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206B1 -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 - Google Patents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206B1
KR102412206B1 KR1020177016106A KR20177016106A KR102412206B1 KR 102412206 B1 KR102412206 B1 KR 102412206B1 KR 1020177016106 A KR1020177016106 A KR 1020177016106A KR 20177016106 A KR20177016106 A KR 20177016106A KR 102412206 B1 KR102412206 B1 KR 10241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vehicle
operator
fin
palm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528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바벨
야메스 파우. 크라이머
Original Assignee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0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1Arrangements of two or more controlling members with respect to one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를 포함하는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한 조종석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이 개시된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먼 상부 부분이 제어 모듈의 상부면과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 사이에 언더컷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어 모듈의 상부면에 더욱 근접한 하부 부분 위로 돌출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또한, 조정 가능한 팜 레스트는 조작자가 그의 손을 제어 모듈에 대해 필요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CONTROL MODULE AND PALM REST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본 발명은 대체로 조정 가능한 팜 레스트(palm rest), 및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fin-shaped handhold element)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카운터 밸런스 포크리프트 트럭, 리치 트럭(reach truck), 터릿 트럭 등과 같은 특정 형태의 자재 취급 차량은 전형적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팔걸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팔걸이는 주행 기능 및/또는 적재물 취급 기능, 예를 들어 포크 상승/하강, 틸팅, 사이드 쉬프트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핸들, 버튼, 레버 등)을 사용할 때 조작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팔걸이의 예는 미국 특허 제7,726,74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을 운전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팔걸이, 및 팔걸이에 인접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제어 모듈은 주행 기능 및 적재물 취급 조립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차량은 또한 조작자가 제어 모듈과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에 제공된 구조물에 대해 손을 필요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측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팜 레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서, 차량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프레임; 적재물 취급 조립체; 및 조종석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이 제공된다. 조종석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 및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직립하는(예를 들어, 대체로 수직으로 위를 향해 연장하는)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의 밑면과 제어 모듈의 상부면 사이에 한정되는 언더컷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원위에 있는 상부 부분이 제어 모듈의 상부면에 더욱 근접한 하부 부분 위로 돌출하도록 형상화된다. 예를 들어,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은 제어 모듈의 상부면에 대해 약 45°- 75°의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조종석은 전형적으로 차량의 프레임 내에 제공된다.
제어 모듈의 상부면은 대체로 평면일 수 있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종석 내의 조작자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1 측부와 조작자 작업 위치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2 측부 사이에 한정된 측방향으로 상부면에 대해 약 45°- 75°의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작자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 사이의 관절부(joint)에 의해 수용되는 크기 및 형상일 있다. 예를 들어,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작자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 사이의 관절부를 수용하는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접합점(또는 스템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측정될 때 약 2.5 인치 이하의 폭일 수 있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폭은 베이스로부터 상부 부분까지 측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으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베이스로부터 상부 부분까지 연속으로 만곡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엄지 손가락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 상의 상기 구조물은 차량의 주행 방향; 적어도 하나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 기능; 및/또는 차량 경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구조물은 차량 경적을 울리기 위한 경적 구조물(horn structure),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적 구조물은 조종석의 전방 부분을 향하여 추가의 구조물로부터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조작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제어 모듈은 조작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다수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다수의 추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제어 모듈에 근접하여 조종석에 있는 팔걸이를 추가로 포함하며, 팔걸이는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은 팔걸이에 근접하여 조종석에 있는 팜 레스트를 여전히 추가로 포함하며, 팜 레스트는 조작자의 손바닥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팜 레스트는 조작자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에 대하여 필요한 위치에서 조작자의 손을 위치시키도록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여전히 또한, 팜 레스트는 측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할 수 있으며, 측방향은 조종석에 있는 조작자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1 측부와 조작자 작업 위치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2 측부 사이에 한정되며, 길이 방향은 팔걸이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1 단부와 팔걸이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2 단부 사이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서, 차량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프레임; 적재물 취급 조립체; 및 프레임 내에 제공되는 조종석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이 제공된다. 조종석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 제어 모듈에 근접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팔걸이, 및 팔걸이에 근접한 팜 레스트를 포함한다. 팜 레스트는 조작자의 손바닥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조작자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에 대하여 팔을 필요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측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측방향은 조종석 내의 조작자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1 측부와 조작자 작업 위치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2 측부 사이에서 한정되고, 길이 방향은 팔걸이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1 단부와 팔걸이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2 단부 사이에서 한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의 구조물은 조작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실행되기 위하여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조작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다수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다수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상부면을 한정할 수 있으며, 상부면으로부터 직립하는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먼 상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부 부분이 제어 모듈의 상부면에 더욱 근접한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하부 부분 위로 돌출하여, 제어 모듈의 상부면과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 사이에 언더컷 영역을 형성한다. 적합하게,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은 제어 모듈의 상부면에 대해 약 45°- 75°의 각도로 배향된다.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제어 모듈의 제2 측부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상부면에 대해 약 45°- 75°의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작자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 사이의 관절부에 의해 수용되는 크기 및 형상일 수 있으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작자의 엄지 손가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차량의 주행 방향; 적어도 하나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 및/또는 차량 경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구조물은 차량 경적을 울리기 위한 경적 구조물,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적 구조물은 추가 구조물로부터 제어 모듈의 제2 단부를 향하여 전방을 향해 위치될 수 있다.
차량은 측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팜 레스트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부착 구조물(attachment structur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 구조물은 팜 레스트에 고정되어 팜 레스트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는 제1 부분과, 측방향 부착 조립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통해 팜 레스트에 대해 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측방향 부착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향 부착 조립체의 제2 부분은 팜 레스트의 측방향 움직임을 실행하도록 제1 부분이 그 안에서 슬라이딩하는 채널을 한정할 수 있다. 부착 구조물은, 팜 레스트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제1 단편(first piece),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의 제1 단편과 제2 단편 사이에서 슬라이딩 움직임을 통하여 팜 레스트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2 단편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의 제1 단편은, 적어도 일련의 노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노치들은 길이 방향으로의 팜 레스트의 추가의 움직임이 필요할 때까지 선택된 위치에서 제1 단편과 팜 레스트를 고정하는 고정 구조물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팜 레스트는 대응하는 노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제거하도록 조작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정 구조물에 대한 팜 레스트의 길이 방향 움직임을 다시 허용한다.
팜 레스트는 제어 모듈의 제2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팜 레스트의 단부에 있는 언더컷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언더컷 부분은 조작자의 손이 수평 파지 위치에 있을 때 조작자의 손가락끝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라서, 차량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프레임; 적재물 취급 조립체; 및 조종석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이 제공된다. 조종석은 편리하게 차량의 프레임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조종석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 제어 모듈에 근접하고,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팔걸이; 및 팔걸이에 근접한 팜 레스트를 포함한다. 팜 레스트는 조작자의 손바닥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조작자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구조물에 대해 필요한 위치에 조작자의 팔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측방향은 조종석 내의 조작자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1 측부와 조작자 작업 위치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2 측부 사이에 한정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라서, 차량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프레임; 적재물 취급 조립체; 및 프레임 내에 제공될 수 있는 조종석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이 제공된다. 조종석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 제어 모듈에 근접하고,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팔걸이, 및 팔걸이에 근접한 팜 레스트를 포함한다. 팜 레스트는 조작자의 손바닥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조작자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구조물에 대하여 필요한 위치에 조작자의 팔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길이 방향은 팔걸이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1 단부와 팔걸이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의 제2 단부 사이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팜 레스트 및/또는 팔걸이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본 발명의 제1 양태 및/또는 본 발명의 제3 양태 및/또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부분을 또한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양태에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임의의 특징들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이러한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양태 중 하나 또는 양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자재 취급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재 취급 차량의 제어 모듈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자재 취급 차량의 제어 모듈의 외측면도;
도 4는 도 1의 자재 취급 차량의 제어 모듈의 내측면도;
도 5는 도 1의 자재 취급 차량의 제어 모듈의 단부도(end view);
도 6은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손을 도시하는, 도 1의 자재 취급 차량의 제어 모듈의 평면도; 및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차량의 조종석 내에서 가동 가능한 팜 레스트를 고정하도록 사용된 부착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는 도면이 참조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지금 참조하여, 자재 취급 차량(10)(이후에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포크 리프트 트럭을 포함하는 예시된 차량(10)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다양한 다른 형태의 차량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차량(10)은 본체 또는 파워 유닛(12)을 포함하며, 본체 또는 파워 유닛은 차량(10)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프레임(14)을 포함하고 배터리(15)를 수용한다. 차량(10)은 제1 및 제2 아웃 트리거(18)들(단지 하나의 아웃 트리거만이 도 1에 도시됨)에 결합된 한 쌍의 포크측 제1 휠(16)들(단지 하나의 제1 휠만이 도 1에 도시됨), 및 프레임(14) 밑에 위치된 구동 및 조향 제2 휠(20)를 추가로 포함한다. 휠(16, 20)들은 차량(10)이 플로어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조종석(22)은 차량을 구동하는 조작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본체(12) 내에 위치된다. 틸러 노브(tiller knob)(24)는 차량(10)의 조향을 제어하기 위해 조종석 내에 제공된다. 차량(10)의 속도 및 움직임 방향(전진 또는 후진)은 조종석(28)에 인접하여 제공된 제어 모듈(26)을 통해 조작자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다른 차량 기능을 제어하고,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차량(10)은 차량 프레임(14)에 부착된 제1 및 제2 수평 지지 구조물(32A, 32B)들을 포함하는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차량(10)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40)는 일반적으로 마스트 조립체(42), 및 마스트 조립체(42)를 따라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캐리지 조립체(44)를 포함한다. 마스트 조립체(42)는 아웃 트리거(18)들 사이에 위치되고, 프레임(14)에 부착된 고정 마스트 부재(46), 및 포개진 하부 및 상부 가동식 마스트 부재(48, 50)들을 포함한다. 차량(10)이 도 1에 도시된 2개, 즉 하부 및 상부 가동식 마스트 부재(48, 50)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가동식 마스트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캐리지 조립체(44)는 리치 조립체(reach assembly)(52), 포크 캐리지(54), 및 한 쌍의 포크(56A, 56B)를 포함하는 포크 구조물을 포함하는 종래의 구조를 포함한다.
배터리(15)는 제2 휠(20)에 연결된 견인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하나 이상의 유압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전력을 공급하며, 유압 모터들은 유압 실린더와 같은 여러 개의 상이한 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여, 대체로 마스트 조립체(42)에 대한 캐리지 조립체(44)의 대체로 수직 움직임, 통상적으로 리치로서 지칭되는 리치 조립체(52)의 대체로 길이 방향 움직임, 통상적으로 사이드 시프팅(sideshifting)으로서 지칭되는 포크 캐리지(54)의 횡방향 또는 측방향 움직임을 실행한다. 견인 모터 및 제2 휠(20)은 플로어 표면을 가로지르는 차량(10)의 움직임을 실행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한정한다.
팔걸이(70)는 제어 모듈(26)에 근접하여 조종석(22)에 제공된다(도 1 내지 도 6 참조). 팔걸이(70)는 제어 모듈(26)을 사용하여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패드(72)를 포함한다. 팔걸이(70)의 제1 단부(70A)(도 1 참조)는 조작자 시트(28)의 등받이 쿠션(28A)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조작자의 팔꿈치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제1 단부(70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팔걸이(70)의 제2 단부(70B)는 제어 모듈(26)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조작자의 손바닥 또는 팔뚝을 수용할 수 있다.
지금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팜 레스트(80)는 조작자의 손바닥을 수용하기 위하여, 팔걸이(70)의 제2 단부(70B) 및 제어 모듈(26)에 근접한, 즉 팔걸이(70)의 제2 단부(70B)와 제어 모듈(26) 사이에서 조종석(22)에 제공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팜 레스트(80)는 조작자가 제어 모듈(26)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측방향(DLAT) 및 길이 방향(DLONG) 모두에서 움직임/조정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측방향(DLAT)은 조종석(22) 내의 조작자 작업 위치(OWORK),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차량(10)에 있는 조종석(28)에 앉아 있는 동안 조작자의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26)의 제 1 측부(26A)와, 조작자 작업 위치(OWORK)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26)의 제2 측부(26B) 사이에서 한정되고, 길이 방향(DLONG)은 팔걸이(70)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어 모듈(26)의 제1 단부(26C)와, 팔걸이(70)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제어 모듈(26)의 제2 단부(26D) 사이에서 한정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어 모듈(26)이 지금 설명될 것이다. 제어 모듈(26)은, 제1 및 제2 측부(26A, 26B)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걸쳐있고 제1 및 제2 단부(26C, 26D)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걸쳐있는 상부면(86)을 포함한다. 상부면(86)은 대체로 평평한 표면, 즉 평탄 표면을 한정할 수 있거나, 또는 상부면(86)은 하나 이상의 곡선 또는 비평탄 부분을 갖는 비평면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제어 모듈(26)은 사용 시에/적소에 대체로 수직 배향으로 있으며 상부면(86)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90)(이후에, "요소(9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요소(90)는 상부면(86)과의 접합점에 위치된 요소(90)의 베이스 부분(92)으로부터 상부면(86)으로부터 먼 상부 부분(94)까지 연속으로 만곡된 부재를 포함한다. 요소(90)의 곡률은 요소(90)의 베이스 부분(92)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6)의 상부면(86)의 주 평면에 대해 약 45°- 75°의 각도(α)로 배향되는 상부 부분(94)을 유발한다. 각도(α)는 바람직하게 상부면(86)과 배면측(100) 또는 요소(90)의 상부 부분(96)의 밑면 사이에 언더컷 영역(96)을 형성하도록 측방향(DLAT)으로 상부면(86)에 대해 약 50 - 70°또는 약 50 - 60°이다(도 3 및 도 5 참조). 다시 말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분은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90)의 중간 및/또는 하부(스템) 부분의 적어도 일부 위로 돌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90)는 조작자가 손바닥을 팜 레스트(80)에 내려놓고 엄지와 집게 손가락 사이에서 파지하기 위해 위치되도록 제어 모듈(26)의 조작자측(26A) 상에 측면으로 위치된다.
요소(90)는 바람직하게 조작자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 사이의 관절부를 수용하는 요소(90)의 접합점(98)에서 측방향(DLAT)으로 측정했을 때 약 2.5 인치 이하의 폭에 지나지 않는다(도 6 참조). 일부 실시예에서,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접합점(98)에서 측방향(DLAT)으로 측정했을 때 약 2.5 인치와 약 1 인치 사이에 있으며; 예를 들어, 지느러미 모양 손잡이 요소는 접합점(98)에서 측방향(DLAT)으로 측정했을 때 약 2.25 인치, 약 2.0 인치, 또는 약 1.75 인치일 수 있다. 접합점(98)은 요소(90)의 베이스(92)를 향해 요소(90)의 중간 높이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요소(90)의 폭은 또한 바람직하게 요소(90)가 접합점(98) 및 상부 부분(94)에서 상당히 좁도록 베이스(92)로부터 상부 부분(94)까지 측방향(DLAT)으로 테이퍼진다. 폭, 곡률 및 테이퍼는 요소(90)가 조작자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 사이의 관절부에 의해 편안하게 수용되도록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요소(90)를 제공한다(도 6 참조).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90)의 배면(100)은 차량(10)의 작동 동안 요소(90)를 유지하면서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돌출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요소(90)는 제어 모듈(26)을 사용하여 조작자의 엄지 손가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조물은 요소(90)의 전방 측부(104) 상에 제공되고, 차량(10)의 주행 방향(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10); 예를 들어, 랙 높이 선택 기능과 같은 적재물 취급 조립체(4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버튼(112)으로서, 예를 들어, 차량(10)은 각각의 저장 구역들에서 다수의 랙 빔 높이(rack beam height)의 각각을 위한 한 세트의 포크 정지 위치들을 한정하도록 프로그램되며, 각각의 저장 구역은 상이한 천장 높이 및 대응하는 상이한 랙 빔 높이 또는 위치를 가질 수 있는, 상기 제1 버튼; 및 차량 경적을 울리기 위한 제2 버튼(114)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6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버튼(114)은 스위치(110) 및 제1 버튼(112)으로부터 조종석(22)(도 1 참조)의 전방 부분(22A)을 향하여, 즉 조작자로부터 먼 제어 모듈(26)의 제2 단부(26D)를 향하여 위치되어서, 조작자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손가락 작동 구조물들과 같은 제어 모듈(26)의 다른 특징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차량 경적을 울리도록 제2 버튼(114)에 용이하게 접근한다. 요소(90)가 추가 또는 대안적인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또는 대안적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상부면(86) 상의 요소(90)의 위치 및 구성으로 인하여, 요소(90)는 차량(10)를 운전하는 동안 조작자가 파지하는데 편리하고 편안한 구조를 제공하며, 운전 동안 조작자의 손을 위한 홈 또는 디폴트 위치를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도 6 참조).
더욱이, 요소(90)의 상부면(86)과 상부 부분(94) 사이의 언더컷 영역(96)은 제어 모듈(26)과 함께 다수의 교환 가능한 모듈러 플레이트 또는 인서트 중 대응하는 것의 사용을 허용한다. 도 2 및 도 3은 다이얼(122) 또는 노브 및 하나 이상의 추가의 제어 요소(124)를 포함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모듈러 플레이트(120)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조물(122, 124)들은 상기된 랙 높이 선택 기능의 추가적인 특징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차량 특징부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모듈러 플레이트(120)는 제어 모듈(26)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 있으며, 대안적인 차량 제어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량 제어 구조가 없는 블랭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모듈러 플레이트는 예시된 모듈러 플레이트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모듈(26)은 상부면(86)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추가의 손가락 작동 구조물(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차량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되는 4개의 손가락 작동 구조물(130A-D)이 제공된다. 손가락 작동 구조물(130A-D)에 의해 실시되는 예시적인 차량 제어는 포크 상승/하강, 포크 틸트, 포크 사이드 쉬프트, 포크 연장 등을 포함한다. 버튼, 스위치 등과 같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손가락 작동 구조물(130A-D) 대신에 다른 형태의 손가락 작동 제어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팜 레스트(80)가 지금 설명된다. 팜 레스트(80)는 상부 돌출부(138) 밑의 팜 레스트(80)의 단부 부분(80A)에 위치된 언더컷 부분(136)(도 5, 도 7 및 도 8 참조)을 포함하며, 언더컷 부분(136)은 조작자의 손가락끝을 수용할 수 있고, 조작자의 손이 수평 파지 위치에 있을 때, 즉 조작자의 손가락이 상부 돌출부(138) 주위로 말려서 조작자의 손가락이 언더컷 부분(136) 내로 다시 연장할 때, 파지면을 조작자에게 제공한다. 언더컷 부분(136)은 추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DLONG)으로 팜 레스트(80)를 재위치시키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팜 레스트(80)는 측방향(DLAT) 및 길이 방향(DLONG)으로 움직일 수 있다(도 7 참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차량(10)은 팜 레스트(80)의 측방향 및 길이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는 부착 구조물(144)을 포함한다(도 7 내지 도 10 참조). 부착 구조물(144)은 측방향(DLAT)으로 팜 레스트(80)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측방향 부착 조립체(146), 및 길이 방향(DLONG)으로 팜 레스트(80)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를 포함한다.
측방향 부착 조립체(146)는 제1 부분(150)이 팜 레스트(80)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쌍의 핀(152)을 통해 팜 레스트(80)에 고정되는 제1 부분(150)을 포함한다. 측방향 부착 조립체(146)는 팜 레스트(80)의 측방향 움직임을 실행하도록 안에서 측방향으로 제1 부분(150)가 슬라이딩하는 채널(156)을 한정하는 제2 부분(154)을 추가로 포함하며, 즉 팜 레스트(80)와 제1 부분(150)은 제2 부분(154)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움직인다. 측방향(DLAT)으로 팜 레스트(80)의 조정은 조작자 팜 레스트를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는 제1 단편(160)를 포함하며, 제1 단편(160)은 제2 부분(154)에 고정되고 팜 레스트(80) 또는 측방향 부차 조립체(146)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는 제2 단편(162)을 포함하며, 제2 단편은 팜 레스트(80)의 길이 방향 움직임을 실행하도록 제1 단편의 연장부(166)가 안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채널(164)을 한정하며, 즉 팜 레스트(80), 측방향 부착 조립체(146), 및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의 제1 단편(160)은 제2 단편(162)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인다.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는 필요한 길이 방향 위치에 팜 레스트(80)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 구조물(168)을 포함한다(도 7 및 도 8 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구조물(168)은 조종석(22) 내에서 팔걸이(70)의 부분(70C)(도 8 참조)에 고정되고, 돌출부(172A, 172B)(단지 돌출부(172A)만이 도 8에 도시됨)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부재(170A, 170B)를 포함한다. 돌출부(172A, 172B)들은 노치(174A, 174B)들이 각각의 돌출부(172A, 172B)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길이 방향(DLONG)으로의 팜 레스트(80)의 추가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의 제1 단편(160)의 밑면(160A)에 형성된 일련의 노치(174A, 174B)들에 각각 수용된다. 돌출부(172A, 172B)들로부터 노치(174A, 174B)들을 제거하는 것은 조작자가 팜 레스트(80)를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팜 레스트(80)의 언더컷 부분(136)에 의해 형성된 파지면을 움켜 잡고 팜 레스트(80)를 위로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달성되며, 이러한 것은 노치(174A, 174B)들이 돌출부(172A, 172B)들로부터 들어 올려지도록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의 제1 단편(160)를 상승시키고, 그러므로 대안적인 길이 방향 위치까지 팜 레스트(80)를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의 제1 단편(160)은 팔걸이(70)(도 2 참조)에 형성된 슬롯(186)으로부터 부착 구조물(144)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유 구조물(180)를 추가로 포함하고, 슬롯(186)은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의 제1 단편(160)를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유 구조물(180)는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의 제1 단편(160)의 L자 형상 부분을 포함하며, L자 형상 부분은 팔걸이 부분(70C)과 결합된 스토퍼 구조물(188), 예를 들어 볼트에 근접하여 있다. 팜 레스트(80)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L자 형상 부분은 슬롯(186)으로부터 밖으로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의 추가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스토퍼 구조물(188)에 접하며, 이러한 것은 대응하여 제어 모듈(26)을 향하여 길이 방향(DLONG)으로 팜 레스트(80)의 추가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팜 레스트(80) 또는 부착 구조물(144)이 분해되어야 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트를 포함하는 스토퍼 구조물(188)은 부착 구조물(144)이 슬롯(186)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팔걸이 부분(70C)으로부터 분리(나사 해제)될 수있다.
도시된 팜 레스트(80)가 측방향(DLAT) 및 길이 방향(DLONG) 모두로 움직일 수 있지만, 측방향(DLAT) 및 길이 방향(DLONG) 중 단지 한 방향으로의 팜 레스트(80)의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측방향(DLAT) 또는 길이 방향(DLONG)으로만 움직임을 실행하기 위하여 측방향 부착 조립체(146)와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 중 단지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오직 측방향 부착 조립체(146)의 경우에, 제2 부분(154)은 조종석(22) 내에서, 예를 들어 팔걸이(70) 또는 제어 모듈(26)에 부착될 수 있고, 오직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148)의 경우에, 제2 단편(162)은 조종석(22) 내에서 예를 들어, 팔걸이(70) 또는 제어 모듈(26)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팔걸이(70)가 조종석(28)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팔걸이(70)는 조종석(28)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조종석(28)이 예를 들어 길이 방향(DLONG)으로 움직일 때 팔걸이(70)가 움직인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35)

  1. 자재 취급 차량으로서,
    상기 차량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프레임;
    적재물 취급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조종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부면 및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직립하는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를 한정하며,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과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 사이에 언더컷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원위에 있는 상부 부분이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에 더욱 근접한 하부 부분 위로 돌출하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은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의 주요 평면에 대해 45°- 75°의 각도로 배향되고,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상기 조종석 내의 조작자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1 측부와 상기 조작자 작업 위치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측부 사이에 한정된 측방향으로 상기 상부면에 대해 45°- 75°의 각도로 배향되는 자재 취급 차량.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작자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 사이의 관절부에 의해 수용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되는 자재 취급 차량.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작자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 사이의 관절부를 수용하는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접합점에서 측방향으로 측정될 때 2.5 인치 이하의 폭인 자재 취급 차량.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폭은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상부 부분까지 측방향으로 테이퍼지는 자재 취급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상부 부분까지 연속으로 만곡된 부재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상기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엄지 손가락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적어도 하나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 기능; 및 차량 경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차량 경적을 울리기 위한 경적 제어 구조물,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경적 제어 구조물은 상기 조종석의 전방 부분을 향하여 상기 추가의 구조물로부터 전방에 위치되는 자재 취급 차량.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조작자의 손가락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조작자의 손가락들을 통하여 다수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다수의 추가 제어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제어 모듈에 근접하여 상기 조종석에 있는 팔걸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팔걸이는 상기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것인 자재 취급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팔걸이에 근접하여 상기 조종석에 있는 팜 레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팜 레스트는 조작자의 손바닥을 수용하기 위한 것인 자재 취급 차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팜 레스트는 조작자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 구조물에 대하여 필요한 위치에서 조작자의 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조정 가능한 자재 취급 차량.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팜 레스트는 측방향과 길이 방향 모두로 조정 가능하며, 상기 측방향은 상기 조종석에 있는 조작자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1 측부와 상기 조작자 작업 위치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측부 사이에 한정되며,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팔걸이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1 단부와 상기 팔걸이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단부 사이에서 한정되는 자재 취급 차량.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은 평면인 자재 취급 차량.
  18. 자재 취급 차량으로서,
    상기 차량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프레임;
    적재물 취급 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제공되는 조종석을 포함하며; 상기 조종석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 근접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팔걸이; 및
    상기 팔걸이에 근접한 팜 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팜 레스트는 조작자의 손바닥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팜 레스트는 조작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에 대하여 필요한 위치에 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팔걸이에 대해 측방향 및 길이 방향 모두로 조정 가능하며, 상기 측방향은 상기 조종석 내의 조작자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1 측부와 상기 조작자 작업 위치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측부 사이에서 한정되고,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팔걸이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1 단부와 상기 팔걸이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단부 사이에서 한정되는 자재 취급 차량.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구조물은 조작자의 손가락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실행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조작자의 손가락들을 통하여 다수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어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부면을 한정하고,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직립하는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과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 사이에 언더컷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으로부터 원위에 있는 상부 부분이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면에 더욱 근접한 하부 부분 위로 돌출하도록 형상화되는 자재 취급 차량.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의 상부 부분은 상기 상부면의 주요 평면에 대해 45°- 75°의 각도로 배향되는 자재 취급 차량.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측부를 향하여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상부면에 대해 45°- 75°의 각도로 배향되는 자재 취급 차량.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작자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 사이의 관절부에 의해 수용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되는 자재 취급 차량.
  25.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조작자의 엄지 손가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26.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적어도 하나의 적재물 취급 조립체 기능; 및 차량 경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27.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 형상 손잡이 요소는 차량 경적을 울리기 위한 경적 제어 구조물,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경적 제어 구조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단부를 향하여 상기 추가 제어 구조물로부터 전방을 향해 위치되는 자재 취급 차량.
  28. 제21항에 있어서, 측방향 및 길이 방향 모두로 상기 팜 레스트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부착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구조물은 측방향 부착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측방향 부착 조립체는 상기 팜 레스트에 고정되어 상기 팜 레스트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측방향 부착 조립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통해 상기 팜 레스트에 대해 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부착 조립체의 제2 부분은 채널을 한정하되, 상기 팜 레스트의 측방향 움직임을 실행하도록 상기 채널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부분이 슬라이딩되는 자재 취급 차량.
  31.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구조물은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는 상기 팜 레스트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제1 단편, 및 상기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의 제1 단편과 제2 단편 사이에서 슬라이딩 움직임을 통하여 상기 팜 레스트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제2 단편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부착 조립체의 제1 단편은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노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노치들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팜 레스트의 추가의 움직임이 필요할 때까지 선택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편과 상기 팜 레스트를 고정하는 고정 구조물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추가 움직임이 필요한 경우 상기 팜 레스트는 대응하는 노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제거하도록 조작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고정 구조물에 대한 상기 팜 레스트의 길이 방향 움직임을 다시 허용하는 자재 취급 차량.
  33. 제18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팜 레스트는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상기 팜 레스트의 단부에 있는 언더컷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언더컷 부분은 조작자의 손이 수평 파지 위치에 있을 때 조작자의 손가락끝을 수용하기 위한 것인 자재 취급 차량.
  34. 삭제
  35. 자재 취급 차량으로서,
    상기 차량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프레임;
    적재물 취급 조립체; 및
    조종석을 포함하며; 상기 조종석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 근접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한 팔걸이; 및
    상기 팔걸이에 근접한 팜 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팜 레스트는 조작자의 손바닥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팜 레스트는 조작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구조물에 대해 필요한 위치에 조작자의 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팔걸이에 대해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며, 상기 측방향은 상기 조종석 내의 조작자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1 측부와 상기 조작자 작업 위치로부터 원위에 위치된 상기 제어 모듈의 제2 측부 사이에 한정되는 자재 취급 차량.
KR1020177016106A 2015-01-29 2016-01-27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 KR102412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09105P 2015-01-29 2015-01-29
US62/109,105 2015-01-29
PCT/US2016/015069 WO2016123187A2 (en) 2015-01-29 2016-01-27 Control module and palm rest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528A KR20170109528A (ko) 2017-09-29
KR102412206B1 true KR102412206B1 (ko) 2022-06-23

Family

ID=5575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106A KR102412206B1 (ko) 2015-01-29 2016-01-27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53346B2 (ko)
EP (2) EP3366637B1 (ko)
KR (1) KR102412206B1 (ko)
CN (1) CN107074514B (ko)
AU (1) AU2016211569C1 (ko)
BR (1) BR112017008489A2 (ko)
WO (1) WO201612318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570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두산 암레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2573A1 (it) * 2015-07-28 2017-01-28 Cvs Ferrari S P A Apparecchiatura per il sollevamento ed il trasporto di carichi, in particolare di corrispondenti containers
ITUA20163670A1 (it) * 2016-05-23 2017-11-23 Iveco Magirus Centro di controllo per un dispositivo aereo comprendente leva di controllo
USD878429S1 (en) * 2017-01-13 2020-03-1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Industrial vehicle arm pad
MX2019008408A (es) 2017-01-13 2019-09-16 Crown Equip Corp Apoyabrazos para un vehiculo industrial.
USD944868S1 (en) 2018-09-07 2022-03-0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Arm pad
USD944869S1 (en) 2018-09-07 2022-03-0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Arm pad
USD922279S1 (en) 2018-10-17 2021-06-15 Crown Equipment Corporation Control pod
CN113748078B (zh) * 2019-04-04 2023-08-08 捷尔杰产业公司 用于紧凑型车辆的控制站
CN110466456A (zh) * 2019-09-20 2019-11-19 诺力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操控盒
IT202000000397A1 (it) * 2020-01-13 2021-07-13 Toyota Mat Handling Manufacturing Italy S P A Carrello elevatore.
IT202000022849A1 (it) * 2020-09-28 2022-03-28 Toyota Mat Handling Manufacturing Italy S P A Carrello industriale con bracciolo migliorato e bracciolo per l'uso in un carrello industria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562A (en) 1996-08-16 1999-04-06 Bt Prime Mover, Inc. Control console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
EP1627848A2 (de) 2004-08-20 2006-02-22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lurförderzeug mit ergonomisch angeordneten Bedienelementen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8417A (en) 1987-02-02 1988-04-19 Fmc Corporation Hand operated control
DE3728373C2 (de) * 1987-08-26 1994-01-27 Porsche Ag Handbetätigbare Stellvorrichtung für Steuerventile
USD309051S (en) 1987-10-22 1990-07-03 Yale Materials Handling Corporation Industrial truck control handle
US4862165A (en) 1988-02-12 1989-08-29 Samuel Gart Ergonomically-shaped hand controller
US4997054A (en) 1989-04-14 1991-03-05 J. I. Case Company Adjustable wrist rest
USD336713S (en) 1991-09-09 1993-06-22 Raymond Corporation Control handle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DE4206515C1 (ko) 1992-03-02 1993-03-11 Jungheinrich Ag, 2000 Hamburg, De
WO1995018995A1 (en) 1994-01-03 1995-07-13 Clark Material Handling Company Multifunction single lever control for lift trucks
JP2943095B2 (ja) * 1994-09-13 1999-08-30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リーチ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用操縦桿
EP0947906B1 (de) 1994-11-08 2001-10-04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Handbetätigte Stellvorrichtung für einen Bedienungsstand bzw. -sitz
DE19624463A1 (de) 1996-06-19 1998-01-02 Fendt Xaver Gmbh & Co Steuereinrichtung für Nutzfahrzeuge, insbesondere für landwirtschaftliche nutzbare Schlepper
USD405581S (en) 1996-09-20 1999-02-09 Crown Equipment Corporation Control handle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6025831A (en) 1997-11-19 2000-02-15 Avro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 controls input
JPH11199192A (ja) * 1998-01-12 1999-07-27 Komatsu Forklift Co Ltd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アシストグリップ
DE19816682A1 (de) 1998-04-15 1999-10-21 Still Gmbh Multifunktionshebel
DE19849235B4 (de) * 1998-10-26 2004-12-02 Jungheinrich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und Steuern einer elektrischen Lenkmotorik
US6564896B1 (en) 1999-06-22 2003-05-20 Caterpillar Inc Tiltable control console for a backhoe loader machine
DE19951379C2 (de) 1999-10-26 2001-12-13 Jungheinrich Ag Handbetätigtes Lenkorgan für ein Flurförderzeug
DE10013054A1 (de) 2000-03-19 2001-09-27 Am3 Automotive Multimedia Ag Bedieneinheit für Multi-Media-Komponenten in einem Kraftfahrzeug
DE10055306A1 (de) * 2000-11-08 2002-05-16 Still Wagner Gmbh & Co Kg Flurföderzeug mit einem in Querrichtung ausgerichteten Fahrerplatz
DE10110463A1 (de) 2001-03-05 2002-09-12 Still Gmbh Bedienhebel für Flurförderzeug
JP3785944B2 (ja) 2001-03-30 2006-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の操作部配置構造
JP3900912B2 (ja) 2001-12-05 2007-04-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EP1502896A4 (en) 2002-01-23 2009-11-18 Toyota Jidoshokki Kk POSITION CONTROL DEVICE AND POSITION CONTROL PROCESS FOR LOADING DEVICE IN INDUSTRIAL VEHICLE
US6971194B2 (en) 2003-06-24 2005-12-06 Cnh America Llc Modular backhoe-excavator control station
FR2858861B1 (fr) 2003-08-11 2007-06-22 Manitou Bf Dispositif de commande par interaction avec la main d'un operateur
DE10352695B4 (de) * 2003-11-12 2019-07-18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Deichsel für kraftgetriebenes Flurförderzeug
IES20040014A2 (en) 2004-01-13 2005-09-07 Nuala Macklin An input device
USD515770S1 (en) 2004-02-12 2006-02-21 The Raymond Corporation Control handle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USD548923S1 (en) 2004-06-22 2007-08-14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ork lift truck
US7497298B2 (en) 2004-06-22 2009-03-03 Caterpillar Inc. Machine joystick control system
US7635045B2 (en) 2004-07-30 2009-12-22 Caterpillar Inc. Machine tool control console
USD526757S1 (en) 2004-09-23 2006-08-15 Crown Equipment Corporation Controller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D526109S1 (en) 2004-09-23 2006-08-0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terials handling controller
US7520567B2 (en) 2004-09-23 2009-04-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at repositioning
US7121608B2 (en) 2004-09-23 2006-10-1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Rotating and/or swiveling seat
US7059680B2 (en) 2004-09-23 2006-06-1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eat repositioning device with release on control handle
USD536153S1 (en) 2004-09-27 2007-01-30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Joystick
DE102004052757A1 (de) 2004-10-30 2006-05-04 Linde Ag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Flurförderzeug
US20070273207A1 (en) 2005-02-11 2007-11-29 Daimlerchrysler Ag Operational Control for a Vehicle
DE102005007789A1 (de) 2005-02-19 2006-08-24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Handbetätigte Bedienvorrichtung für einen Bedienplatz eines Flurförderzeugs
JP2006240330A (ja) 2005-02-28 2006-09-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スイッチ操作機構
DE102005035382A1 (de) 2005-07-28 2007-02-01 Still Gmbh Bedienanordnung für ein Flurförderzeug
DE102005035389A1 (de) 2005-07-28 2007-02-01 Still Gmbh Bedienelementeeinheit mit Minihebeln
DE102005049100A1 (de) 2005-10-13 2007-04-19 Still Wagner Gmbh & Co. Kg Bedienpult mit Daumenjoystick für ein Flurförderzeug
WO2007051116A1 (en) 2005-10-27 2007-05-0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Adjustable armrest mechanism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DE202006002969U1 (de) 2005-11-08 2006-05-11 Agco Gmbh Steuereinrichtung für Nutzfahrzeuge
US7712571B2 (en) 2006-06-23 2010-05-11 Caterpillar Inc. Ergonomic machine control console
US7775317B1 (en) 2006-07-17 2010-08-17 Nmhg Oregon, Llc Multi-directional operator controls for an industrial vehicle
EP1959329A1 (en) 2007-02-19 2008-08-20 AGCO GmbH Tractor control means
DE102007034586A1 (de) 2007-07-25 2009-01-29 Daimler Ag Bedien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WO2009075210A1 (ja) 2007-12-13 2009-06-18 Komatsu Ltd. リッパの操作装置
US8212770B2 (en) 2008-02-11 2012-07-03 Caterpillar Inc. Joystick assembly for improved machine control
DE102008030554A1 (de) * 2008-06-27 2009-12-31 Still Wagner Gmbh Bedienkonsole für ein Flurförderzeug
USD598023S1 (en) 2008-07-10 2009-08-11 Caterpillar Inc. Joystick
CN201406303Y (zh) * 2009-05-07 2010-02-17 浙江美科斯叉车有限公司 叉车的操纵装置
DE102009034154A1 (de) 2009-07-20 2011-02-03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Multifunktionsgriff
ES2559386T3 (es) 2009-10-06 2016-02-11 Bae Systems Plc Empuñadura y reposabrazos de cabina de vuelo
DE102009052241A1 (de) 2009-11-06 2011-05-12 Eifelwerk Heinrich Stein Gmbh & Co Kg Bedienvorrichtung
DE102010013169B4 (de) 2010-03-27 2013-06-20 Audi Ag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8282051B2 (en) 2010-06-15 2012-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rmrest assembly
CN201882871U (zh) * 2010-09-20 2011-06-29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多功能组合式操纵手柄
DE102011016841A1 (de) 2011-04-12 2012-10-18 Kion Warehouse Systems Gmbh Hochregalflurförderzeug, insbesondere Kommissionierflurförderzeug, mit einem Fahrersitz und seitlichen Armlehnen
USD695792S1 (en) 2012-01-31 2013-12-17 Sauer-Danfoss Aps Joystick
GB2505413A (en) 2012-08-28 2014-03-05 Ge Aviat Systems Ltd An input device with a touch screen, track ball and palm rest
EP3032371A4 (en) 2013-08-09 2017-05-31 Yanmar Co., Ltd. Working vehicle
USD767457S1 (en) * 2015-02-06 2016-09-2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Vehicle palm rest
USD775449S1 (en) * 2015-02-06 2016-12-2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Vehicle handhold element
BR112018014057A2 (pt) * 2016-02-05 2018-12-11 Crown Equip Corp ?módulo e elemento de controle para controlar pelo menos uma função de um veículo de manuseio de materia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562A (en) 1996-08-16 1999-04-06 Bt Prime Mover, Inc. Control console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
EP1627848A2 (de) 2004-08-20 2006-02-22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lurförderzeug mit ergonomisch angeordneten Bedienelement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570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두산 암레스트 장치
KR102552518B1 (ko) 2018-12-11 2023-07-05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암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11569C1 (en) 2019-01-17
AU2016211569A1 (en) 2017-04-20
WO2016123187A3 (en) 2016-12-22
CN107074514B (zh) 2020-03-20
US10053346B2 (en) 2018-08-21
CN107074514A (zh) 2017-08-18
EP3250496B1 (en) 2019-01-23
US20160221808A1 (en) 2016-08-04
EP3366637A1 (en) 2018-08-29
EP3250496A2 (en) 2017-12-06
BR112017008489A2 (pt) 2018-01-09
KR20170109528A (ko) 2017-09-29
AU2016211569B2 (en) 2018-10-11
EP3366637B1 (en) 2019-11-13
WO2016123187A2 (en)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206B1 (ko)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
EP2035318B1 (en) Overhead guard for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20050034549A1 (en) Device for interactive control with the hand of an operator
US6152676A (en) Multi-function lever for an industrial truck
EP3568318B1 (en) Industrial vehicle armrest
US11661325B2 (en) Control elements for materials handling vehicles
US11167783B2 (en) Operating head for an industrial truck
US11256282B2 (en) Control lever device of industrial vehicle
EP0655413B1 (en) Drivers compartment at lifting trucks
JP2022529228A (ja) 小型ビークル用制御ステーション
EP3464781B1 (en) Control center for an aerial device with control lever
CA2084033A1 (en) Ergonometric control system for swing reach vehicles
US11530003B2 (en) Industrial truck with a driver standing platform
CN215487593U (zh) 用于物料搬运车的人体工程学操纵杆
JP5839419B1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JP5873908B1 (ja) フォークリフト
SE515878C2 (sv) Styrspak för manövrering av en styranordning vid gaffeltruckar
JP2004075215A (ja) 荷役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