위치(OP)에 위치하여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대기위치(SP)로 이동되어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중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콤바인이 예취가 예정된 농작물의 전방에서 예취작업을 중단한 채 고속주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예취가 예정된 농작물이 콤바인에 밟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는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한회전축(4a)에 대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는 상기 회피위치(AP)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한회전축(4a)에 대해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걸리게 되는 과정에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이동제한부재(43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가동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이동제한부재(431)에 걸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제1이음부재(432) 및 제2이음부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432)는 상기 연결기구(42)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이음부재(432)는 상기 연결기구(42)로부터 상기 주행조작레버(31)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432)는 상기 연결기구(4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432)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기구(42)에 연결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음부재(433)는 상기 제1이음부재(432)로부터 상기 주행조작레버(31)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2이음부재(433)는 상기 제1이음부재(43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2이음부재(433)는 상기 회피위치(AP)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상기 제1이음부재(432)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음부재(433)는 상기 제1이음부재(432)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지 않은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회피위치(AP)에서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진동 등으로 인해 임의로 소정 거리만큼 더 이동되어 상기 회피위치(AP)에 위치한 상기 이동제한기구(43)에 충돌되는 경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조작장치(1)는 상기 예취부(12)가 예취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 작업자가 상기 주행조작레버(31)를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를 따라 조작하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제한기구(43)의 가동수명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제한기구(43)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이음부재(433) 및 상기 제1이음부재(4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음부재(433)에는 상기 이동제한부재(4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음부재(433)는 상기 제1이음부재(432) 및 상기 이동제한부재(4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음부재(433) 및 상기 제1이음부재(432)를 통해,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는 상기 연결기구(42)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콤바인용 조작장치 2 : 예취조작부
3 : 주행조작부 4 : 제한부
10 : 콤바인본체 11 : 운전석
12 : 예취부 13 : 주행부
21 : 예취조작레버 22 : 회전기구
23 : 전달기구 24 : 링크기구
25 : 작동기구 31 : 주행조작레버
41 : 설치기구 42 : 연결기구
43 : 이동제한기구 431 : 이동제한부재
432 : 제1이음부재 433 : 제2이음부재

Claims (15)

  1. 콤바인본체(10)의 운전석(11)에 배치된 예취조작레버(21)를 포함하고,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12)를 제어하기 위한 예취조작부(2);
    상기 운전석(11)에 배치된 주행조작레버(31)를 포함하고, 상기 콤바인본체(10)를 주행시키는 주행부(13)를 제어하기 위한 주행조작부(3); 및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레버(21) 및 상기 주행조작레버(31) 각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예취조작부(2)에 설치되되, 상기 예취부(12)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된 경우,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콤바인본체(10)를 고속주행시키기 위해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한부(4)에 걸림에 따라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고속조작위치(HP), 중속조작위치(MP), 및 저속조작위치(LP) 간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콤바인본체(10)에 설치되되, 상기 고속조작위치(HP)와 상기 저속조작위치(LP)가 상기 중속조작위치(MP)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중속조작위치(MP)와 상기 고속조작위치(HP) 간에 회전되기 위한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중속조작위치(MP)에서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예취조작부(2)에 설치되되, 상기 콤바인본체(10)를 고속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고속조작위치(HP)로 이동된 경우, 상기 예취조작레버(21)가 상기 예취부(12)를 작동시키기 위해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주행조작부(3)에 걸림에 따라 상기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콤바인본체(10)를 고속주행시키기 위해 중속조작위치(MP)와 고속조작위치(HP) 간에 회전되기 위한 제1주행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고속조작위치(HP)에 위치하고,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레버(2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 배치된 제한위치(RP) 및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로부터 벗어난 회피위치(AP) 간에 제한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예취조작부(2)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고속조작위치(HP)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한회전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제한위치(RP)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제한부(4)가 상기 제한위치(RP)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됨에 따라 상기 예취부(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예취조작위치(OP)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조작레버(21)는 상기 예취부(12)를 작동시키기 위해 예취조작위치(OP)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한부(4)를 상기 제한위치(RP)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는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를 따라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중속조작위치(MP)와 저속조작위치(LP) 간에 제2주행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되되,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와 상기 제2주행회전경로가 상기 중속조작위치(MP)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제2주행회전경로를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주행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한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4)는
    상기 예취조작부(2)에 설치된 설치기구(41);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하면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회전되는 주행조작레버(31)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기구(43); 및
    상기 설치기구(41)와 상기 이동제한기구(43) 각각에 설치된 연결기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 쪽을 향하는 일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이동제한부재(4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조작부(2)는 상기 설치기구(41)가 설치된 링크기구(24), 및 상기 링크기구(24)가 회전함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기구(25)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기구(41)는 상기 연결기구(42) 및 상기 이동제한기구(43)가 상기 작동기구(25)의 작동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제한위치(RP) 및 상기 회피위치(AP) 간에 회전되도록 상기 링크기구(24)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조작부(2)는 상기 설치기구(41)가 설치된 링크기구(24)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기구(24)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로부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주행조작레버(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기구(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설치기구(41)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기구(42)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기구(41)는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동제한기구(43)를 상기 제한위치(RP)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한회전축(4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동제한기구(43)를 상기 회피위치(AP)에 위치시키며,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주행조작레버(31) 쪽을 향하는 일단에 배치된 이동제한부재(431)를 포함하되, 상기 고속조작위치(HP)로 회전되는 주행조작레버(31)가 상기 설치기구(41)를 상기 제1회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제한부재(431)를 가압하도록 상기 연결기구(42)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회피위치(AP)에서 상기 이동제한부재(431)가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한위치(RP)에서 상기 이동제한부재(431)가 상기 제한회전축(4a)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기구(42)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기구(43)는 상기 연결기구(42)에 설치된 제1이음부재(432), 및 상기 제1이음부재(432)로부터 상기 주행조작레버(31) 쪽으로 돌출된 제2이음부재(4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음부재(433)는 상기 회피위치(AP)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주행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상기 제1이음부재(432)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조작장치.
KR1020170175474A 2017-12-19 2017-12-19 콤바인용 조작장치 KR10242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74A KR102423471B1 (ko) 2017-12-19 2017-12-19 콤바인용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74A KR102423471B1 (ko) 2017-12-19 2017-12-19 콤바인용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93A KR20190074093A (ko) 2019-06-27
KR102423471B1 true KR102423471B1 (ko) 2022-07-20

Family

ID=6705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474A KR102423471B1 (ko) 2017-12-19 2017-12-19 콤바인용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0743A1 (en) 2012-10-04 2014-04-10 Cnh America Llc Travel speed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JP5894510B2 (ja) 2012-06-29 2016-03-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9710A (ja) * 1983-03-03 1984-09-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H0749011Y2 (ja) * 1988-08-03 1995-11-13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2582937B2 (ja) * 1990-11-30 1997-02-19 日立建機株式会社 レバーロック装置
KR100348801B1 (ko) * 1998-12-21 2002-12-11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예취부의자동상승기능및예취피드체인의연동멈춤기능을갖는콤바인
JP5781757B2 (ja) * 2010-12-20 2015-09-2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101710753B1 (ko) * 2014-08-08 2017-02-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4510B2 (ja) 2012-06-29 2016-03-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US20140100743A1 (en) 2012-10-04 2014-04-10 Cnh America Llc Travel speed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93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98056A (ja) 草刈走行車両
JP5418792B2 (ja) コンバイン
KR102423471B1 (ko) 콤바인용 조작장치
CA2940714C (en) Multi head windrower
JP2010051217A (ja) コンバイン
US20140083068A1 (en) Lawn mower deck lifting link
KR102211589B1 (ko) 보통형 콤바인용 예취장치
JP5244071B2 (ja) コンバイン
JP2019083770A (ja) 草刈機
JP6318824B2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KR20110047121A (ko) 콤바인
JP5034680B2 (ja) コンバイン
JP4245154B2 (ja) 作業車
JP6728031B2 (ja) 収穫機
JP2727603B2 (ja) 農作業車の負荷制御装置
JPH046514Y2 (ko)
JP6280844B2 (ja) 収穫機
JP6928349B2 (ja) 草刈機
JP6524946B2 (ja) コンバイン
JP4241723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駆動構造
JP6821159B2 (ja) 草刈機
KR102529944B1 (ko)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JP6280843B2 (ja) 収穫機
JP4301969B2 (ja) 自走式運搬車の追従運転装置
JPS5941950Y2 (ja) 走行速度自動制御機構付き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