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585B1 -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 Google Patents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585B1
KR101740585B1 KR1020150117505A KR20150117505A KR101740585B1 KR 101740585 B1 KR101740585 B1 KR 101740585B1 KR 1020150117505 A KR1020150117505 A KR 1020150117505A KR 20150117505 A KR20150117505 A KR 20150117505A KR 101740585 B1 KR101740585 B1 KR 10174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utton
input window
door
pattern
interi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476A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쉘금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쉘금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쉘금고
Priority to KR102015011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5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4Wall or panel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전면이 인테리어판넬에 의해 마감되도록 하고, 인터리어판넬 상에 도어의 오픈을 위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노출시키는 전원버튼이 숨겨지도록 하는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보관물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치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문양 또는 그림이 새겨진 상태로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활성화시키는 전원버튼이 보안되게 숨겨진 인테리어판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Electronic safe box having secure function of power supply button}
본 발명은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면이 인테리어판넬에 의해 마감되도록 하고, 인터리어판넬 상에 도어의 오픈을 위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노출시키는 전원버튼이 숨겨지도록 하는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각종 귀금속 및 보석류 등과 같은 귀중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통 철제의 견고한 구조물을 통칭한다.
이러한 금고는 도어의 개방을 특정의 비밀번호 및 열쇠 등의 수단으로 개방하는 외에는 불법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제로 견고하고 두꺼운 벽으로 내부공간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금고의 분류는, 건물에 붙박이식으로 고정되거나 사무실에 비치되는 사업용 금고와, 개인의 중요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해 각 가정에 비치되는 가정용 금고로 구분되며, 근래에는 예전과 달리 자신의 귀중품을 직접 가정에서 보관하면서 확인하는 편리성을 갖는 가정용 금고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금고의 도어 전면에 다양한 문양 또는 그림 등이 새겨진 인테리어패널을 적용함으로써 금고가 갖는 차가운 이미지를 탈피시켜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비밀번호의 입력이 터치로 이루어지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01143호에는, 중공의 내벽에 홈이 형성된 본체; 중공을 개폐하는 도어;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어의 상단에 고정되고 본체 상면을 덮도록 'ㄱ'의 측단면 형상을 이루면서 입력모듈의 조작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한 잠금장치; 및 이동돌기를 구비하고 말단이 홈에 삽탈하도록 도어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빗장과, 회전축을 매개로 도어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며 이동돌기와 맞물려서 이동돌기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홈를 갖는 캠과, 기어부와 맞물리는 주동기어에 회전력을 가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락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금고는 외부로 드러나는 금고의 전면에 다양화하면서도 미려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어 기존의 금고에 대한 인식과 선입견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시작버튼(전원버튼)이 항상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만일 비밀번호가 유출된 상태라면 누구라도 금고를 열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는다. 이는, 시작버튼이 입력모듈과 제어모듈을 활성화함으로써 입력모듈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01143호(공개일 2010.01.06.) 국내등록특허 제10-0398176호(등록일 2003.09.02.)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184호(공개일 2013.04.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의 전면이 인테리어판넬에 의해 마감되도록 하고, 인터리어판넬 상에 도어의 오픈을 위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노출시키는 전원버튼이 숨겨지도록 하는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는, 내측에 보관물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치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문양 또는 그림이 새겨진 상태로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활성화시키는 전원버튼이 보안되게 숨겨진 인테리어판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테리어판넬은, 상기 도어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투명재질의 투영부재; 상기 문양 또는 그림이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태로 투영부재의 후면에 인쇄되는 색상층; 미 인쇄된 부위에 접착되어 상기 문양 또는 그림을 완성하는 다양한 컬러를 갖는 자개; 및 상기 색상층에 접착되어 상기 자개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보호필름;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전원버튼은 상기 자개에 의해 완성된 상기 문양 또는 그림의 특정된 곳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영부재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PC:Polycarbon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버튼은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입력창은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방식으로 상기 인테리어판넬의 상기 문양 또는 그림이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창이 형성된 상기 인테리어판넬의 후방에는 상기 전원버튼에 의한 전원 인가시 상기 입력창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입력창을 노출시키고, 상기 입력창으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연산하며, 연산에 따라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에 의하면, 도어의 전면이 자개문양을 갖는 인테리어판넬에 의해 마감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자개문양의 특정된 위치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노출시키는 전원버튼이 숨겨지도록 함으로써 전원버튼의 일차적 보안기능을 강화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버튼 자체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창 또한 그 위치를 알수없어 금고의 보안이 한층 더 강화된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원버튼을 통한 입력창이 활성화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원버튼을 통한 입력창이 활성화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금고는 다양한 종류의 금고에 적용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소형화로 개인의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가정용 금고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버튼(40)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100)는, 내측에 보관물이 안치되는 안치공간(11)이 마련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치공간(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 및 문양 또는 그림(P)이 새겨진 상태로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창(50)을 활성화시키는 전원버튼(40)이 보안되게 숨겨진 인테리어판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큰 특징은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창(50)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버튼(40)이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도록 하여 평상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혹여 비밀번호가 유출되더라도 전원버튼(40)이 숨겨짐에 따른 입력창(50)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금고(100)의 보안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에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은, 고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외부와 차단되는 사각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내측으로는 일면만이 개구된 상태로 귀중품과 같은 보관물이 안치되는 안치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어(20)는, 잠금장치(미 도시)를 통해 하우징(10)의 안치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하우징(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잠금장치는 별도의 구동방식에 의해 도어(2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금고(1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통상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인테리어판넬(30)은,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어(20)의 전면을 마감하는 것으로, 그 표면에는 금고(100)의 이미지가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문양 또는 그림(P)이 새겨져 있다.
인테리어판넬(30)은 도 2와 같이, 도어(2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투명재질의 투영부재(31)와, 문양 또는 그림(P)이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태로 투영부재(31)의 후면에 인쇄되는 색상층(33)과, 미 인쇄된 부위에 접착되어 문양 또는 그림(P)을 완성하는 다양한 컬러를 갖는 자개(35)와, 색상층(33)에 접착되어 자개(35)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보호필름(37)으로 구성된다.
투영부재(31)는 도어(20)의 전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이루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문양 또는 그림(P)을 형성하는 자개(35)를 보호한다. 또한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로부터 자개(35)문양 또는 그림(P)의 선명한 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색상층(33)은 자개(35)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 또는 그림(P)의 윤곽이 표현되도록 바탕화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양한 색상이 대체될 수 있다.
자개(35)는 색상층(33)의 미 인쇄된 부위에 접착되어 특정된 문양 및 그림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자개(35)는 다양한 컬러를 가질 수 있도록 조개 또는 전복 껍데기 등을 착색 가공을 통해 다양한 컬러로 제작되고, 제작된 자개(35)들을 미 인쇄된 부위에 조합에 의해 접착되면서 자개(35)로 이루어진 문양 및 그림을 완성하게 된다.
위의 자개(35)에 형성되는 문양 및 그림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자개(35)로부터 발현되는 고풍적인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금고(100)가 갖는 차가운 느낌과는 차별화된 느낌을 주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문양 및 그림은 오리 2 마리와 꽃을 표현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하게 도시될 수 있다.
보호필름(37)은 색상층(33)에 접착됨으로써 색상층(33)과 자개(35)의 후면을 커버 함으로써, 조합으로 이루어진 자개(35)들의 접착위치가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호필름(37)의 색상 또한 색상층(33)과 동일한 색상을 갖는 것은 물론일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인테리어판넬(30)은, 도어(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측으로 인테리어판넬(30)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71)을 갖는 수용프레임(70)에 삽입되면서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된다.
한편, 인테리어판넬(30)에는 금고(100)의 도어(20)를 열기 위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도 1에 표시된 입력창(50)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이 유지되게 숨겨진다.
이때 전원버튼(40)은, 자개(35)에 의해 완성된 문양 또는 그림(P)의 특정된 곳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원버튼(40)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를 제외한 어느 누구도 전원버튼(40)의 위치를 알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자개(35)만이 갖는 화사함과 입체적인 볼륨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전원버튼(40)의 위치를 쉽게 기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기억 가능하도록 도면상 좌측 상단에 형성된 오리의 머리에 전원버튼(40)의 위치를 설정한다면 절대로 망각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물론 오리의 머리뿐만 아니라 오리의 발, 오리의 꽁지, 꽃의 특정위치 등과 같이 원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전원버튼(40)이 설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고(100)의 제작시 사전에 인테리어판넬(30)에 새겨지는 문양 및 그림의 선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선택된 문양 및 그림의 특정된 위치가 지정된 상태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더하여, 전원버튼(40)을 문양 및 그림이 없는 특정된 위치에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따라서, 전원버튼(40)의 설정위치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전원버튼(40)은 인테리어판넬(30)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도록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동된다.
정전용량방식은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한 것으로, 액정 유리에 전기를 통하는 화합물을 코팅해 전류가 계속 흐르도록 만들고, 화면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액정 위에 흐르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오게 하여 내장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다.
감압방식은 액정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방식으로, 액정 위에 여러 겹으로 스크린이 쌓여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실제 접촉이 발생하는 가장 바깥쪽은 부드러우면서 흠집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안쪽에는 압력을 감지하는 투명 전도막 2장이 겹쳐져 손이나 펜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것을 이용해서 화면이 터치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정전용량방식과 감압방식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전원버튼(40)의 터치방식으로 선택되는 정전용량방식 또는 갑압방식에 따라 인테리어판넬(30) 투영부재(31)의 재질 또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창(50)은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방식으로 인테리어판넬(30)의 자개(35)에 의해 형성된 문양 또는 그림(P)이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입력창(50)이 형성된 인테리어판넬(30)의 후방에는 전원버튼(40)에 의한 전원 인가시 입력창(50)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입력창(50)을 노출시키고, 입력창(50)으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연산하며, 연산에 따라 잠금장치(미 도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된다.
이때, 입력창(50)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 패드가 형성되며, 입력된 번호가 표시되는 창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창(50)이 두 마리의 오리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문양 또는 그림(P)에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라면 인테리어판넬(30)의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창(50)의 형성된 위치에 따라 제어모듈 또한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인테리어판넬(30)에 전원버튼(40)의 숨겨지면, 전원버튼(40)이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문양 및 그림의 위치에 숨겨지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설령 비밀번호가 유출되더라도 전원버튼(40)의 숨겨짐에 따른 입력창(50)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입력창(50)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도어(20)는 절대 열수 없기 때문에 금고(100)의 보안이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입력창(50)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자신만이 알고 있는 문양 또는 그림(P)의 특정된 위치인 오리의 머리에 설정된 전원버튼(40)을 손가락으로 터치한다.
전원버튼(40)의 터치에 의해 전원이 제어모듈로 인가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어모듈이 구동하면서 입력창(50)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도 4와 같이 인테리어판넬(30)의 중앙부위로 입력창(50)을 활성화 시킨다.
입력창(50)이 노출되면,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숫자 패드를 터치하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제어모듈에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연산하여 비밀번호가 맞으면 잠금장치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는, 도어의 전면이 자개문양을 갖는 인테리어판넬에 의해 마감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자개문양의 특정된 위치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노출시키는 전원버튼이 숨겨지도록 함으로써 전원버튼의 일차적 보안기능을 강화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버튼 자체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창 또한 그 위치를 알수없어 금고의 보안이 한층 더 강화된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하우징 11 : 안치공간
20 : 도어 30 : 인테리어판넬
31 : 투영부재 33 : 색상층
35 : 자개 37 : 보호필름
40 : 전원버튼 50 : 입력창
60 : 제어모듈 70 : 수용프레임
71 : 수용홈 100 : 금고
P : 문양 또는 그림

Claims (6)

  1. 내측에 보관물이 안치되는 안치공간(11)이 마련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치공간(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 및
    문양 또는 그림(P)이 새겨진 상태로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창(50)을 활성화시키는 전원버튼(40)이 보안되게 숨겨진 인테리어판넬(30);을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판넬(30)은, 상기 도어(2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투명재질의 투영부재(31); 상기 문양 또는 그림(P)이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태로 투영부재(31)의 후면에 인쇄되는 색상층(33); 미 인쇄된 부위에 접착되어 상기 문양 또는 그림(P)을 완성하는 다양한 컬러를 갖는 자개(35); 및 상기 색상층(33)에 접착되어 상기 자개(35)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보호필름(37);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버튼(40)은 상기 자개(35)에 의해 완성된 상기 문양 또는 그림(P)의 특정된 곳에 위치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10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재(31)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PC:Polycarbo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100).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버튼(40)은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100).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50)은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방식으로 상기 인테리어판넬(30)의 상기 문양 또는 그림(P)이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창(50)이 형성된 상기 인테리어판넬(30)의 후방에는 상기 전원버튼(40)에 의한 전원 인가시 상기 입력창(50)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입력창(50)을 노출시키고, 상기 입력창(50)으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연산하며, 연산에 따라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100).
KR1020150117505A 2015-08-20 2015-08-20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KR10174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505A KR101740585B1 (ko) 2015-08-20 2015-08-20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505A KR101740585B1 (ko) 2015-08-20 2015-08-20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476A KR20170022476A (ko) 2017-03-02
KR101740585B1 true KR101740585B1 (ko) 2017-07-03

Family

ID=5842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505A KR101740585B1 (ko) 2015-08-20 2015-08-20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103B1 (ko) * 2016-08-24 2018-10-15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터치 입력식 락 금고장치
KR102192425B1 (ko) * 2018-10-30 2020-12-16 (주)신성금고 도어락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912B1 (ko) * 2012-11-02 2014-03-04 임상태 색채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7849B1 (ko) * 2014-03-03 2014-10-13 김명철 금고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76B1 (ko) 2003-06-10 2003-09-13 이병곤 금고
KR101045851B1 (ko) 2008-06-26 2011-07-04 김영숙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
KR20130002184U (ko) 2011-09-29 2013-04-08 범일금고(주) 금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912B1 (ko) * 2012-11-02 2014-03-04 임상태 색채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7849B1 (ko) * 2014-03-03 2014-10-13 김명철 금고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476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5591B (zh) 护套和接纳在其中的便携式电子装置
RU2622784C2 (ru) Электронное игровое и/или развлек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656580B1 (ko) 랩 어라운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2018136960A (ja) 動的に調整可能な外観及び機能を有する入力/出力デバイス
KR101740585B1 (ko)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JP5789856B2 (ja) 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張りの家具
JP2008517394A5 (ko)
CN206224695U (zh) 公共储物柜及篮球架
JP6603913B2 (ja) 覗き見防止シート
CN107270610A (zh) 冰箱
JP6820150B2 (ja) 読取装置
KR101624686B1 (ko) 금속층과 무늬층을 구비한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 제조 방법
CN203434042U (zh) 一种防窥视密码输入装置
KR101447849B1 (ko) 금고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042305A1 (en) Operating panel for an elevator with splash water protected key switch
KR101908103B1 (ko) 터치 입력식 락 금고장치
KR101161088B1 (ko) 디지털 키가 구비된 소형 사물함
KR101039437B1 (ko)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터치스크린 보호필름
CN200976317Y (zh) 银行密码防盗输入盒
KR20160112532A (ko) 감춤 금고를 구비한 전시 보석함
KR200496918Y1 (ko) 디자인 패널을 포함하는 금고
CN215190715U (zh) 一种防霉画框
KR102213475B1 (ko) 지문방식으로 도어가 자동 개방되는 금고형 저금통.
KR20110110552A (ko) 도어락 레버
JP7336675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