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345B1 - 작업 테이블 조립체 - Google Patents

작업 테이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345B1
KR102412345B1 KR1020200133758A KR20200133758A KR102412345B1 KR 102412345 B1 KR102412345 B1 KR 102412345B1 KR 1020200133758 A KR1020200133758 A KR 1020200133758A KR 20200133758 A KR20200133758 A KR 20200133758A KR 102412345 B1 KR102412345 B1 KR 10241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ounting plate
state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9985A (ko
Inventor
이제형
김세홍
강승범
Original Assignee
(주)대일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대일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3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3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작업 테이블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가공 장치의 설치 패널에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는 작업 테이블 조립체로서, 상기 설치 패널에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일정 거리두고 배치되고 일정각도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의 절첩에 따라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를 이루는 테이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테이블 조립체{WORKTABLE ASSEMBLY}
본 발명은 작업 테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작업 테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전자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해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전자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서는 전기 및 전자 부품의 소형화는 물론이고, 제조 공정에 필요한 구조물을 보다 박형화하고 소형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최근들어 경량이면서 강도가 우수한 강화 알루미늄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가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 알루미늄 재질의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가공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10515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8319호(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중, 특허문헌 1의 휴대폰 케이스 가공 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승강패널, 승강패널을 왕복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수단, 승강패널의 상단에 마련되고 휴대폰 케이스를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 고정수단을 휴대폰 케이스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수단, 및 본체에 마련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양단에 마련된 롤을 선회하면서 휴대폰 케이스의 표면을 샌딩하는 샌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의 휴대폰 케이스의 가공기술은, 좌, 우측면이 곡률을 가지고 앞면과 뒷면이 평면인 튜브 형태의 알루미늄 케이스가 가공되는 핸드폰 케이스의 프레스 가공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 앞면이 프레스로 절단되며, 상기 케이스 앞면과 좌,우측면의 경계선에서 절단선 사이로 여유부가 형성되는 앞면 절단단계; 상기 케이스 뒷면 상,하부가 프레스로 절단되어 상기 케이스 좌,우측면의 상,하로 여유부가 형성되는 뒷면 상, 하부 절단단계; 상기 케이스 좌측면이 경사지게 세워지고 프레스로 절단되며, 상기 케이스 우측면에 위치한 여유부가 절단되는 우방향 절단단계; 상기 케이스 우측면이 경사지게 세워지고 프레스로 절단되며, 상기 케이스 좌측면에 위치한 여유부가 절단되는 좌방향 절단단계; 및 상기 케이스 뒷면 중앙부가 프레스로 절단되는 뒷면 중앙부 절단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휴대폰 가공장치들에는 작업자가 공구들, 가공틀, 작업 베이스기구, 가공 제품 등을 임시로 거치할 수 있도록 테이블 형태의 작업대를 가공장치 주변에 두고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통상의 테이블 형태의 작업대는 이동성 확보를 위해 바닥에 이송휠이 장착되고 작업자의 허리 높이 정도의 높이를 갖는 테이블이나 서랍장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형 작업대는 통상적으로 좁은 작업환경에서 작업시 걸리적거리는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경우가 종종있으며, 바닥에 장착된 이송휠의 고정이 어려워 작업도중에 원래의 위치를 벗어나 이탈하거나, 작업 중에 유동되어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105156호(공개일자: 2010년 9월 29일)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8319호(공고일자: 2011년 5월 31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가공장치에 설치되어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작업 테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공 장치의 설치 패널에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는 작업 테이블 조립체로서, 상기 설치 패널에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일정 거리두고 배치되고 일정각도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의 절첩에 따라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를 이루는 테이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작업 테이블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테이블 부재의 하면에 장착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말단에 제1 회전핀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중간에 지지 말단이 회전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에 지지 선단이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 부재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중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는 해재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지지선단이 상기 고정홈에 지지된 상태로부터 상기 지지선단을 이탈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제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일정반경으로 선회되게 설치되고, 상기 해제부재의 선단에는 누름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누르면 상기 해제부재가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지지선단을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누름부재와 상기 제2 브라켓의 누름부재를 사이를 연결하도록 누름 연동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누름 연동 부재는, 상기 테이블 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된 누름 안내 요소, 상기 누름 안내 요소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버튼, 상기 누름버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누름부재에 상기 타단이 연결된 연동바, 및 상기 연동바와 상기 테이블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수축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장치의 설치 패널에 장착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이 장착 플레이트에 절첩이 가능한 복수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테이블 부재를 가공 장치에서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를 설정하거나 접혀진 상태를 설정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 조립체를 하부 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 조립체의 브라켓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 조립체의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 조립체의 테이블 부재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 조립체의 테이블 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7은 도 6을 측면에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되도록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 조립체는 가공 장치(100)의 설치 패널(150)에 제1 작업 테이블 조립체(210)와 제2 작업 테이블 조립체(220)가 설치된다. 여기서 가공장치는 휴대폰 케이스와 같은 알루미늄 금형을 절삭 가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 밀링 장치의 조작을 위한 조작 패널(120)와,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 공간(130), 및 자동 가공시 절삭 칩(Chip)들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부재(11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공 장치(100)의 전방으로 설치 패널(150)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설치 패널(150)의 전방에 작업자가 배치되어 수작업으로 가공물을 교체하거나 공구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설치 패널(150)의 양측에는 절첩방식의 작업 테이블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치 패널(1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 작업 테이블 조립체(210)와 제2 작업 테이블 조립체(220)가 배치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이들 작업 테이블 조립체가 절첩된 상태(미사용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작업 테이블 조립체는 가공 장치(100)의 설치 패널(150)에서 테이블 부재(10)가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루도록 장착 플레이트(20)의 양측에 각각 제1 브라켓(30a)과 제2 브라켓(30b)이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들 브라켓(30a 및 30b)는 테이블 부재(10)의 하부에 장착된 제1 프레임(31)과, 장착 플레이트(20)에 장착된 제2 프레임(32)과,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3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31)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1 고정홈(31a)과 제2 고정홈(31b)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33)은 제2 프레임(32)에 선회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1 프레임(31)의 고정홈(31a 또는 31b)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프레임(31)의 내부에는 지지 프레임(33)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부재(46)가 설치되는데, 해제 부재(46)의 선단에는 누름부재(40)가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31)의 말단과 제2 프레임(32)의 말단은 제1 회전핀(P1)을 기점으로 90도 반경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33)의 지지말단(33b)은 제2 회전핀(P2)을 매개로 제2 프레임(32)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33)의 중간에는 스프링(S1)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스프링(S1)의 타단은 제2 프레임(32)의 선단측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 프레임(33)을 제2 프레임(32) 측으로 당기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
한편 지지 프레임(33)의 지지선단(33a)은 제1 프레임(31)에 형성된 고정홈(도 4의 제2 고정홈; 31b)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프레임(310)는 제2 프레임(32) 측으로 절첩되지 못한 상태(즉 테이블 부재(1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누름부재(40)를 누르면, 해체부재(46)는 중간의 안내핀(45)을 기준으로 누름판(47)의 선단측이 누름부재(40)에 의해 상부측으로 상승되는 반면, 누름판(47)의 말단측이 하부측으로 하강되어 지지 프레임(33)의 지지선단(33a)을 제2 고정홈(31b)에서 들어 올리도록 작동된다(도 4 참조).
이 경우 지지 프레임(33)은 스프링(S1)의 탄성력에 반하여 지지선단(33a)이 들어 올려지게 되어 제2 고정홈(31b)에서 고정상태가 이탈되며, 그로 인해 제1 프레임(31)을 제2 프레임(32) 측으로 절첩시킬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제1 프레임(31)을 제2 프레임(32) 측으로 완전하게 절첩(도 5의 상태로 절첩)시킬 수도 있지만, 지지 프레임(33)의 지지선단(33a)을 제1 프레임(31)의 제1 고정홈(31a)에 안착시킴으로써 테이블 부재(10)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절첩시킬 수도 있다.
즉 누름부재(40)를 누른 상태에서 테이블 부재(10)를 도 5와 같이 완전하게 절첩시킨 상태까지 이동시키거나, 제2 고정홈(31b)에서 지지선단(33a)을 이탈시킨 다음 누름부재(40)에 누름력을 가하지 않게 되면,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 프레임(33)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공정홈(31a)의 안내홈을 따라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해제 부재(46)에는 대략 'ㄷ'자로 절곡된 수용턱(48)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턱(48)은 제1 프레임(31)이 제2 프레임(32)에 완전하게 포개진 상태까지 절첩되면 지지 프레임(33)의 지지선단(33a)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지지 프레임(33)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사용자)가 도 1과 같이 작업 테이블 조립체(210,220)가 절첩된 상태에서 테이블 부재(10)를 들어 올리는 동작만으로 테이블 부재(10)를 설치 패널(150)에 대해 수직 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시킬 수 있다(도 2의 상태).
한편 작업자가 테이블 부재(10)를 다시 절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펼쳐진 상태의 테이블 부재(10)의 하면에 위치한 브라켓의 누름부재(40)를 눌러서 지지 프레임(33)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테이블 부재(10)를 하방으로 선회시키면, 도 5와 같이 다시 원상태로 테이블 부재(10)를 절첩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 조립체는 제1 브라켓(30a)과 제2 브라켓(30b) 사이에 누름 연동 부재(50a,50b)가 설치된다.
여기서 누름 연동 부재(50a,50b)는 테이블 부재(10)의 하면에서 설치된 누름 안내 요소(51)와, 누름 안내 요소(51)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 버튼(52), 누름버튼(52)에 일단이 연결되고 누름부재(40)에 타단이 연결된 연동바(53) 및 연동바(53)가 눌러지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S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누름 연동 부재(50a,50b)는 테이블 부재(10a,10b)의 하면에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브라켓(30a,30b)의 펼쳐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동작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직관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사용상 편의성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업 테이블 조립체는 가공장치(100)의 설치 패널(150)에 장착 플레이트(20)를 설치하고 이 장착 플레이트(20)에 절첩이 가능한 복수의 브라켓(30a,30b)을 설치하여 테이블 부재(10)를 가공장치(100)에서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를 설정하거나 접혀진 상태를 설정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테이블 부재
20: 장착 플레이트
30a: 제1 브라켓
30b: 제2 브라켓
31: 제1 프레임
31a: 제1 고정홈
31b: 제2 고정홈
32: 제2 프레임
33: 지지 프레임
33a: 지지 선단
33b: 지지 말단
40: 누름 부재
45: 안내 핀
46: 해제 부재
47: 누름판
48: 수용턱
50a: 제1 누름 연동 부재
50b: 제2 누름 연동 부재
51: 누름 안내요소
52: 누름 버튼
53: 연동 바(bar)
100: 가공장치
110: 도어 부재
120: 조작 패널
130: 가공 공간
150: 설치 패널
210: 제1 작업 테이블 조립체
220: 제2 작업 테이블 조립체

Claims (5)

  1. 가공 장치의 설치 패널에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는 작업 테이블 조립체로서,
    상기 설치 패널에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일정 거리두고 배치되고 일정각도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연결된 테이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테이블 부재의 하면에 장착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말단에 제1 회전핀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중간에 지지 말단이 회전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지지 선단이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 부재의 펼쳐진 각도와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중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는 해제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지지선단이 상기 고정홈에 지지된 상태로부터 상기 지지선단을 이탈시키며,
    상기 해제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일정반경으로 선회되게 설치되고, 상기 해제부재의 선단에는 누름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누르면 상기 해제부재가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일정반경으로 선회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지지선단을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해제부재의 중간에는 수용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턱은 상기 제1 프레임이 상기 제2 프레임에 완전하게 포개진 상태까지 절첩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지지선단을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누름부재와 상기 제2 브라켓의 누름부재를 사이를 연결하도록 누름 연동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테이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연동 부재는, 상기 테이블 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된 누름 안내 요소, 상기 누름 안내 요소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버튼, 상기 누름버튼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누름부재에 타단이 연결된 연동바, 및 상기 연동바와 상기 테이블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수축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테이블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33758A 2020-10-15 2020-10-15 작업 테이블 조립체 KR10241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758A KR102412345B1 (ko) 2020-10-15 2020-10-15 작업 테이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758A KR102412345B1 (ko) 2020-10-15 2020-10-15 작업 테이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985A KR20220049985A (ko) 2022-04-22
KR102412345B1 true KR102412345B1 (ko) 2022-06-24

Family

ID=8145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758A KR102412345B1 (ko) 2020-10-15 2020-10-15 작업 테이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991B1 (ko) 2023-03-20 2024-01-11 주식회사성원기업 선박용 전기 집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637A (ja) * 2002-03-05 2003-09-09 Mass-Set Co Ltd 折畳脚柱のロ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350A (ja) * 1994-02-04 1995-08-15 Atom Corp 医療用サイド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637A (ja) * 2002-03-05 2003-09-09 Mass-Set Co Ltd 折畳脚柱のロック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991B1 (ko) 2023-03-20 2024-01-11 주식회사성원기업 선박용 전기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985A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2754B2 (en) Apparatus for use with power tools
KR102412345B1 (ko) 작업 테이블 조립체
JP4394611B2 (ja) ルーフガラス移載治具
US20120085882A1 (en) Lifting machine base assembly for a machine tool
JPWO2018229963A1 (ja) ヘミング加工装置及びヘミング加工方法
TWI607723B (zh) 滑軌總成
WO2014171064A1 (ja) ワーク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ワーク搬送方法
CN109382732A (zh) 角部磨削机工装
KR101859158B1 (ko) 차량용 도어힌지 조립지그
CN101405532A (zh) 支撑装置
JP2002219518A5 (ko)
JP4634094B2 (ja) ヘミング加工方法
JP3812342B2 (ja) ヘミング方法およびヘミング装置
TW201819074A (zh) 框架式桌鋸機
JP3832892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
TWI621491B (zh) 具有可收折式底座之桌鋸機
JP6514247B2 (ja) 製造方法、ワーク保持装置および加工装置
JP4396609B2 (ja) 主軸ピックアップ旋盤
US6427510B2 (en) Bending and hemm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92278A (ja) 車両シートの搭載装置
JP2927380B2 (ja) ヘミング装置
JP3643431B2 (ja) プレス装置
TWI727626B (zh) 用於桌鋸機之輔助支撐架
KR102075352B1 (ko) 비계 수평재 용접장치
CN218556087U (zh) 一种带限位组件的电焊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