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570A - 암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암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570A
KR20200071570A KR1020180159442A KR20180159442A KR20200071570A KR 20200071570 A KR20200071570 A KR 20200071570A KR 1020180159442 A KR1020180159442 A KR 1020180159442A KR 20180159442 A KR20180159442 A KR 20180159442A KR 20200071570 A KR20200071570 A KR 20200071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ystick
armrest
positioning
armrest devic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518B1 (ko
Inventor
김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8015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5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암레스트 장치는 암레스트 바디와,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돌출 배치된 손바닥 지지부와, 상기 손바닥 지지부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암레스트 바디의 일단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차량의 작업기를 조작 가능한 조이스틱, 그리고 상기 조이스틱과 상기 손바닥 지지부 사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레스트 장치{ARMRES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운전자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조이스틱의 조작을 위해 팔을 거치하고 조이스틱을 조작하는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레스트는 운전자가 조이스틱의 조작을 위해 팔을 거치한다. 산업차량 또는 건설기계와 같은 유압을 조절하여 작업기의 작동 및 속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운전자가 시스템 내부에서 장시간 작업한다.
산업차량 또는 건설기계를 수출하는 지역은 아시아부터 유럽까지 다양하고 이들을 구매하여 운전하는 운전자의 신체구조 역시 다양하다.
작업기의 조작을 위한 조이스틱은 암레스트 상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신체구조를 가진 운전자들이 고정된 조이스틱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산업차량 또는 건설기계 시스템의 운전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고정된 조이스틱의 위치로 인해, 작업자의 신체구조와 고정된 조이스틱 사이의 거리가 맞지 않는 경우 작업자들이 작업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전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한 조이스틱을 갖는 암레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레스트 장치는 암레스트 바디와,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돌출 배치된 손바닥 지지부와, 상기 손바닥 지지부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암레스트 바디의 일단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차량의 작업기를 조작 가능한 조이스틱, 그리고 상기 조이스틱과 상기 손바닥 지지부 사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일측에 배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부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암레스트 장치는 상기 위치 조절부를 따라 이동한 상기 조이스틱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양측에 배치된 회동부재와, 일측이 상기 회동부재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조이스틱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위치 결정부재, 그리고 상기 암레스트 바디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타측과 계합 가능한 계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합부재는 상기 암레스트 바디 상에 돌기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암레스트 장치는 일측에 상기 계합부재인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내측 상기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계합부재와 계합 가능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암레스트 장치는 일측에 상기 계합부재인 복수의 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내측 상기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계합부재와 계합 가능한 복수의 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은 상기 손바닥 지지부 전방의 상기 암레스트 바디 상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재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결정부재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는 암레스트 바디와,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서로 이격 배치되어 차량의 작업기를 조작 가능하한 복수의 조이스틱 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과, 상기 복수의 조이스틱 부 각각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되도록 안내하는 위치 조절부,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절부를 따라 이동한 상기 복수의 조이스틱 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암레스트 장치는 운전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위치 조절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이스틱과 위치 이동부 그리고 위치 결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의 조이스틱과 위치 이동부 그리고 위치 결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위치 결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의 조이스틱과 위치 이동부 그리고 위치 결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Armrest) 장치(101)를 설명한다.
암레스트 장치(1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 바디(100)와 손바닥 지지부(200)와 조이스틱(300) 그리고 위치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암레스트 바디(100)는 운전자의 팔이 지지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암레스트 바디(100)는 도시되지 않은 산업차량 또는 건설기계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손바닥 지지부(200)는 암레스트 바디(100)에 돌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손바닥 지지부(200)는 운전자의 손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배치된 손바닥 지지부(200)는 운전자가 손바닥을 이에 지지 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조이스틱(300)은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배치된다. 또한, 조이스틱(300)은 손바닥 지지부(200) 보다 상대적으로 암레스트 바디(100)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조이스틱(300)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어 작업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이스틱(300)는 밸브의 개도 상태를 조절하여 원하는 작업기로 유압을 공급하여 산업차량의 포크의 승/하강, 전/후방 틸팅, 좌/우 이동(Side Shift), 추가 작업회로 구성을 통한 작업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작업회로 구성을 통한 작업은 어태치먼트를 추가 장착하여 이의 조작으로 정의된다.
즉, 조이스틱(300)은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손바닥 지지부(2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조절부(400)는 조이스틱(300)과 손바닥 지지부(200) 사이의 이동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조절부(400)는 조이스틱(300)이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거나, 조이스틱(300)이 손바닥 지지부(200)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이스틱(300)과 손바닥 지지부(200) 사이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는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구조에 맞도록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의 조이스틱(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종래의 고정된 조이스틱으로 작업기를 조절할 때에 비해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자신의 신체구조에 맞도록 조이스틱(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조이스틱(300)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는 산업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부(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10)와 레일(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410)는 조이스틱(3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이스틱(300)은 조이스틱 부(310)를 포함한다. 조이스틱 부(310)는 조이스틱 바디(312)와 레버(311)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11)는 운전자에 의해 직접 접촉되어 전/후방으로 조절된다. 조이스틱 바디(312)는 이러한 레버(311)가 전/후방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410)는 조이스틱(3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레버(311)는 조이스틱(3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410)는 조이스틱(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420)은 슬라이더(41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레일(420)은 암레스트 바디(100)의 전방을 따라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조이스틱(300)이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410)는 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며, 조이스틱(300)이 암레스트 바디(100)와 가까워 지거나, 조이스틱(300)이 암레스트 바디(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부(400)는 구름부재(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름부재(430)는 레일(420)과 슬라이더(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름부재(430)는 슬라이더(410)가 레일(420)을 따라 이동시 매끄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름접촉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름부재(430)는 레일(420)과 마주하는 슬라이더(410)에 설치되어, 구름부재(430)과 레일(420)이 구름접촉되며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로 레일(420)을 따라 조이스틱(300)을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구름부재(430)는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500)는 위치 조절부(400)를 따라 이동한 조이스틱(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부(500)는 조이스틱(300)이 레일(420)을 따라 이동한 경우, 운잔자에 의해 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이스틱(300)은 위치 조절부(40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고, 위치 결정부(500)에 의해 이동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의 위치 결정부(5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510)와 위치 결정부재(520) 그리고 계합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재(510)는 조이스틱(300)의 양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재(510)는 복수로 형성되며 조이스틱(30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조이스틱(300)의 양측에 지지될 수 있다.
회동부재(510)는 조이스틱(30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부재(510)는 조이스틱 바디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위치 결정부재(520)는 일측이 회동부재(5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동부재(510)는 타측이 조이스틱(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부재(520)와 조이스틱(300)은 회동부재(510)에 의해 결합되고, 위치 결정부재(520)가 회동부재(51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계합부재(540)는 암레스트 바디(100)에 배치되어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과 계합될 수 있다.
계합부재(540)와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이 계합되어, 조이스틱(300)의 현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운전자는 위치 결정부(500)의 회동에 따라 계합부재(540)와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을 계합시켜, 조이스틱(300)의 현재 위치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원하는 조이스틱(300)의 위치에 따라 위치 결정부(500)를 조작하여 조이스틱(300)의 변경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조이스틱(300)을 조작하여 조작기를 제어시, 조이스틱(300)의 위치 변화 없이 조이스틱(300)을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의 위치 결정부(500)는 탄성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30)는 위치 결정부재(5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530)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과 계합부재(540)가 서로 계합되어 조이스틱(300)의 현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합부재(540)는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계합부재(540)는 치형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갖는 돌기를 갖고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계합부재(540)는 조이스틱(300)의 이동 가능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합부재(540)는 복수의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과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계합부재(540)는 손바닥 지지부(200)의 전방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암레스트 바디(100)의 일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합부재(540)가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조이스틱(300)의 이동 가능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어, 운전자는 작업자의 손가락 길이에 맞게 이동된 조이스틱(300)의 현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는 베이스 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에는 계합부재(540)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는 레일(4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450)의 타측은 암레스트 바디(10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45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에는 일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개구부(401)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상에 개구부(401)를 중심으로 계합부재(540)인 돌기가 베이스 부재(450)의 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450)의 타측에는 베이스 부재(450)의 중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조이스틱(300)의 하부와 도시되지 않은 유압라인 및 전기라인이 이동 가능한 이동홀(40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450)의 내측은 중공(40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450)의 중공(402)은 상술한 개구부(401)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450)의 내측의 폭방향의 길이는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의 개구부(401)의 폭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450)의 내측에는 레일(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베이스 부재(450)를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단면을 보면, 베이스 부재(450)의 개구부(401)와 중공(402)은 약"역방향의 T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410)는 개구부(401)를 통해 중공(40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420)은 베이스 부재(450)의 내측 벽면에 형성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410)는 일면에 계합부재(540)인 돌기가 형성된 베이스 부재(450)의 다른면과 접촉하여, 중공(40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의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결정부재(520)은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에 형성되어 계합부재(540)와 계합되어 조이스틱(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돌기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521)는 계합부재(540)와 마주하도록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521)는 치형의 계합부재(540)와 계합되도록 동일한 치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 바디(100)에는 설치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공(110)에 베이스 부재(45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이스틱(300)은 베이스 부재(450)에 형성된 레일(420)을 따라 이동하고, 계합부재(540)와 위치 결정부재(520)의 계합에 따라 이동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의 조이스틱(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이스틱(300)은 손바닥 지지부(200) 전방의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조이스틱(300)은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제2 조이스틱 부(320)와 제3 조이스틱 부(330) 그리고 제4 조이스틱 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조이스틱 부(310,320,330,340)은 각각의 조이스틱 바디와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제2 조이스틱 부(320)와 제3 조이스틱 부(330) 그리고 제4 조이스틱 부(340)는 암레스트 바디(100)에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이스틱 부(310)는 손바닥 지지부(200)의 일측 측면과 상대적으로 인접하도록 손바닥 지지부(200)의 전방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바닥 지지부(200)의 일측 측면에는 조절 버튼(250)이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조이스틱 부(310)는 산업차량에서 포크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는 리프트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 조절 버튼(250)는 산업차량의 운전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스위치일 수 있다.
제2 조이스틱 부(320)는 손바닥 지지부(200)의 전방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조이스틱 부(320)는 포크를 전/후방으로 조작하는 틸트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제3 조이스틱 부(330)는 손바닥 지지부(200)의 전방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제2 조이스틱 부(3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조이스틱 부(330)는 포크를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는 사이드 시프트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제4 조이스틱 부(340)는 손바닥 지지부(200)의 전방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제3 조이스틱 부(33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조이스틱 부(340)는 손바닥 지지부(200)의 타측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조이스틱 부(320)와 제3 조이스틱 부(330)는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제4 조이스틱 부(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이스틱 부(320)는 제3 조이스틱 부(330) 보다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4 조이스틱 부(340)는 산업차량에 별도로 부착되는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전기적 신호를 조작하는 추가작업 또는 보조장치(Auxiliary)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 조이스틱 부(310)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4 조이스틱 부(340)까지 제2 조이스틱 부(320) 및 제3 조이스틱 부(330)가 우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조이스틱 부(310,320,330,340)가 조작하는 작업기 및 어태치먼트는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 부(310,320,330,340)의 개수와 동일하게 위치 결정부(500)와 위치 조절부(400) 그리고 베이스 부재(4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이스틱 부(320) 또는 베이스 부재(450)는 복수의 조이스틱 부(310,320,330,340) 및 복수개의 베이스 부재(450) 중 가장 손바닥 지지부(200)와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조이스틱 부(320) 또는 베이스 부재(450)는 복수의 조이스틱 부(310,320,330,340) 및 복수개의 베이스 부재(450) 중 암레스트 바디(100)의 일단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운전자의 손가락 길이가 가운데 손가락이 상대적으로 다른 손가락 길이에 비해 길기 때문에, 이에 의해 조작되는 제2 조이스틱 부(320)가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가장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조이스틱 부(320)는 암레스트 바디(1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가상선 상에서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제3 조이스틱 부(330) 그리고 제4 조이스틱 부(340) 보다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제2 조이스틱 부(320)와 제3 조이스틱 부(330) 그리고 제4 조이스틱 부(340)는 손바닥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운전자의 손가락에 의해 조절되는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제2 조이스틱 부(320)와 제3 조이스틱 부(330) 그리고 제4 조이스틱 부(340)가 손가락의 전후 이동방향에 따라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조이스틱 부(310)와 제2 조이스틱 부(320)와 제3 조이스틱 부(330) 그리고 제4 조이스틱 부(34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위치 결정부(500)와 복수개의 위치 조절부(400)가 이들의 이동을 안내하거나, 이들의 위치를 결정지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의 위치 결정부재(5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4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은 조이스틱(30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레일(4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계합부재(540)와 계합 또는 계합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조이스틱(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계합부재(540)와 계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조이스틱(300)을 레일(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조이스틱(300)과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레일(4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계합부재(540)와 계합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조이스틱(300)을 현 위치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의 위치 조절부(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460)는 중공(402)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460)는 중공(402) 상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460) 상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이러한 통공에 슬라이더(410)와 레버(311) 또는 조이스틱 바디(312) 사이가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300)의 이동에 따라 커버부재(460)가 중공(402)을 따라 이동하며, 중공(402) 내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레일(420)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460)는 중공(402)의 길이보다 훨씬 길게 형성되어, 조이스틱(300)의 이동에 따라 중공(402)이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와 계합부재(540)의 타측의 형상 및 베이스 부재(450)의 형상 그리고 이의 설치위치만 상이할 뿐 다른 구성 및 배치구조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5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에는 복수의 홈(54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홈(541)은 베이스 부재(450)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는 레일(4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450)의 타측은 암레스트 바디(100)에 일부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즉, 암레스트 바디(100) 상으로부터 복수의 홈(541)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450)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541)이 암레스트 바디(100) 상에 배치되도록 베이스 부재(450)의 타측이 암레스트 바디(100)의 하부에 매립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45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에는 일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개구부(401)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상의 측면에 개구부(401)를 중심으로 계합부재(540)인 복수의 홈이 베이스 부재(450)의 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450)의 타측에는 베이스 부재(450)의 중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조이스틱(300)의 하부와 도시되지 않은 유압라인, 전기라인 또는 레버(311)와 연결된 링크의 이 이동 가능한 이동홀(40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450)의 내측은 중공(40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450)의 중공(402)은 상술한 개구부(401)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450)의 내측의 폭방향의 길이는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의 개구부(401)의 폭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450)의 내측에는 레일(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베이스 부재(450)를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단면을 보면, 베이스 부재(450)의 개구부(401)와 중공(402)은 약"역방향의 T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410)는 개구부(401)를 통해 중공(40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420)은 베이스 부재(450)의 내측 벽면에 형성 또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2)의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이 베이스 부재(450)의 일측 측면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에는 레일(420) 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가 서로 이격된 돌기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521)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으로부터 조이스틱(300)의 중심부 또는 레일(4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521)는 베이스 부재(450)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홈(54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조이스틱(3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베이스 부재(450)는 복수의 홈(541)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450)의 측면이 암레스트 바디(100) 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암레스트 바디(100)에 형성된 설치공(11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3)의 위치 결정부재(5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3)는 앞서 서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와 위치 결정부재(520)의 형상과 회동부재(510)의 배치구조만 상이할 뿐 베이스 부재(450)의 형상과 다른 구성 및 배치구조는 동일하다.
회동부재(510)는 레일(420)의 폭방향을 따라 조이스틱(300)에 지지된다.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은 회동부재(510)과 결합되어 조이스틱(300)의 폭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복수의 돌기 중 어느 하나의 요홈에 삽입되어, 이의 측면이 돌기의 나사선에 지지되도록 약 "V"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요홈으로부터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과의 계합이 해제되는 경우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과 요홈이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530)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과 조이스틱(300) 사이에 배치되어, 요홈에 삽입된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으로 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부재(510) 및 위치 결정부재(520)는 조이스틱(300)을 중심으로 좌우 및 전후 방향을 따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 후, 운전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조작이 원활한 위치로 조이스틱(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현재의 조이스틱(300)이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이스틱(300)을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자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이 계합부재(540)와 계합이 해제되도록 한쌍의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이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을 가압한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 일측의 가압에 따라 탄성부재(530)는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는 조이스틱(300)의 슬라이더(410)가 레일(420)을 따라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이스틱(3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더(410)에 설치된 구름부재(430)이 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며 조이스틱(300)이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이스틱(300)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계합부재(540)와 계합되도록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가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 제공되는 복귀력은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으로부터 제공된다.
그리고 탄성부재(530)는 계합된 위치 결정부재(320)의 타측에 형성된 돌기와 계합부재(540)의 계합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해 이동된 새로운 위치에서의 조이스틱(300)은 새로운 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작업자로 교체되는 경우, 조이스틱(300)은 다시 위치가 재설정될 수 있다.
조이스틱(300)이 손바닥 지지부(200)로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조이스틱(300)을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2)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 후, 운전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조작이 원활한 위치로 조이스틱(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현재의 조이스틱(300)이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이스틱(300)을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자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의 돌기부(521)가 복수의 홈(541)이 형성된 계합부재(540)와 계합이 해제되도록 한쌍의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이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을 가압한다. 즉, 운전자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의 돌기부(521)가 복수의 홈(541)로부터 이탈되도록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 일측의 가압에 따라 탄성부재(530)는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는 조이스틱(300)의 슬라이더(410)가 레일(420)을 따라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이스틱(3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더(410)에 설치된 구름부재(430)이 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며 조이스틱(300)이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이스틱(300)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에 형성된 돌기부(521)는 복수의 홈(541)이 형성된 계합부재(540)로 계합되도록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가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 제공되는 복귀력은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으로부터 제공된다.
그리고 탄성부재(530)는 계합된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에 형성된 돌기와 계합부재(540)의 계합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해 이동된 새로운 위치에서의 조이스틱(300)은 새로운 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작업자로 교체되는 경우, 조이스틱(300)은 다시 위치가 재설정될 수 있다.
조이스틱(300)이 손바닥 지지부(200)로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조이스틱(300)을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3)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 후, 운전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조작이 원활한 위치로 조이스틱(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현재의 조이스틱(300)이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이스틱(300)을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자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이 계합부재(540)와 계합이 해제되도록 복수의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이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을 가압한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 일측의 가압에 따라 탄성부재(530)는 압축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양손을 이용하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을 가압한다.
그리고, 운전자는 조이스틱(300)의 슬라이더(410)가 레일(420)을 따라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이스틱(3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더(410)에 설치된 구름부재(430)이 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며 조이스틱(300)이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이스틱(300)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위치 결정부재(520)의 일측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계합부재(540)와 계합되도록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위치 결정부재(520)가 레일(4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 제공되는 복귀력은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으로부터 제공된다. 즉,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은 계합부재(540)의 돌기의 요홈에 삽입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30)는 계합된 위치 결정부재(520)의 타측에 형성된 돌기와 계합부재(540)의 계합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해 이동된 새로운 위치에서의 조이스틱(300)은 새로운 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작업자로 교체되는 경우, 조이스틱(300)은 다시 위치가 재설정될 수 있다.
조이스틱(300)이 손바닥 지지부(200)로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조이스틱(300)을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101,102,103)는 운전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손바닥 지지부(200)로부터 손가락에 의해 조절되는 조이스틱(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바뀌거나 제품의 출하시 초기 세팅된 위치로부터 조이스틱(300)의 위치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이스틱(300)의 위치 변경으로 작업자는 작업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102,103: 암레스트 장치 100: 암레스트 바디
200: 손바닥 지지부 300: 조이스틱
400: 위치 조절부 410: 슬라이더
420: 레일 430: 구름부재
500: 위치 결정부 510: 회동부재
520: 위치 결정부재 530: 탄성부재
540: 계합부재

Claims (15)

  1. 암레스트 바디;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돌출 배치된 손바닥 지지부;
    상기 손바닥 지지부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암레스트 바디의 일단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차량의 작업기를 조작 가능한 조이스틱; 및
    상기 조이스틱과 상기 손바닥 지지부 사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일측에 배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을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부재을 더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위치 조절부를 따라 이동한 상기 조이스틱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양측에 배치된 회동부재;
    일측이 상기 회동부재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조이스틱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위치 결정부재; 및
    상기 암레스트 바디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타측과 계합 가능한 계합부재
    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계합부재는,
    상기 암레스트 바디 상에 돌기를 갖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장치.
  8. 제5항에서,
    일측에 상기 계합부재인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내측 상기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계합부재와 계합 가능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장치.
  10. 제5항에서,
    일측에 상기 계합부재인 복수의 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내측 상기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계합부재와 계합 가능한 복수의 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조이스틱은 상기 손바닥 지지부 전방의 상기 암레스트 바디 상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장치.
  13. 제5항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장치.
  14. 제5항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장치.
  15. 암레스트 바디;
    상기 암레스트 바디에 서로 이격 배치되어 차량의 작업기를 조작 가능하한 복수의 조이스틱 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상기 복수의 조이스틱 부 각각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되도록 안내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위치 조절부를 따라 이동한 상기 복수의 조이스틱 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
KR1020180159442A 2018-12-11 2018-12-11 암레스트 장치 KR102552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42A KR102552518B1 (ko) 2018-12-11 2018-12-11 암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42A KR102552518B1 (ko) 2018-12-11 2018-12-11 암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570A true KR20200071570A (ko) 2020-06-19
KR102552518B1 KR102552518B1 (ko) 2023-07-05

Family

ID=7113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442A KR102552518B1 (ko) 2018-12-11 2018-12-11 암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5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2297A (ja) * 2002-04-03 2003-10-15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
KR200433218Y1 (ko) * 2006-09-07 2006-12-08 주식회사 동원테크 위치 조절기능을 가진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피니셔
JP2009083731A (ja) * 2007-10-01 2009-04-23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統合スイッチ
KR20160015135A (ko) * 2015-01-06 2016-02-12 동서콘트롤(주) 암레스트
KR20170109528A (ko) * 2015-01-29 2017-09-29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
KR102404298B1 (ko) * 2017-01-13 2022-06-07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산업용 차량 암 레스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2297A (ja) * 2002-04-03 2003-10-15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
KR200433218Y1 (ko) * 2006-09-07 2006-12-08 주식회사 동원테크 위치 조절기능을 가진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피니셔
JP2009083731A (ja) * 2007-10-01 2009-04-23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統合スイッチ
KR20160015135A (ko) * 2015-01-06 2016-02-12 동서콘트롤(주) 암레스트
KR101642760B1 (ko) * 2015-01-06 2016-07-26 동서콘트롤(주) 암레스트
KR20170109528A (ko) * 2015-01-29 2017-09-29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
KR102412206B1 (ko) * 2015-01-29 2022-06-23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자재 취급 차량용 제어 모듈 및 팜 레스트
KR102404298B1 (ko) * 2017-01-13 2022-06-07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산업용 차량 암 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518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832B1 (ko) 작업차의 속도 유지 구조
US10328798B2 (en) Work vehicle
JPH04368231A (ja) 作業車の前後進変速操作構造
KR20200071570A (ko) 암레스트 장치
US7563169B2 (en) Control lever device
JPH0448355Y2 (ko)
CN103161935A (zh) 自动变速器的换档控制装置
JP6679410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756636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US3385942A (en) Joystick control lever with pushbutton speed control for machine tools
JP2002073187A (ja) 作業車両の操縦装置
JP4690983B2 (ja)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JP6849529B2 (ja) 作業車両
US20200292063A1 (en) Operation device and work vehicle
JP6898769B2 (ja) 作業車両
JP7390720B2 (ja) ペダル駆動機構
JP2018188080A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トラクタ
JP7053174B2 (ja) 作業車輌
JPH0436016Y2 (ko)
JPH0713105U (ja) 作業用走行車における変速レバーガイド構造
JP2004211375A (ja) 建設機械の足踏みペダル装置
JPH037640Y2 (ko)
JP2604015Y2 (ja) 車輌用の電気式操縦レバー装置
KR20150037639A (ko) 대차
KR101063320B1 (ko) 트랙터용 히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