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441B1 -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441B1
KR102348441B1 KR1020200167151A KR20200167151A KR102348441B1 KR 102348441 B1 KR102348441 B1 KR 102348441B1 KR 1020200167151 A KR1020200167151 A KR 1020200167151A KR 20200167151 A KR20200167151 A KR 20200167151A KR 102348441 B1 KR102348441 B1 KR 10234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fingerprint
information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진
권현우
문시현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67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보다 편리한 지문 인식 구조와 도어 핸들을 이용한 새로운 모션 인식 구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 DIGITAL DOORLOCK SYSTEM HAVING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AND MOTION RECOGNITION FUNCTION }
본 발명은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편리한 지문 인식 구조와 도어 핸들을 이용한 새로운 모션 인식 구조를 제시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록은 열쇠 대신 비밀번호, 지문인식, 스마트 카드 등을 도어의 잠금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잠금 장치 일체를 의미한다.
디지털 도어록은 인위적으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가족 및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곳(아파트, 단독주택, 오피스텔, 사무실 등)의 도어(출입문)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키 입력에 의한 개폐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번호판의 번호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킷값을 미리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잠금 해제 시에 번호판의 번호키를 가압하여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어가 잠금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은 번호판을 보호하기 위한 번호판 보호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번호판 보호 커버를 잠금 해제하면 번호판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도어록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3937호(특허문헌 1)이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접촉식 근접거리 스마트카드 및 칩(Chip)방식과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와 표시부를 각인하여 디지털 도 어록 개폐 및 잠금 부가기능 등을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어 및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 관련 기술은 도어 핸들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능을 개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3937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편리한 지문 인식 구조와 도어 핸들을 이용한 새로운 모션 인식 구조를 제시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입력부, 사용자가 동작 패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입력부, 및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번호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지문 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인식하는 제 1 센서부, 상기 모션 입력부에 입력되는 모션을 인식하는 제 2 센서부, 및 상기 번호 입력부에 입력되는 번호를 인식하는 제 3 센서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록킹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 상기 제 1 센서부, 상기 제 2 센서부, 및 상기 제 3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하고, 상기 1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지문 정보 값 및 상기 제 2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모션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등록 지문 정보 및 등록 모션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록킹부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3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번호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등록 번호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를 묻기 위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카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카드 입력부에 입력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4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등록 카드 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4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카드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등록 카드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록킹부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션 입력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ㄱ'자 형태를 가지는 도어 핸들이고, 상기 지문 입력부는, 상기 도어 핸들의 자유 단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번호 입력부는, 상기 도어 핸들에 인접 구비되는 디지털 번호 입력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핸들은, 구속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서부는, 상기 록킹부에 인접 설치되는 복수개의 접촉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지문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등록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면 상기 도어 핸들에 의한 모션 입력이 가능하게 상기 도어 핸들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입력부, 및 사용자가 번호 입력, 모션 입력, 도어 잠금 승인 또는 불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지문 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인식하는 제 1 센서부, 및 상기 버튼 입력부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제 2 센서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 상기 입력부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센서부 및 상기 제 2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와 공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보다 편리한 지문 인식 구조와 도어 핸들을 이용한 새로운 모션 인식 구조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지문 입력부, 모션 입력부, 제 2 센서부의 일 예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등록 세팅 방법을 표현하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을 표현하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비상 시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을 표현하는 순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지문 입력부, 모션 입력부, 제 2 센서부의 일 예를 표현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등록 세팅 방법을 표현하는 순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을 표현하는 순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비상 시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을 표현하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는, 케이스(101), 입력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데이터베이스부(140), 통신부(150), 및 록킹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입력부(111), 상기 케이스(101)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동작 패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입력부(112), 및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번호 입력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카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입력부(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션 입력부(112)는, 상방으로 절곡된 'ㄱ'자 형태를 가지되, 상기 케이스(101)에 삽입되는 삽입축(112ab)과 상기 삽입축(112ab)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112ac)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1)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하좌우로 회전 이동 가능한 도어 핸들(112a)이고, 상기 지문 입력부(111)는, 상기 손잡이(112ac)의 자유 단부면에 구비되는 지문 입력기(111a)이며, 상기 번호 입력부(114)는, 상기 도어 핸들(112a)에 인접 구비되는 디지털 번호 입력판((터치식 번호 입력판, 버튼식 번호 입력판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도어 핸들(112a)을 쥐어잡으면서 상기 지문 입력기(111a)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하고, 이어서 상기 도어 핸들(112a)을 조이스틱을 움직이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특정 패턴으로 조작(예: 위로 두 번, 좌로 한 번, 우로 한 번 움직이는 방식으로 조작)하여 모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핸들(112a)은, 구속 단부(도어 내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112a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지문 입력부(111)에 입력되는 지문을 인식하는 제 1 센서부(121), 상기 모션 입력부(112)에 입력되는 모션을 인식하는 제 2 센서부(122), 및 상기 번호 입력부(113)에 입력되는 번호를 인식하는 제 3 센서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카드 입력부(114)에 입력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4 센서부(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문 입력부(111)와 상기 제 1 센서부(121)의 구성은 기존의 공지된 지문 인식 기술일 수 있고, 상기 번호 입력부(113)와 상기 제 3 센서부(123)의 구성은 기존의 공지된 디지털 도어락 번호판 기술일 수 있고, 상기 카드 입력부(114)와 상기 제 4 센서부(124)의 구성은 기존의 공지된 비접촉식 카드 인식 기술(NFC 카드 인식 기술)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부(122)는, 상기 록킹부(160)에 인접 설치되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핸들(112a)을 조이스틱을 움직이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특정 패턴으로 조작할 때, 상기 접촉부(112aa)와 접촉되어 조작 패턴, 즉, 모션을 인식하도록 상기 도어 핸들(112a)의 구속 단부에 인접하여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접촉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는,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는, 등록 카드 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에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등록 번호 정보, 등록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을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방식(예: WIFI)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록킹부(160)는,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구성이다. 이에 관하여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기능 관련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센서부(121), 상기 제 2 센서부(122), 및 상기 제 3 센서부(123)에서 인식되는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공유하고, 상기 제 1 센서부(121)에서 인식되는 지문 정보 값 및 상기 제 2 센서부(122)에서 인식되는 모션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의 등록 지문 정보 및 등록 모션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록킹부(160)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3 센서부(123)에서 인식되는 번호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의 등록 번호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를 묻기 위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4 센서부(124)에서 인식되는 카드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의 등록 카드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록킹부(160)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션 입력부(112)에 입력되어 상기 1 센서부(121)에서 인식되는 지문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의 등록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면, 상기 도어 핸들(112a)에 의한 모션 입력이 가능하게 상기 도어 핸들(112a)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핸들(112a)은 연동되어 그 동작을 록킹하는 록킹 수단(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도어의 개방 시 1 단계로 지문을 입력하여 확인하고, 2 단계로 모션을 입력하여 확인함으로써 잠금 해제를 통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력부(210), 센서부(220), 제어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 통신부(250), 및 록킹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입력부(211), 및 사용자가 번호 입력, 모션 입력, 도어 잠금 승인 또는 불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입력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문 입력부(211)는, 스마트폰 등에 구비되는 지문 입력 수단일 수 있고, 상기 버튼 입력부(212)는 스마트폰 등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입력판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220)는, 상기 지문 입력부(211)에 입력되는 지문을 인식하는 제 1 센서부(221), 및 상기 버튼 입력부(212)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제 2 센서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문 입력부(211)와 상기 제 1 센서부(221)의 구성은 기존의 공지된 지문 인식 기술일 수 있고, 상기 버튼 입력부(212)와 상기 제 2 센서부(222)의 구성은 기존의 공지된 스마트폰 등의 터치 방식의 입력 기술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40)는,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상기 통신부(250)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40) 등록 정보를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50)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와 무선 통신 방식(예: WIFI)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출력부(260)는, 상기 입력부(210)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260)는, 스마트폰 등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 1 센서부(221) 및 상기 제 2 센서부(222)에서 인식되는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와 공유하고,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로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다.
사용자는 도어 잠금 비밀 정보, 즉,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 3 자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번호 입력부(113)에 등록 번호 정보와 일치하는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제어부(130)로부터 잠금 해제 승인 여부를 묻기 위한 정보 신호를 송신한 후,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상기 출력부(260)를 통해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버튼 입력부(212)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를 입력(예: 승인)하면,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로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록킹부(160)를 제어(예: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는 사용자가 불승인 지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경고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등록 세팅 방법(S10)을 간략히 설명한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등록 세팅 방법(S10)은, 지문 설정 단계(S11), 모션 설정 단계(S12), 비밀번호 설정 단계(S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설정 단계(S11)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지문 입력부(111)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기 지문 입력부(211)를 이용하여 등록 지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문 설정 단계(S11)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커버를 열어 셋업 버튼(미도시)을 누르면서 상기 카드 입력부(114)에 고유의 NFC 등록 카드를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승인이 입력되어 등록 정보 입력 상태가 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지문 입력부(111)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기 지문 입력부(211)를 이용하여 등록 지문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설정 단계(S12)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모션 입력부(112)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기 버튼 입력부(212)를 이용하여 등록 모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션 설정 단계(S12)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커버를 열어 셋업 버튼(미도시)을 누르면서 상기 카드 입력부(114)에 고유의 NFC 등록 카드를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승인이 입력되어 등록 정보 입력 상태가 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모션 입력부(112)(예를 들어, 상기 도어 핸들(112a)를 동작 하는 방식으로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기 버튼 입력부(212)(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260)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패턴 이미지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입력)를 이용하여 등록 모션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밀번호 설정 단계(S13)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번호 입력부(113)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기 버튼 입력부(212)를 이용하여 등록 번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문 설정 단계(S11)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커버를 열어 셋업 버튼(미도시)을 누르면서 상기 카드 입력부(114)에 고유의 NFC 등록 카드를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승인이 입력되어 등록 정보 입력 상태가 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번호 입력부(111)(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번호 입력판(113a)에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기 버튼 입력부(211)(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입력판으로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를 이용하여 등록 번호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설정 단계(S11), 상기 모션 설정 단계(S12), 및 상기 비밀번호 설정 단계(S13)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상호 간의 순서가 6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S20)을 간략히 설명한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잠금 해제 방법(S20)은, 지문 인식 단계(S21), 모션 인식 단계(S22), 및 록킹 해제 단계(S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 단계(S21)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지문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지문 정보를 입력하여 인식시키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 핸들(112a)을 파지하면서 상기 지문 입력부(211)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하고,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지문 정보 값을 등록 지문 정보와 비교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션 입력부(112)에 입력되어 상기 1 센서부(121)에서 인식되는 지문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의 등록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면, 손으로 파지한 상기 도어 핸들(112a)에 의한 모션 입력이 가능하게 상기 도어 핸들(112a)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인식 단계(S22)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모션 입력부(112)를 이용하여 모션 정보를 입력하여 인식시키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 핸들(112a)을 조이스틱을 움직이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특정 패턴으로 조작(예: 위로 두 번, 좌로 한 번, 우로 한 번 움직이는 방식으로 조작)하여 모션을 입력하고,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모션 정보 값을 등록 모션 정보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록킹 해제 단계(S23)는,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1 센서부(121)에서 인식되는 지문 정보 값 및 상기 제 2 센서부(122)에서 인식되는 모션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의 등록 지문 정보 및 등록 모션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록킹부(160)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이다.(이 경우,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정보라도 불일치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비상 시 도어 잠금 해제 방법(S30)을 간략히 설명한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 시 도어 잠금 해제 방법(S30)은, 비밀번호 인식 단계(S31) 및 록킹 해제 승인 단계(S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 인식 단계(S31)는, 제3자(등록 지문 정보의 오작동하는 경우의 사용자 또는 등록 모션 정보를 잊은 사용자일 수 있음)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상기 번호 입력부(113)를 이용하여 번호 정보를 입력하여 인식시키는 단계이다. 제3자는 디지털 번호 입력판(113a)을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하고,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번호 정보 값을 등록 번호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잠금 해제 승인 여부를 묻기 위한 정보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록킹 해제 승인 단계(S20)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기 버튼 입력부(212)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해제 승인에 관한 지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로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록킹부(160)를 잠금 해제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는 제3자가 입력한 번호 정보 값이 등록 번호 정보와 일치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불승인 지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경고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보다 편리한 지문 인식 구조와 도어 핸들을 이용한 새로운 모션 인식 구조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어 잠금 기술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디지털 도어록 장치
110: 입력부
111: 지문 입력부
111a: 지문 입력기
112: 모션 입력부
112a: 도어 핸들
112aa: 접촉부
113: 번호 입력부
113a: 디지털 번호 입력판
114: 카드 입력부
120: 센서부
121: 제 1 센서부
122: 제 2 센서부
122a: 접촉 센서
123: 제 3 센서부
124: 제 4 센서부
130: 제어부
140: 데이터베이스부
150: 통신부
160: 록킹부
200: 사용자 단말기
210: 입력부
211: 지문 입력부
212: 버튼 입력부
220: 센서부
221: 제 1 센서부
222: 제 2 센서부
230: 제어부
240: 데이터베이스부
250: 통신부
260: 출력부

Claims (7)

  1. 케이스;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입력부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동작 패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지문 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인식하는 제 1 센서부와, 상기 모션 입력부에 입력되는 모션을 인식하는 제 2 센서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등록 지문 정보와 등록 모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록킹부; 및,
    상기 제 1 센서부와 상기 제 2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등록 지문 정보와 등록 모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지문 정보 값 및 상기 제 2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모션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등록 지문 정보 및 등록 모션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록킹부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모션 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하좌우로 회전 이동 가능한 도어 핸들이고,
    상기 지문 입력부는,
    상기 손잡이의 자유 단부면에 구비되는 지문 입력기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도어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지문 입력기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하면 상기 제 1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지문 정보 값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등록 지문 정보와 비교되며, 비교값이 상호 일치할 때 파지한 손으로 상기 도어 핸들에 의한 모션 입력이 가능하여 상기 도어 핸들을 특정 패턴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모션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번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번호 입력부에 입력되는 번호를 인식하는 제 3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등록 번호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부, 상기 제 2 센서부, 및 상기 제 3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하고, 상기 제 3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번호 정보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등록 번호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를 묻기 위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카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카드 입력부에 입력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4 센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등록 카드 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카드 정보 값을 등록 카드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록킹부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은,
    구속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서부는,
    상기 록킹부에 인접 설치되는 복수개의 접촉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입력부, 및 사용자가 번호 입력, 모션 입력, 도어 잠금 승인 또는 불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지문 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인식하는 제 1 센서부, 및 상기 버튼 입력부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제 2 센서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
    상기 입력부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센서부 및 상기 제 2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등록 지문 정보, 등록 모션 정보, 및 등록 번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와 공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 도어 잠금 해제 승인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20200167151A 2020-12-03 2020-12-03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234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151A KR102348441B1 (ko) 2020-12-03 2020-12-03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151A KR102348441B1 (ko) 2020-12-03 2020-12-03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441B1 true KR102348441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151A KR102348441B1 (ko) 2020-12-03 2020-12-03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4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937A (ko)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케이. 디. 티 디지털 도어록장치 및 제어방법
US20110088436A1 (en) * 2008-08-29 2011-04-21 Paolo Cioni Safety closure device for drawers and doors
KR20160128644A (ko) *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휴로 디지털도어락 원격제어장치
KR101852599B1 (ko) * 2017-04-07 2018-04-27 이광재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3884A (ko)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우성하이테크 기능성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084413A (ja) * 2018-11-15 2020-06-04 株式会社東芝 施解錠装置及び施解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937A (ko)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케이. 디. 티 디지털 도어록장치 및 제어방법
US20110088436A1 (en) * 2008-08-29 2011-04-21 Paolo Cioni Safety closure device for drawers and doors
KR20160128644A (ko) *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휴로 디지털도어락 원격제어장치
KR101852599B1 (ko) * 2017-04-07 2018-04-27 이광재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3884A (ko)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우성하이테크 기능성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084413A (ja) * 2018-11-15 2020-06-04 株式会社東芝 施解錠装置及び施解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2733B2 (en) System and method of enrolling users of a wireless biometric lockset
TWI737708B (zh) 用於搭配一電子鎖具使用之輔助驗證輸入裝置、鎖具、及安裝或操作用於搭配一電子鎖具使用之一輔助驗證輸入裝置之方法
KR101954449B1 (ko) 스마트 도어락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602483B1 (ko) 서버와 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시스템 및 방법
CN115604707A (zh) 自然语言用户界面
CN105389874A (zh) 一种用于智能锁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05158495U (zh) 一种用于智能锁的控制系统
JP2007191993A (ja) 解錠条件設定式のロック・アンロックシステム及び該提供方法
KR20180074434A (ko) 홍채인식을 이용한 감성도어락 제어방법
KR102348441B1 (ko)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020081168A (ko) 전자식 도어록
KR201700244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0800050B1 (ko)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설정/해제 시스템
JP2019002269A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20200048466A (ko) 도어락 장치
KR20040025004A (ko) 지문이 조합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DE202006006859U1 (de) Authentifizierungsvorrichtung und -system
KR20130021240A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KR200315859Y1 (ko)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20170094811A (ko) 도어락 제어 장치
KR100662701B1 (ko) 해제조건 설정식 잠금/해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2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825

Effective date: 202111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