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176B1 -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176B1
KR102417176B1 KR1020200081304A KR20200081304A KR102417176B1 KR 102417176 B1 KR102417176 B1 KR 102417176B1 KR 1020200081304 A KR1020200081304 A KR 1020200081304A KR 20200081304 A KR20200081304 A KR 20200081304A KR 102417176 B1 KR102417176 B1 KR 10241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out
food
take
box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727A (ko
Inventor
김영중
임동수
Original Assignee
엔아이티(주)
김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아이티(주), 김영중 filed Critical 엔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200081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1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도어를 설치하고, 주방에서 조리된 음식을 테이크아웃박스의 후면도어로 넣으면 고객은 전면도어를 통해 찾아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객 응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장의 소요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요리사의 동선을 간소화함으로써, 조리된 음식이 테이크아웃박스에 입고되기 까지의 딜레이타임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효율적인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Takeout system for self-takeout}
본 발명은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도어를 설치하고, 주방에서 조리된 음식을 테이크아웃박스의 후면도어로 넣으면 고객은 전면도어를 통해 찾아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객 응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장의 소요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요리사의 동선을 간소화함으로써, 조리된 음식이 테이크아웃박스에 입고되기 까지의 딜레이타임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효율적인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랜차이즈 음식점은 각 테이블마다 메뉴판이 구비되어 있고, 방문한 손님이 이를 보고 메뉴를 선택한 후 직원을 불러 주문을 하거나, 주문대에 직접 방문하여 주문을 진행하게 되며, 매장 측에서는 손님으로부터 주문 받은 음식을 만들어 손님에게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문 및 판매방식의 경우, 매장에 손님이 많은 경우, 음식을 주문하기 전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손님이 주문한 음식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동안 기다려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대규모 프랜차이즈 형태의 매장을 찾는 손님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점심/저녁 등 주요 시간에 손님이 집중적으로 몰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손님들이 매장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시간에 쫓기어 기다리다 되돌아가는 손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손님 입장에서는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재방문을 꺼려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매장 입장에서는 손님 감소에 따른 매출 감소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테이크 아웃 예약 주문 방법'이 등록특허 제10-1690679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테이크 아웃 예약 주문 방법은, 처리부에 의해, 복수의 가맹점들을 등록받는 단계;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에서 가맹점까지의 내비게이팅 정보, 가맹점에서 판매하는상품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예상 준비 시간을 포함하는 가맹점 정보의 요청 시,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고객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고객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에서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가맹점들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분류된 가맹점들에 대한 가맹점 정보를 상기 고객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단말기 상에 하나 이상의 가맹점 정보가 지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가맹점을 통해 주문한 상품을 기다리는 시간 및 결제 시간의 소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가맹점, 상품 및 예상 방문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주문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예약 주문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고객이 선택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며, 상기 예약 주문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맹점들을 재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부에 의해, 결제가 완료된 상품에 대해 가맹점으로 예약 주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메뉴 선택이나 주문 상품을 기다리기 위한 시간 및 결제 시간의 소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객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손님이 집중적으로 몰리는 점심/저녁 등 주요 시간의 경우, 주문 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 등 여전히 고객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크 아웃을 위한 주문 및 결제 서비스만을 제공함에 따라 매장에 방문하여 주문 상품을 수령하는 고객에게 주문 상품을 선별하여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을 추가로 배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2018년 05월 31일자로 출원한 '셀프 테이크아웃 시스템'이 공개특허 제10-2019-0136479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를 진행하는 주문자단말기; 상기 주문자단말기를 통해 결제완료된 주문정보를 접수하는 매장단말기; 및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상품이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며 그 전면부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되, 고유의 식별번호가 구비되는 다수의 테이크아웃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매장단말기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 접수시 해당 상품에 대한 테이크 아웃 가능 시간 및 해당 상품이 수납될 테이크아웃박스의 식별번호를 상기 주문자단말기로 통보하며, 상기 주문자단말기로 주문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주문 아이디를 통해 테이크아웃박스에 수납된 주문 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고객이 주문 및 결제를 진행하면 매장에서는 자동으로 주문을 접수하고 음식을 조리함과 동시에 고객에게 테이크 아웃 가능한 시간을 통보하며, 고객의 주문 아이디를 통해 특정 테이크아웃박스에서 주문한 상품을 직접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물품 수령 고객 응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인력을 배치하지 않고도 고객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고객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장의 매출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는 전방 도어만이 구비되는 테이크아웃박스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요리사가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도어를 개방한 후, 조리된 음식을 입고해야 하므로, 동선이 길어짐에 따라 조리된 음식이 테이크아웃박스에 입고되기까지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새로운 음식을 조리하는 것에 있어서, 딜레이타임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효율적인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테이크아웃박스가 멀티큐브 형태로 적층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특정 테이크아웃박스에 결함이 발생할 경우, 적층된 테이크아웃박스를 분리한 후, 유지보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0679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64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도어를 설치하고, 주방에서 조리된 음식을 테이크아웃박스의 후면도어로 넣으면 고객은 전면도어를 통해 찾아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객 응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장의 소요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요리사의 동선을 간소화함으로써, 조리된 음식이 테이크아웃박스에 입고되기 까지의 딜레이타임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효율적인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수로 구획된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에 다수의 테이크아웃박스가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 테이크아웃박스에 결함이 발생할 경우, 해당 테이크아웃박스를 간단하게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인출한 후,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은, 매장에서 판매되는 음식에 대한 주문 및 결제를 진행하는 고객단말기; 상기 고객단말기를 통해 주문되는 주문정보에 따른 음식이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고유의 식별번호가 구비되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그 전면부에는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수령 가능하도록 전면도어가 구비되며, 그 후면부에는 조리된 음식이 입고되도록 후면도어가 구비되는 테이크아웃박스; 상기 주문정보를 매장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고유식별번호와, 음식수령 가능시간과, 음식입고여부와,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도어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안내하는 테이크아웃관리서버; 및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부터 고객단말기를 통해 결제완료된 주문정보를 접수하며, 조리 대기중인 음식개수와, 조리 시작시간 및 완료시간을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매장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부터 고객단말기로 제공되는 상기 테이크아웃박스 비밀번호를 상기 고객단말기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창에 입력하면,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에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며,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의 개방 명령에 의해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내부에는 입고된 음식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는 입고된 음식을 촬영하여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에서는 해당 테이크아웃박스에 기배정된 음식 이미지와 입고된 음식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음식이 입고되지 않은 경우, 이를 매장단말기로 통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테이크아웃박스가 각각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개의 수용부가 구획된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되, 상기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의 수용부 저면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크아웃박스는 상기 가이드레일 구조에 의해 상기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에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전면도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객단말기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시 점멸됨에 따라 고객이 자신에게 배정된 테이크아웃박스를 인지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LED램프; 및 상기 제1LED램프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전면도어의 최종 개방을 위해 사용자의 손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후면부에는, 사용자가 주문한 고객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채로 매장에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통해 임의로 전면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비상개방버튼; 및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찾아가지 않는 경우, 주방에서 입고된 음식을 인출하여 별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점멸을 통해 주방에 이를 통보하는 제2LED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도어를 설치하고, 주방에서 조리된 음식을 테이크아웃박스의 후면도어로 넣으면 고객은 전면도어를 통해 찾아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객 응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장의 소요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요리사의 동선을 간소화함으로써, 조리된 음식이 테이크아웃박스에 입고되기 까지의 딜레이타임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효율적인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로 구획된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에 다수의 테이크아웃박스가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 테이크아웃박스에 결함이 발생할 경우, 해당 테이크아웃박스를 간단하게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인출한 후,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박스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박스 후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박스 전면도어 개방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박스 전면도어 개방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 스테이션과 테이크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박스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박스 후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박스 전면도어 개방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박스 전면도어 개방 구조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의 테이크아웃 스테이션과 테이크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은, 고객단말기(100), 테이크아웃박스(200),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 매장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단말기(100)는 매장에서 판매되는 음식에 대한 주문 및 결제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고객이 소지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 및 결제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이 음식 수령을 위하여 테이크아웃박스(200)의 전면도어(210)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는 상기 고객단말기(100)를 통해 주문되는 주문정보에 따른 음식이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수개가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전면부에는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수령 가능하도록 전면도어(210)가 구비되며, 그 후면부에는 조리된 음식이 입고되도록 손잡이(221)가 구비된 후면도어(22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주방에서 조리된 음식을 테이크아웃박스(200)의 후면도어(220)로 넣으면 고객은 전면도어(210)를 통해 찾아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객 응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장의 소요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면도어(220)를 통해 요리사의 동선을 간소화함으로써, 조리된 음식이 테이크아웃박스(200)에 입고되기 까지의 딜레이타임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효율적인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전면부에는 음식의 조리상태 및 테이크아웃박스의 고유식별번호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211) 및 제2표시부(212)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도어(210)의 상부에는 고객단말기(10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시 점멸됨에 따라 고객이 자신에게 배정된 테이크아웃박스(200)를 인지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LED램프(213) 및 상기 제1LED램프(213)가 켜진 상태에서 전면도어(210)의 최종 개방을 위해 사용자의 손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감지센서(214)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내부에는 입고된 음식을 촬영하는 카메라(215)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카메라(215)는 입고된 음식을 촬영하여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데,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에서는 해당 테이크아웃박스(200)에 기배정된 음식 이미지와 입고된 음식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음식이 입고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만약, 정상적으로 음식이 입고되지 않은 경우, 기배정된 음식이 입고될 수 있도록 매장단말기(400)로 이를 통보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고객이 주문한 음식과 다른 음식을 수령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내부 양측면에는 주문 음식의 입고 또는 출고를 인식하기 위한 음식감지센서(216)가 구비되며, 테이크아웃박스(300)의 내부 천정에는 테이크아웃박스(300) 내부로 빛을 조사하여 살균 기능을 제공하는 자외선살균등(21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3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온도 제어를 위해 발열체(218)가 구비되는데, 상기 발열체(218)는 입고되는 음식 종류에 따라 온도 제어를 통해 -3℃~80℃ 까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도어(210)는 개방 과정에서 상방향으로 회동하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내부 양측면에는 전면도어(210)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딩홈(230)이 형성되며, 전면도어(2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홈(230)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링크부재(219)가 연결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상부 중앙에는 구동부(250)의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축(240)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250)에는 전면도어(210)의 상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60)가 연결되는데, 상기 구동부(250)가 후진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260)가 전면도어(210)를 끌고 이동함에 따라 링크부재(219)가 슬라이딩홈(23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전면도어(210)가 테이크아웃박스(200)의 내부로 수용되며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후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개방버튼(222)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사용자가 주문한 고객단말기(100)를 소지하지 않은 채로 매장에 방문하는 경우, 주문한 음식을 수령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이때, 매장 직원이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진행하고 상기 비상개방버튼(222)의 조작을 통해 임의로 전면도어(210)를 개방함으로써,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후면부에는 기설정된 음식 인출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주방으로 이를 통보하는 제2LED램프(223)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찾아가지 않는 경우, 제2LED램프(223)의 점멸을 통해 주방에 이를 통보함으로써,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찾으로 올때까지 주방에서 입고된 음식을 인출하여 별도 보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후면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콘센트(224)와, 테이크아웃박스(200) 내부 수납 공간의 환기를 위한 팬(FAN)(22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용부(510)가 구획된 테이크아웃 스테이션(5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테이크아웃 스테이션(500)은 다수의 테이크아웃박스(200)를 각각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테이크아웃박스(2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개의 수용부(510)가 구획형성되는데, 상기 수용부(510)의 저면에는 가이드레일(510)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510) 구조에 의해 테이크아웃박스(200)가 테이크아웃 스테이션(500)에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특정 테이크아웃박스(200)에 결함이 발생할 경우, 해당 테이크아웃박스(200)를 간단하게 테이크아웃 스테이션(500)으로부터 인출한 후,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간단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후면부에는 요리사가 조리된 음식을 입고시 테이크아웃박스(200)의 현재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는 간단하게는 "사용중"과 같은 문자로 표시할 수 있으며, LED램프의 색상을 통해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는 상기 고객단말기(100)에 의한 주문정보를 매장단말기(400)로 제공하며,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고유식별번호와, 음식수령 가능시간과, 음식입고여부와, 상기 테이크아웃박스(200)의 전면도어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100)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300)부터 고객단말기(100)로 제공되는 테이크아웃박스 비밀번호가 고객단말기(10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창에 입력되면,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에서는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테이크아웃박스(200)의 전면도어(210) 개방을 명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는 주문 발생시 먼저 주문한 곡객의 수를 산출하고, 주문한 음식이 조리를 시작할때까지 대기하는 시간과, 조리된 음식을 넣을 수 있는 빈 테이크아웃박스가 생길때까지 대기하는 시간과, 주문한 음식이 조리가 시작되어 조리가 완성될때까지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음식을 주문한 고객이 음식을 수령 가능한 시간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매장단말기(400)는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로부터 고객단말기(100)를 통해 결제완료된 주문정보를 접수하는 것으로서, 상기 매장단말기(200)를 통해 주문정보가 접수되면, 주방으로 주문정보가 전달되어 해당 상품에 대한 요리가 진행되며, 고객이 주문한 음식이 완성되는 경우, 완성된 음식을 테이크아웃박스(200)에 수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장단말기(400)는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에서 음식을 주문한 고객이 음식을 수령 가능한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리 대기중인 음식개수와, 조리 시작시간 및 완료시간을 테이크아웃관리서버(3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고객의 대기시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크아웃박스(2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도어를 설치하고, 주방에서 조리된 음식을 테이크아웃박스(200)의 후면도어(220)로 넣으면 고객은 전면도어(210)를 통해 찾아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객 응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장의 소요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요리사의 동선을 간소화함으로써, 조리된 음식이 테이크아웃박스(200)에 입고되기 까지의 딜레이타임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효율적인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고객단말기 200: 테이크아웃박스
210: 전면도어 211: 제1표시부
212: 제2표시부 213: 제1LED램프
214: 모션감지센서 215: 카메라
216: 음식감지센서 217: 자외선살균등
218: 발열체 219: 링크부재
220: 후면도어 221: 손잡이
222: 비상개방버튼 223: 제2LED램프
224: 콘센트 225: 팬(FAN)
230: 슬라이딩홈 240: 구동축
250: 구동부 260: 연결부재
300: 테이크아웃관리서버 400: 매장단말기
500: 테이크아웃스테이션 510: 수용부
511: 가이드레일

Claims (5)

  1. 매장에서 판매되는 음식에 대한 주문 및 결제를 진행하는 고객단말기;
    상기 고객단말기를 통해 주문되는 주문정보에 따른 음식이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고유의 식별번호가 구비되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그 전면부에는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수령 가능하도록 전면도어가 구비되며, 그 후면부에는 조리된 음식이 입고되도록 후면도어가 구비되는 테이크아웃박스;
    상기 주문정보를 매장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고유식별번호와, 음식수령 가능시간과, 음식입고여부와,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도어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안내하는 테이크아웃관리서버; 및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부터 고객단말기를 통해 결제완료된 주문정보를 접수하며, 조리 대기중인 음식개수와, 조리 시작시간 및 완료시간을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매장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부터 고객단말기로 제공되는 상기 테이크아웃박스 비밀번호를 상기 고객단말기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창에 입력하면,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에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며,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의 개방 명령에 의해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내부에는 입고된 음식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는 입고된 음식을 촬영하여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테이크아웃관리서버에서는 해당 테이크아웃박스에 기배정된 음식 이미지와 입고된 음식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음식이 입고되지 않은 경우, 이를 매장단말기로 통보하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테이크아웃박스가 각각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개의 수용부가 구획된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되, 상기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의 수용부 저면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크아웃박스는 상기 가이드레일 구조에 의해 상기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에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전면도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객단말기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시 점멸됨에 따라 고객이 자신에게 배정된 테이크아웃박스를 인지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LED램프 및 상기 제1LED램프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전면도어의 최종 개방을 위해 사용자의 손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테이크아웃박스의 후면부에는, 사용자가 주문한 고객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채로 매장에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통해 임의로 전면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비상개방버튼 및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찾아가지 않는 경우, 주방에서 입고된 음식을 인출하여 별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점멸을 통해 주방에 이를 통보하는 제2LED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1304A 2020-07-02 2020-07-02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KR10241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04A KR102417176B1 (ko) 2020-07-02 2020-07-02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04A KR102417176B1 (ko) 2020-07-02 2020-07-02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27A KR20220003727A (ko) 2022-01-11
KR102417176B1 true KR102417176B1 (ko) 2022-07-15

Family

ID=7935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304A KR102417176B1 (ko) 2020-07-02 2020-07-02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1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979Y1 (ko) * 2001-12-24 2002-03-25 만도공조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방 알림장치
KR101759091B1 (ko) * 2016-12-06 2017-07-18 김선홍 무인 음식점 시스템
JP6591119B1 (ja) * 2018-04-27 2019-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679B1 (ko) 2015-09-24 2017-01-0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이크 아웃 예약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6479A (ko) 2018-05-31 2019-12-10 엔아이티(주) 셀프 테이크아웃 시스템
KR102192425B1 (ko) * 2018-10-30 2020-12-16 (주)신성금고 도어락 장치
KR20200061698A (ko) * 2018-11-26 2020-06-03 엔아이티(주)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을 이용한 셀프 테이크아웃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979Y1 (ko) * 2001-12-24 2002-03-25 만도공조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방 알림장치
KR101759091B1 (ko) * 2016-12-06 2017-07-18 김선홍 무인 음식점 시스템
JP6591119B1 (ja) * 2018-04-27 2019-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27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7170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无人售货柜
CN107833363B (zh) 基于图像识别的自助售货机自动库存管理系统及方法
JP2019021283A (ja) 無人店鋪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無人レジ装置
US11989684B2 (en) Camera-implemented article layout control method for shelves equipped with electronic shelf labels
KR102134643B1 (ko) 추천 레시피에 따른 조리 지원이 가능한 주방 가전 시스템 및 그 지원 방법
JP2018525762A (ja) 規制商品の遠隔販売のための自動販売機及び方法
JP6745785B2 (ja) 店舗
WO2017150226A1 (ja) 買物支援システム
CN108198054A (zh) 一种支持商品预订的无人货柜和销售系统
EP3716235A1 (en) Unstaffed store system
KR20200061698A (ko)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을 이용한 셀프 테이크아웃 방법
KR101938416B1 (ko)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JP2023138695A (ja) 報知システム、報知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45786B2 (ja) 店舗
KR20190136479A (ko) 셀프 테이크아웃 시스템
KR102228554B1 (ko) 머신러닝 기반의 음식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CN206773817U (zh) 自动服装售卖机及服装售卖系统
KR102417176B1 (ko)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EP32555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on of items from a store
CN107464355A (zh) 自动服装售卖机、服装预售系统及预售方法
JP7165860B2 (ja) 店舗管理方法及び店舗管理システム
TW201905785A (zh) 無人結帳裝置、控制無人結帳裝置的方法、執行其方法之電腦程式與控制無人結帳裝置之設備
JP5302031B2 (ja) 注文情報管理システム
CN109390052B (zh) 一种医疗便民终端、服务器和系统
JP6990676B2 (ja) 食品の注文受渡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