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416B1 -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416B1
KR101938416B1 KR1020170053975A KR20170053975A KR101938416B1 KR 101938416 B1 KR101938416 B1 KR 101938416B1 KR 1020170053975 A KR1020170053975 A KR 1020170053975A KR 20170053975 A KR20170053975 A KR 20170053975A KR 101938416 B1 KR101938416 B1 KR 10193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oor
transparent display
order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035A (ko
Inventor
조홍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빔인터랙티브
조홍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빔인터랙티브, 조홍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빔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17005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41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손님이 매장을 방문하였을 때 계산대 직원이나 서빙하는 직원이 없더라도 스스로 음식을 주문하고 이를 안전하게 받아 갈 수 있도록 구축된 셀프 서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SELF-ORDERING SERVING SYSTEM}
본 발명은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손님이 매장을 방문하였을 때 계산대 직원이나 서빙하는 직원이 없더라도 스스로 음식을 주문하고 이를 안전하게 받아 갈 수 있도록 구축된 셀프 서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는, 손님이 들어와 자리를 잡고 앉은 상태에서 종업원이 메뉴판을 제공하게 되면, 손님은 메뉴판의 특정 음식을 선택하고 종업원에게 특정 음식을 주문하는 것이다.
이때 종업원은 손님이 주문한 음식을 주문표에 적어 주방이나 카운터에 안내하고, 해당 음식에 대한 가격 및 주문한 음식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청구서을 손님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리실에서 해당 음식물의 요리를 완료하게 되면, 종업원들이 지정된 고객에게 요리된 음식물을 서빙하고, 이후 고객이 식사를 완료하게 되면 청구서에 기재된 정보에 따라 계산을 완료하고 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되는 음식점은, 결제를 위한 카운터의 직원과 주문을 받기 위한 직원 또는 주문한 음식을 고객에게 서빙하기 위한 직원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인건비 지출이 요구되고,
특히 외국의 경우에는 고객이 음식을 주문하고 이를 서빙받을 때, 해당 종업원에게 소정의 팁을 지불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음식점의 입장에서는 가능한 낮은 인건비로 음식점을 운영하길 원하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팁을 지불할 필요없이 가능한 저렴한 비용으로 식사하길 원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고속도로 휴게소처럼 카운터에서 주문 및 결제를 완료한 후 번호표를 발급받고, 이 번호판를 토대로 자신의 전광판에 주문번호가 뜨면 해당 음식물을 고객이 직접 받아가는 시스템 및 방법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 및 방법은 여전히 주문 및 결제를 위한 직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많은 손님이 몰려 온 경우에는 앞번호 고객의 음식과 뒷번호 고객의 음식이 서로 바뀌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중간에 음식물을 제공할 때 직접 요리사가 고객의 번호표를 확인하고 해당 번호표의 맞게 주문된 음식물을 손님에게 제공하여야 하였던 것이다.
KR 10-2009-0001548 A KR 10-0801282 B1 KR 10-1448101 B1
이에 본 발명에서는, 주문에서부터 서빙까지 모두 자동화하여 부스에 직원이 없더라도 손님 스스로 음식을 주문하고 이를 안전하게 안내받아 먹을 수 있도록 구축된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음식 메뉴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 때 해당 음식을 주문하고 이의 음식값을 결제하기 위한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
상기 주문결제 키오스크에 의해 발행된 도어락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주문영수증(20);
벽면에 음식물이 출납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각각의 출입구에는 오픈/클로즈되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를 설치한 서빙대(30);
상기 주문영수증에 형성된 도어락 코드를 읽어들여 판독하는 인식기(40);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와, 서빙대와, 인식기와 연결되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러가 고객이 주문결제 키오스크를 통해 발급된 주문영수증의 도어락 코드를 인식기에 의해 읽혀지게 되면 상기 서빙대의 해당 투명 디스플레이 도어를 컨트롤하여 개방된 출입구를 통해 주문한 음식물을 고객 스스로 가지고 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객이 주문결제 키오스크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음식물을 주문하고, 이때 발급된 주문영수증의 도어락 코드를 인식기가 읽어들이게 되면 서빙대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가 오픈되면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해 주문한 음식물을 받을 수 있는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고객이 스스로 주문하고 자신이 직접 주문한 음식물을 받아갈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이 구축된 부스를 지허철이나 길가에 설치하고 야간에 영업할지라도 부스의 요리공간 안쪽에 위치한 요리사와 부스 밖에 위치한 손님이 서로 마주할 일이 없기 때문에 악의를 가진 손님이나 강도로부터 안전하게 음식점을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는 음식물이 있을 경우 출입구 내측에 존재하는 음식물이 뷰잉되지만, 내측에 음식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특정 광고가 재생되면서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아 구매 심리를 자극하는 한편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도어를 통해 별도의 광고수익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과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부스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큐브의 작동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이 광고서버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내용 부스에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벽면이 직립되어 내측에 요리공간(2)을 확보하고 있는 부스(1)를 설치하고,
상기 부스(1)의 벽면 외측에, 다수의 음식 메뉴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눌러 주문 및 결제를 완료하고 그 사실을 내측 요리공간(2)에 안내하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를 설치한다.
이때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는, 주문 결제 완료시 도어락 코드(Doorlock Code)가 인쇄된 주문영수증(20)을 발급하고,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50)와 연결되어, 주문 및 결제사실을 요리공간(2) 안쪽으로 안내한다.
이때의 요리공간(2)에는 스피커 또는 주문표 발급기를 설치하여 음성 또는 주문표 등으로 주문 결제 사실을 안내받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주방용 터치스크린(80)을 설치하여 주문 결제 사실을 확인하고 동시에 해당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었을 때 터치 입력 방식으로 음식물이 올려지는 출입구 번호를 지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주방용 터치스크린(80)과 연결된 컨트롤러(50)는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와 별도로 구축될 수 있지만,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 내측에 설치되거나 본체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부스(1)의 벽면에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 혹은 컨트롤러(50)와 연결되어 대기순서를 디스플레이하는 안내판(6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판(60)과 함께 음식물이 출납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5)를 형성하고, 각각의 출입구(5)에는 박스 형태의 큐브(31)와 회동하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설치하여 복수의 큐브(31)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다단 배열된 서빙대(3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서빙대(30) 혹은 출입구(5) 주변에는 주문영수증(20)의 도어락 코드(21)를 읽어들이는 인식기(40)를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객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음식을 주문하고, 이를 토대로 부스(1) 안쪽에서 주문한 음식이 완성되어 안내판을(60) 통해 호출받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50)는 인식기(40)를 통해 해당 고객의 주문영수증(20)의 도어락 코드를 읽어들여 오픈된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통해 고객 스스로 주문한 음식을 서빙해 갈 수 있게 됨에 따라,
음식점에서는 카운트 직원이나 서빙하는 직원을 고용할 필요가 없는 만큼 최소한의 비용으로 음식점을 운영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스스로 음식물을 주문하고 서빙해 가면서 별도의 팁을 지불할 필요가 없어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을 받아 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매장이나 관리센터에는 광고 영상 및 각각의 매장마다 할당된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광고서버(70)를 설치하고, 이를 각각의 매장에 설치된 컨트롤러(50) 또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각각의 컨트롤러(50)가 광고 영상을 전송받아 안내판(60) 또는 서빙대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 또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를 통해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도록 구축함으로써,
요리시간 동안 재생되는 광고 영상을 통해 고객의 구매 심리를 자극하는 한편, 이를 통해 각각 매장별로 별도의 광고수익을 기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철 상가나 매장에 부스(1)를 설치할 경우, 요리공간과 고객이 위치한 공간이 서로 분리 구획되어 있음에 따라, 요리공간 안쪽에 위치한 요리사와 부스 밖에 위치한 손님이 서로 마주할 일이 없어 야간이나 위험한 곳에서 영업을 할지라도 안전하게 음식점을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부스(1)는 하나 이상의 벽면을 직립시켜 내측에 요리공간(2)을 형성하고, 상기 부스(1)의 벽면에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가 설치되는 영역과, 상기 외벽을 관통하여 음식물이 출납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5)를 형성하여 큐브(31)가 설치되는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부스(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외측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테이블(3)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3)의 주변에 하나 이상의 의자(4)를 배치하여, 출입구(5) 개방시 노출된 음식물(6)을 고객들이 스스로 서빙해 가서 먹을 수 있도록 구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는 본체를 내장한 케이스 상단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에 터치패널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본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수의 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버튼 중 특정 버튼을 선택하였을 때 터치패널을 통해 주문된 음식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는 POS(Point Of Sales)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결제금액 및 대기번호 혹은 입력된 주문자의 이름과 도어락 코드(21)가 인쇄되어 있는 주문영수증(20)을 발행하고,
상기 컨트롤러(50)를 통해 주문 및 결제사실을 요리공간(2)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스크린(80)으로 안내한다. 이때의 컨트롤러(50)는 실시 예에 따라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의 본체일 수도 있다.
더불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는 관리센터의 광고서버(7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전송받은 광고 영상을 대기시간 동안 재생하고, 상기 부스(1)의 일측에 혹은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 주변에 적외선 센서나 감지센서(12)를 설치하여 대기시간 동안 광고영상을 재생하다가 고객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에 접근한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음식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주문영수증(20)은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의 발급기(11)에 의해 발급되는 도어락 코드(21)가 인쇄된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주문 결제시 키오스크(10)에 입력한 주문자의 이름이나, 대기번호 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주문영수증(20)은 실시 예에 따라 페이퍼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대기번호가 형성된 토큰이나 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도어락 코드(21)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오픈하기 위한 것으로, 바코드나 닷코드 혹은 큐알코드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락을 해제하기 위한 정보나 대기번호 등이 라이팅되어 있는 NFC 태그일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50)는 다수의 영상처리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 및 주방용 터치스크린(80)과 안내판(60)과 복수의 큐브(31)와 연결되어, 고객 스스로 음식을 주문하고 해당 음식물을 서빙해 갈 수 있도록 컨트롤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컨트롤러(50)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와 연결되어 특정버튼을 눌러 주문정보를 받게 되면, 요리공간(2) 안쪽에 설치된 주방용 터치스크린(80)으로 주문정보를 안내하는 한편 안내판(60)을 컨트롤하여 고객의 대기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50)는 주방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요리된 음식물이 놓여지는 출입구를 지정받게 되면, 이를 토대로 안내판을 컨트롤하여 해당 음식물을 주문한 고객의 이름이나 대기번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해당 음식물을 받아갈 고객을 호출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50)는 출입구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인식기(40)가 주문영수증(20)의 도어락 코드(21)를 읽어들이게 되면, 이를 토대로 음식을 주문한 사람의 이름이나 대기번호를 확인하고, 지정된 출입구(5)에 설치된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오픈하도록 컨트롤하는 것이다.
또한, 주방용 터치스크린(80)은 컨트롤러(50)와 연결되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의 주문정보를 전송받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장치로써, 실시 예에 따라 주문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피커나 주문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표를 발급하는 발급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주방용 터치스크린(80)은 주문정보를 받아들여 고객의 대기목록 및 대기순서를 확인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조리된 음식물이 놓여지는 서빙대의 각 출입구 번호와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안내판(60)은 서빙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주문자의 대기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써, 실시 예에 따라서는 컨트롤러(50)가 저장한 광고 영상이나 메뉴 음식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안내판(60)은 입력된 주문자의 이름이나 대기번호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요리가 완료되었을 경우 해당 고객을 호출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안내판(60)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로 분할된 화면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는 대기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어느 하나는 음식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어느 하나는 날씨나 시간 혹은 환율이나 주식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서빙대(30)는 부스(1)의 벽면에 하나 이상의 출입구(5)를 형성하고, 각각의 출입구(5)에 큐브(30)를 설치하여, 주문된 음식물(6)이 지정된 고객에게 서빙되어 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큐브(31)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을 통공시켜 안쪽에 내입공간(33)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와 후면도어(34)를 설치하여,
상기 후면도어(34) 오픈시 내입공간(33) 안쪽으로 주문된 음식물을 올려놓고, 전면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가 개방되면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한 음식물(6)을 해당 고객이 서빙해 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의 큐브(31)는 내입공간(33) 안쪽에 조명등(35) 및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내입공간(33) 안쪽에 음식물(6)이 위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조명등(35)이 온(On)되면서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통해 밖으로 빛이 조사되어 해당 큐브(31)에 음식물(6)이 유입되었다는 사실을 고객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큐브(31)는 실시 예에 따라 조명등(35) 온(On)되었을 때,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에 주문한 고객의 이름이나 대기번호가 디스플레이되면서 해당 고객이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통해 뷰잉(Vewing)되는 음식물(6)을 용이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큐브(31)는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한 음식물(6)이 개방된 출입구(5)를 통해 밖으로 나가게 되면서 바닥면 하단에 설치된 센서(예, 중량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등(35)을 오프(off)시켜 주고, 이때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움직여 출입구(5)를 닫아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는 센서가 음식물의 유입/유출 여부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슬라이드 방식으로 혹은 회동하는 방식으로 출입구(5)를 개방하여 주거나 닫아주는 것이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어락 코드 인식시 락이 해제되면서 고객 스스로 투명디스플레이 도어를 슬라이드방식으로 혹은 회동하는 방식으로 열고 닫으면서 음식물(6)을 가기고 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는 LCD 또는 OLED방식으로 동작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로써,
특히 대기동작 중에 있을 때에는 내입공간(33)이 보이지 않도록 히든(Hidden)시켜 주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광고서버로부터 다운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는 내입공간 안쪽에 음식물(6)이 위치되면 투명하게 변하면서 내입공간(33) 안쪽에 음식물(6)이 위치되어 있음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더불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는 실시 예에 따라 안내판(60)처럼 대기목록이나 음식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서버(70)는 광고영상을 비롯하여 각 매장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정보나 IP주소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서버로써, 각 매장의 컨트롤러 혹은 주문결제용 키오스크와 연결되어 스케줄러에 따라 지정된 시간에 특정 광고 영상이 재생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때의 광고서버(70)는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날씨 시간 환율, 주식 등의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으며, 운영서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매장의 주문/매출 기록 등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인식기(40)는 주문영수증에 인쇄되어 있는 도어락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것으로, 주문영수증의 형태에 따라 바코드 리더기나 광학 인식기 혹은 카메라이거나 NFC리더기 등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식기(40)는 각각의 큐브마다 설치되어 투명디스플레이 도어를 개방하여 줄 수 있지만, 부스일측에 하나의 인식기만 설치하고 컨트롤러의 판독결과에 따라 각각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를 개방하여 줄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식물이 내입공간 안쪽으로 들어와 투명디스플레이 도어를 통해 밖으로 서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큐브(31)는 내입공간(33)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열고 닫혀지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와 후면도어(34)를 설치한다.
이때의 후면도어(34)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회동하는 방식으로 내입공간(33)의 후단을 개방하여 주거나 닫아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후면도어(34)는 외측에 손잡이(34b)를 형성하는 한편, 내측 상부에 걸릴턱(34a)을 형성하여, 상기 후면도어가(34)가 일정각도 이상 내입공간(33) 안쪽으로 내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한 음식물(6)이 회동하는 후면도어(34)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혹은 회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간효율을 최대화하면서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한 음식물(6)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Fully Recessed Counterweight 방식으로 도어를 오픈(Open)하거나 닫아(Close)준다.
즉, 출입구 주변의 내입공간(33) 측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대(36)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대(36)에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의 하부 롤러(32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장착된 제1가이드 레일(36a)을 설치하고,
상기 내입공간(33)의 상단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안착대(37)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대(37)에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의 상부 롤러(32b)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장착된 제2가이드 레일(37a)을 설치하여,
내입공간(33) 상부에 매달려 기립되어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가 모터(38) 구동시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의 외측이 내입공간(33) 상단과 가까워지게 되면서 출입구를 개방하여 주거나 혹은 닫아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의 하부 롤러(32a)가 이동하는 제1가이드 레일(36a)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하부롤러(32a)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제1리미트 스위치(36b)가 설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레일(37a)의 선단 또는 후단에는 상부롤러(32b)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리미트 스위치(37b)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평상시 주문결제용 키오스(10)가 광고서버(70)를 통해 광고영상을 전송받고, 스케줄러에 의해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 혹은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 혹은 안내판(60)가 전송받은 광고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고객이 부스(1)를 방문하여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 앞에 서게 되면, 터치입력시 혹은 근접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대기상태에 있던 주문결제용 키오스크가 활성화되면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고객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고 관련금액을 결제하게 되면 포스 시스템에 의해 주문 및 결제 사실이 기록되고,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는 실시 예에 따라 주문자의 서명이나 이름을 입력받고, 도어락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주문영수증(20)을 발급하는 것이다.
이때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는 주문정보를 컨트롤러(50)로 전송하고, 고객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대기상태도 전환하면서 다운로드된 광고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와 연결된 컨트롤러(50)는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때 전송받은 주문정보를 확인하고 대기목록을 갱신하는 한편 요리공간(2) 안쪽에 설치된 주방용 터치스크린(80)으로 주문정보를 안내한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는 부스(1)의 일측 벽면에 설치된 안내판(60)을 컨트롤하여 주문사실을 안내하거나 갱신된 대기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지나 요리사가 특정 음식물(6)의 요리를 완료하게 되면, 주방용 터치스크린(80)을 통해 특정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었다는 사실과 해당 음식물이 배출될 큐브(31) 또는 출입구(5)의 번호를 지정하여 주문된 요리가 완료되었다는 사실을 보고하는 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컨트롤러(5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완료된 음식물(6)은 지정된 큐브(31)의 후면도어(34)를 개방하여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한 중량센서는 음식물이 내입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조명등(34)을 밝혀주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컨트롤러(50)는 보고받은 완료정보를 확인하고 대기목록을 갱신하는 한편, 부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판(60)을 컨트롤하여, 해당 음식물의 요리가 완료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주문한 고객을 호출하는 것이다.
이때의 컨트롤러(50)는 대기시간 동안 광고영상을 재생하고 있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 혹은 큐브(31)의 내입공간(32)이 보이지 않도록 히든시켜 준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컨트롤하여 투명하게 변화시켜 화면 전환되도록 하여,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한 음식물(6)을 뷰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는 실시 예에 따라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컨트롤하여 주문자의 이름이나 대기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구(5) 주변에 설치된 인식기(40)가 주문영수증(20)에 인쇄되어 있는 도어락 코드(21)를 읽어들어 들이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50)는 이를 판독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큐브(31)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개방하여 줌으로써, 주문자가 큐브(31)의 내입공간(32) 안쪽에 위치한 음식물(6)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입공간(32) 안쪽에 존재하는 음식물(6)이 출입구(5) 밖으로 꺼내어지게 되면, 중량센서가 내입공간 안쪽에 존재하는 음식물이 사라진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서 자동으로 조명등(35)을 오프(Off)시켜주면서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닫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객 스스로 음식물을 주문하고 서빙해가면서 음식점은 인건비를 절감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고, 고객은 팁을 지불할 필요가 없는 만큼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물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광고서버와 컨트롤러 혹은 주문결제용 키오스크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스케줄에 따라 투명디스플레이 도어 혹은 안내판 혹은 주문결제용 키오스크가 광고영상을 재생하면서, 해당 매장은 별도의 광고수입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부스 2:요리공간
3:테이블 4:의자
5:출입구 6:음식물
10:주문결제용 키오스크 20:주문영수증
21:도어락 코드 30:서빙대
31:큐브 32:투명디스플레이 도어
32a:하부롤러 32b:상부롤러
33:내입공간 34:후면도어
34a:손잡이 34b:걸림턱
35:조명등 36:가이드 대
36a:제1가이드대 36b:제1리미트스위치
37:안착대 37a:제2가이드대
37b:제2리미트스위치 38:모터
40:인식기
50:컨트롤러 60:안내판
70:광고서버 80:주방용 터치스크린

Claims (7)

  1. 하나 이상의 벽면을 직립시켜 내측에 요리공간을 가진 부스(1)를 설치하고,
    상기 부스의 외측에는 다수의 음식 메뉴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 때 해당 음식을 주문하고 이의 음식값을 결제하기 위한 주문결제용 키오스크(10)와, 벽면에 음식물이 출납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각각의 출입구에는 오픈/클로즈되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가 설치된 복수의 서빙대(30)를 설치하고,
    상기 서빙대(30)는 부스(1)의 벽면에 복수의 출입구(5)를 형성하고, 각각의 출입구(5)에는 큐브(31)를 설치하고, 상기 큐브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을 통공시켜 안쪽에 내입공간(33)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와 후면도어(34)를 설치하여, 상기 후면도어(34) 오픈시 내입공간(33) 안쪽으로 주문된 음식물을 올려졌을 때 전면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가 개방되면서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한 음식물(6)을 고객이 스스로 가지고 갈 수 있게 구축되어 있는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의 주문결제 키오스크(10)는 결제시 발행된 도어락 코드 및 대기번호가 인쇄되어 있는 주문영수증(20)를 발행하고,
    상기 부스의 요리공간에는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를 통해 주문 결제 사실을 확인하는 한편 요리된 음식물이 놓여질 서빙대의 출입구 번호를 지정하는 터치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서빙대 주변에는 터치스크린에 의해 지정된 해당 서빙대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를 오픈하기 위하여 주문영수증에 형성된 도어락 코드를 읽어들여 판독하는 인식기(4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서빙대의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는 공간효율을 최대화하면서 꺼낼 때 내입공간(33) 안쪽에 위치한 음식물(6)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출입구 주변의 내입공간(33) 측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대(36)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 대(36)에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의 하부 롤러(32a)가 장착되는 제1가이드 레일(36a)을 설치하고, 상기 내입공간(33)의 상단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안착대(37)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대(37)에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의 상부롤러(32b)가 장착되는 제2가이드 레일(37a)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1가이드 레일(36a) 또는 제2 가이드 레일(37a)의 끝단에는 하부롤러(32a) 또는 상부롤러(32b)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제1리미트 스위치(36b) 또는 제2리미트 스위치(37b)를 설치하여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가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에 의해 매달려 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50)가 주문결제 키오스크를 통해 발급된 주문영수증의 도어락 코드와 인식기에 의해 읽혀진 주문영수증의 도어락코드가 일치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된 해당 서빙대의 내입공간(33) 상부에 매달려 기립된 상태에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가 모터(38) 구동시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의 상단이 내공간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하측이 내입공간(33) 상단과 가까워지게 되면서 출입구를 개방하여 줌으로써, 해당 고객이 자신이 주문한 음식물을 안전하게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인식 없이 자신의 음식물을 찾아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31)는 내입공간(33) 안쪽에는 음식물이 위치되게 되면 혹은 후면도어(34)가 오픈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센서가 조명등(35)의 빛을 밝혀 내입공간(33)이 보이지 않도록 히든(Hidden)되어져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도어(32)를 투과하여 밖으로 조사되게 하면서 대기번호와 내측에 놓인 음식물이 고객에게 뷰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대기목록 및 음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안내판(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는 벽면 외측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는 테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의 주변에 하나 이상의 의자를 배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 또는 컨트롤러는 광고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광고서버(7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대기시간 동안 주문결제용 키오스크 혹은 안내판 혹은 투명디스플레이 도어가 광고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광고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결제용 키오스크는 고객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대기시간 동안 광고영상을 재생하다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고객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에 접근한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 화면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음식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KR1020170053975A 2017-04-26 2017-04-26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KR10193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75A KR101938416B1 (ko) 2017-04-26 2017-04-26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75A KR101938416B1 (ko) 2017-04-26 2017-04-26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35A KR20180120035A (ko) 2018-11-05
KR101938416B1 true KR101938416B1 (ko) 2019-04-10

Family

ID=6432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75A KR101938416B1 (ko) 2017-04-26 2017-04-26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579B1 (ko) * 2018-11-20 2020-12-11 주식회사 씨큐프라임 웹 기반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172504B1 (ko) * 2019-04-16 2020-10-30 윤왕근 무인 결제 시스템
KR102195902B1 (ko) * 2019-04-26 2020-12-28 대구시설공단 승마장 마필 배정 시스템
KR102351844B1 (ko) * 2021-01-11 2022-01-14 최재섭 주문 물품 자동 픽업 시스템
KR102505006B1 (ko) * 2022-09-01 2023-03-02 (주)엠나인파이브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39B1 (ko) * 2013-02-15 2013-10-02 (주)파슬넷 무인 택배보관함을 갖는 통합 택배정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와 무인 택배보관함의 연계 등록방법
KR101714023B1 (ko) * 2016-02-11 2017-03-08 은종원 자동 주문 및 배달 기능을 갖는 무인 자동화 음식점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82B1 (ko) 2005-10-26 2008-02-15 주식회사 씨메일즈 주문 관리를 위한 무인 키오스크 시스템을 구비하는 포스 시스템
KR20090001548A (ko) 2007-04-25 2009-01-09 오재철 전자메뉴판을 이용한 주문시스템
KR101082683B1 (ko) * 2009-12-31 2011-11-15 김현기 키오스크 컨트롤러
KR101448101B1 (ko) 2012-06-13 2014-10-10 이정수 광고기능을 갖는 터치식 무인카운터기를 구비한 음식주문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39B1 (ko) * 2013-02-15 2013-10-02 (주)파슬넷 무인 택배보관함을 갖는 통합 택배정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와 무인 택배보관함의 연계 등록방법
KR101714023B1 (ko) * 2016-02-11 2017-03-08 은종원 자동 주문 및 배달 기능을 갖는 무인 자동화 음식점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35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416B1 (ko) 셀프 주문 서빙 시스템.
US11087298B2 (en)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system and related method
US20140222603A1 (en)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KR20170028394A (ko) 컴퓨터-제어, 무인, 자동화 체크아웃 스토어 아웃렛 및 관련 방법
US64155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pting customer orders
AU2014251101A1 (en)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KR100867260B1 (ko) 유,무인 판매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점포운영 시스템
US20180268358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US8261980B1 (en) Automated food service and billing system and method
EP0829055B1 (en) Equipment for the automation of catering, bar or other products or goods sales services
CN102449668A (zh) 针对面向服务的行业员工的地图指引
US6681985B1 (en) System for providing enhanced systems management, such as in branch banking
JP7165860B2 (ja) 店舗管理方法及び店舗管理システム
JP2006504886A (ja) 試着室
US20080234859A1 (en) Minibar
AU2018269927B2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JP2021114185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11839B1 (ko) 진동벨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호출시스템.
JP2021081681A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
IT202000008473A1 (it) Sistema di coordinamento delle attività di addetti alla somministrazione di consumazioni.
JP2021026721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