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859Y1 -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859Y1
KR200315859Y1 KR20-2003-0008736U KR20030008736U KR200315859Y1 KR 200315859 Y1 KR200315859 Y1 KR 200315859Y1 KR 20030008736 U KR20030008736 U KR 20030008736U KR 200315859 Y1 KR200315859 Y1 KR 200315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management computer
information
central management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문
Original Assignee
황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문 filed Critical 황재문
Priority to KR20-2003-0008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숙사등에서 출입통제 및 관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에 관련되는 것이며, 기존의 기숙사등에서 각 호실의 사용자가 바뀌게 됨에 따라 열쇠나 출입카드등이 반환되지 않아 새롭게 교체하거나 복사로 인해 도난사고등이 빈발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한 시스템이며, 특히 출입이 허가된 사람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진 중앙관리컴퓨터(100)와; 건물의 메인출입구에 설치되며 지문입력판(203)과 키패드(205)가 구비되고 LAN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리컴퓨터와 연결되어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메인출입관리기(200)와; 각 호실의 출입구에 형성되며 지문입력판(401) 및 키패드(402)가 구비되고 메모리에는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가 기억되고 중앙관리컴퓨터와 연결되는 각층의 중계기(300)와 LAN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와 지문입력부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구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고, 출입가능자의 변경시에는 중앙관리컴퓨터로부터 LAN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도록 하는 보조출입관리기(400);로 구성되는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통제 관리시스템{system of control coming and going}
본 고안은 기숙사와 같은 건물에 출입하는 사람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여 분실사고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변경에 따른 기존 시스템의 변경없이 사감실과 같은 중앙통제실에서 변경된 정보를 삭제 및 입력하는 것으로 유지/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에 관련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중앙관리컴퓨터를 두고 건물의 메인출입구와 각 호실 마다의 출입구에 출입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두어 상기 중앙관리컴퓨터와 유/무선 LAN으로 연결하여 출입이 허용된 자인 경우에는 출입구가 열리게 하고 출입허가가 되지않은 자인 경우에는 출입이 통제되도록 한다.
일반적인 기숙사의 경우 사감실이 갖추어져 출입하는 자의 신분을 확인하며 각 호실마다의 거주자는 개인별로 열쇠를 가지고 다니도록 한다. 이러한 기숙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사용하므로 사감실에서 모든 출입자를 확인할 수 없으며, 각 호실의 거주자가 바뀌거나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게 되면 해당 호실의 열쇠를 복사해 주거나 새롭게 열쇠뭉치를 교체하고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점은 기존 거주자가 기숙사를 나가면서 사용하던 열쇠를 반납하지 않기도 하고 반납시 열쇠를 복사하여 소지하므로 항상 도난사고의 우려를 안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최근의 현대식 기숙사의 경우에는 RF CARD를 이용하여 기존의 보안관리 회사에 의뢰하여 출입 통제관리를 하고 있으나, 이 또한 분실등의 문제로 계속적인 유지관리비가 소요되고 타인의 도용으로 인한 도난사고의 위험성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열쇠나 RF CARD를 이용한 기숙사 출입시스템에서는 사용자들이 잠깐 외출을 하거나 옆방에 들르는 경우 혹은 급하게 화장실에 갈 경우등 출입문을 잠그지 않은 채 외출을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와 같이 문을 잠그지 않은채 잠시 방을 비우는 경우 뜻하지 않은 도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고, 열쇠나 RF CARD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입문이 잠겨버리면 열쇠수리공이나 보안회사를 불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감실과 같은 장소에 중앙관리컴퓨터를 두며 여기에는 기숙사에 출입이 가능한 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시키고, 또한 각 호실마다의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도 데이터화 하여 출입이 허가되지 않은 자의 무단출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한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 보조출입관리기의 정면도(a)와 측면도(b).
도 3 - 보조출입관리기의 내부 구성도.
도 4 - 메인출입관리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 - 메인출입관리기의 내부 구성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중앙관리컴퓨터 110 : 지문등록장치
200 : 메인출입관리기 210 : 지문입력부
220 : 특징추출/제어부 230 : 통신부
240 : 잠금장치제어부 300 : 중계기
400 : 보조출입관리기 410 : 지문입력부
420 : 제어/비교판단부 430 : 메모리
440 : 통신부 450 : 잠금장치제어부
460 : 잠금장치기계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출입이 허가된 사람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진 중앙관리컴퓨터와; 건물의 메인출입구에 설치되며 지문입력판과 키패드가 구비되고 LAN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리컴퓨터와 연결되어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메인출입관리기와; 각 호실의 출입구에 형성되며 지문입력판 및 키패드가 구비되고 메모리에는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가 기억되고 중앙관리컴퓨터와 연결되는 각층의 중계기와 LAN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와 지문입력부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구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고, 출입가능자의 변경시에는 중앙관리컴퓨터로부터 LAN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도록 하는 보조출입관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요지로 하는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관리컴퓨터에서 메인출입구뿐 아니라 각 층의 많은 개개의 호실에 대한 출입자의 통제가 가능하고 출입하는 모든 사용자의 출입시간등이 데이타로 저장되므로 도난사고등이 발생하더라도 사후적으로 면밀한 조사가 가능하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로 부터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교 기숙사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사감실이 중앙통제실로서 중앙관리컴퓨터(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층에는 다수의 방들이 존재하고 건물 외부로 부터 내부로의 출입구는 한곳이 존재한다.
중앙관리컴퓨터(100)에는 관리프로그램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후술할 메인출입관리기(400)와 보조출입관리기(20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메인출입관리기와 보조출입관리기에서 출입자가자신의 지문을 입력하거나 출입하고자 하는 호실번호와 비밀번호를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이렇게 입력되는 정보와 중앙관리컴퓨터에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거나 보조출입관리기의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가 일치하게되면 출입구가 열리도록 한다.
한편, 중앙관리컴퓨터(100)는 지문등록장치(110)와 연결되어져 있으며 신규로 출입허가자의 지문을 등록할 시에 사감실에서 상기 지문등록장치로 지문을 채취하여 필요한 특정정보를 중앙관리컴퓨터로 드랍다운 방식으로 입력시킨다.
지문등록 후 중앙관리컴퓨터로 입력된 지문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관리프로그램으로 재입력된다. 즉, 지문의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출입가능한 호실이나 출입 가능한 구역을 관리프로그램으로 배정시켜 데이터베이스화 시키게 된다. 또는 각 호실번호와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관리프로그램에 개개인의 출입가능 호실 또는 출입가능구역에 대한 정보를 배정토록 하면된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화된 특정 정보는 해당호실의 보조출입관리기(400)로 전송된다. 각 층마다에는 중계기(300)가 설치되며 중앙관리컴퓨터(100)와 연결되고 각 호실마다에 설치되는 보조출입관리기(400)들은 유/무선 랜(LAN)으로 연결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관리자가 중앙관리컴퓨터(100)를 이용하여 지문이나 비밀번호에 관련된 특정 정보를 해당호실로 전송하면 보조출입관리기(400)에 구비되는 통신부(440)를 거쳐 제어 및 비교판단부(42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 및 비교판단부(420)에서는 보조출입관리기(400)의 메모리(430)에 기 저장된 정보들을 지우고 새롭게 전송되는 정보들을 입력시키게 된다. 신규 출입허가자의 추가뿐 아니라 기존 출입자들의 비밀번호 변경시나 호실변경등의 여러가지 사정변경시에도 사감실에서 한 사람의 관리자에 의해 변경 또는 추가되는 모든 정보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게된다.
건물의 주 출입구에 설치되는 메인출입관리기(200)의 경우에는 상기 보조출입관리기와 달리 변경되는 비밀번호등의 정보가 메인출입관리기로 전송되지는 않도록 한다. 다시말해서, 주 출입구로는 기숙사의 거주자뿐 아니라 불특정다수인이 항상 출입할 수 있으므로 출입허가자에 관한 정보를 기억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메인출입관리기(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지문이나 비밀번호는 중앙관리컴퓨터(100)로 전송되며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와 지문이나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후 주 출입구의 개폐여부가 결정된다. 즉, 중앙관리컴퓨터(100)에 등록되지 않은 자인 경우에는 출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출입허가자 외의 사람이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터폰을 통하여 사감실의 관리자와 통화 후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출입관리기(400)와 메인출입관리기(200)에 입력되는 지문정보 및 비밀번호에 관한 정보는 중앙관리컴퓨터(100)에 시간대별로 모두 기억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만약에 발생될 수 있는 도난사고시에도 건물 및 각 호실의 출입자를 바로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게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보조출입관리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되는 도2는 상기 보조출입관리기의 정면도(a)와 측면도(b)를 도시하며, 도3은 보조출입관리기의 내부구성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보조출입관리기(400)의 정면에는 기본적으로 지문입력판(401)과 키패드(402)가 구비된다. 그리고 인증상태표시부(403), 지문입력스위치(404), 스피커(405), 개폐손잡이(406) 그리고 외부전원입력부(408)를 갖추게 된다. 보조출입관리기(400)의 내부 구성을 보면, 지문입력부(410), 제어/비교판단부(420), 메모리(430), 통신부(440), 잠금장치제어부(450) 및 잠금장치기계부(460)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출입관리기(400)의 측면에는 유선통신부(40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출입관리기(400)는 랜(LAN)을 이용한 유.무선통신부로서 각층의 중계기(300)를 통하여 중앙관리컴퓨터(100)와 연결된다.
상기 보조출입관리기(400)의 내부구성 각부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지문입력부(410)는 지문입력판(401)으로부터 지문정보가 입력되는 부위이고, 제어/비교판단부(420)는 비밀번호나 지문영상을 분석하고 메모리(430)에 저장된 내용들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결정하는 CPU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430)는 비밀번호나 출입가능자의 지문에 관한 특징정보를 저장하는 플래시메모리이고, 통신부(440)는 각 층에 설치되는 중계기(300)와 유/무선의 형태로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또한, 잠금장치제어부(450)는 상기 제어/비교판단부(420)에서 비교된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기계부(460)를 제어하는 부분이고 잠금장치기계부(460)는 출입문의 물리적인 개폐를 담당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출입관리기(400)의 작동관계를 보면, 각 호실에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지문입력스위치(404)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비교판단부(420)는 현재 설정된 출입인증 방식을 메모리(430)에서 읽어오고그 인증방식에 따라 인증상태표시부(403)에 지문인증 또는 비밀번호인증인지를 표시하게 된다. 비밀번호인증의 경우 키패드(402)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호실의 비밀번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제어/비교판단부에서 비교해 일치할 경우 통신부(440)를 통해 해당 호실의 출입을 중계기(300)를 거쳐 중앙관리컴퓨터(100)에 알리고 잠금장치 제어부(450)를 거쳐 잠금장치 기계부(460)에 의해 출입문이 열리게 된다.
한편, 지문인증의 경우에는 지문입력판(401)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게 되면 지문입력부(410)를 통해 지문이 입력되고, 제어/비교판단부(420)는 입력받은 지문을 분석해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메모리(430)에 저장된 지문정보들과 비교한 뒤 일치할 경우 통신부(44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출입을 중계기(300)를 통하여 중앙관리컴퓨터(100)에 알리고 잠금장치제어부를 거쳐 잠금장치기계부를 통해 출입문이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출입관리기(400)에는 스피커(405)가 설치되며 출입인증이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에 상기 스피커(405)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중앙관리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는 메모리에 기억되며 특정 사용자가 출입하는 경우에만 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문인증이나 비밀번호인증으로 출입이 허가되는 경우에는 출입시간 및 출입허가된 자의 신상정보가 중앙관리컴퓨터(100)에 데이터베이스화 된다. 이뿐만 아니라, 출입불허가자가 출입하고자 지문을 입력시키거나 잘못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입력된 지문정보는 중앙관리컴퓨터에 기억되며 출입하고자 시도한 시간이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출입관리기의 전면 하측에는 외부전원입력부(408)가 갖추어져 배터리가 소진되어 작동치 않을 경우 외부에서 상기 외부전원입력부를 통하여 전원을 제공하여 해당호실의 문을 열수 있도록 한다. 즉, 보조출입관리기에 장착되는 배터리는 안전상 출입문의 내부에서 교체가 가능한 바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외부전원입력부(408)를 두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서는, 메인출입관리기(200)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4는 메인출입관리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와 배면도를 도시하며, 도5는 상기 메인출입관리기의 내부구성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출입관리기(200)는 그 정면에 인증상태표시부(201), 액정표시장치(202), 지문입력판(203), 지문입력스위치(204), 키패드(205), 인터폰버튼(206), 마이크(207), 스피커(208) 그리고 외부전원입력부(209a)를 구비하게 되며, 그 뒷면에는 유선통신부(209)가 갖추어진다. 상기 메인출입관리기(200)의 내부 구성으로는 지문입력부(210), 특징추출/제어부(220), 통신부(230), 잠금장치제어부(240)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출입관리기(200) 또한 랜(LAN)을 이용한 유/무선통신부가 장착되어 중앙관리컴퓨터(100)와 연결된다. 내부구성으로서의 지문입력부(210)는 지문입력판(203)을 통하여 접촉되는 지문이 입력되는 부분이며특징추출/제어부(220)는 입력되는 비밀번호나 지문영상을 분석하고 지문의 경우 지문의 생체 특징을 추출해내어 특정화된 암호로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된다. 통신부(230)는 중앙관리컴퓨터(100)와 유/무선의 형태로 통신을 수행하며 잠금장치제어부(240)에서는 중앙관리컴퓨터(100)에서 전송된 비교 결과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잠금장치제어부(240)로부터 나오는 개폐여부 신호에 따라 메인출입구에 설치되는 잠금장치기계부가 작동하여 메인출입구는 열리게 된다.
이어서는, 상기 메인출입관리기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건물내부로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지문입력을 위해 지문입력스위치(204)를 누른다. 이때 특징추출/제어부(220)에서 중앙관리컴퓨터(100)로 건물 출입인증 방법에 대한 내용을 통신부(230)를 통해 중앙관리컴퓨터(100)에 요구하고 그에 따라 인증상태표시부(201)에 지문인증 혹은 비밀번호인증을 표시하게된다.
비밀번호인증의 경우 키패드를 통해 출입할 호실의 번호와 해당 호실의 비밀번호를 함께 연속적으로 입력하고 특징추출/제어부(220)에서는 입력된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여 통신부(230)를 통해 중앙관리컴퓨터로 전송시킨다. 중앙관리컴퓨터(100)에서는 호실 출입을 위한 호실 번호와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통신부(230)를 통하여 특징추출/제어부(220)로 전송하게된다.
상기 특징추출/제어부(220)는 그 전송된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제어부(240)로 개폐신호를 출력하게된다.
그리고 지문인증의 경우 지문입력판(203)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므로서 지문입력부(210)로 지문이 입력되고 특징추출/제어부(220)에서는 입력된 지문을 분석해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그 정보를 암호화하여 통신부(230)를 통하여 중앙관리컴퓨터(1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중앙관리컴퓨터(100)에서는 등록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장치의 통신부(230)를 통해 특징추출/제어부(220)로 전송한다. 특징추출/제어부(220)는 그 전송된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제어부(240)로 개폐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출입허가자가 아닐 경우에는 인터폰버튼(206)을 눌러 마이커(207)와 스피커(208)를 통해 중앙관리컴퓨터(100)가 설치된 사감실과 통화하여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서 메인출입구의 개폐여부를 메인출입관리기에 전송하므로서 출입이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메인출입관리기에서는 출입허가자 및 출입불허가자에 대한 지문입력정보 및 출입시간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리컴퓨터로 전송하여 이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시키게 된다. 또한, 보조출입관리기의 경우와 같이 메인출입관리기에도 외부전원입력부가 형성되어 배터리가 방전되었을때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메인출입관리기의 작동이 가능토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하게 되면, 기숙사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구역에 대한 출입통제가 보다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출입허가자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관리자가 상주하는 중앙관리컴퓨터를 통하여 간편하게 그 변동사항을 삭제/변경할 수 있어 기존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신속하고 간편한 출입통제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건물내부로 출입하는자에 대한 신상정보와 출입시간대가 데이터베이스화 되므로서 도난사고 등의 경우에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출입자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진 중앙관리컴퓨터(100)와;
    건물의 메인출입구에 설치되며 지문입력판(203)과 키패드(205)가 구비되고 LAN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리컴퓨터(100)와 연결되어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메인출입관리기(200)와;
    각 호실의 출입구에 형성되며 지문입력판(401) 및 키패드(402)가 구비되고 메모리(430)에는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가 기억되고 중앙관리컴퓨터와 연결되는 각층의 중계기(300)와 LAN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430)에 기억된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와 지문입력판이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구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고, 출입가능자의 변경시에는 중앙관리컴퓨터(100)로부터 LAN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출입가능자에 대한 정보가 상기 메모리(430)에 기억되도록 하는 보조출입관리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출입관리기(400)에는,
    중앙관리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세지가 메모리(430)에 기억되어 출입가능자가 입실하고자 할때 스피커(208)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메세지가 음성으로 통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컴퓨터(100)는,
    지문등록장치(110)가 구비되어 각 호실의 출입가능자가 변동될 시에 새로운 출입가능자의 지문을 채취하여 중앙관리컴퓨터에 드랍다운(drop down)방식으로 저장 또는 변경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KR20-2003-0008736U 2003-03-24 2003-03-24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KR200315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36U KR200315859Y1 (ko) 2003-03-24 2003-03-24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36U KR200315859Y1 (ko) 2003-03-24 2003-03-24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859Y1 true KR200315859Y1 (ko) 2003-06-11

Family

ID=4940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36U KR200315859Y1 (ko) 2003-03-24 2003-03-24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85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89B1 (ko) * 2008-09-30 2011-02-14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KR101076939B1 (ko) * 2004-01-27 201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US8295843B2 (en) 2006-07-21 2012-10-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ata congestion and applying a cell reselection offset
KR20190018962A (ko) * 2017-08-16 2019-02-26 김남일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939B1 (ko) * 2004-01-27 201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US8295843B2 (en) 2006-07-21 2012-10-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ata congestion and applying a cell reselection offset
KR101013589B1 (ko) * 2008-09-30 2011-02-14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KR20190018962A (ko) * 2017-08-16 2019-02-26 김남일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70706B1 (ko) * 2017-08-16 2019-04-19 김남일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148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602483B1 (ko) 서버와 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시스템 및 방법
KR101396411B1 (ko) 핀과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678177A (zh) 安全性增强门锁及利用该门锁的进出门安全管理系统
CN112714928A (zh) 受理终端机
KR200315859Y1 (ko)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JP2020201665A (ja)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設利用管理方法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4068741A1 (en) Multiple dwelling house interphone system
KR20020011666A (ko)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4618A (ko) 이동통신망의 m2m기반에서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의한 현관카메라 및 도어락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N114202843A (zh) 一种门禁控制系统、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3953260B2 (ja) 建物の警備装置
JPH09102038A (ja) 指紋登録方法及び指紋照合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2000186444A (ja) 指紋照合装置
JP6744286B2 (ja) 安全支援装置
WO202313564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206872189U (zh) 一种楼层控制装置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KR102348441B1 (ko)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7323897B1 (ja) 集合住宅の管理装置、出入管理方法、および出入管理プログラム
JPH11200684A (ja) 扉錠前操作システム
JP3629829B2 (ja) カードリーダ鍵管理システム
JP2001140518A (ja) 通行制御装置
JP4542412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