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036B1 - 잉크용 또는 도료용의 은분 - Google Patents

잉크용 또는 도료용의 은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036B1
KR102413036B1 KR1020207029990A KR20207029990A KR102413036B1 KR 102413036 B1 KR102413036 B1 KR 102413036B1 KR 1020207029990 A KR1020207029990 A KR 1020207029990A KR 20207029990 A KR20207029990 A KR 20207029990A KR 102413036 B1 KR102413036 B1 KR 102413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powder
silver
particles
coating fil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157A (ko
Inventor
우진 이
다카유키 가나모리
미치코 가미시마
Original Assignee
토쿠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쿠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쿠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9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2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characterised by a mixture of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or by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6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particles
    • B22F1/068Flake-lik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3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decomposition of metal compounds, e.g.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00Compounds of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62Metallic pigments or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1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in aqu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09D17/006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28Pigm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5Anti-sett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22F2301/255Silver or g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10Micron size particles, i.e. above 1 micrometer up to 5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6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a space-group or by other symmetry ind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8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stacking-plane distances or stacking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2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optical microscop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01P2004/24Nanoplates, i.e. plate-like particles with a thickness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4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aspect ratio, i.e. the ratio of sizes in the longest to the shortest dim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은분은, 주성분이 은인 다수의 입자(2)를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이 격자면 (111)인 입자(2)의 수의, 입자의 총수에 대한 비율은 95% 이상이다. 이 은분은 수분산성이다. 이 은분의 메디안 직경 D50은 0.1 μm 이상 10 μm 이하이며, 입경의 표준 편차는 5 μm 이하이며, 평균 두께 Tave는 300 nm 이하이며, 애스펙트비(D50/Tave)는 4 이상이다.

Description

잉크용 또는 도료용의 은분
본 발명은 잉크 및 도료에 적합한 은분에 관한 것이다.
금속 광택을 갖는 잉크에 알루미늄 입자가 이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입자를 함유하는 잉크는 은색을 띤다. 일본 특허 공개 2002-20668 공보에는, 표면 처리된 알루미늄막을 함유하는 잉크가 개시되어 있다. 알루미늄은 비교적 저렴하다. 알루미늄은 또한, 박막화 등의 가공이 이루어지기 쉽다.
환경을 배려하기 위해, 환경 부하 물질인 유기 용매의 사용을 규제하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잉크 및 도료의 분야에서도, 유기계 도료로부터 수계 도료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알루미늄 입자는 물 및 알코올과 용이하게 반응한다. 수계의 용매에 알루미늄 입자가 분산되면 급격한 반응이 생긴다. 특히, 작은 입자 직경을 갖는 알루미늄 입자에서는 반응이 생기기 쉽다. 큰 입자 직경을 갖는 알루미늄 입자에서는 반응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큰 입자 직경을 갖는 알루미늄 입자를 함유하는 잉크에서는, 색조는 은색이 아니라 백색에 가깝다. 알루미늄 입자는, 수계 용매에서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2002-38067 공보에는, 편평한 은 입자를 함유하는 수성 잉크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잉크는 은색이며 금속 광택을 갖는다. 은 입자의 물과의 반응성은 낮다. 이 수성 잉크는 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20668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2-38067 공보
일반적인 은 입자에서는, 입자 형상은 불균일하다. 이 잉크로부터 얻어진 도막은 평활성이 떨어진다. 이 도막에서는, 충분히 아름다운 은색의 색감을 얻기 어렵다.
색조의 개선에는 입자의 편평화가 유효하다. 편평화는, 통상은 볼밀 등의 연신 가공에 의해 달성된다. 이 연신 가공에는 윤활제가 이용되기 때문에, 편평 은 입자의 표면에 소수성 유기물이 부착된다. 이 유기물은 입자의 물에 대한 분산성을 저해한다. 연신 가공에 의해 입자의 표면 거칠기가 커지는 경우도 있다. 큰 거칠기는 광의 난반사를 초래한다. 난반사에 의해, 금속 광택이 손상된다.
입자의 미세화는 도막의 평활성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미세한 입자에서는, 소위 표면 플라즈몬 공명에 의해, 광의 흡수가 발생한다. 이 흡수에 의해, 도막의 색조는 황색감 또는 흑색감을 띤다. 이 도막에서는, 충분히 아름다운 은색의 색감을 얻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는, 잉크로 얻어진 도막뿐만 아니라, 도료로 얻어진 도막에서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관이 우수한 도막이 얻어지는 은분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용 또는 도료용의 은분은, 주성분이 은인 다수의 입자를 포함한다.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이 격자면 (111)인 입자의 수의, 입자의 총수에 대한 비율은 95%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은분은 수분산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은분의 메디안 직경 D50은 0.1 μm 이상 10 μ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은분의 입경의 표준 편차는 5 μ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은분의 평균 두께 Tave는 300 n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은분의 애스펙트비(D50/Tave)는 4 이상이다.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잉크는 은분을 포함한다. 이 은분은, 그 재질이 은인 다수의 입자를 포함한다.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이 격자면 (111)인 입자의 수의, 입자의 총수에 대한 비율은 95% 이상이다.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료는 은분을 포함한다. 이 은분은, 그 재질이 은인 다수의 입자를 포함한다.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이 격자면 (111)인 입자의 수의, 입자의 총수에 대한 비율은 95% 이상이다.
은의 결정 구조는 면심 입방 격자이다. 면심 입방 격자에서는, 격자면 (111)에서 원자의 밀도가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은분은 플레이크형이며 최대 평면은 격자면 (111)이다. 따라서, 도막에서의 광의 반사율이 높다. 이 은분은 도막의 경면성 및 광택성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은분의 입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이 도시된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은분은 다수의 입자의 집합체이다. 도 1에, 이 입자(2)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입자(2)는 플레이크형이다. 이 입자(2)는 단결정 구조를 갖는다.
이 입자(2)의 재질은 은이다. 이 입자(2)를 포함하는 도막은 은색을 띤다. 이 도막은 고급감이 우수하다. 이 도막은 외관이 우수하다.
은의 결정 구조는 면심 입방 격자이다. 면심 입방 격자에서는, 격자면 (111)에서 원자의 밀도가 높다. 도 1에서 부호 4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최대 평면(4)이다. 최대 평면(4)은, 입자(2)가 갖는 평면 중에서 가장 면적이 큰 평면이다. 이 최대 평면(4)은 격자면 (111)이다.
도막에서 입자(2)는, 최대 평면(4)이 도막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자세를 취한다. 바꾸어 말하면, 입자(2)의 두께 방향은 도막의 두께 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도 2에는, 입자(2)를 포함하는 도막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입자(2)의 입경은 대략 1.5 μm 내지 2.5 μm이다.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도막의 인쇄 표면이다.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입자(2)의 두께 방향은 도막의 두께 방향(도 2에서의 상하 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입자(2)의 두께 방향이 도막의 두께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도막에서는, 도막의 표면이 격자면 (111)과 거의 일치한다. 이 도막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크다. 이 도막은 경면성 및 광택성이 우수하다.
은분이,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4)이 격자면 (111)인 입자(2)와 함께, 다른 은 입자를 포함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은분에서의,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4)이 격자면 (111)인 입자(2)의 수의, 입자의 총수에 대한 비율 P1은 95% 이상이다. 이 비율 P1은, 97%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는, 비율 P1은 100%이다.
이 입자(2)는, 지방산과 같은 소수성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을 그 표면에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이 입자(2)는 수계 용매에 분산될 수 있다. 이 입자(2)는, 수계 잉크 중에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 입자(2)는 또한, 수계 도료 중에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 입자(2)는, 환경성이 우수하다.
이 입자(2)가, 그 표면에 친수성 유기물의 층을 가져도 좋다. 이 층은, 입자(2)의 수계 용매에 대한 분산성을 높인다. 입자(2)가 친수성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경우에도, 입자(2)의 주성분은 은이다. 구체적으로는, 입자(2)에서의 은의 함유율은 98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9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은분의 메디안 직경 D50은, 0.1 μm 이상 10 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메디안 직경 D50이 0.1 μm 이상인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 생기기 어렵다. 이 도막에서는 색조의 황색화 및 흑색화가 억제된다. 이 도막은 아름다운 은색을 띤다. 메디안 직경 D50이 10 μm 이하인 은분을 포함하는 잉크 및 도료는 도포성이 우수하다. 또한, 메디안 직경 D50이 10 μm 이하인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은분의 밀도가 높다. 이 도막의 표면은 거칠지 않다. 이 도막은 광의 반사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 도막은 경면성 및 광택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디안 직경 D50은 8 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μ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메디안 직경 D50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예컨대 호리바 제작소사의 「LA-950V2」)에 의해 측정된다.
이 은분의 입경의 표준 편차 σD는 5 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표준 편차 σD가 5 μm 이하인 은분에서는, 입경이 100 nm 이하인 입자(2)의 함유율이 작다. 이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 생기기 어렵다. 이 도막에서는, 색조의 황색화 및 흑색화가 억제된다. 이 도막은 아름다운 은색을 띤다. 이 관점에서, 표준 편차 σD는 4 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μ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은분의 평균 두께 Tave는 300 nm 이하가 바람직하다. 평균 두께 Tave가 300 nm 이하인 은분을 함유하는 도막에서는, 다른 입자(2)와 부분적으로 중복된 입자(2)의 기울기가 억제된다. 이 도막에서는, 이 도막의 두께 방향과 입자(2)의 두께 방향이 일치하기 쉽다. 이 도막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크다. 이 도막은 경면성 및 광택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평균 두께 Tave는 200 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n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입자(2)의 강도 및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평균 두께 Tave는 5 nm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n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평균 두께 Tave는, 무작위로 추출된 100개의 입자의 두께 T(도 1 참조)가 평균됨으로써 산출된다. 각각의 두께 T는, SEM 사진에 기초하여 육안으로 계측된다. 두께 T는, 최대 평면(4)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측정된다.
은분의 애스펙트비(D50/Tave)는 4 이상이 바람직하다. 애스펙트비(D50/Tave)가 4 이상인 은분을 함유하는 도막에서는 표면이 거칠지 않다. 또한 이 도막에서는, 이 도막의 두께 방향과 입자의 두께 방향이 일치하기 쉽다. 이 도막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크다. 이 도막은 경면성 및 광택성이 우수하다. 더구나, 이 도막에서는 광의 흡수 파장은 장파장이다. 따라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 생기기 어렵다. 이 도막에서는 색조의 황색화 및 흑색화가 억제된다. 이 도막은 아름다운 은색을 띤다. 이러한 관점에서, 애스펙트비(D50/Tave)는 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자의 강도 및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애스펙트비(D50/Tave)는 1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입자(2)의 최대 평면(4)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10 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입자(2)의 최대 평면(4)은 평활하다. 이 입자(2)를 함유하는 도막에서는, 광의 난반사가 억제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8 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n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이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1 nm 이상이 바람직하다.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원자간력 현미경(AFM)에 의해 측정된다. AFM은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의 일종이다. AFM은, 캔틸레버와, 이 캔틸레버의 선단에 부착된 탐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탐침이 입자(2)의 표면을 주사한다. 시료와 탐침의 원자간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캔틸레버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변위가 계측된다. 이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입자(2)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AFM으로서, 시마즈 제작소사의 「SPM-9600」이 사용된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모드: 컨택트 모드
캔틸레버: 올림푸스사의 OMCL-TR800PSA-1
해상도: 512×512 픽셀
높이 방향 분해능: 0.01 nm
가로 방향 분해능: 0.2 nm
산술 평균 거칠기 Ra의 측정 거리는 2 μm이다. 최대 평면(4)에서, 2 μm의 거리에 걸친 측정이 어려울 때에는, 이 최대 평면(4)에서 가능한 한 큰 거리에 걸쳐 측정이 이루어진다.
무작위로 추출된 10개의 입자(2)의 각각에 관해, 최대 평면(4)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측정된다. 이 10개의 거칠기 Ra가 평균된다. 이 평균은 은분으로서의 거칠기 Ra이다.
이 은분의 제조 방법에서는, 액체인 캐리어에, 분산제에 의해 은화합물이 분산된다. 전형적인 은화합물은 옥살산은이다. 옥살산은은, 원료인 은화합물의 수용액과, 옥살산 화합물(oxalate compound)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반응에 의해 얻어진 침전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되어, 옥살산은의 은분이 얻어진다.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다는 관점에서, 캐리어로서 친수성의 액체가 이용된다. 바람직한 캐리어의 구체예로서 물 및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물 및 알코올의 비점은 낮다. 물 및 알코올이 이용된 분산액에서는, 용이하게 압력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코올은,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및 프로필알코올이다. 캐리어에 2종 이상의 액이 병용되어도 좋다.
옥살산은은 실질적으로는 캐리어에 용해되지 않는다. 옥살산은은 캐리어에 분산된다. 초음파 처리에 의해, 분산이 촉진될 수 있다. 분산제에 의해서도 분산이 촉진될 수 있다.
이 분산액이, 압축 공기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교반되면서 가열된다. 가열에 의해, 하기 식으로 나타낸 반응이 일어난다. 바꾸어 말하면, 옥살산은이 열로 분해된다.
Ag2C2O4 = 2Ag + 2CO2
이 분산액 중에 은이 입자(2)로서 석출된다.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4)이 격자면 (111)인 입자(2)를 얻는 수단으로서,
(1) 분산액에서의 옥살산은의 농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것
(2) 소정의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
(3) 가열 시의 압력을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것
(4) 교반 속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액에서의 옥살산은의 농도는 0.1 M 이상 1.0 M 이하가 바람직하다. 농도가 상기 범위 내인 분산액으로부터,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4)이 격자면 (111)인 입자(2)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농도가 상기 범위 내인 분산액으로부터, 입도 분포가 작은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입도 분포가 작은 은분에서는 입경이 100 nm 이하인 입자(2)의 함유율이 작다. 이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 생기기 어렵고, 색조의 황색화 및 흑색화가 억제된다. 이 도막은 아름다운 은색을 띤다. 더구나, 이 분산액으로부터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작은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광의 난반사가 억제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농도는 0.2 M 이상 0.7 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분산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친수성 분산제이다. 이 분산제에 의해,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4)이 격자면 (111)인 입자(2)를 얻을 수 있다. 입자(2)가 그 표면에 갖는 전술한 유기물층의 성분은 이 친수성 분산제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분산제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폴리비닐피롤리돈,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폴리에틸렌이민,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이 예시된다. 부피가 큰 분산제는 입자(2)의 결정 성장을 나노오더로 억제한다. 이러한 분위기하에 옥살산은을 열분해하면, 은의 입자(2)는 에너지적으로 가장 안정된 구조인 (111)면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성장한다. 그 결과, 애스펙트비가 크고 최대 평면(4)이 격자면 (111)인 입자(2)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분산액으로부터 생성된 분말은, 수계 용매 중에서 충분히 분산된다. 또한, 입자(2)의 표면에 부착된 분산제는, 도포 시의 인쇄면의 거칠기(까칠함)를 코팅한다. 이것에 의해, 인쇄면에서의 광의 산란을 저감하고, 광택성을 향상시킨다.
옥살산은의 분해 반응 시의 분위기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위기에서의 분해 반응에 의해,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4)이 격자면 (111)인 입자(2)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분위기에서의 분해 반응에 의해, 입도 분포가 작은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입도 분포가 작은 은분에서는 입경이 100 nm 이하인 입자(2)의 함유율이 작다. 이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 생기기 어렵고, 색조의 황색화 및 흑색화가 억제된다. 이 도막은 아름다운 은색을 띤다. 더구나, 이 분위기에서의 분해 반응에 의해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작은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광의 난반사가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압력은 2 kgf/㎠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압력은 10 kgf/㎠ 이하가 바람직하다.
옥살산은의 분해 반응 시의 교반 속도는 100 rpm 이상이 바람직하다. 100 rpm 이상의 속도로 교반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4)이 격자면 (111)인 입자(2)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00 rpm 이상의 속도로 교반하는 것에 의해, 미소 입자(2)끼리의 응집이 억제된다. 따라서, 입도 분포가 작은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입도 분포가 작은 은분에서는 입경이 100 nm 이하인 입자(2)의 함유율이 작다. 이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 생기기 어렵고, 색조의 황색화 및 흑색화가 억제된다. 이 도막은 아름다운 은색을 띤다. 더구나, 100 rpm 이상의 속도로 교반하는 것에 의해 애스펙트비(D50/Tave)가 큰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 은분을 포함하는 도막에서는 표면이 거칠지 않다. 또한 이 도막에서는, 이 도막의 두께 방향과 입자의 두께 방향이 일치하기 쉽다. 이 도막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크다. 이 도막은 경면성 및 광택성이 우수하다. 더구나, 이 도막에서는 광의 흡수 파장은 장파장이다. 따라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 생기기 어렵다. 이 도막에서는, 색조의 황색화 및 흑색화가 억제된다. 이 도막은 아름다운 은색을 띤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반 속도는 130 rpm 이상이 바람직하다. 교반 속도는 1000 rpm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은분이 수계 용매 중에 분산됨으로써, 수계 잉크, 수계 도료 등을 얻을 수 있다. 이 수계 잉크, 수계 도료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도막은 아름다운 은색을 띤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명확해지지만, 이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1 L의 증류수에 50 g의 질산은을 용해시켜 제1 용액을 얻었다. 한편, 1 L의 증류수에 22.2 g의 옥살산을 용해시켜 제2 용액을 얻었다.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하여 옥살산은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얻었다. 이 혼합액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1 L의 혼합액에 1.5 g의 폴리비닐피롤리돈(중량 평균 분자량 10000)을 첨가하고, 초음파를 가하면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이것에 의해 옥살산은을 분산시켰다. 이 분산액에 적량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이 분산액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였다. 이 분산액을 0.5 MPa의 압력으로 가압하였다. 이 분산액을 15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30℃까지 가열하였다. 이 온도하에 30분간 교반하여,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소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를 얻었다.
[실시예 2]
폴리비닐피롤리돈 대신 1.0 g의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25000)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소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를 얻었다.
[실시예 3]
폴리비닐피롤리돈 대신 3.0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중량 평균 분자량: 5000)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소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를 얻었다.
[비교예 1]
폴리비닐피롤리돈 대신 5.0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중량 평균 분자량: 400)을 첨가하고, 반응 시의 교반 속도를 300 rpm으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소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를 얻었다.
[비교예 2]
액상 환원법으로, 은으로 이루어지며 구형인 미소 입자 분산액을 얻었다.
[비교예 3]
은으로 이루어지며 구형인 미소 입자를, 볼밀로 플레이크형으로 가공하였다. 볼밀로 가공할 때에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소수성 유기물을 첨가하여 가공하였다.
[도막의 제작]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각각의 액체와 순수를 혼합하여, 수계 잉크를 얻었다. 비교예 3의 미소 입자와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유기계 잉크를 얻었다. 이들 잉크를 각각, 스핀코터로 판에 도포하여 도막을 얻었다. 도막의 형상은 세로가 25 mm이며 가로가 30 mm인 직사각형이었다.
[반사 특성]
도막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서 등급을 매겼다.
A: 거울처럼 상(像)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B: 상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C: 상을 확인할 수 있지만, 부옇다.
D: 불투명 유리처럼 상이 분명하지 않다.
이 결과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광택성]
도막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서 등급을 매겼다.
A: 매우 광택이 있다.
B: 광택이 있다.
C: 약간 흐리다.
D: 매우 흐리다.
이 결과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색조]
도막의 색조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20110361312-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은분을 함유하는 도막은 미관이 우수하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우위성은 명확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은분은 여러가지 도료 및 잉크에 적용될 수 있다.
2: 입자
4: 최대 평면

Claims (8)

  1. 은을 포함하는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고 있고,
    플레이크형이고 단결정 구조를 가지며, 그 최대 평면이 격자면 (111)인 입자의 수의, 입자의 총수에 대한 비율이 95% 이상인, 잉크용 또는 도료용의 은분.
  2.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인 은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 메디안 직경 D50이 0.1 μm 이상 10 μm 이하인 은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 입경의 표준 편차가 5 μm 이하인 은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 평균 두께 Tave가 300 nm 이하인 은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 애스펙트비(D50/Tave)가 4 이상인 은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은분을 포함하는 잉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은분을 포함하는 도료.
KR1020207029990A 2018-03-29 2019-02-13 잉크용 또는 도료용의 은분 KR102413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4197A JP6467542B1 (ja) 2018-03-29 2018-03-29 インク用又は塗料用の銀粉
JPJP-P-2018-064197 2018-03-29
PCT/JP2019/005037 WO2019187718A1 (ja) 2018-03-29 2019-02-13 インク用又は塗料用の銀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57A KR20200129157A (ko) 2020-11-17
KR102413036B1 true KR102413036B1 (ko) 2022-06-23

Family

ID=6535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990A KR102413036B1 (ko) 2018-03-29 2019-02-13 잉크용 또는 도료용의 은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31262A1 (ko)
EP (1) EP3730232A4 (ko)
JP (1) JP6467542B1 (ko)
KR (1) KR102413036B1 (ko)
CN (1) CN111918736B (ko)
WO (1) WO201918771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6481A (ja) 2010-08-11 2012-02-2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扁平銀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96527A (ja) * 2013-03-29 2014-10-16 トクセン工業株式会社 フレーク状の微小粒子
JP2015134935A (ja) 2015-04-01 2015-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水系インク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記録物
JP2016505284A (ja) * 2012-10-26 2016-02-25 ナノコンポジ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準安定的な銀ナノ粒子複合体
WO2016125355A1 (ja) 2015-02-06 2016-08-11 トクセン工業株式会社 導電性の微小粒子
JP2017036465A (ja) 2015-08-07 2017-02-16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フレーク状銀粒子の集合体及び該銀粒子の集合体を含有するペース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668A (ja) 2000-07-13 2002-01-23 Dainippon Ink & Chem Inc 高輝度印刷インキ
JP2002038067A (ja) 2000-07-24 2002-02-06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用水性インキ
JP2005048250A (ja) * 2003-07-30 2005-02-24 Dowa Mining Co Ltd 金属磁性粒子の集合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4625980B2 (ja) * 2004-08-16 2011-02-02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fcc構造を有する磁気記録媒体用合金粒子粉末の製造法
TWI428285B (zh) * 2011-08-05 2014-03-01 China Steel Corp 微米級片狀銀粒及其製造方法
JP6900148B2 (ja) * 2013-10-22 2021-07-07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銀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16031773A (ja) * 2014-07-30 2016-03-07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6404261B2 (ja) * 2016-05-17 2018-10-10 トクセン工業株式会社 銀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6481A (ja) 2010-08-11 2012-02-2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扁平銀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05284A (ja) * 2012-10-26 2016-02-25 ナノコンポジ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準安定的な銀ナノ粒子複合体
JP2014196527A (ja) * 2013-03-29 2014-10-16 トクセン工業株式会社 フレーク状の微小粒子
WO2016125355A1 (ja) 2015-02-06 2016-08-11 トクセン工業株式会社 導電性の微小粒子
JP2015134935A (ja) 2015-04-01 2015-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水系インク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記録物
JP2017036465A (ja) 2015-08-07 2017-02-16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フレーク状銀粒子の集合体及び該銀粒子の集合体を含有するペー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18736B (zh) 2022-11-08
CN111918736A (zh) 2020-11-10
KR20200129157A (ko) 2020-11-17
EP3730232A4 (en) 2021-08-18
JP6467542B1 (ja) 2019-02-13
US20210031262A1 (en) 2021-02-04
EP3730232A1 (en) 2020-10-28
JP2019173120A (ja) 2019-10-10
WO2019187718A1 (ja)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5383B1 (ja) 薄片状インジウム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光輝性顔料、並びに水性塗料、水性インク、及び塗膜
US10071426B2 (en) Coated metal fine p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645286B2 (en) Iron effect pigments
KR101430280B1 (ko) 협소한 두께 분포를 갖는 얇은 알루미늄 안료, 그 제조 방법, 및 알루미늄 안료의 용도
EP2305402B1 (en) Method for producing silver-containing powder and conductive paste using the same
JP2004124069A (ja) シリカ被覆アルミニウム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CA2039949C (en) Aluminum pigmen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2413036B1 (ko) 잉크용 또는 도료용의 은분
JP7117010B2 (ja) 鱗片状インジウム粒子、分散液、インク、並びに塗膜の製造方法
EP3464451A1 (en) Article having amphiphobic coating film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Liu et al. Rapid fabrication of large-area nanoparticle monolayer films via water-induced interfacial assembly
US11292916B2 (en) Aluminum pigment, method for producing aluminum pigment,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luminum pigment, coating film, article having the coating film, ink composition, and printed product
JP4315791B2 (ja) メタリック塗料組成物
JP7070424B2 (ja) 硫酸バリウム粉体及び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
JP7388069B2 (ja) メタリック塗液及び被塗工物
JP4484503B2 (ja) アルミニウム顔料の製造方法
WO2024101458A1 (ja) 青色顔料、分散液、塗料、インク、並びに塗膜及びその製造方法
Jaiswal et al. Studies on Polymet Nanocomposites Containing Cadmum (cds/PVA) Based Quantum Dots
JP2021119037A (ja) 金属銀含有構成物及び金属銀含有構成物の製造方法
JP2022185820A (ja) アルミニウム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440868A (zh) 铜粉及其制造方法
JP2020101733A (ja) 赤外線反射薄膜及びこれを形成するためのインク、並びに赤外線反射薄膜を備える赤外線反射シール及び赤外線反射体、並びに該赤外線反射体を備えた建築物又は乗り物
JP2018135460A (ja) リーフィングアルミニウム顔料、リーフィングアルミニウム顔料の製造方法、リーフィングアルミニウム顔料を含む塗料組成物、塗膜、当該塗膜を有する物品、インキ組成物、及び印刷物
Pandiyarasan et al. Optical and Structural Studies of Graphene Oxide-Zinc Oxide Blend Nanoparticles for Optoelectronics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