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851B1 -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851B1
KR101045851B1 KR1020080060943A KR20080060943A KR101045851B1 KR 101045851 B1 KR101045851 B1 KR 101045851B1 KR 1020080060943 A KR1020080060943 A KR 1020080060943A KR 20080060943 A KR20080060943 A KR 20080060943A KR 101045851 B1 KR101045851 B1 KR 10104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
input module
groov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143A (ko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김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숙 filed Critical 김영숙
Priority to KR1020080060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8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작업과 출력되는 정보에 대한 확인 및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에 관한 것으로, 중공(101)을 갖는 본체(100); 중공(101)을 개폐하는 도어(200);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모듈(310)과, 입력모듈(3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제어모듈(320)과, 제어모듈(320)의 구동신호를 받아 도어(200)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락모듈(350)로 된 잠금장치(300)를 포함한 금고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310)의 조작부가 상방을 향하게 장착되도록 도어(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331)과, 입력모듈(310)을 덮어 보호하는 커버프레임(332)으로 된 고정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A electric safe}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작업과 출력되는 정보에 대한 확인 및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에 관한 것이다.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금고는 개개인의 귀중품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문서 등과 같은 사유물에 대한 보관을 목적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금고의 사이즈는 중,소형이 대부분이고, 그 사용법 또한 손쉽도록 제작된다.
한편, 이러한 금고는 소유자만이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제한하는 잠금장치가 기계/전자 방식으로 적용되고, 자중을 크게 해서 운반 또한 용이치 않게 한다. 이는 무단침입한 자가 금고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면 도어에 적용되는 잠금장치가 무의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고는 무단으로 쉽게 조작할 수 없는 잠금장치와 더불어, 충분한 자중이 요구된다.
그런데, 금고의 자중이 커지면 이를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받침 또한 금고의 자중을 지지할 만큼 충분한 강성과 견고성이 요구되므로, 대부분은 별도의 받침을 두지 않고 금고를 바닥에 보관하고 있다. 따라서, 소유자는 금고의 도어를 열기 위해 허리를 구부리거나, 웅크리고 앉아서 잠금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했다.
한편, 금고는 강성과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틸 재질로 케이스가 제작된다. 하지만 스틸은 무겁고 차가운 이미지와 경직된 느낌을 주므로, 미려한 인테리어를 지향하는 현대의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기 쉬었다. 결국, 금고가 갖는 외관미는 금고의 대중화에 걸림돌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유자가 바닥에 배치된 금고를 이용하기 위해 허리를 구부리거나 웅크리는 불편을 해소함으로서 금고 이용이 간편하고 편리하도록 하고, 외관미를 개선하여 금고 이용에 대한 거부감과 반감을 줄일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을 갖는 본체; 중공을 개폐하는 도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모듈과, 입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제어모듈과, 제어모듈의 구동신호를 받아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락모듈로 된 잠금장치를 포함한 금고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의 조작부가 상방을 향하게 장착되도록 도어의 상단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입력모듈을 덮어 보호하는 커버프레임으로 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금고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소유자가 금고를 조작하기 위해 허리를 구부리거나 웅크릴 필요없이 손쉽게 조작해서 사용할 수 있고, 외부로 드러나는 금고의 정면을 다양화하면서도 미려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하면서, 소비자가 갖는 금고에 대한 인식과 선입견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고(10)는 소유자가 금고(10)의 조작을 손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금고(10)는 소유자가 조작하는 잠금장치(300; 도 2 참조)의 입력모듈(310)이 도어(200)의 상단에 위치된 것이다. 즉, 입력모듈(310)의 조작부가 금고(10)의 상방을 향하면서, 소유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웅크리지 않고 비밀번호 등의 정보 입력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금고(10)는 각종 귀중품 또는 서류와 같은 물건을 보관하는 본체(100)와, 본체(100)를 개폐하는 도어(200)와, 도어(200)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잠금장치(300)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모듈(310)의 조작부는 도어(20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된다.
여기서, 잠금장치(300)는 소유자가 조작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모듈(310)과, 입력된 정보를 연산하여 이를 토대로 각종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20)과, 제어모듈(32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락모듈(350)을 포함한다.
한편,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0)는 본체(100)를 개폐할 때 여닫히는 것이 일반적이나 미닫이 방식 또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본체(100)와 도어(200)의 연결구조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 형실시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잠금장치의 일부 및 외장재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결합모습에서 도어와 잠금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300)는 입력모듈(310)과 제어모듈(320)을 탑재하면서 이를 도어(200)의 상단에 고정하는 고정대(330)와, 잠금장치(30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340)을 더 포함한다.
입력모듈(310)은 소유자가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버튼 또는 키패드와 같은 기계식, 터치스크린과 같은 전자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입력모듈(310)은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인 출력수단으로 7-세그먼트 타입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입력모듈(310)은 출력수단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출력수단이 포함되더라도 출력수단의 출력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입력모듈(310) 또한 기계식/전자식 등의 구분없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모듈(320)은 입력모듈(3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신호로 수신하고, 이를 연산 처리하면서 입력모듈(310) 및 락모듈(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금고(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모듈(320)의 신호 처리와 입력모듈(310) 및 락모듈(350)에 대한 제어 관련 기술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점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여 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대(330)는 입력모듈(310)의 위치가 도어(200)의 상단이 되도록 입력모듈(310)을 고정하는 것으로, 입력모듈(310)이 장착되며 도어(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331)과, 입력모듈(310)이 장착된 베이스프레임(331)의 상면을 덮어 입력모듈(310)을 보호하는 커버프레임(332)을 포함하되, 커버프레임(332)은 소유자가 입력모듈(310)을 조작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공개해야 하므로 공개된 입력모듈(310)의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333)는 연성 및 탄성 재질로 되어서, 소유자가 입력모듈(310)의 버튼에 가하는 압력이 입력모듈(3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300)의 실시예는, 소유자가 잠금장치(300)를 조작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제어모듈(320)을 구동시켜야 하고, 이러한 구동 지시는 시작버튼(311)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 소유자가 금고(10)의 도어(200)를 열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려면, 우선적으로 시작버튼(311)을 눌러서 입력모듈(310) 및 제어모듈(320)이 구동하도록 하고, 입력모듈(310) 및 제어모듈(320)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면 소유자는 입력모듈(310)의 조작을 통해 도어(200)를 열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일 뿐이며, 입력모듈(310)과 제어모듈(320)의 구동 형태와 과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베이스프레임(331)은 입력모듈(310) 및 제어모듈(320)의 안정된 장착이 가능하게 성형되고 도어(200)의 상단에 배치되는데, 이때 베이스프레임(331)은 도 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조립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한편, 입력모듈(310) 및 제어모듈(320)이 장착되는 지점은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31)의 상면일 수도 있으나, 금고(10)의 상면과 정면을 경계하는 모서리 부분일 수도 있다. 즉, 소유자가 직접 터치하는 입력모듈(310)의 조작부는 직상방을 향할 수도 있으나, 금고(10)의 전방에 서 있는 소유자를 향하도록 경사질 수도 있는 것이다.
커버프레임(332)은 베이스프레임(331)에 장착된 입력모듈(310)과 제어모듈(320)를 덮어 감싸면서, 입력모듈(310) 및 제어모듈(320)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함은 물론, 타인이 입력모듈(310) 및 제어모듈(320)을 비정상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분해하지 못하도록 감싸 보호한다.
한편, 커버프레임(332)은 금고(10)의 상면과 정면을 경계하는 모서리를 덮는 보호대(3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서리는 절곡된 부분이므로, 강한 충격에 의해 금고(10) 자체가 쉽게 훼손될 수 있지만, 무엇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사람이 충돌할 경우에는 큰 외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대(332b)는 모서리를 덮어 보호하면서도 곡면으로 형성되어서, 충돌한 사람이 가능한 외상을 입지 않도록 모서리를 감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모듈(310) 및 제어모듈(320)을 덮어 보호하는 커버프레임(332)은 입력모듈(310) 및 제어모듈(320)의 일부를 덮어 보호하지만, 소유자가 입력모듈(310)을 터치할 수 있어야 하므로 그 조작부는 외부로 공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렇게 공개되는 입력모듈(310)의 조작부는 외력에 대한 보호를 받을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커버(333)를 더 포함한다. 커버(3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모 듈(310)을 덮어 보호하는 것이므로, 소유자가 입력모듈(310)의 조작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해야 하고, 소유자가 가한 압력이 입력모듈(310)로 전달되도록 연성이어야 하며, 소유자의 압력이 소멸하면 원형상으로 회복되어야 하므로 탄성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입력모듈(310)의 방식이 터치스크린과 같은 전자식이라면, 커버(333)가 갖는 재질적 특성이 연성 및 탄성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금고는 시작버튼(311)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커버(333)는 시작버튼(311)이 관통하는 관통공(333a)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340)은 잠금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110/220V의 전력일 수도 있고,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일반 배터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340)은 배터리를 탈부착할 수 있는 함체이고, 베이스프레임(331)에 서랍식으로 탈부착되어서 배터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잠금장치(300)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소유자가 직접 터치하는 입력모듈(310)의 조작부가 금고(10)의 상면으로 드러나면서, 소유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웅크리지 않아도 입력모듈(310)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고(10)는 외부로 드러나는 금고(10)의 정면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변경이 금고(10)의 제작과정이 아닌 완성된 이후에 할 수 있도록 됨으로서, 소유자의 취향에 맞게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금고(10)의 도어(200)는 평평한 면 형상의 전면판(210)을 더 구비하고, 도어(200)의 정면을 다양한 이미지로 미장할 수 있는 외장재(400)를 더 포함한다.
외장재(400)는 전면판(210)에 조립되는 고정프레임(410)과,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하며 고정프레임(410)을 매개로 도어(200)에 고정되는 미장판(420)으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400)는 금고(10)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프레임(410)은 도어(200)의 전면판(210)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는 형상이고, 미장판(420) 또한 고정프레임(410)과 탈부착 가능한 형상을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410)은 도어(200) 정면에 형성된 전면판(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맞물리는 'U' 형상을 이루고, 전면판(210)과의 결속을 위해 'U' 형상을 한 고정프레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411)을 형성한다. 즉, 고정프레임(410)은 체결홈(411)에 전면판(210)의 가장자리가 맞물리면서 고정프레임(410)과 전면판(210)이 상호 결속되고, 궁극적으로는 고정프레임(410)과 도어(200)가 서로 단단히 체결되는 것이다. 물론, 고정프레임(410)과 도어(200) 간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서, 핀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전면판(210) 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고정프레임(4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고정프레임(410)은 'U'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411)에 대향하는 고정홈(412)을 더 구비하고, 체결홈(411)과 고정홈(412)은 가이드(413)를 경계로 명확히 경계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고정프레임(410)이 도어(200)에 단단히 고정되면, 고정홈(412)에 미장판(4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넣어 고정한다. 고정프레임(410)과 결합한 미장판(420)은 고정프레임(410)과 맞물린 가장자리를 제외하고 전면 전체가 외부로 공개되고, 이 전면에는 다양한 이미지 또는 색상이 적용되므로, 스틸 재질의 도어(200) 전면은 미장판(42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한편, 미장판(42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프레임(4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이렇게 분리된 기존 미장판(420)을 대신해서 새로운 미장판을 결합할 수도 있다. 즉, 금고(10)의 이미지를 소유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스틸 재질이 갖는 차갑고 굳은 느낌의 금고(10)를 화려하게 표현할 수 있고, 다양한 미장판(420)으로 이미지와 색상을 새롭게 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미장판(420)은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면 재질의 구분없이 무엇이든지 가능할 것이나, 표면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강화유리가 미장판(420)의 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300)는 입력모듈(310)과, 제어모듈(320) 및 락모듈(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락모듈(350)은 소유자 이외에 타인이 도어(200)를 강제로 열지 못하도록 잠그는 것으로, 인력 또는 특정 도구를 이용하더라도 도어(200)는 쉽게 열리지 않는 강도가 보장되어야 한다.
잠금장치(300)로 널리 활용되는 방식은 빗장 방식이다. 이러한 빗장방식은 본체(100)의 중공(101) 내벽에 빗장(335)이 삽탈되는 홈(102)이 형성되고, 도어(200)에는 빗장(335)을 포함한 락모듈(350)이 내설되어서, 빗장(335)의 말단이 홈(102)에 맞물리면 도어(200)는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도어(200)를 열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 빗장(335)에 집중되므로, 빗장방식에서 이용되는 빗장(335)은 도어(200)를 강제로 열기 위해 가해지는 힘에 대한 충분한 저항성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빗장(335)이 상기 저항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충분한 두께와 자중이 있어야 하고, 외력에 대한 변형률이 낮은 재질이어야 한다. 결국,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 빗장(335)은 사이즈와 자중을 증가시킬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사이즈와 자중이 증가하면 빗장(335)을 이동시키기 위한 그만큼 많은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금고(10)의 이용이 빈번할 경우, 전자식의 경우에는 락모듈(350)의 동작에 소비되는 전력소모가 컸고, 빗장(335)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351; 도 6 참조) 또한 자중이 큰 빗장(335)의 이동에 충분한 출력을 요구받았다. 결국, 종래 빗장방식은 경제적으로나 관리적인 측면에 있어서 매우 불리했다.
또한, 빗장(355)이 커지고 무거울수록, 그 수가 많을수록 도어(200)의 보안 성이 향상되는데, 빗장(355)의 사이즈와 자중 및 개수가 증가할수록 구동원(351)은 더 큰 출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 금고는 구동원의 출력을 줄이기 위해 빗장(355)의 개수를 최소로 하였다. 물론, 이러한 구조적 한계는 종래 금고의 보안성을 저하시키므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금고(10)의 락모듈(350)은 캠(354)을 구성시켜서 다수의 빗장(335, 335', 335"; 도 6 참조)이 하나의 구동원(351)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소출력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자중의 다수 빗장(335, 335', 335")을 모두 동작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락모듈의 모습을 결합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결합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350)은, 구동원(351)과, 구동원(351)에 의해 회전하는 캠(354)과, 캠(354)과 맞물려 직선이동하는 빗장(355, 355', 355"; 이하 '355'로 표기)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락모듈(350)을 포함하는 잠금장치(300)는 도어(200)에 장착된다. 따라서, 락모듈(350) 또한 도어(200)에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도어(200)는 배면에 락모듈(350)이 탑재되는 수용홈(220)을 형성한다.
빗장(355)은 수용홈(220) 내에 이동가능하게 탑재되고, 수용홈(220)의 둘레면에는 빗장(355)의 말단이 관통하는 이동홈(223. 223')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빗장(355, 355', 355")이 설치되므로, 이동홈(223, 223') 또한 3개 이상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제1고정브래킷(356)은 빗장(355)을 수용홈(220) 내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제1고정브래킷(356)은 수용홈(220)에 구비된 제1체결대(221)에 상응하는 제2체결대(356d)를 매개로 도어(200)에 단단히 고정된다.
계속해서, 제1고정브래킷(356)은 빗장(355)의 개수에 상응하는 가이드홈(356b)이 형성된다. 가이드홈(356b)은 빗장(355)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면서 최대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빗장(355)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고정브래킷(356)으로 빗장(355)이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빗장(355)의 일단은 가이드홈(356b)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이동돌기(355a)와, 제1고정브래킷(356)에 돌출형성된 체결부(356c)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가이드라인(355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홈(356b)과 가이드라인(355b)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빗장(355)은 가이드홈(356b) 및 가이드라인(355b)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것이다. 물론, 빗장(355)의 이동방향은 그 말단이 이동홈(223, 223')을 관통하는 방향이고, 이동홈(223, 223')을 관통하는 방향은 홈(102)에 삽탈하는 방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빗장(355, 355', 355")이 구성되고, 캠(354)을 중심으로 3개의 빗장(355, 355', 355")이 3방으로 배치되었다. 하지만, 도시된 제1고정브래킷(356)과 같이 빗장(355, 355', 355")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356b) 및 체결부(356c)의 개수가 4개이므로, 4개의 빗장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빗장이 1개 또는 2개일 수도 있다.
캠(354)은 구동원(351)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제1고정브래킷(35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수용홈(220)에는 회전대(222)가 형성되고, 이 회전대(222)는 제1고정브래킷(356)의 회전구멍(356a)을 관통해서 캠(354)의 회전축(354b)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렇게 동작하는 캠(354)은 일측에 기어부(354a)가 형성되고, 빗장(355)과 맞물리면서 곡선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안내홈(354c)을 갖는다. 안내홈(354c)에 맞물리는 이동돌기(355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356b)과 맞물리는 이동돌기(355a)가 연장된 것으로서, 캠(354)이 회전축(354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이동돌기(355a)를 매개로 캠(354)과 맞물린 빗장(355)이 가이드라인(355b)과 가이드홈(35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캠(354)과 빗장(355)의 연동모습을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제2고정브래킷(352)은 제1고정브래킷(356)과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되게 고정되고, 제1,2고정브래킷(352, 356)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캠(354)과 빗장(355)이 서로 안정하게 연동하도록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브래킷(356)에 형성된 체결부(356c)를 매개로 제2고정브래킷(352)이 이격 고정되고, 캠(354)의 회전가능한 고정을 위해 축구멍(352b)을 형성하였다. 또한, 빗장(355)의 이동방향에 대한 확실한 안내를 위해 빗장(355)을 감싸는 펜스(352c)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고정브래킷(352)은 캠(356)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라인(352a)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캠(356)은 제한라인(352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제한돌기(354d)가 형성된다.
결국, 제한라인(352a)에 맞물린 제한돌기(354d)가 캠(354)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한라인(352a)의 단부에 다다르면, 제한돌기(354d)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더불어 캠(354)의 회전도 정지된다. 즉, 캠(354)의 회전이 무한히 진행되는 것이 아니고 최소한의 필요한 범위로만 제한되는 것이다.
구동원(351)은 전기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의 일종으로, 그 출력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구동원(351)은 주동기어(351a)를 매개로 캠(354)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주동기어(351a)가 캠(354)의 기어부(354a)와 맞물리고, 구동원(351)의 동력으로 주동기어(351a)가 회전하면 기어 연동에 의해 캠(354)이 회전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시한 바와 같이 주동기어(351a)의 기어는 캠(354)의 기어부(354a)의 기어와 비교해 힘의 이득을 얻게 되므로, 구동원(351)의 출력이 낮더라도 상대적으로 자중이 크고 다수인 빗장(355, 355', 355")을 모두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캠(354)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35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센서(353)는 제어모듈(320)이 캠(354)의 회전 위치를 확인해서 빗장(355)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어모듈(320)과 통신한다.
즉, 제어모듈(320)은 센서(353)가 전송한 신호를 확인해서 빗장(355)의 현 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제어모듈(320)은 입력모듈(310) 및 락모듈(350)을 제어한다.
상기 센서(353)는 제한라인(352a)의 양단에 각각 제1센서(353a)와 제2센서(353b)로 구성되고, 제1,2센서(353a, 353b)를 제2고정브래킷(352) 또는 도어(200)의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지지대(35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캠(354)의 회전과 더불어 제한돌기(354d)가 제한 위치까지 이동하면, 각각에 위치한 제1,2센서(353a, 353b)는 이를 감지해서 제어모듈(320)로 전송한다.
상시 센서(3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320)이 락모듈(35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캠(354)의 회전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매우 다양하며,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및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센서(353)의 구조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35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8(a)는 락모듈(350)이 빗장(355)을 홈(102)에 삽입하여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어(200)는 현재 잠금 상태이다.
한편, 방사형으로 형성 배치된 곡선인 안내홈(354c)은 캠(354)의 중심부분을 시작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고, 잠금 상태에서 안내홈(354c)에 맞물린 이동돌기(355a)는 캠(354)의 외곽에 위치한다. 즉, 빗장(355)의 말단은 이동홈(223, 223')을 관통해서 홈(102)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b)는 락모듈(350)이 빗장(355)을 홈(102)으로부터 빼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어(200)는 현재 잠금이 해제 상태이다.
구동원(351)은 제어모듈(320)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돌기(355a)는 안내홈(354c)의 회전에 의한 밀림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캠(354)의 중심에 위치한다. 즉, 빗장(355)의 말단은 홈(102)으로부터 이탈해서 이동홈(223, 223') 안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소유자가 도어(200)를 잠그기 위해 입력모듈(310)을 조작하고, 입력모듈(310)은 당해 신호를 제어모듈(320)로 전송하면, 제어모듈(320)은 구동원(351)을 구동시켜서 캠(35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이동돌기(355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캠(354)의 안내홈(354c)을 따라 밀려 직선이동하면서 캠(354)의 외곽에 위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잠금장치의 일부 및 외장재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결합모습에서 도어와 잠금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락모듈의 모습을 결합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결합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금고 100; 본체
101; 중공 102; 홈
200; 도어 210; 전면판
300; 잠금장치 310; 입력모듈
320; 제어모듈 330; 고정대
340; 전원 350; 락모듈
400; 외장재

Claims (8)

  1. 중공(101)의 내벽에 홈(102)이 형성된 본체(100);
    중공(101)을 개폐하는 도어(200);
    본체(100)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어(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본체(100) 상면을 덮도록 'ㄱ'의 측단면 형상을 이루면서 입력모듈(310)의 조작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하는 베이스프레임(331)을 포함한 잠금장치(300); 및
    이동돌기(355a)를 구비하고 말단이 홈(102)에 삽탈하도록 도어(20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빗장(355)과, 회전축(354b)을 매개로 도어(200)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기어부(354a)가 형성되며 이동돌기(355a)와 맞물려서 이동돌기(355a)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홈(354c)를 갖는 캠(354)과, 기어부(354a)와 맞물리는 주동기어(351a)에 회전력을 가하는 구동원(351)을 포함하는 락모듈(35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정면은 평판 형상의 전면판(210)으로 마감되고:
    전면판(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맞물리도록 'U' 형상을 이루되, 전면판(210)의 가장자리가 맞물리는 체결홈(411)과, 체결홈(411)과 나란히 형성되는 고정홈(412)을 구비한 고정프레임(410); 가장자리가 고정홈(4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물려 끼워지면서 고정프레임(410)과 삽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미장판(420)으로 된 외장재(4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060943A 2008-06-26 2008-06-26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 KR10104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943A KR101045851B1 (ko) 2008-06-26 2008-06-26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943A KR101045851B1 (ko) 2008-06-26 2008-06-26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43A KR20100001143A (ko) 2010-01-06
KR101045851B1 true KR101045851B1 (ko) 2011-07-04

Family

ID=4181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943A KR101045851B1 (ko) 2008-06-26 2008-06-26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849B1 (ko) * 2014-03-03 2014-10-13 김명철 금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0585B1 (ko) 2015-08-20 2017-07-03 주식회사 골든쉘금고 전원버튼의 보안기능을 갖는 전자식 금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847A (ja) * 1997-01-30 1998-08-11 Miwa Lock Co Ltd ドア用錠前のエスカチオ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847A (ja) * 1997-01-30 1998-08-11 Miwa Lock Co Ltd ドア用錠前のエスカチオ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43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6865913B2 (en) Locking apparatus
KR100953706B1 (ko) 캠 방식의 자동 잠금장치를 갖춘 전자식 금고
JPH0291371A (ja) モータロック金庫
CN109785493B (zh) 人员通道控制设备
KR101045851B1 (ko) 사용이 편리한 전자식 금고
KR101896369B1 (ko) 도어핸들 인출장치
CN206487237U (zh) 一种防盗门锁把手的离合机构
KR101167697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CN205172289U (zh) 一种指纹头可伸缩的保险箱门板
KR101324014B1 (ko) 금고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CN106320892B (zh) 床头柜式保险箱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20110010309U (ko) 도어락의 손잡이 작동 감지장치
CN206477732U (zh) 床头柜式保险箱
CN106285358A (zh) 防盗安全门
JP5312188B2 (ja) 開閉体装置
IT201800003672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 una serratura di sicurezza
CN204126461U (zh) 一种保险箱柜的面板装置
CN212105488U (zh) 全自动抽屉锁及其抽屉
KR20110008623U (ko) 출입문 안전고리
KR102118177B1 (ko)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JP3183776U (ja) 錠付ハンドル
JP5057427B2 (ja) キー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