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425B1 -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425B1
KR102192425B1 KR1020180130598A KR20180130598A KR102192425B1 KR 102192425 B1 KR102192425 B1 KR 102192425B1 KR 1020180130598 A KR1020180130598 A KR 1020180130598A KR 20180130598 A KR20180130598 A KR 20180130598A KR 102192425 B1 KR102192425 B1 KR 10219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put
terminal
inpu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466A (ko
Inventor
하균표
Original Assignee
(주)신성금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금고 filed Critical (주)신성금고
Priority to KR102018013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425B1/ko
Priority to PCT/KR2019/001963 priority patent/WO2020091149A1/ko
Publication of KR20200048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며, 입력 수단이 내장되어 형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입력 수단의 개방 정보를 설정하는 단말기 및 상기 입력 수단에 접촉하여 상기 개방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하는 개방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Door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면에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한 입력 수단이 내장되어 형성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금고장치는 귀중품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서류, 금전 등과 같은 사유물에 대한 보관을 목적으로 이용되며, 그에 따라 금고장치는 외부인이 쉽게 열 수 없도록 하는 보안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금고장치는 갑작스런 화재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보관물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우수한 내화성 및 내열성을 구비하여 기업체의 중요한 서류 또는 개인의 귀중품 및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금고장치는 개폐 가능한 금고장치의 도어의 일측부에 열쇠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열쇠로 금고장치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귀중품 및 금전 등을 보관하였다.
하지만, 열쇠식 금고장치는 열쇠 손실시 금고장치를 개폐할 수 없고, 열쇠를 복사만 하면 누구나 쉽게 금고장치를 개폐할 수 있는 등의 미흡한 부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버튼식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고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버튼을 눌러 금고장치를 개폐하는 방식의 버튼식 금고장치의 경우, 전면에 버튼식 잠금장치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세련되지 못하며, 고급스러운 사무실 환경에 조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디지타이저가 구비된 터치 입력식 금고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금고장치도 외관에 터치입력부가 돌출되어 고정되므로 사무실 환경에 어울리는 고급스런 외관의 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인의 방문시 금고 특유의 외관이 가시적으로 노출되므로 금고의 존재 및 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되어 도난의 우려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마련되는 입력 수단이 도어의 전면에 내장되어 도어가 결합된 본체와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입력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인으로 하여금 입력 수단의 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며, 입력 수단이 내장되어 형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입력 수단의 개방 정보를 설정하는 단말기 및 상기 입력 수단에 접촉하여 상기 개방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하는 개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 수단이 가상의 구획 영역을 따르며 복수로 내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설정된 상기 개방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입력 수단에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터치 형태의 입력 정보가 입력되도록 마그네틱 카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터치 형태의 입력 정보가 입력되도록 지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방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입력부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획득한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 수단이 가상의 구획 영역을 따르며 복수로 내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설정된 패턴 형태의 상기 개방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입력 수단에 패턴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이러한 상기 개방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입력부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획득한다.
또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입력부에 각각 이격되도록 내장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수단은 지문센서 및 동작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지문센서 및 상기 동작센서가 동시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 정보를 상기 지문센서 및 상기 동작센서에 각각 입력하여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며, 입력 수단이 내장되어 형성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입력부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개방 이미지의 표시와 함께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개방 이미지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전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전달받도록 형성되며, 상기 입력부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전면 상태에 대한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영상 정보의 확인을 통해 표시되는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원격으로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마련되는 입력 수단이 도어의 전면에 내장되어 도어가 결합된 본체와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입력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주변 환경에 어울리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입력 수단이 단말기의 접근 시에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외부인으로 하여금 입력 수단의 위치가 쉽게 파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보안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를 통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이때 획득한 개방 정보에 따라 개방 수단의 순차적인 접촉을 통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총 2 회의 과정을 거쳐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금고의 경우 본체 내부의 귀중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경우 외부인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통해 도어 전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 단말기를 개방 수단으로 하여 원격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편의성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4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5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입력부(100), 단말기(200) 및 개방 수단(3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금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먼저, 입력부(100)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며, 복수의 입력 수단(110)이 내장되어 형성된다.
즉, 종래와 같은 버튼을 눌러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의 버튼식 금고의 경우, 전면에 버튼식 잠금장치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세련되지 못하며, 고급스러운 주변 환경에 조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는 도어가 결합되는 본체(10)의 외주면과 조화를 이루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그 내부로 입력 수단(110)이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인으로 하여금 입력 수단(110)의 위치가 쉽게 파악되지 않도록, 다시 말해 입력부(100)를 통해서는 금고라는 존재를 알 수 없도록 하여 효과적인 보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입력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입력 수단(110)의 개방 정보를 설정한다.
일례로,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PDA, MP3,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단말기(200)는 입력부(100)와 블루투스(Bluetooth)로 연결되어 본체(1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도 개방 정보의 설정 및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방 수단(300)은 입력 수단(110)에 접촉하여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개방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그에 따라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이러한 개방 수단(300)은 입력 수단(110)에 터치(접촉) 형태의 입력 정보가 입력되도록 마그네틱 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역할을 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지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100)에는 입력 수단(110)이 가상의 구획 영역을 따라 복수로 내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개방 수단(300)은 단말기(200)를 통해 설정된 개방 정보에 대응하도록 입력 수단(110)에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더 자세하게는, 입력부(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및 중심에 5 개의 입력 수단(110)이 구획 영역을 가지며 내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입력 수단(110)은 평상 시에는 도어의 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았다가, 단말기(200)가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노출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개방 수단(300), 일례로 마그네틱 카드를 단말기(200)에 표시된 개방 정보에 따라 입력 수단(110)에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수단(110) 5 개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3*3 의 형태로 9 개 모두가 활성화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입력 수단(110)은 접촉센서가 아닌 지문센서로 이루어져 마그네틱 카드가 아닌 사용자의 지문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 단말기(200) 및 개방 수단(300)의 구성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개방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200)가 본체(10)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5 개의 입력 수단(110)이 활성화되며, 이 상태에서 단말기(200)를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미리 설정된 개방 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확인된 개방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개방 수단(300)을 순차적으로 입력 수단(110)에 접촉시켜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개방 수단(300)을 입력 수단(110)에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동작은, 예를 들어 2 개의 입력 수단(110)에 대한 접촉 시 확인된 개방 정보를 따라 1 번과 4 번을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며, 3 개의 입력 수단(110)에 대한 접촉 시에는 확인된 개방 정보를 따라 1 번, 5번, 2 번을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개방 정보는 상기와 같이 입력 수단(110)에 대한 개방 수단(300)의 접촉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정보일 수 있으나, 하나의 입력 수단(110)을 반복적으로 접촉하게 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순차적으로 접촉되는 개방 수단(300)의 접촉이 시간 간격을 두고 접촉하도록 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200)의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개방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획득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단말기(200)를 통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이때 획득한 개방 정보에 따라 개방 수단(300)의 순차적인 접촉을 통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총 2 회의 과정을 거쳐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금고의 경우 본체(10) 내부의 귀중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경우 외부인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4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입력부(100), 단말기(200) 및 개방 수단(300)을 포함하는데, 입력부(100)는 입력 수단(110)이 가상의 구획 영역을 따르며 복수로 내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입력부(100), 단말기(200) 및 개방 수단(300)의 구성 설명은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따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개방 수단(300)은 단말기(200)를 통해 설정된 패턴 형태의 개방 정보에 대응하도록 입력 수단(110)에 패턴 경로(P)를 따라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즉, 입력부(100)에는 기본적으로 3*3 의 형태로 9 개의 입력 수단(110)이 구획 영역을 가지며 서로 인접하게 내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입력 수단(110)은 평상 시에는 도어의 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았다가, 단말기(200)가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노출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개방 수단(300), 다시 말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단말기(200)에 표시된 패턴 형태의 개방 정보에 따라 입력 수단(110)에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 단말기(200) 및 개방 수단(300)의 구성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개방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200)가 본체(10)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입력 수단(110)이 활성화되며, 이 상태에서 단말기(200)를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미리 설정된 개방 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확인된 패턴 형태의 개방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패턴 경로(P)를 따르며 개방 수단(300)을 연속적으로 입력 수단(110)에 접촉시켜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200)의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개방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획득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단말기(200)를 통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이때 획득한 패턴 형태의 개방 정보에 따라 개방 수단(300)의 연속적인 접촉을 통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총 2 회의 과정을 거쳐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금고의 경우 본체(10) 내부의 귀중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경우 외부인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형태의 개방 정보는 항상 동일한 것이 아니라, 단말기(200)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비밀 번호를 입력할 때마다 새롭게 변경되어 형성되며, 그에 따라 이전의 패턴 형태의 개방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동일한 개방 정보로는 추후에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도어의 잠금 해제에 따른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5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입력부(100), 단말기(200) 및 개방 수단(300)을 포함하는데, 입력부(100)는 입력 수단(110)이 각각 이격, 더 구체적으로는 입력부(100) 전면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한 쌍으로 내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입력부(100), 단말기(200) 및 개방 수단(300)의 구성 설명은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따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개방 수단(300)은 단말기(200)를 통해 설정된 개방 정보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입력 수단(110)에 함께 입력되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즉, 입력 수단(110)은 각각 지문센서(110a) 및 동작센서(110b)로 이루어지며, 개방 수단(300)은 사용자의 손으로 이루어져 지문센서(110a) 및 동작센서(110b)가 동시에 활성된 상태에서 개방 정보를 지문센서(100a) 및 동작센서(110b)에 각각 입력하여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 단말기(200) 및 개방 수단(300)의 구성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개방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200)가 본체(10)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지문센서(110a) 및 동작센서(110b)로 이루어진 수단(110)이 활성화되며, 이 상태에서 단말기(200)를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미리 설정된 개방 정보, 더 자세하게는 동작센서(110b)에 입력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확인된 개방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양 손을 개방 수단(300)으로 하여 활성화된 상태의 지문센서(110a) 및 동작센서(110b)에 각각 입력,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왼쪽 손가락 중 단말기(200)에 미리 등록한 어느 하나의 손가락 지문을 지문센서(110a)에 입력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오른손을 동작센서(110b)의 전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개방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등과 같은 형태의 동작을 수행하여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동작센서(110b)에 입력해야 하는 동작 정보는 단말기(200)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획득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한 번호 입력창에 비밀 번호를 입력할 때마다 새롭게 변경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정보와 동작 정보가 모두 일치하여야 하고, 이때의 동작 정보는 이전의 동작 정보와 다른 형태여야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한 보안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입력부(100') 및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금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입력부(100')는 도어가 결합되는 본체(10)의 외주면과 조화를 이루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입력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PDA, MP3,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입력부(100')와 블루투스(Bluetooth)로 연결되어 본체(1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도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입력부(100')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개방 이미지(A)의 표시와 함께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즉,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개방 이미지(A)가 표시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표시된 개방 이미지(A)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단말기(200') 화면 상에서의 드래그를 통해 입력부(100')를 향하여 개방 이미지A)를 이동시키게 되면, 입력부(100')와 단말기(20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200')에서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이동된 개방 이미지(A)가 입력 수단(110')의 외부로 디스플레이 되면서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수단(110')은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된 개방 이미지(A)가 입력부(100'), 다시 말해 도어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LCD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된 개방 이미지(A)는 열쇠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사용자의 의해 단말기(200')에서 설정이 가능할 수 있으며, 아울러 터치 및 드래그 하는 방식 이외에도 길게 누르는 동작 등을 통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수단(110')을 직접 누르는 등의 별도의 동작 없이도 단말기(200')의 조작을 통해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개방 이미지(A)가 입력 수단(1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잠금 해제 여부를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200') 자체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한 수단이 되기 때문에,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별도의 개방 수단이 필요하지 않아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편의성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는 입력 수단(110')으로부터 도어의 전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전달받도록 형성되며, 입력부(100')와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전면 상태에 대한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형성되고, 영상 정보의 확인을 통해 표시되는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원격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수단(110')은 한 쌍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감지센서 및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자 또는 외부인이 입력부(100') 전면에 위치하게 되면, 선택적으로 그 전면에 대한 영상 정보가 단말기(200')로 전달되며, 이때의 사용자는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영상 정보를 확인, 영상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번호 입력창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원격으로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한다.
일례로, 본체(10)가 출입문이라 가정하였을 경우, 출입문 전면으로 외부인이 다가와 위치하게 되면, 감지센서를 통해 입력부(100')의 전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카메라를 통해 그 영상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단말기(200') 사용자는 영상 정보의 확인을 통해 원격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어의 개방을 위해 출입문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편의성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PDA, MP3,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출입문 내부에 구비되는 인터폰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마련되는 입력 수단이 도어의 전면에 내장되어 도어가 결합된 본체와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입력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주변 환경에 어울리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입력 수단이 단말기의 접근 시에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외부인으로 하여금 입력 수단의 위치가 쉽게 파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보안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를 통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이때 획득한 개방 정보에 따라 개방 수단의 순차적인 접촉을 통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총 2 회의 과정을 거쳐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금고의 경우 본체 내부의 귀중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경우 외부인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통해 도어 전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 단말기를 개방 수단으로 하여 원격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편의성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도어 100, 100': 입력부
110, 110' : 입력 수단 110a : 지문센서
110b : 동작센서 200, 200' : 단말기
300 : 개방 수단 A : 개방 이미지
P : 패턴 경로

Claims (12)

  1.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며, 입력 수단이 내장되어 형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입력 수단의 개방 정보를 설정하는 단말기; 및
    상기 입력 수단에 접촉하여 상기 개방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하는 개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입력부에 각각 이격되도록 내장된 지문센서 및 동작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작센서에 입력해야 하는 동작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번호 입력창에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획득하고, 상기 비밀 번호는, 상기 번호 입력창에 입력할 때마다 새롭게 변경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지문센서 및 상기 동작센서가 동시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 정보를 포함한 상기 개방 정보를 상기 지문센서 및 상기 동작센서에 각각 입력하여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30598A 2018-10-30 2018-10-30 도어락 장치 KR102192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98A KR102192425B1 (ko) 2018-10-30 2018-10-30 도어락 장치
PCT/KR2019/001963 WO2020091149A1 (ko) 2018-10-30 2019-02-19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98A KR102192425B1 (ko) 2018-10-30 2018-10-30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66A KR20200048466A (ko) 2020-05-08
KR102192425B1 true KR102192425B1 (ko) 2020-12-16

Family

ID=7046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598A KR102192425B1 (ko) 2018-10-30 2018-10-30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2425B1 (ko)
WO (1) WO2020091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176B1 (ko) * 2020-07-02 2022-07-15 엔아이티(주)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KR102592149B1 (ko) 2020-12-18 2023-10-23 주식회사 선일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147A (ja) * 2004-11-08 2006-05-25 Toppan Forms Co Ltd 非接触照合システム
KR100679625B1 (ko) * 2004-11-15 2007-02-22 주식회사 테크슈머 휴대형 조합키를 이용한 잠금장치 제어 방법과 그를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2914B2 (ja) * 2005-09-22 2011-02-16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
KR101740585B1 (ko) * 2015-08-20 2017-07-03 주식회사 골든쉘금고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KR20170103305A (ko) * 2016-03-03 2017-09-13 임수환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147A (ja) * 2004-11-08 2006-05-25 Toppan Forms Co Ltd 非接触照合システム
KR100679625B1 (ko) * 2004-11-15 2007-02-22 주식회사 테크슈머 휴대형 조합키를 이용한 잠금장치 제어 방법과 그를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66A (ko) 2020-05-08
WO2020091149A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30519B (zh) 开启安全性改善的电子锁的方法
KR102192425B1 (ko) 도어락 장치
TW201633068A (zh) 基於手勢之存取控制方法與系統
KR20100027839A (ko) 대여금고 관리장치 및 방법
CN105389874A (zh) 一种用于智能锁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05158495U (zh) 一种用于智能锁的控制系统
Shetty et al. Review paper on door lock security systems
CN206470852U (zh) 一种防盗电力设备箱
US10980343B2 (en) Secure storage device
KR101640879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US20200302717A1 (en)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lock
KR101046348B1 (ko) 터치패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해정방법
KR20080005303U (ko) 실내측에도 다양한 전자식 키입력수단을 갖는 디지털도어록
JP5796337B2 (ja) 入退出管理システム
KR102348441B1 (ko)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6029844B2 (ja) 貸金庫装置
KR20110005371U (ko) 사생활 보호를 위한 대여 금고
JP2014211030A (ja) 金庫管理方法、金庫及び金庫管理装置
JP4932541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錠装置
CN111275861A (zh) 一种智能锁、智能锁系统和开关方法
TWM586824U (zh) 人臉梯控門禁系統
JP2016188477A (ja) 入室管理装置
JP2006144384A (ja) セキュリティ強化入室管理システム
KR102514101B1 (ko)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JP200515092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