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396B1 - 양파 껍질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양파 껍질 박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396B1
KR102414396B1 KR1020200062740A KR20200062740A KR102414396B1 KR 102414396 B1 KR102414396 B1 KR 102414396B1 KR 1020200062740 A KR1020200062740 A KR 1020200062740A KR 20200062740 A KR20200062740 A KR 20200062740A KR 102414396 B1 KR102414396 B1 KR 10241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cutter
transport path
stem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921A (ko
Inventor
장근일
Original Assignee
장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일 filed Critical 장근일
Priority to KR102020006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3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는, 양파의 몸통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 및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의 몸통에 압축공기를 분사해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 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절단수단은,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양파의 몸통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동시에 절단하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커터; 양파의 크기에 대응하여 커터들의 절단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커터 위치 조절부; 및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를 커터 위치 조절부, 커터들 측으로 순차적이게 안내하며 동시에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를 껍질 제거수단으로 선회 안내하는 절단용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파 껍질 박리 장치{DEVICE FOR PEELING ONION SHELL}
본 발명(Disclosure)은,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양파의 뿌리 부분 및 줄기 부분을 절단하면서 양파의 껍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양파(onion)는 둥근 몸통에 해당하는 비늘줄기 위에 잎을 포함하는 줄기와 하부에는 수염뿌리가 있는 것으로, 이러한 양파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몸통(비늘줄기)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제거한 후, 껍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양파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과 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통상적으로 칼을 사용해 뿌리, 줄기 및 껍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양파에서 발생하는 매운 향은 작업자의 눈을 심하게 자극하기 때문에 뿌리, 줄기 및 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장시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441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487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531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0538호"등에는 양파의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자동으로 절단한 후 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실용신안 및 특허 공보들에 개시된 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그로 인해 양파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 절단에서부터 껍질 제거까지의 택트 타임(tact time)이 길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441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487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531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0538호
본 발명(Disclosure)은,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양파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 절단에서부터 껍질 제거까지의 택트 타입(tact time)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양파의 크기와 관계없이 절단되는 줄기부분 및 뿌리부분을 동일한 크기로 절단해 낼 수 있게 하여 절단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는, 이송 경로를 따라 양파를 안내하면서 양파의 몸통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 및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의 몸통에 압축공기를 분사해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 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절단수단은,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양파의 몸통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동시에 절단하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커터; 양파의 크기에 대응하여 커터들의 절단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커터 위치 조절부; 및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를 커터 위치 조절부, 커터들 측으로 순차적이게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하며 동시에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를 껍질 제거수단으로 선회 안내하는 절단용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서, 절단용 이송부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를 파지하며,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를 껍질 제거수단이 넘겨받을 수 있게 양파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는 제 1 핑거 실린더; 자유단과 회전단을 가지는 바 형상으로 제공되며, 자유단 측에는 제 1 핑거 실린더가 고정되어 지지되고, 회전단 측은 커터 위치 조절부 및 커터들과 마주하는 상부 프레임에 회전축을 매개로 선회 경로를 따라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회아암; 및 헤드커버 측이 이송 경로를 따라 선회되도록 제 1 선회핀을 매개로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고, 로드커버를 통해 출입하는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의 연장단은 제 2 선회핀을 매개로 마주하는 상기 선회아암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핑거 실린더 및 선회아암을 이송 경로를 따라 왕복 선회 이송시키는 제 1 이송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서, 제 1 핑거 실린더는, 실린더 바디; 및 2개의 핑거;를 포함하고, 각각의 핑거에는 양파를 감싸 파지하는 반원형의 그리퍼 브라켓들이 장착되며, 각각의 그리퍼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완충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서, 커터 위치 조절부는,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양파의 일측 및 타측에 접촉해 커터들의 절단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조절로드; 및 양파의 크기와 관계없이 양파의 일측 및 타측에 접촉되도록 조절로드들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되, 탄력 지지대는, 이송 경로의 일측 및 타측에서 이송 경로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일단 및 타단이 지지브라켓을 매개로 이송 경로의 일측 및 타측에 제공되는 하부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레일; 각각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및 이송 경로에서 먼 지지브라켓과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의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더를 이송 경로 측으로 탄력적이게 가압 지지하는 제 1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조절로드는 인접한 슬라이더에 조절로드 서포터를 매개로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서, 조절로드들은 이송 경로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송 경로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조절로드들 사이에는 양파가 지나는 통로가 형성되며, 통로의 전단 측은 양파가 용이하게 통로 진입할 수 있도록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서, 조절로드 서포터들은,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조절로드 지지편; 및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고, 제 1 조절로드 지지편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조절로드 지지편;을 포함하되, 각각의 제 1 조절로드 지지편의 내측으로는 인접 배치된 조절로드의 후단 측 외측이 용접 고정되며, 각각의 제 2 조절로드 지지편은 나사를 매개로 슬라이더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서, 커터 위치 조절부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를 통로의 전단 측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로딩로드;를 더 포함하며, 로딩로드들은 이송 경로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송 경로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 조절로드의 하부 측으로 배치되어 후단 측 외측이 제 1 조절로드 지지편 내측에 용접 고정되며, 각각의 로딩로드의 전단 측은 조절로드들의 전단 외측으로 연장되되, 각각의 로딩로드는 로딩로드들의 전단 사이로는 공급된 양파가 통로의 전단 측으로 굴러 안내될 수 있도록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낮아지게 만곡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서, 커터들은, 이송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상단을 따라 날부가 형성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면서 양파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인접한 조절로드의 내측보다는 이송 경로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커터들의 전단 측은 인접한 로딩로드의 후단 하부 측으로 배치되되 커터들은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형성되도록 연장되며, 커터들은 조절로드들과 연동하여 양파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 서포터를 매개로 각각 인접한 슬라이더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에서, 커터 서포터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 및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 1 및 제 커터 지지편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3 커터 지지편을 포함하되, 각각의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의 내측으로 커터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이 나사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고, 제 3 커터 지지편은 나사를 매개로 슬라이더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속하게 양파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껍질 제거까지의 택트 타입(tact time)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파의 크기에 대응하여 커터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양파의 크기와 관계없이 절단되는 줄기부분 및 뿌리부분을 동일한 크기로 절단해 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파의 절단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껍질 제거 영역과 양파 배출 영역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된 양파에 껍집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수단만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터 및 커터 위치 조절부와 지지부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절단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껍질 제거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은 껍질 제거수단을 평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며, 도 9는 껍질 제거수단을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껍질 제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껍질 제거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는 양파(O)의 몸통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100)과,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의 몸통에서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 제거수단(20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터 위치 조절부 및 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절단수단(100)은 양파(O)의 몸통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동시에 절단하도록 한 쌍으로 제공되는 커터(170)와, 양파(O)의 크기에 대응하여 커터(170)들의 절단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커터 위치 조절부(140) 및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O)를 커터 위치 조절부(140), 커터(170)들 측으로 순차적이게 안내하며 동시에 커터(170)를 통과하면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를 껍질 제거수단(200)으로 안내하는 절단용 이송부(110)를 포함한다.
먼저, 절단용 이송부(110)는 제 1 핑거 실린더(112)와, 제 1 핑거 실린더(112)를 지지하는 선회아암(122) 및 이송 경로(R)를 따라 선회아암(122) 및 제 1 핑거 실린더(112)를 왕복 선회 이송시키는 제 1 이송 실린더(1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 경로(R)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 절단을 위해서 양파(O)가 이송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제 1 핑거 실린더(112)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O)를 파지하며,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를 껍질 제거수단(200)이 넘겨받을 수 있게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한다.
제 1 핑거 실린더(112)는 통상의 각도 개폐형 핑거 실린더로,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실린더 바디(114)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하는 2개의 핑거(116a, 116b)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핑거(116a, 116b)에는 양파(O)를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리퍼 브라켓(118a, 118b)이 장착되고,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은 짝을 이루어 둥근 형태의 양파(O)를 파지할 수 있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각각 대략 반원형 형태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이때,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에 의한 양파(O) 파지 시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은 그리퍼 브라켓(118a, 118b)의 일측 및 타측, 다시 말해 이송 경로(R)의 일측 및 타측으로 노출된다.
즉,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핑거(116a, 116b)들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시키면,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은 양파(O)를 감싸며 파지하고,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핑거(116a, 116b)들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시키면,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은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한다.
한편, 각각의 그리퍼 브라켓(118a, 118b)의 내측면 상에는 완충패드(120a, 120b)가 부착된다.
완충패드(120a, 120b)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통상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완충패드(120a, 120b)는 양파(O) 파지 시 그리퍼 브라켓(118a, 118b)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양파(O)가 손상되지 않게 하고, 또한 파지된 양파(O)가 커터 위치 조절부(140) 및 커터(170)를 지날 때의 저항으로부터 양파(O)가 손상되지 않게 한다.
선회아암(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바(bar)의 형상을 가지며, 선회아암(122)은 자유단과 회전단을 형성한다.
선회아암(122)의 회전단은 선회아암(122)이 이송 경로(R)를 따라 선회되도록 회전축(124)을 매개로 커터 위치 조절부(140) 및 커터(170)들과 마주하는 상부 프레임(F1)에 장착된다.
그리고 커터 위치 조절부(140) 및 커터(170)들 측으로 연장된 선회아암(122)의 자유단 측에는 핑거(116a, 116b)들 및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핑거 실린더(112)의 실린더 바디(114)가 고정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선회아암(122)의 회전축(124) 중심과 커터 위치 조절부(140) 및 커터(170)의 연결부위는 회전축(124)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한편, 제 1 이송 실린더(126)는 선회아암(122) 및 선회아암(122)에 고정 지지된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이송 경로(R)를 따라 왕복 선회 이동되도록 선회아암(122)과 상부 프레임(F1) 사이에 개재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제 1 이송 실린더(126)의 헤드커버 측은 이송 경로(R)를 따라 선회되도록 제 1 선회핀(128)을 매개로 상부 프레임(F1)에 장착되고, 제 1 이송 실린더(126)의 로드커버를 통해 출입하는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130)의 연장단은 제 2 선회핀(132)을 매개로 마주하는 선회아암(122)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회전축(124)을 매개로한 상부 프레임(F1)과 선회아암(122)의 연결관계, 제 1 선회핀(128)를 매개로한 상부 프레임(F1)과 제 1 이송 실린더(126)의 연결관계 및 제 2 선회핀(132)을 매개로한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132)와 선회아암(122)의 연결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 1 이송 실린더(126)가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130)를 신장시키면, 선회아암(122) 및 선회아암(122)에 고정 지지된 제 1 핑거 실린더(112)는 커터 위치 조절부(140)에서부터 커터(170)들을 지나 껍질 제거수단(200) 측으로 선회 이송되고, 반대로 제 1 이송 실린더(126)가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130)를 복귀시키면, 선회아암(122) 및 제 1 핑거 실린더(112)는 껍질 제거수단(200)에서부터 커터(170)를 지나 커터 위치 조절부(140) 측으로 선회 이송된다.
커터 위치 조절부(140)는 절단용 이송부(110)에 파지되어 이송 경로(R)를 따라 안내되는 양파(O)의 일측 및 타측에 접촉해 후행하는 커터(170)들의 절단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조절로드(152)와, 양파(O)의 크기와 관계없이 양파(O)의 일측 및 타측에 접촉되도록 조절로드(152)들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탄력 지지대(142)를 포함한다.
즉, 커터 위치 조절부(140)는 양파(O)의 크기와 관계없이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커터(170)들에 의해 기 설정된 크기로 동일하게 절단되도록 커터(170)들의 위치를 조절한다.
탄력 지지대(142)는 각각 이송 경로(R)의 일측 및 타측에 제공되는 레일(144)과, 각각의 레일(1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148)를 포함한다.
각각의 레일(144)은 평면에서 봤을 때 이송 경로(R)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레일(144)의 일단 및 타단은 지지브라켓(146)을 매개로 이송 경로(R)의 일측 및 타측으로 제공되는 하부 프레임(F2)에 고정 장착된다.
즉, 각각의 레일(1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148)들은 레일(144)을 따라 이송 경로(R) 측으로 근접하게 안내되거나 이송 경로(R)에서 이격되게 안내된다.
한편, 각각의 슬라이더(148)는 이송 경로(R) 측으로 탄력적이게 가압 지지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레일(144)에는 슬라이더(148)를 이송 경로(R) 측으로 가압하는 제 1 압축 코일 스프링(150)이 끼워지는데, 각각의 제 1 압축 코일 스프링(150)은 이송 경로(R)에서 먼 지지브라켓(146)과 슬라이더(148)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의 레일(144)에 끼워진다.
조절로드(152)들은 이송 경로(R)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송 경로(R)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이격 배치된 조절로드(152)들 사이에는 양파(O)가 지나는 통로(P)가 형성되고, 조절로드(152)들은 내측이 통로(P)를 지나는 양파(O)의 일측 및 타측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조절로드 서포터(154)를 매개로 각각 인접한 탄력 지지대(142)의 슬라이더(148)에 연결된다.
여기서, 통로(P)의 전단 측은 양파(O)가 용이하게 통로(P)로 진입할 수 있도록 확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로드(152)들은 측면에서 봤을 때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낮아지는 만곡된 원호(圓弧)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통로(P)를 지나는 양파(O)가 선회아암(122)에 의해 가상의 원호(圓弧)를 그리며 안내되기 때문이며 동시에 선회아암(122)에 의해 안내되는 양파(O)가 조절로드(152)들의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낮아지게 만곡된 원호(圓弧)을 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절로드(152)가 형성하는 원호(圓弧)와 선회아암(122)에 의해 안내되는 양파(O)가 그리는 가상의 원호(圓弧)는 회전축(124)의 중심을 동심원으로 하는 원호(圓弧)들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통로(P)를 지나는 양파(O)의 일측 및 타측은 동일한 지점이 조절로드(152)에 접촉된다.
한편, 조절로드 서포터(1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조절로드(152)들을 인접한 탄력 지지대(142)의 슬라이더(148)에 연결시킨다.
조절로드 서포터(154)들은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조절로드 지지편(156)과,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 1 조절로드 지지편(156)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제 1 조절로드 지지편(156)의 내측으로는 인접 배치된 조절로드(152)의 후단 측 외측이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은 나사(B)를 매개로 슬라이더(148)와 연결되며, 이를 위해서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에는 조절로드 연결장공(160)이 평면에서 봤을 때 이송 경로(R)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을 인접한 슬라이더(148)에 연결 시 나사(B)의 나사부는 조절로드 연결장공(160)을 관통해 슬라이더(148)에 체결되고, 나사(B)의 머리부는 조절로드 연결장공(160)과 이어지는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의 상부를 가압해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을 슬라이더(148)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에 형성된 조절로드 연결장공(160)들은 조절로드(152) 사이의 간격, 즉 양파(O)가 지나지 않을 때의 통로(P)의 폭 및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O)가 공급되는 후술하는 로딩로드(16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각각의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에 형성된 조절로드 연결장공(160)들과 나사(B)들을 이용한 통로(P)의 폭 및 로딩로드(162) 사이의 간격 조절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커터 위치 조절부(140)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O)를 조절로드(152)들이 형성하는 통로(P)의 전단 측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로딩로드(162)를 더 포함한다.
로딩로드(162)들은 조절로드(152)들과 마찬가지로 이송 경로(R)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송 경로(R)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 조절로드(152)의 하부 측으로 배치된다.
이때, 각각의 로딩로드(162)들의 후단 측 외측은 조절로드(152)에 간섭되지 않게 인접한 조절로드 서포터(154)들의 제 1 조절로드 지지편(156) 내측에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로딩로드(162)의 전단 측은 조절로드(152)들의 전단 외측으로 연장되며, 조절로드(152)들의 전단 외측으로 연장된 로딩로드(162)들의 전단 사이로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O)가 공급된다.
한편, 조절로드(152)의 전단 외측으로 연장된 로딩로드(162)들 사이로 이송 경로(R)의 일측 및 타측으로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노출되게 공급되며, 로딩로드(162)들은 공급된 양파(O)가 통로(R)의 전단 측으로 굴러 안내될 수 있도록 로딩로드(162)들은 측면에서 봤을 때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낮아지게 만곡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로딩로드(162)들의 사이 간격은 공급되는 양파(O)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양파(O)가 지나지 않을 때의 통로(P)의 폭도 로딩로드(162)들 사이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로딩로드(162)들의 사이 간격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조절로드 서포터(154)의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에 형성된 조절로드 연결장공(160)들과 나사(B)들에 의해 조절된다.
커터(170)들은 이송 경로(R)를 따라 연장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단을 따라서는 날부(171)가 형성되되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 위치 조절부(140)의 후단과 이어지는 이송 경로(R)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격 배치된 커터(170)들은 조절로드(152)들과 연동하여 커터(170)들 사이를 지나는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 서포터(172)를 매개로 각각 인접한 탄력 지지대(142)의 슬라이더(148)에 연결된다.
여기서, 커터(170)들은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인접한 조절로드(152)의 내측보다는 이송 경로(R)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즉, 커터(170)들과 인접한 조절로드(152)들의 형성하는 사이의 간격만큼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은 절단된다.
그리고 커터(170)들은 전단 측은 인접한 로딩로드(162)의 후단 하부 측으로 배치되며, 커터(170)들은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형성되도록 연장된다.
이는,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 절단 시 커터(170)들에 작용하는 절단 저항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조절로드(152)들이 형성하는 통로(R)를 빠져나온 양파(O)가 선회아암(122)에 의해 높아지게 만곡된 가상의 원호(圓弧)을 그리며 안내되기 때문이다.
한편, 커터 서포터(17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커터(170)들을 인접한 탄력 지지대(142)의 슬라이더(148)에 연결시킨다.
커터 서포터(154)들은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174, 176)과,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 1 및 제 커터 지지편(174, 176)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3 커터 지지편(182)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제 1 커터 지지편(174)의 내측으로는 인접 배치된 커터(170)의 전단 측이 나사(B) 및 너트(N)를 매개로 고정되고, 각각의 제 2 커터 지지편(176)의 내측으로는 인접 배치된 커터(170)의 후단 측이 나사(B) 및 너트(N)를 매개로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서 각각의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174, 176)에는 제 1 및 제 2 장착장공(178, 180)이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174, 176)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커터(170)를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174, 176)에 장착 시 나사(B)들의 나사부는 커터(17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커터(170)와 제 1 및 제 2 장착장공(178, 180)을 관통해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174, 176)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174, 176)의 외측으로 노출된 나사(B)의 나사부에 너트(N)가 체결되면서 커터(170)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은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174, 176)에 장착된다.
여기서, 커터(170)들을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174, 176)에 장착시키는 나사(B)는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 절단 시 간섭되지 않도록 통상의 접시 머리 나사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장착장공(178, 180)은 커터(170)들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데, 제 1 및 제 2 장착장공(178, 180)과 나사(B) 및 너트(N)를 이용한 커터(170)들의 높이조절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각의 제 3 커터 지지편(182)은 나사(B)를 매개로 제 2 조절로드 지지편(158)에 간섭되지 않게 슬라이더(148)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 3 커터 지지편(182)에는 커터 연결장공(184)이 평면에서 봤을 때 이송 경로(R)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제 3 커터 지지편(182)을 인접한 슬라이더(148)에 연결 시 나사(B)의 나사부는 커터 연결장공(184)을 관통해 슬라이더(148)에 체결되고, 나사(B)의 머리부는 커터 연결장공(184)과 이어지는 제 3 커터 지지편(182)의 상부를 가압해 제 3 커터 지지편(182)을 슬라이더(148)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제 3 커터 지지편(182)에 형성된 커터 연결장공(184)들은 커터(17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 절단되는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데, 각각의 제 3 커터 지지편(182)에 형성된 커터 연결장공(182)들과 나사(B)들을 이용한 커터(170) 사이의 간격조절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각의 제 3 커터 지지편(182)에는 절단된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며 절단수단(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파 껍질 박리 장치의 절단수단(100)을 이용해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O)를 조절로드(152)들의 전단 외측으로 연장된 로딩로드(162)들의 전단 측 사이로 공급한다.
이때, 양파(O)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이송 경로(R)의 일측 및 타측으로 노출되게 로딩로드(162)들의 전단 사이로 공급되는데, 이렇게 공급된 양파(O)는 로딩로드(162)들 따라 조절로드(152)의 전단 측, 다시 말해 조절로드(152)들이 형성하는 통로(R)의 전단 측으로 안내된다(도 4 참조).
여기서, 양파(O)는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공급되거나 자동화 기계를 통해 하나씩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O)가 통로(R)의 전단 측으로 안내되면, 제 1 핑거 실린더(112)는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이 양파(O)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핑거(116a, 116b)들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시킨다(도 4 참조).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양파(O)를 파지하면, 제 1 이송 실린더(126)는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130)를 신장시켜 이송 경로(R)를 따라 양파(O)를 이송시킨다.
이때, 양파(O)는 조절로드(152)들이 형성하는 통로(R)로 진입한 후 통로(R)를 지나 커터(170)들 사이로 안내되고, 통로(R)로 진입한 양파(O)는 줄기 및 뿌리에 인접한 부분이 조절로드(152)의 내측에 접촉하면서 통로(R)의 폭을 확장시키며 안내되는데, 이에 의해 슬라이더(148)들은 제 1 압축 코일 스프링(150)을 압축시키면서 이송 경로(R)에서 이격되고, 로딩로드(162)들 및 커터(170)들은 슬라이더(148)를 따라 안내되면서 사이 간격이 확장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양파(O)가 통로(R)를 빠져나오면, 양파(O)는 커터(170)들의 전단 사이로 진입한 후 커터(170)들의 후단을 통해 빠져나오는데, 이때 양파(170)는 커터(170) 사이를 지나면서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다(도 6 참조).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가 커터(170)들을 빠져나와 껍질 제거수단(200) 측으로 안내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 1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148)들은 이송 경로(R) 측으로 근접하게 안내되는데, 이에 의해 조절로드(152)들, 로딩로드(162)들 및 커터(170)들도 다음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 절단을 위해 복귀된다(도 7 참조).
그리고 양파(O)가 껍질 제거수단(200) 측으로 안내되면, 제 1 핑거 실린더(112)는 껍질 제거수단(200)이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를 넘겨 받을 수 있도록 핑거(116a, 116b)들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시키는데, 이때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은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며, 이와 동시에 제 1 이송 실린더(126)는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로딩로드(162) 전단 측으로 공급되어 통로(R)의 전단 측으로 안내된 또 다른 양파(O)를 파지할 수 있게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130)를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양파(O)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100)의 후방 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파(O)의 몸통에 잔류하는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 제거수단(200)이 배치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껍질 제거수단(200)은 제 2 핑거 실린더(210)와, 제 2 핑거 실린더(210)를 껍질 제거 영역 및 양파 배출 영역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제 2 이송 실린더(216) 및 압축공기를 분사해 양파(O)의 몸통에서 껍질을 제거하는 다수의 분사노즐(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껍질 제거 영역은 커터(170)들의 후단과 이어지는 부분을 의미하며, 양파 배출 영역은 껍질 제거 영역의 후단과 이어지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커터(170)들의 후단 측으로 껍질 제거 영역 및 양파 배출 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먼저, 제 2 핑거 실린더(210)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를 파지하며, 껍질이 제거된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한다.
제 2 핑거 실린더(210)는 제 1 핑거 실린더(112)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각도 개폐형 핑거 실린더로,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실린더 바디(212)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하는 2개의 핑거(214a, 214b; 도 8 및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핑거(214a, 214b)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의 일측 및 타측, 즉 절단부위를 가압해 양파(O)를 파지한다.
제 2 이송 실린더(216)는 제 2 핑거 실린더(210)가 양파(O)를 파지하고 껍질이 제거된 양파(O)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2 핑거 실린더(210)를 껍질 제거 영역 및 양파 배출 영역으로 왕복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 2 이송 실린더(216)의 헤드커버 측은 양파 배출 영역의 후단 측과 이어지는 후방 프레임(F3)에 고정 장착되고, 제 2 이송 실린더(216)의 로드커버를 출입하는 제 2 이송 실린더 로드(218)의 연장단은 제 2 핑거 실린더(210)의 핑거(214a, 214b)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제 2 핑거 실린더(210)의 실린더 바디(212)에 장착된다.
한편, 분사노즐(22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껍질 제거 영역 내에 배치되되 껍질 제거 영역 내에서 양파(O)를 파지하는 제 2 핑거 실린더(210)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사노즐(220)들은 제 2 핑거 실린더(210)의 핑거(214a, 214b)에 의해 파지된 양파(O)의 일측 및 타측으로 형성되는 절단부위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분사노즐(220)들은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제거된 양파(O)의 절단부위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양파(O) 몸통에서 껍질을 제거하는데, 분사노즐(220)들 통해 압축공기의 분사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8 및 9를 참조하며 껍질 제거수단(2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 1 핑거 실린더(112)에 파지된 상태로 커터(170)를 통과한 양파(O), 즉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가 커터(170)를 빠져나와 껍질 제거 영역으로 안내되면, 제 2 이송 실린더(216)는 제 2 이송 실린더 로드(218)를 신장시켜 제 2 핑거 실린더(210)를 껍질 제거 영역으로 이송시킨다(도 8 참조).
그리고 제 2 핑거 실린더(210)가 껍질 제거 영역으로 이송되면, 제 2 핑거 실린더(210)는 양파(O)의 일측 및 타측, 즉 절단부위를 가압해 양파(O)를 파지할 수 있게 핑거(214a, 214b)들을 작동시킨다(도 8 참조).
이렇게 제 2 핑거 실린더(210)의 핑거(214a, 214b)들이 양파(O)를 파지하면, 제 1 핑거 실린더(112)는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이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핑거(116a, 116b)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제 1 이송 실린더(126)는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로딩로드(162) 전단 측으로 이송되도록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130)를 복귀시킨다.
한편, 껍질 제거 영역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핑거 실린더(210)가 양파(O)를 파지하면, 분사노즐(220)들에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압축공기가 분사되고, 이에 의해 양파(O) 몸통에 잔류하던 껍질은 제거된다(도 8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껍질 제거 영역에서 양파(O)의 껍질이 제거되면, 제 2 이송 실린더(216)는 제 2 이송 실린더 로드(218)를 복귀시켜 제 2 핑거 실린더(210)를 양파 배출 영역으로 이송시킨다(도 9 참조).
이때, 제 2 핑거 실린더(210)는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해 양파(O)를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외부로 배출되는 양파(O)는 양파 배출 영역 하부에 배치된 바구니(도시되지 않음) 등에 담기게 된다.
그리고 양파 배출 영역 내에는 껍질 제거 영역에서 제거되지 못한 껍질 및 껍질 제거 영역에서 양파 배출 영역 측으로 비산하는 껍질을 불어 내는 통상의 에어커튼장치(230)가 배치된다.
한편,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껍질 제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껍질 제거수단(300)은 제 3 핑거 실린더(310)와, 제 3 핑거 실린더(310)를 양파 로딩/배출 영역 및 껍질 제거 영역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제 3 이송 실린더(316)와, 양파(O)의 크기와 관계없이 양파(O)의 몸통을 덮은 껍질에 가느다랗고 길게 틈(이하 "칼집" 이라 한다)을 형성시키는 칼집 형성부(340) 및 압축공기를 분사해 칼집이 형성된 껍질을 양파(O)의 몸통에서 제거하는 다수의 분사노즐(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양파 로딩/배출 영역은 커터(170)들의 후단과 이어지는 부분으로 절단수단(100)에 의해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를 껍질 제거수단(300)이 넘겨받는(로딩) 부분일 뿐만 아니라 껍질이 제거된 양파(O)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껍질 제거 영역은 양파 로딩/배출 영역의 일측으로 이어지는 부분으로 양파(O)의 몸통을 덮은 껍질이 제거되는 부분의 의미한다. 이때 커터(170)의 후단과 껍질 제거 영역은 양파 로딩/배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이어지게 배치된다.
먼저, 제 3 핑거 실린더(310)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를 파지하며, 껍질이 제거된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한다.
제 3 핑거 실린더(310)는 제 1 핑거 실린더(112)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각도 개폐형 핑거 실린더로,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실린더 바디(312)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 작동하는 2개의 핑거(314a, 314b)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핑거(314a, 314b)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의 일측 및 타측, 즉 절단부위를 가압해 양파(O)를 파지한다.
제 3 이송 실린더(316)는 제 3 핑거 실린더(310)가 양파(O)를 파지하고 껍질이 제거된 양파(O)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3 핑거 실린더(310)를 양파 로딩/배출 영역에서 껍질 제거 영역으로, 다시 껍질 제거 영역에서 양파 로딩/배출 영역으로 왕복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 3 이송 실린더(316)의 헤드커버 측은 양파 로딩/배출 영역의 일측과 이어지는 일측 프레임(F4)에 고정 장착되고, 제 3 이송 실린더(316)의 로드커버를 출입하는 제 3 이송 실린더 로드(318)의 연장단은 제 3 핑거 실린더(310)의 핑거(314a, 314b)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제 3 핑거 실린더(310)의 실린더 바디(312)에 장착된다.
칼집 형성부(340)는 껍질 제거 영역과 이어지는 타측 프레임(F5)에 고정 장착되며 양파 로딩/배출 영역으로 연장되는 수평한 원통형 본체(342)와, 본체(342)의 연장단 외측에 등각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껍질 제거 영역으로 안내되는 양파(O) 몸통을 덮은 껍질에 칼집을 형성시키는 다수의 원형 나이프(344) 및 원형 나이프(344)들을 본체(342)에 연결시키는 다수의 나이프 아암(348)을 포함한다.
이때, 원형 나이프(344)들 및 나이프 아암(348)들은 제 3 이송 실린더(316)에 의해 안내되는 제 3 핑거 실린더(310)에 간섭되지 않게 배치된다.
그리고 나이프 아암(348)들은 본체(342)에서 각각의 원형 나이프(344)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나이프 아암(348)들은 각각 원형 나이프(344)들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유단과 본체(342)의 외측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단을 형성한다.
이때, 나이프 아암(348)들의 회전단 측은 연결핀(350)을 매개로 본체(342)의 외측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데, 나이프 아암(348)들의 회전단 측은 원형 나이프(344)들이 본체(342)의 외측면에서 본체(342)의 방사상 외측으로 선회되도록 본체(342)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한편, 각각의 원형 나이프(344)는 본체(342)의 연장단 중심부 측으로 탄력적이게 가압 지지된다. 이를 위해서 본체(342)의 고정단과 각각의 나이프 아암(348)의 회전단 사이에는 제 2 압축 코일 스프링(352)들이 개재된다.
즉, 각각의 원형 나이프(344)들이 제 2 압축 코일 스프링(352)들에 의해 본체(342)의 연장단 중심부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제 3 이송 실린더(316)에 의해 이송되는 양파(O)의 크기와 관계없이 원형 나이프(344)들의 날부(346)가 양파(O)에 접촉해 양파(O)의 몸통을 덮은 껍질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342)의 연장단과 이어지는 본체(342)의 외주면 상에는 각각의 나이프 아암(348)과 접촉해 원형 나이프(344)들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나사(354)가 체결된다.
한편, 분사노즐(32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껍질 제거 영역 내에 배치되되 칼집 형성부(340)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사노즐(320)들은 원형 나이프(344)들을 거쳐 나이프 아암(348)들 사이로 안내된 양파(O)의 일측 및 타측으로 형성된 절단부위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분사노즐(320)들은 껍질에 칼집이 형성된 양파(O)의 절단부위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양파(O) 몸통에서 껍질을 제거하는데, 분사노즐(320)들 통해 압축공기의 분사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11 및 12를 참조하며 껍질 제거수단(3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 1 핑거 실린더(112)에 파지된 상태로 커터(170)를 통과한 양파(O), 즉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O)가 커터(170)를 빠져나와 양파 로딩/배출 영역으로 안내되면, 제 3 핑거 실린더(310)는 양파(O)의 일측 및 타측으로 형성되는 절단부위를 가압해 양파(O)를 파지할 수 있게 핑거(314a, 314b)들을 작동시킨다(도 11 참조).
이렇게 제 3 핑거 실린더(310)의 핑거(314a, 314b)들이 양파(O)를 파지하면, 제 1 핑거 실린더(112)는 그리퍼 브라켓(118a, 118b)들이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핑거(116a, 116b)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제 1 이송 실린더(126)는 제 1 핑거 실린더(112)가 로딩로드(162) 전단 측으로 이송되도록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130)를 복귀시킨다.
한편, 양파 로딩/배출 영역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핑거 실린더(310)가 양파(O)를 파지하면, 제 3 이송 실린더(316)는 제 3 이송 실린더 로드(318)를 신장시켜 제 3 핑거 실린더(310)를 껍질 제거 영역으로 이송시킨다(도 12 참조).
이때, 양파(O)는 회전 나이프(344)들의 날부(346)와 접촉함과 동시에 회전 나이프(344)들의 사이 간격을 확장시키면서 나이프 아암(348)들 사이로 안내되는데, 사이 간격이 확장되었던 회전 나이프(344)들은 제 2 압축 코일 스프링(352)의 작용에 의해 복귀되고 양파(O)의 껍질에는 칼집이 형성된다.
그리고 껍질에 칼집이 형성된 양파(O)가 나이프 아암(348)들 사이로 안내됨과 동시에 분사노즐(320)들에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압축공기가 분사되고, 이에 의해 칼집이 형성된 상태로 양파(O)의 몸통에 잔류하던 껍질은 제거된다(도 1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껍질 제거 영역에서 양파(O)의 껍질이 제거되면, 제 3 이송 실린더(316)는 제 3 이송 실린더 로드(318)를 복귀시켜 제 3 핑거 실린더(310)를 양파 배출 영역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양파(O)는 회전 나이프(344)들의 사이 간격을 확장시키면서 양파 로딩/배출 영역으로 안내되고, 껍질이 제거된 양파(O)가 양파 로딩/배출 영역으로 안내되면 제 3 핑거 실린더(310)는 양파(O)에 대한 파지를 해제해 양파(O)를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외부로 배출되는 양파(O)는 양파 로딩/배출 영역 하부에 배치된 바구니(도시되지 않음) 등에 담기게 된다.
그리고 양파 로딩/배출 영역 내에는 껍질 제거 영역에서 제거되지 못한 껍질 및 껍질 제거 영역에서 양파 로딩/배출 영역 측으로 비산하는 껍질을 불어 내는 통상의 에어커튼장치(330)가 배치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이송 경로를 따라 양파를 안내하면서 양파의 몸통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 및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의 몸통에 압축공기를 분사해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 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절단수단은,
    양파의 몸통에서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동시에 절단하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커터;
    상기 양파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커터들의 절단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커터 위치 조절부; 및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를 상기 커터 위치 조절부, 상기 커터들 측으로 순차적이게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하며 동시에 줄기 부분과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를 상기 껍질 제거수단으로 안내하는 절단용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 위치 조절부는,
    양파가 지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양파의 일측 및 타측에 접촉해 상기 커터들의 절단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조절로드;
    양파의 크기와 관계없이 양파의 일측 및 타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조절로드들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탄력 지지대; 및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를 상기 통로의 전단 측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로딩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탄력 지지대는,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이송 경로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일단 및 타단이 지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및 타측에 제공되는 하부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레일; 각각의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이송 경로에서 먼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의 상기 레일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이송 경로 측으로 탄력적이게 가압 지지하는 제 1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조절로드는 인접한 상기 슬라이더에 조절로드 서포터를 매개로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로딩로드들은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 상기 조절로드의 하부 측으로 배치되어 후단 측 외측이 상기 조절로드 서포터의 제 1 조절로드 지지편 내측에 용접 고정되며,
    각각의 상기 로딩로드의 전단 측은 상기 조절로드들의 전단 외측으로 연장되되,
    각각의 상기 로딩로드는 상기 로딩로드들의 전단 사이로는 공급된 양파가 상기 통로의 전단 측으로 굴러 안내될 수 있도록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낮아지게 만곡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이송부는,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양파를 파지하며,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이 절단된 양파를 상기 껍질 제거수단이 넘겨받을 수 있게 양파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는 제 1 핑거 실린더;
    자유단과 회전단을 가지는 바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자유단 측에는 상기 제 1 핑거 실린더가 고정되어 지지되고, 상기 회전단 측은 상기 커터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커터들과 마주하는 상부 프레임에 회전축을 매개로 선회 경로를 따라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회아암; 및
    헤드커버 측이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선회되도록 제 1 선회핀을 매개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고, 로드커버를 통해 출입하는 제 1 이송 실린더 로드의 연장단은 제 2 선회핀을 매개로 마주하는 상기 선회아암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제 1 핑거 실린더 및 상기 선회아암을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왕복 선회 이송시키는 제 1 이송 실린더;를 포함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핑거 실린더는,
    실린더 바디; 및
    2개의 핑거;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핑거에는 양파를 감싸 파지하는 반원형의 그리퍼 브라켓들이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그리퍼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로드들은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통로의 전단 측은 양파가 용이하게 상기 통로 진입할 수 있도록 확장되게 형성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로드 서포터들은,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제 1 조절로드 지지편; 및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 1 조절로드 지지편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조절로드 지지편;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 1 조절로드 지지편의 내측으로는 인접 배치된 상기 조절로드의 후단 측 외측이 용접 고정되며,
    각각의 상기 제 2 조절로드 지지편은 나사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들은,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상단을 따라 날부가 형성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면서 양파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인접한 상기 조절로드의 내측보다는 상기 이송 경로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터들의 전단 측은 인접한 상기 로딩로드의 후단 하부 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커터들은 전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형성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커터들은 상기 조절로드들과 연동하여 양파의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 서포터를 매개로 각각 인접한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터 서포터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 및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커터 지지편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3 커터 지지편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커터 지지편의 내측으로 상기 커터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이 나사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제 3 커터 지지편은 나사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양파 껍질 박리 장치.
KR1020200062740A 2020-05-26 2020-05-26 양파 껍질 박리 장치 KR10241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740A KR102414396B1 (ko) 2020-05-26 2020-05-26 양파 껍질 박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740A KR102414396B1 (ko) 2020-05-26 2020-05-26 양파 껍질 박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21A KR20210145921A (ko) 2021-12-03
KR102414396B1 true KR102414396B1 (ko) 2022-06-28

Family

ID=7886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740A KR102414396B1 (ko) 2020-05-26 2020-05-26 양파 껍질 박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305B1 (ko) * 2022-09-06 2024-04-05 이현경 구근식물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675A (ja) * 1997-06-18 1999-01-12 Shinji Nagaoka 玉葱のホルダー移動装置
KR200404417Y1 (ko) 2005-09-27 2005-12-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줄기뿌리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감지식 양파탈피기
KR101184870B1 (ko) 2011-02-14 2012-09-20 박준호 양파 껍질 제거기
KR20130142362A (ko) * 2012-06-19 2013-12-30 김기삼 양파 가공기
KR101499184B1 (ko) * 2013-03-21 2015-03-06 김순철 양파 가공장치
KR101415318B1 (ko) 2013-06-07 2014-07-04 주식회사 청하기계 양파 박피기
KR20150120538A (ko) 2014-04-17 2015-10-28 한영식 양파의 껍질까기와 뿌리 줄기 절단을 위한 장치
KR101675872B1 (ko) * 2014-06-18 2016-11-22 타프기계공업(주) 양파의 뿌리 및 줄기 자동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21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2559A (en) Peeling machine
KR102414396B1 (ko) 양파 껍질 박리 장치
CN209284277U (zh) 辣椒掰把机
WO2020005064A1 (en) Harvesting device
KR102414399B1 (ko) 양파 껍질 박리 장치
KR102469372B1 (ko) 양파 껍질 박리 장치
EP0327146B1 (en) Device for peeling onions or other bulbous or tuberous plants
EP2311328A1 (en) Device for removing a core from harvested heading plants
CN110216722A (zh) 食材切割刀具
EP0114715A1 (en) An industrial onion peeler
CN212394549U (zh) 水果处理设备、水果榨汁设备
US85796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 surface layer from animal food products
US4586409A (en) Slicing machine for cold cuts
CN211415389U (zh) 一种水果切瓣机的导向装置
CN218285856U (zh) 一种食品切片切断生产线
JP2003164273A (ja) 農作物皮剥ぎ装置
CN115464733B (zh) 一种富贵竹剥叶切段筛选多功能一体机
CN111530751B (zh) 一种利用桔子自重进行枝叶修剪设备
JP4205264B2 (ja) 結球野菜の切断装置
JP3945574B2 (ja) 玉ねぎの自動皮むき機
US2808864A (en) Apple celling and slicing machine
CA1241582A (en) Peeling machine
JP2002045162A (ja) 葱の根切り機構
US3373787A (en) Asparagus cutter
JPS5912073Y2 (ja) 燻煙用ケ−シングの結「あ」金具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