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532B1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532B1
KR102421532B1 KR1020197024701A KR20197024701A KR102421532B1 KR 102421532 B1 KR102421532 B1 KR 102421532B1 KR 1020197024701 A KR1020197024701 A KR 1020197024701A KR 20197024701 A KR20197024701 A KR 20197024701A KR 102421532 B1 KR102421532 B1 KR 102421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air passage
chamb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587A (ko
Inventor
히데아키 후루모토
가즈시게 다카히라
Original Assignee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8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temperature control at constant rate of air-flow
    • F24F3/052Multiple duct systems, e.g. systems in which hot and cold air are supplied by separate circuits from the central station to mixing chambers in the spaces to be conditio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8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temperature control at constant rate of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과제] 공기 조화 장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덕트 접속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공기의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온도 및 습도의 편차를, 대형화를 요구하지 않는 간이적인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해결 수단]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절 장치(1)는, 공기 통유로(通流路)(2)와, 공기 통유로(2) 내의 공기를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3, 4)와, 공기 통유로(2)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5)와, 공기 통유로(2)의 하류측 개구(22A)에 접속되는 흡입구(6A)를 가짐과 아울러, 흡입구(6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6B)를 가지는 송풍기(6)와, 토출구(6B)에 접속되는 연통구(7A)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토출구(6B)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7B)를 가지는 챔버(7)와, 챔버(7) 내에 마련되고,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토출구(6B)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방해판부(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개소에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시의 패턴 형성 공정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포토리소그래피에서는, 먼저, 웨이퍼에 감광성의 레지스트가 도포된 후, 소망의 패턴에 따른 광(光)이 레지스트에 노광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레지스트가 광 경화형의 감광 재료인 경우에는, 레지스트에서의 광이 노광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용제(溶劑) 등에 의해 제거된다. 이것에 의해, 레지스트에 소망의 패턴을 형성(현상(現像))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토리소그래피에서는, 레지스트의 온도 및 습도를 균일하게 또한 소망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이것은, 웨이퍼 상의 레지스트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조건이며, 반도체 제조 설비에서는, 이 요구에 대응하는 역할을 공기 조화 장치가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 장치는,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 공기를 레지스트의 도포를 실행하는 장치(이하, '레지스트 도포 장치'라고 함)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레지스트의 온조 및 습조를 행한다. 이런 종류의 공기 조화 장치의 분야에서는, 온도 및 습도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종래부터 많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JP2009-63242A).
그런데, 반도체 제조 설비에서는, 웨이퍼의 처리 매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레지스트 도포 장치를 집약시킨 대형의 제조 유닛이 도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에 복수의 덕트 접속구를 마련하고, 이들 덕트 접속구에 접속한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제조 유닛 내의 복수의 레지스트 도포 장치에 온도/습도 조절된 공기를 동시에 공급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복수의 덕트 접속구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에서 온도차 또는 습도차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제조 유닛 내라도, 레지스트 도포 장치마다 레지스트의 두께가 변화되어 버린다. 그 결과, 완성된 반도체 부품의 완성품에 편차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의 문제는, 온도/습도 조절된 공기를 분포가 생기지 않도록 교반함으로써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온도/습도 조절 후의 공기가 덕트 접속구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의 길이나, 덕트 접속구에 접속되는 덕트의 길이를 길게 하는 대책을 세우면, 상술한 바와 같은 분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대책은, 소형화가 요구되는 경우나, 덕트의 설치 스페이스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이용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반도체 제조 설비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가 천정이 낮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상술의 대책을 이용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만일 이용했다고 해도 분포의 문제를 충분히 해소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덕트 접속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공기의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온도 및 습도의 편차를, 대형화를 요구하지 않는 간이적인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의 공기를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기와, 상기 토출구에 접속되는 연통구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를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방해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기의 토출구를 통과한 또는 통과하려고 하고 있는 공기가 방해판부에 충돌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이 변화되고, 또 챔버 내에 난류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전향(轉向) 또는 난류에 의해서,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이것에 포함되는 증기를 챔버 내에서 교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덕트 접속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공기의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온도 및 습도의 편차를, 대형화를 요구하지 않는 간이적인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상기 방해판부가,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공기가 방해판부에 충돌함으로써 생기는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교반 작용을 확보하면서 효율적으로 덕트 접속구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방해판부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통과구를 가짐과 아울러,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와 상기 챔버의 내주면과의 사이가 기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방해판부의 유지 상태가 안정되고, 또한 공기가 공기 통과구를 통과하여 방해판부의 하류측에서 팽창함으로써,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증기와의 교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공기 통과구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일부분이 상기 토출구에 겹쳐지고, 다른 부분이 상기 토출구에 겹쳐지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방해판부에 의해서 전향(轉向)되고, 그 후, 공기 통과구의 가장자리 부분에 충돌하여 하류측에서 난류를 일으키게 하는 공기와, 방해판부에 충돌하지 않고 공기 통과구를 통과하는 공기가, 서로 섞임으로써,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증기와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공기 통과구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토출구과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먼저, 토출구로부터의 공기의 방향을 방해판부에 의해서 전향시키고, 그 후, 공기 통과구의 가장자리 부분에 충돌시켜 하류측에서 난류를 일으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증기와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공기 통과구는, 상기 방해판부의 상기 토출구에 가까운 측의 단부보다도 먼 측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공기가 방해판부의 상류측에서 정체하는 상태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토출구로부터 공기 통과구로 공기가 스무스하게 흐름으로써,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어, 송풍기를 효율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송풍기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관통시키는 스파이럴 케이싱부와, 상기 스파이럴 케이싱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덕트부를 구비하는 원심 송풍기이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스파이럴 케이싱부의 소용돌이 모양의 내주면의 감김 시작부 및 감김 종료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해판부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그 상기 감김 시작부측의 단부가, 그 반대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토출구에 가깝게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공기가 방해판부에 충돌했을 때에, 공기의 과잉인 방향 전환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의 과도한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교반 작용과 공기의 효율적인 유통을 바람직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공기 통유로, 상기 온도 조절부, 상기 가습기, 및 상기 송풍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챔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연통구가 마련되는 상류측 반체(半體)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하류측 반체를 가지며, 상기 덕트 접속구는, 상기 하류측 반체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상류측 반체와 하류측 반체로 챔버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챔버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하기 쉬워지고, 또 덕트 접속구의 위치, 개구 방향, 및 개수(個數)의 자유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공기 공급의 자유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방해판부는, 상기 챔버에서의 상기 연통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방해판부 중 적어도 상기 토출구와 겹쳐지는 부분은,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매우 간이한 구조로, 공기의 전향 또는 난류를 일으키고, 이것에 의해서,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이것에 포함되는 증기를 챔버 내에서 교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챔버에서의 상기 연통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상기 방해판부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복수의 장착부에 의해서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방해판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교반 작용과 공기의 효율적인 유통과의 조절을 유연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방해판부는, 상기 연통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고정된 펀칭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토출구를 통과하려고 하고 있는 공기의 방향을, 광범위하게 걸쳐 전향시킬 수 있고, 또한 광범위하게 난류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덕트 접속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공기의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온도 및 습도의 편차를, 대형화를 요구하지 않는 간이적인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의 송풍기 및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의 송풍기 및 챔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의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VI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VIII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의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의 송풍기 및 챔버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측면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내부에 복수의 부재를 수용하는 직방체 모양의 케이스(1A)를 구비하며, 도 2에서는, 케이스(1A)가 떼어내어진 상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측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는,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2)와, 공기 통유로(2)에 마련된 온도 조절부에 대응하는 냉각기(3) 및 가열기(4)와, 공기 통유로(2)에 마련된 가습기(5)와, 공기 통유로(2)에서 공기를 통류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송풍기(6)와, 송풍기(6)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받아들인 후에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챔버(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공기 통유로(2), 냉각기(3), 가열기(4), 가습기(5) 및 송풍기(6)는, 케이스(1A) 내에 수용되어 있고, 챔버(7)는 케이스(1A)의 상부에 마련되고, 그 하부가 케이스(1A) 내에 수용되며, 그 상부를 케이스(1A)의 외부로 노출시키고 있다.
공기 통유로(2)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 모양의 세로 유로부(21)와, 세로 유로부(21)의 상부에 연통하고 당해 상부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 모양의 수평 유로부(22)를 가지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서 도 1의 지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고 하고, 수평 방향을 따라서 제1 방향(D1)과 직교하고 또한 수평 유로부(22)가 그 축방향 혹은 그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고 한다.
세로 유로부(21)는, 그 하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서 개구되는 상류측 개구(21A)를 마련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개구(21A)가, 세로 유로부(21)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의 일방측(도 2의 좌측 방향)으로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상류측 개구(21A)는, 세로 유로부(21)의 내부에 공기를 거두어 들이기 위해서 마련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개구(21A)의 외측에 마련된 필터 장치(23)가, 상류측 개구(21A)를 덮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필터 장치(23)를 통과하여 파티클이 제거된 공기가, 상류측 개구(21A)로부터 세로 유로부(21)의 내부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또, 수평 유로부(22)는, 세로 유로부(21)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즉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단부에, 하류측 개구(22A)를 마련하고, 하류측 개구(22A)를 통해서 송풍기(6)와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기(3)가 세로 유로부(21)의 하부 내에 마련되고, 가열기(4)가 세로 유로부(21)의 상부 내에 마련되어 있다. 냉각기(3)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가 열매체를 순환시키도록 당해 순서로 배관에 의해 접속된 냉각 회로에서의 증발기라도 좋다. 또 가열기(4)는, 전기 히터 등이라도 좋고, 상술의 냉각 회로에서 고온이 된 열매체의 일부를 이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냉각기(3)는, 가변의 냉동 능력으로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냉각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가열기(4)는, 가변의 가열 능력으로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냉각기(3) 및 가열기(4)에 의해서, 공기 통유로(2) 내의 공기가 온도 조절되게 된다.
또 가습기(5)는, 수평 유로부(22)에 마련되고, 공기 통유로(2) 내에 증기를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기(5)가, 수평 방향에서 가열기(4)와 송풍기(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습기(5)는, 예를 들면, 상부를 향해서 수평 유로부(22)의 내부로 개방된 물을 저류(貯留)하는 저류조(貯留槽)와, 당해 저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가지며, 히터에 의해서 증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공기 통유로(2) 내의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은, 송풍기(6) 및 챔버(7)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송풍기(6)의 회전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송풍기(6) 및 챔버(7)의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송풍기(6)는, 공기 통유로(2)의 하류측 개구(22A)에 접속되는 흡입구(6A)(도 2 참조)를 가짐과 아울러, 흡입구(6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6B)를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송풍기(6)는, 원심 송풍기로서, 임펠러(61)와, 임펠러(61)를 수용하고 또한 상술의 흡입구(6A)를 임펠러(61)의 축방향(L1)을 따라서 관통시키는 스파이럴 케이싱부(62)와, 스파이럴 케이싱부(62)로부터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술의 토출구(6B)를 가지는 덕트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부(63)는 관 모양이며,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관(角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파이럴 케이싱부(62)는, 흡입구(6A)로부터 토출구(6B)를 향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소용돌이 모양의 내주면(62A)을 가짐과 아울러, 내주면(62A)이 그 감김 시작부(62S)로부터 감김 종료부(62E)에 걸쳐서 임펠러(61)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둘레판부(621)와, 둘레판부(621)의 축방향(L1)에서의 양측에 고정되고, 임펠러(61)를 축방향(L1)에서 덮는 한 쌍의 측판부(622)를 가지며, 상술의 덕트부(63)는, 감김 시작부(62S), 감김 종료부(62E)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측판부(622)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스파이럴 케이싱부(6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 상술의 흡입구(6A)는 한 쌍의 측판부(622) 중 일방에 형성되고, 한 쌍의 측판부(622) 중 타방에는, 임펠러(6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64)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부(63)가 상부를 향해서 연장됨으로써, 토출구(6B)가 상부를 향해서 개구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구(6B)가 챔버(7)에 상하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송풍기(6)는, 임펠러(6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그 내부에 거두어 들이고, 상부를 향해서 개구되는 토출구(6B)로부터 공기를 챔버(7) 내로 토출한다. 여기서, 송풍기(6)가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거두어 들임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상류측 개구(21A)로부터 공기 통유로(2)의 내부로 받아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공기 통유로(2)에서 공기가 통류하게 된다.
챔버(7)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기(6)의 토출구(6B)에 접속되는 연통구(7A)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도시 생략)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토출구(6B)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7B)를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챔버(7)는, 케이스(1A)의 내부에 수용되고 또한 연통구(7A)가 마련되는 상류측 반체(半體)(71)와, 케이스(1A)의 상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케이스(1A)의 외부에 배치되는 하류측 반체(72)를 가지며, 덕트 접속구(7B)는, 이 중의 하류측 반체(72)에 마련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결합된 상류측 반체(71)와 하류측 반체(72)가, 직방체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이들은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연통구(7A)가 토출구(6B)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연통구(7A) 및 토출구(6B)는 서로 정합(整合)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연통구(7A)는, 토출구(6B)보다도 커도 좋고, 토출구(6B)를 둘러싸도록 하여 토출구(6B)에 접속되어도 괜찮다.
도 5는, 챔버(7) 중 상류측 반체(71)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화살표 VI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챔버(7)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에는, 설명의 편의상, 토출구(6B)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해판부(8)가 챔버(7) 중 상류측 반체(71) 내에 마련되고, 이 방해판부(8)는 판 모양의 부재로서,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토출구(6B)의 적어도 일부(본 예에서는, 일부)에 겹쳐져 있다. 여기서,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란, 토출구(6B)의 중심, 및 토출구(6B)와 동일 또는 유사 형상으로 되어 있는 덕트부(63)의 연속하는 각 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F1) 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부(63) 중, 감김 시작부(62S)와의 접속점(P1)과, 당해 접속점(P1)에, 토출구(6B)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대향하는 점(P2)을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토출구(6B)에 이르기까지의 부분(63A)이, 토출구(6B)와 동일 또는 유사 형상으로 되어 있는 연속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속하는 단면의 중심, 및 토출구(6B)의 중심을 통과하는 도 4 및 도 6 등에 나타내는 축선(F1) 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방해판부(8)에 대해 상술하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방해판부(8)는,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 즉 축선(F1)에 대해서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특히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61)의 축방향(L1)을 따라서 본 경우에, 그 상기 감김 시작부(62S)측의 단부(8A)가, 그 반대측의 단부(8B)보다도 토출구(6B)에 가깝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 방해판부(8)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통과구(81)를 가짐과 아울러, 방해판부(8)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와 챔버(7), 상세하게는 상류측 반체(71)의 내주면과의 사이가 기밀 상태가 되도록, 상류측 반체(71) 내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반체(71)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계단부가 마련되고, 이 계단부에 방해판부(8)가 재치됨으로써, 방해판부(8)가 경사 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방해판부(8)의 지지 형태는, 그 외의 형태라도 괜찮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통과구(81)는,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일부분이 토출구(6B)에 겹쳐지고, 다른 부분이 토출구(6B)에 겹쳐지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공기 통과구(8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해판부(8)의 토출구(6B)에 가까운 측의 단부(8A)보다도 먼 측의 단부(8B)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해판부(8)가 마련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기(6)의 토출구(6B)로부터 상류측 반체(71)로 토출된 공기가, 방해판부(8)의 공기 통과구(81)를 거쳐, 하류측 반체(72)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하류측 반체(72)에 유입된 공기는, 덕트 접속구(7B)로부터 유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8개의 덕트 접속구(7B)가 마련되고, 하류측 반체(72) 상벽부, 제1 방향(D1)의 일방측을 향하는 벽부, 및 제2 방향(D2)의 타방측을 향하는 벽부의 각각에 복수의 덕트 접속구(7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이러한 덕트 접속구(7B)의 수(數)나 개구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덕트 접속구(7B)는, 덕트를 접속할 수 있고, 각 덕트를 복수의 온도 제어 대상 영역에 접속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1)로부터 복수의 온도 제어 대상 영역에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송풍기(6)가, 임펠러(6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 통유로(2)의 상류측 개구(21A)로부터 공기 통유로(2)의 내부로 받아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공기 통유로(2)에서 공기가 통류한다. 공기 통유로(2) 내로 받아들여진 공기는, 먼저, 냉각기(3)에 의해서 냉각되고, 다음으로, 가열기(4)에 의해서 가열되어, 소망의 온도로 조절된다. 그 후, 공기는, 가습기(5)의 상부를 통과하고, 그 습도가 조절된다.
그 후, 공기는, 송풍기(6) 내에서 임펠러(61)에 의해서 회전되어 토출구(6B)로부터 토출된다. 그리고 송풍기(6)의 토출구(6B)로부터 상류측 반체(71)로 토출된 공기는, 방해판부(8)의 공기 통과구(81)를 거쳐, 하류측 반체(72)로 유입된다. 그리고 하류측 반체(72)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 접속구(7B)로부터 유출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가 송풍기(6)의 토출구(6B)로부터 상류측 반체(71)로 토출될 때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의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가 방해판부(8)에 충돌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이 변화되고, 챔버(7) 내에 난류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전향(轉向) 또는 난류에 의해서,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이것에 포함되는 증기를 챔버(7) 내에서 교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덕트 접속구(7B)로부터 유출시키는 공기의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온도 및 습도의 편차를, 대형화를 요구하지 않는 간이적인 구성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는, 공기 통유로(2)와, 공기 통유로(2) 내의 공기를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에 대응하는 냉각기(3) 및 가열기(4)와, 공기 통유로(2)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5)와, 공기 통유로(2)의 하류측 개구(22A)에 접속되는 흡입구(6A)를 가짐과 아울러, 흡입구(6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6B)를 가지는 송풍기(6)와, 토출구(6B)에 접속되는 연통구(7A)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토출구(6B)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7B)를 가지는 챔버(7)와, 챔버(7) 내에 마련되고,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토출구(6B)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방해판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덕트 접속구(7B)로부터 유출시키는 공기의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온도 및 습도의 편차를, 대형화를 요구하지 않는 간이적인 구성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해판부(8)가,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가 방해판부(8)에 충돌함으로써 생기는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교반 작용을 확보하면서 효율적으로 덕트 접속구(7B)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기(6)가 원심 송풍기이며, 방해판부(8)는, 임펠러(61)의 축방향(L1)을 따라서 본 경우에, 그 상기 감김 시작부(62S)측의 단부(8A)가, 그 반대측의 단부(8B)보다도 토출구(6B)에 가깝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가 방해판부(8)에 충돌했을 때에, 공기가 과잉인 방향 전환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의 과도한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교반 작용과 공기의 효율적인 유통을 바람직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원심 송풍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감김 종료부(62E)측으로 진행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경향이 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이러한 경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방향이 방해판부(8)의 경사 방향에 가깝게 되어, 공기가 과잉인 방향 전환이 억제될 수 있음으로써, 압력 손실의 과도한 증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방해판부(8)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통과구(81)를 가짐과 아울러,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와 챔버(7)(상류측 반체(71))의 내주면과의 사이가 기밀 상태가 되도록, 챔버(7) 내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해판부(8)의 유지 상태가 안정되고, 또한 공기가 공기 통과구(81)를 통과하여 방해판부(8)의 하류측에서 팽창한다. 그 결과,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증기와의 교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공기 통과구(81)는,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일부분이 토출구(6B)에 겹쳐지고, 다른 부분이 토출구(6B)에 겹쳐지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해판부(8)에 의해서 전향되고, 그 후, 공기 통과구(81)의 가장자리 부분에 충돌하여 하류측에서 난류를 일으키게 하는 공기와, 방해판부(8)에 충돌하지 않고 공기 통과구(81)를 통과하는 공기가, 서로 섞인다. 이것에 의해,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증기와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또 공기 통과구(81)는, 방해판부(8)의 토출구(6B)에 가까운 측의 단부(8A) 보다도 먼 측의 단부(8B)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방해판부(8)의 상류측에서 정체하는 상태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토출구(6B)로부터 공기 통과구(81)로 공기가 스무스하게 흐름으로써,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어, 송풍기(6)를 효율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변형예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챔버(7)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화살표 VIII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챔버(7)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본 변형예에서의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의 변형예에서는, 방해판부(8)에서의 공기 통과구(81)가,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토출구(6B)와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먼저, 토출구(6B)로부터의 공기의 방향을 방해판부(8)에 의해서 전향시키고, 그 후, 공기 통과구(81)의 가장자리 부분에 충돌시켜 하류측에서 난류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증기와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챔버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송풍기 및 챔버의 개략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챔버(7)의 상벽부가 케이스(1A)의 상부 외면과 면일(面一)이 되도록, 챔버(7)가 케이스(1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챔버(7)의 상벽부에, 복수의 덕트 접속구(7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챔버(7) 내에 마련되는 방해판부(8)는, 챔버(7)에서의 연통구(7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정되고,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방해판부(8) 중 적어도 토출구(6B)와 겹쳐지는 부분이, 당해 토출구(6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축선(F1))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또, 챔버(7)에서의 연통구(7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방해판부(8)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91)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91)는 예를 들면 볼트 구멍이라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기(6)의 토출구(6B)를 통과하려고 하고 있는 공기가 방해판부(8)에 충돌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이 변화되고, 챔버(7) 내에 난류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매우 간이한 구조로, 공기의 전향 또는 난류를 일으키게 하고, 이것에 의해서, 공기 자체 및 공기와 이것에 포함되는 증기를 챔버(7) 내에서 교반할 수 있게 된다.
또, 챔버(7)에서의 연통구(7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방해판부(8)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91)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장착부(91)에 의해서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방해판부(8)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교반 작용과 공기의 효율적인 유통과의 조절을 유연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에 관한 챔버(7)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챔버(7)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챔버(7)에서의 연통구(7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두 개의 방해판부(8)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해판부(8)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방해판부(8)가, 연통구(7A)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고정된 펀칭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방해판부(8)는 복수의 펀칭 구멍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토출구(6B)를 통과하려고 하고 있는 공기의 방향을, 광범위하게 걸쳐 전향시킬 수 있고, 또한 광범위하게 난류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챔버(7)에서의 덕트 접속구(7B)가 마련되는 벽부가 케이스(1A)의 측부 외면과 면일이 되도록, 챔버(7)가 케이스(1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챔버(7)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실시 형태에는, 상술한 변형예와는 다른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1 - 공기 조화 장치 2 - 공기 통유로
3 - 냉각기 4 - 가열기
5 - 가습기 6 - 송풍기
6A - 흡입구 6B - 토출구
61 - 임펠러 62 - 스파이럴 케이싱부
62S - 감김 시작부 62E - 감김 종료부
621 - 둘레판부 63 - 덕트부
7 - 챔버 7A - 연통구
7B - 덕트 접속구 71 - 상류측 반체
72 - 하류측 반체 8 - 방해판부
8A, 8B - 단부 81 - 공기 통과구
91 - 장착부

Claims (11)

  1.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의 공기를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기와,
    상기 토출구에 접속되는 연통구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를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통과구(通過口)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방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통과구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일부분이 상기 토출구에 겹쳐지고, 다른 부분이 상기 토출구에 겹쳐지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해판부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해판부는,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와 상기 챔버의 내주면과의 사이가 기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삭제
  5.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의 공기를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기와,
    상기 토출구에 접속되는 연통구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를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방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해판부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방해판부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통과구(通過口)를 가짐과 아울러,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와 상기 챔버의 내주면과의 사이가 기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 통과구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토출구과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의 공기를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기와,
    상기 토출구에 접속되는 연통구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를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통과구(通過口)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방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통과구는, 상기 방해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토출구에 가까운 측의 단부보다도 먼 측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의 공기를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기와,
    상기 토출구에 접속되는 연통구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를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방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해판부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송풍기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관통시키는 스파이럴 케이싱부와, 상기 스파이럴 케이싱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덕트부를 구비하는 원심 송풍기이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스파이럴 케이싱부의 소용돌이 모양의 내주면의 감김 시작부 및 감김 종료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해판부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그 상기 감김 시작부측의 단부가, 그 반대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토출구에 가깝게 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의 공기를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기와,
    상기 토출구에 접속되는 연통구를 가짐과 아울러, 덕트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로부터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덕트 접속구를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방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통유로, 상기 온도 조절부, 상기 가습기, 및 상기 송풍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챔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연통구가 마련되는 상류측 반체(半體)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하류측 반체를 가지며,
    상기 덕트 접속구는, 상기 하류측 반체에 마련되고,
    상기 상류측 반체와 상기 하류측 반체가, 체결 수단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7024701A 2017-02-14 2018-02-05 공기 조화 장치 KR102421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5260 2017-02-14
JP2017025260A JP6755816B2 (ja) 2017-02-14 2017-02-14 空気調和装置
PCT/JP2018/003825 WO2018150928A1 (ja) 2017-02-14 2018-02-05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87A KR20190118587A (ko) 2019-10-18
KR102421532B1 true KR102421532B1 (ko) 2022-07-15

Family

ID=6316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701A KR102421532B1 (ko) 2017-02-14 2018-02-05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55619B2 (ko)
JP (1) JP6755816B2 (ko)
KR (1) KR102421532B1 (ko)
CN (1) CN110291334B (ko)
TW (1) TWI681156B (ko)
WO (1) WO2018150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1500B2 (ja) * 2018-12-06 2024-02-15 三機工業株式会社 空調機の空気温度均一化構造
CN109974119B (zh) * 2019-04-08 2024-05-1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管机及空调系统
JP7264704B2 (ja) * 2019-04-12 2023-04-25 三機工業株式会社 分配チャンバ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380Y1 (ko) * 2000-06-02 2001-0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원심송풍기 케이싱 차단면의 구조
JP2002349903A (ja) * 2001-05-29 2002-12-04 Penta Ocean Constr Co Ltd 加湿装置を有する空調システム
US20050008542A1 (en) * 2003-07-07 2005-01-13 Minken Patrick Yeh Air mixing chamber
JP5174951B2 (ja) * 2009-03-27 2013-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4208A (en) * 1942-04-20 1945-04-24 Niagara Blower Co Heat exchanger
SE351287B (ko) * 1970-02-26 1972-11-20 Svenska Flaektfabriken Ab
US3817160A (en) * 1972-05-04 1974-06-18 Hussmann Refrigerator Co Air door for cooler or the like
US4023472A (en) * 1974-06-04 1977-05-17 Ciba-Geigy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 laminar flow
US4261519A (en) * 1978-12-20 1981-04-14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Air distribution system
JPH083855Y2 (ja) * 1990-02-02 1996-01-31 株式会社フジタ 空調機の凍結防止装置
US5056588A (en) * 1990-12-28 1991-10-15 Instatherm Company Evaporative cooling enhanced cold storage system
US5167681A (en) * 1991-06-25 1992-12-01 Clean Rooms International, Inc. Air filtration unit
JPH1047742A (ja) * 1996-05-25 1998-02-20 Kyoritsu Eatetsuku Kk 空調チャンバ装置
JP2002089873A (ja) * 2000-09-20 2002-03-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US20030162492A1 (en) * 2002-02-27 2003-08-28 Caferro Ronald N. Air register
US6945519B2 (en) * 2003-09-25 2005-09-20 Sunbeam Products, Inc. Microorganism-resistant humidifier
JP2007113881A (ja) * 2005-10-24 2007-05-10 Hazama Corp 恒温恒湿空調システム
JP4664190B2 (ja) * 2005-11-15 2011-04-06 株式会社山武 空調制御システム
WO2007058418A2 (en) * 2005-11-21 2007-05-24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JP4333779B2 (ja) * 2007-05-25 2009-09-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送風装置
EP2584260B1 (en) * 2011-10-18 2017-03-08 Rinnai Corporation Totally aerated combustion burner
CN202546951U (zh) * 2012-01-09 2012-11-21 中国建筑科学研究院 节能抑菌空调器
JP2014119180A (ja) * 2012-12-17 2014-06-30 Daikin Ind Ltd 調湿装置
CN204421229U (zh) * 2015-01-07 2015-06-24 河南国隆实业有限公司 加湿加热型双向空气交换机
JP2016133282A (ja) * 2015-01-21 2016-07-25 三和式ベンチレーター株式会社 ルーフベンチレータ
KR101746154B1 (ko) * 2015-07-15 2017-06-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기조화 시스템
CN105135585B (zh) * 2015-08-31 2017-11-28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形成空气池气流组织的双侧通风装置及其控制方法
CN105757833B (zh) * 2016-03-11 2019-04-09 苏州明威医疗科技有限公司 X光机新风直冷空调系统
CN106288064A (zh) * 2016-10-27 2017-01-04 殷晓冬 模块化变工况医用空气净化系统
JP6140878B1 (ja) * 2016-11-10 2017-06-07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159865B1 (ja) * 2016-11-10 2017-07-05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加湿器及び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380Y1 (ko) * 2000-06-02 2001-0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원심송풍기 케이싱 차단면의 구조
JP2002349903A (ja) * 2001-05-29 2002-12-04 Penta Ocean Constr Co Ltd 加湿装置を有する空調システム
US20050008542A1 (en) * 2003-07-07 2005-01-13 Minken Patrick Yeh Air mixing chamber
JP5174951B2 (ja) * 2009-03-27 2013-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87A (ko) 2019-10-18
JP2018132233A (ja) 2018-08-23
WO2018150928A1 (ja) 2018-08-23
US20190390861A1 (en) 2019-12-26
TW201837383A (zh) 2018-10-16
JP6755816B2 (ja) 2020-09-16
US11555619B2 (en) 2023-01-17
CN110291334A (zh) 2019-09-27
CN110291334B (zh) 2021-03-12
TWI681156B (zh)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143B2 (en) Dryer
KR102421532B1 (ko) 공기 조화 장치
US20090025420A1 (en) Air Conditioner
JP4112986B2 (ja) 冷却空気の偏向装置を含むタービン用ブレード
US8678759B2 (en) Centrifugal fan
CN109923348B (zh) 空调机的室内机以及空调机
CN110997367A (zh) 车辆用空调单元
KR20100047318A (ko) 의류용 건조 장치 및 히트 펌프 유닛
TW201350766A (zh) 環境試驗裝置
JP6231251B2 (ja) 空気調和装置
JP3561191B2 (ja) クリーンルーム
US20190316790A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7003047B (zh) 分配器以及制冷循环装置
EP3929494B1 (en) Heat source machin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4597769B2 (ja) クリーンルーム及びその設計施工方法
CN114927440A (zh) 一种控温装置及半导体工艺设备
US11604001B2 (en) Slim fan coil unit
US11635089B2 (en) Propeller fan,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6800649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4156886A (ja) 空調用室内ユニットおよび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20220065537A1 (en) Highly modularized cooling system design
JP6898755B2 (ja) 空調機室構造
JP6056471B2 (ja) 冷凍空調装置
JP2020132014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210112776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