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135A -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암레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5135A KR20160015135A KR1020150000957A KR20150000957A KR20160015135A KR 20160015135 A KR20160015135 A KR 20160015135A KR 1020150000957 A KR1020150000957 A KR 1020150000957A KR 20150000957 A KR20150000957 A KR 20150000957A KR 20160015135 A KR20160015135 A KR 20160015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holding bar
- armrest
- guide rail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60N2/757—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 B60N2/46—
-
- B60N2/462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홀센서를 이용한 버튼을 사용하며, 이러한 버튼이 암레스트의 암거치부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암레스트 장치의 암거치부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평방향으로 암거치부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센서가 구비된 버튼과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버튼을 구비하며, 수평방향 이동이 용이한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또는 중장비의 경우 시트 착석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 측면에 암레스트 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 암레스트 장치는 수평이동 또는 수직이동의 경우 볼트와 노브를 이용해서 강제 고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 종류 등에 따른 조절이 불가능하여 암레스트의 기능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10-2010-0131557의 경우 암레스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10-2010-0131557는 프레임구멍으로 탄성력제공부가 삽입되었다가 빠지는 동작으로 반복하여 길이 조절시 조작감을 부여받고,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등간격으로 형성된 프레임구멍으로 인하여 이동간격이 제한적이므로 사용자의 체형을 모두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10-2010-0131557의 경우 암레스트에 기능버튼 등을 탑재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홀센서가 구비된 버튼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암레스트에 버튼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수평방향 이동이 용이한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하부에 중심축이 형성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며, 중앙에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아래쪽에 압축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끝단측에 회전가능한 회전부재가 구비된 회전이동부; 상기 회전이동부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이동하는 이동면과, 상기 이동면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면의 바깥쪽에 기립되어 형성된 기립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상기 기립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기립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센서; 및 상기 가이드부 하부에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판단하는 회로가 실장되는 PCB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의 누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복수의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 상기 자성체와 인접하는 홀센서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암거치부, 상기 암거치부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암거치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를 포함하는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암거치부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면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상부면이 상기 암거치부에 고정되는 수평지지프레임;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누름부를 구비하는 레버; 일단이 상기 누름부를 안착하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과 밀착되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홀딩바; 및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홀딩바의 타단과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된 판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레버가 상부로 당겨질 경우, 상기 누름부가 상기 홀딩바의 일단을 하부방향으로 눌러 상기 홀딩바의 타단을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슬라이딩부가 수평이송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상기 홀딩바의 타단과 상기 가이드 레일이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레버의 힌지결합은 힌지축과 회전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스프링은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암거치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하부에 중심축이 형성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며, 중앙에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아래쪽에 압축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끝단측에 회전가능한 회전부재가 구비된 회전이동부; 상기 회전이동부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이동하는 이동면과, 상기 이동면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면의 바깥쪽에 기립되어 형성된 기립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상기 기립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기립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센서; 및 상기 가이드부 하부에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판단하는 회로가 실장되는 PCB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의 누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복수의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 상기 자성체와 인접하는 홀센서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면은 원주면 또는 구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롤러 또는 구형태일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자성체와 상기 홀센서는 서로 대응하도록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면 중심에 중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레스트는 홀센서를 이용한 버튼을 암레스트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장치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레스트는 수평이송부의 레버를 조작하여 암거치부를 용이하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튼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버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버튼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암레스트의 수평이송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암레스트의 수평이송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튼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버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버튼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암레스트의 수평이송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암레스트의 수평이송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레스트는 고정부(50), 연결부(40), 암거치부(100) 및 수평이송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50)는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50)는 프레임 형상으로 일단이 의자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부(40)에 연결된다.
연결부(40)는 암레스트를 수평으로 유지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관절구조로 형성된다. 즉, 연결부(40)는 일단이 고정부(50)에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은 수평이송부(300)에 고정된다. 이때, 연결부(40)의 양단은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회전함으로써 상부 또는 하부로 암거치부(1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암거치부(100)는 사용자의 팔을 거치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영역에 복수의 기능버튼들이 탑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암거치부(100)는 상부커버(110), 하부커버(130) 및 기능버튼 탑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커버(110)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팔을 거치하며, 기능버튼 탑재부(120)의 내측에 미도시된 회로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하부커버(130)는 수평이송부(300)와 연결되며, 기능버튼 탑재부(120)를 수납할 수 있다.
기능버튼 탑재부(120)는 암레스트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능버튼들(140) 및 조이스틱(140) 등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기능버튼 탑재부(120)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부분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락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융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능버튼 탑재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버튼(2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버튼(200)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며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이송부(300)는 암거치부(100)와 연결부(40) 사이에 위치하여 암거치부(100)를 수평으로 이송하도록 할 수 있다. 수평이송부(300)는 측면에 위치하는 레버(310)를 사용자가 당길 경우 내부의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는 홀딩바의 락(rock)을 해제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암거치부(100)를 수평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수평이송부(300)는 사용자가 위치를 설정한 후 레버를 원위치 시키면 내부의 홀딩바가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여 암거치부(100)를 고정시킨다.
수평이송부(300)의 상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암레스트에 장착되는 버튼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버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튼(200)은 조작부(210), 하우징(220), 회전이동부(230), 가이드부(250), 홀센서(240) 및 PCB 기판(2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10)는 'V'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21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조작부(2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축(212)을 회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220)은 회전이동부(230), 가이드부(250) 및 PCB 기판(270)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20)은 상부에 조작부(210)가 부착되도록 부착수단들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212)이 삽입되어 회전이동부(2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225)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20)은 가이드부(250)의 양쪽에 마련된 기립부(259)가 내재되도록 하는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이동부(230)는 중심축(212)이 삽입되는 홈부(235)가 구비되며, 홈부(235)의 하부에 압축스프링(236)이 구비된다. 회전이동부(230)는 압축스프링(236)의 하단에 가이드부(250)에 마련된 이동면(258)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부재(238)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성체(232, 234)는 회전이동부(230)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회전이동부(230)의 외면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자성체(232, 234)는 회전이동부(230)의 외면 내측에 삽입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250)는 이동면(258), 안착홈(252, 254, 256) 및 기립부(25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면(258)은 회전부재(238)가 이동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이동부(230)의 회동반경에 따라 원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면(258)상에 안착홈(252, 254, 256)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52, 254, 256)은 회전부재(238)가 안착되도록 적절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부(210)의 조작에 의해 회전부재(238)가 이동면(258)으로 이동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안착홈(252, 254, 256)은 이동면(258)에 3개가 형성된 것을 예를 들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버튼이 3가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3개가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또는 3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기립부(259)는 하우징(220)에 내삽되어 가이드부(250)가 고정되도록 이동면(258)의 양단측에 형성될 수 있다. 기립부(259)의 내부는 홀센서(240)가 삽입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센서(240)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전압이 변하는 소자로,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수직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때, 전류가 흐르는 도체 내에서 전류와 수직방향으로 전위차가 발생되는 홀현상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홀센서(240)는 2개가 사용되며, 자성체(232, 2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홀센서(240)는 기립부(259)의 내측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센서(240)는 기립부(259)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홀센서(240)는 PCB 기판(270)에 연결되어 전위차 신호를 PCB 기판(27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6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튼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튼의 중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0)의 중립상태에서 회전이동부(230)는 가이드부(25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부재(238)는 제1 안착홈(254)에 안착되어 있으며, 이때, 압축스프링(236)의 하부로 압력을 가하여 회전부재(238)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동안에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되고 있다.
버튼(200)의 중립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자성체(232, 234)와 제1 및 제2 홀센서(240)가 서로 이격되어 제1 및 제2 자성체(232, 234)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제1 및 제2 홀센서(240)에 수직방향으로 기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버튼(200)은 제1 및 제2 홀센서(240)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아 중립상태를 유지한다.
도 5 및 도 6은 버튼의 제1 및 제2 홀센서 각각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제1 신호가 발생될 때, 버튼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 신호가 발생될 때, 버튼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0)은 조작부(210)의 좌측(단면도상)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 중심축(212)을 따라 사용자가 누른 조작부(210)의 반대측으로 회전이동부(230)가 회동한다. 이때, 회전이동부(230)의 회전부재(238)는 이동면(258)의 외부를 따라 이동하며, 제2 안착홈(256)에 안착된다. 회전부재(238)가 이동하는 동안에는 압축스프링(236)이 탄성에 의해 중심축(212) 방향으로 수축하고, 제2 안착홈(256)에 위치할 경우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중심축(212)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켜 회전부재(238)를 제2 안착홈(25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1 홀센서(242)는 제1 자성체(232)와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제1 자성체(232)로부터 인가되는 자기장을 통해 제1 홀전압을 발생시켜 PCB 기판(27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PCB 기판(270)에 실장된 회로에서 제1 신호를 감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0)은 우측(단면도상)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 중심축(212)이 회동하여 사용자가 누른 조작부(210) 반대측인 좌측(도면상)으로 회전이동부(230)가 회동한다.
회전이동부(230)의 회전부재(238)는 이동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며, 제3 안착홈(252)에 안착된다. 제2 홀센서(244)는 제2 자성체(234)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자성체(234)로부터 인가되는 자기장을 통해 제2 홀전압을 발생시켜 PCB 기판(27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PCB 기판(270)에 실장된 회로에서 제2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에서 제1 홀전압에 의한 제1 신호와 제2 홀전압에 의한 제2 신호는 각각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버튼(200)은 지게차 포크의 상하 이동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200)의 제1 신호는 포크를 상승시키는 신호, 제2 신호는 포크를 하강 시키는 신호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튼(200)이 중립위치일 경우(제1 및 제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포크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200)은 덤프트럭의 덤프 동작 등 중장비 차량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자동화장치의 이송장치 전후진 또는 회전 등의 제어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튼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버튼은 도 3과 대비하여 4개의 홀센서와 4개의 자성체가 사용될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10)는 도 3의 조작부(210)와 대비하여 4개의 방향으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10)의 하부 중앙에 중심축(412)이 형성되며, 중심축(412)은 도 3에 도시된 중심축(212)과 동일하게 하우징(420)을 관통하여 회전이동부(430)에 삽입된다.
하우징(420)은 도 3에 도시된 하우징(220)과 형상이 다를 뿐,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이동부(430)는 중앙에 중심축(412)이 삽입되는 관통홀(435)이 형성되며, 관통홀(435) 하부에는 탄성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이때, 탄성스프링(미도시) 하부에 회전부재(438)로 구형의 회전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부(450)는 4개의 기립부(459)가 형성되며, 이동면(458) 및 복수의 안착홈(452)을 구비한다.
4개의 기립부(459) 각각에는 내측에 홀센서(4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동면(458)은 상기 회전부재(438)가 이동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구형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안착홈(452)은 조작부(410)가 눌러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중립상태의 1개의 안착홈과, 조작부(410)의 4개 방향과 대응되도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튼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튼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410)의 일부를 누를 경우 회전이동부(430)는 조작부(410)의 중심축(412)의 회동으로 인하여 조작부(410)가 눌러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회전이동부(430)의 끝단에 위치하는 회전부재(438)가 가이드부(450)의 어느 하나의 안착홈에 안착된다. 이때, 회전이동부(430)에 내재된 자성체와 가이드부(450)에 내재된 홀센서가 반응하여 신호를 생성하여 PCB 기판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튼은 4개의 홀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중립상태를 통해 5개의 동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레스트의 수평이송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들이고, 도 10은 암레스트의 수평이송부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수평이송부(300)는 가이드 프레임(350), 슬라이딩부(340), 수평지지프레임(330), 레버(310), 판스프링(370) 및 홀딩바(3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프레임(350)은 수평방향의 2개의 가이드 레일(355)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50)은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340)는 가이드 레일(35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55)이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슬라이딩부(340)가 3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지지프레임(330)은 슬라이딩부(340)의 상부에 결합수단 등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수평지지프레임(330)은 암레스트 하부커버(13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암레스트 조립 이후에 수평지지프레임(330)이 하부커버(130)의 수평을 유지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수평지지프레임(330)의 측면에는 레버(310)가 장착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힌지고정부(320)는 수평지지프레임(3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고정부(320)는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축(314)이 삽입되는 2개의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판스프링(370)은 일단이 슬라이딩부(34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홀딩바(360)의 끝단에 결합된다. 판스프링(370)은 홀딩바(360)와 결합된 결합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370)의 복원력에 의해 상시적으로 홀딩바(360)가 가이드 레일(35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슬라이딩부(340)가 가이드 프레임(35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홀딩바(360)는 일단이 판스프링(370)과 결합되며, 타단이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딩바(360)의 타단은 가이드 레일(355)을 감싸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355)과의 마찰로 인하여 슬라이딩부(3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수평지지프레임(330)의 측면에는 힌지결합된 레버(310)가 장착될 수 있다.
레버(310)는 힌지축(314)과 힌지스프링(316)을 통해 힌지축(314)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레버(310)는 사용자가 상부로 당길 경우 힌지축(314)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사용자가 레버(310)를 하부로 밀지않아도 힌지스프링(316)의 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레버(310)는 홀딩바(36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누름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누름부(312)는 레버(3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레버(310)에 고정되어 레버(310)가 당겨지면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312)는 홀딩바(360)의 끝단 상부에 안착되며 레버(310)가 당겨질 경우, 하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홀딩바(360)의 상부를 누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버(310)를 당기면 내부의 홀딩바(360)가 누름부(312)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홀딩바(360)의 타단과 가이드 레일(355)이 이격되어 슬라이딩부(340)가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레버(310)가 원위치로 복위되면 판스프링(370)에 의한 복원력으로 인하여 홀딩바(360)의 타단과 가이드 레일(355)이 밀착하여 슬라이딩부(340)가 가이드 프레임(35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레스트의 수평이동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10)를 상부 방향으로 당길 경우, 레버(310)와 결합된 누름부(312)가 판스프링(370)과 홀딩바(360)의 결합부를 눌러 홀딩바(360)와 가이드 레일(355)을 이격시키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340)가 자유롭게 가이드 레일(355)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평이동이 완료되면 레버(310)를 본 위치로 복원시킨다. 이때, 누름부(312)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판스프링(370)의 복원력에 의해 홀딩바(360)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홀딩바(360)와 가이드 레일(355)을 밀착시켜 슬라이딩부(3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암레스트는 홀센서를 이용한 버튼을 암레스트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장치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암레스트는 수평이송부의 레버를 조작하여 암거치부를 용이하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40: 연결부
50: 고정부
100: 암거치부
110: 상부커버
120: 기능버튼 탑재부
130: 하부커버
140: 조이스틱
150: 기능버튼
200, 400: 버튼
210, 410: 누름부
212, 412: 중심축
220, 420: 하우징
225, 425: 관통홀
230, 430: 회전이동부
232, 234: 제1 및 제2 자성체
238, 438: 회전부재
236: 압축스프링
240, 440: 홀센서
250, 450: 가이드부
252, 254, 256, 452: 안착홈
258, 458: 이동면
259, 459: 기립부
270, 470: PCB 기판
300: 수평이송부
310: 레버
312: 누름부
314: 힌지축
316: 회전스프링
320: 힌지고정부
330: 수평이송프레임
340: 슬라이딩부
350: 가이드 프레임
360: 홀딩바
370: 판스프링
50: 고정부
100: 암거치부
110: 상부커버
120: 기능버튼 탑재부
130: 하부커버
140: 조이스틱
150: 기능버튼
200, 400: 버튼
210, 410: 누름부
212, 412: 중심축
220, 420: 하우징
225, 425: 관통홀
230, 430: 회전이동부
232, 234: 제1 및 제2 자성체
238, 438: 회전부재
236: 압축스프링
240, 440: 홀센서
250, 450: 가이드부
252, 254, 256, 452: 안착홈
258, 458: 이동면
259, 459: 기립부
270, 470: PCB 기판
300: 수평이송부
310: 레버
312: 누름부
314: 힌지축
316: 회전스프링
320: 힌지고정부
330: 수평이송프레임
340: 슬라이딩부
350: 가이드 프레임
360: 홀딩바
370: 판스프링
Claims (2)
- 암거치부, 상기 암거치부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암거치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를 포함하는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암거치부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면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상부면이 상기 암거치부에 고정되는 수평지지프레임;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누름부를 구비하는 레버;
일단이 상기 누름부를 안착하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과 밀착되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홀딩바; 및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홀딩바의 타단과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된 판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레버가 상부로 당겨질 경우, 상기 누름부가 상기 홀딩바의 일단을 하부방향으로 눌러 상기 홀딩바의 타단을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슬라이딩부가 수평이송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상기 홀딩바의 타단과 상기 가이드 레일이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힌지결합은 힌지축과 회전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스프링은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0957A KR101642760B1 (ko) | 2015-01-06 | 2015-01-06 | 암레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0957A KR101642760B1 (ko) | 2015-01-06 | 2015-01-06 | 암레스트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7307A Division KR101515564B1 (ko) | 2014-07-30 | 2014-07-30 |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5135A true KR20160015135A (ko) | 2016-02-12 |
KR101642760B1 KR101642760B1 (ko) | 2016-07-26 |
Family
ID=5535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0957A KR101642760B1 (ko) | 2015-01-06 | 2015-01-06 | 암레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276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1570A (ko) * | 2018-12-11 | 2020-06-19 | 주식회사 두산 | 암레스트 장치 |
KR102507126B1 (ko) * | 2022-06-17 | 2023-03-07 | 건영테크(주) | 중장비 차량용 암레스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55091A (ja) * | 1999-08-16 | 2001-02-27 | Nissan Shatai Co Ltd | 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
JP2010215072A (ja) * | 2009-03-16 | 2010-09-30 | Molten Corp | スライド機構 |
KR20120011631A (ko) * | 2010-07-29 | 2012-0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
-
2015
- 2015-01-06 KR KR1020150000957A patent/KR1016427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55091A (ja) * | 1999-08-16 | 2001-02-27 | Nissan Shatai Co Ltd | 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
JP2010215072A (ja) * | 2009-03-16 | 2010-09-30 | Molten Corp | スライド機構 |
KR20120011631A (ko) * | 2010-07-29 | 2012-0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1570A (ko) * | 2018-12-11 | 2020-06-19 | 주식회사 두산 | 암레스트 장치 |
KR102507126B1 (ko) * | 2022-06-17 | 2023-03-07 | 건영테크(주) | 중장비 차량용 암레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2760B1 (ko) | 2016-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5564B1 (ko) |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 |
CN102292238B (zh) | 车座的调角器 | |
KR101850832B1 (ko) | 카시트의 회전장치 | |
US9793076B2 (en) | Switching operating arrangement | |
EP2372915B1 (fr) | Interface homme/machine,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 automobile | |
US8726756B2 (en) | Shift by wire gearshift device | |
KR101642760B1 (ko) | 암레스트 | |
GB2423418A (en) | A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 |
US20150329020A1 (en) | Seat driving apparatus | |
JP4596020B2 (ja) | 車両用操作装置 | |
US8586885B2 (en) | Force-feedback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 |
CN103140907B (zh) | 电动座椅开关组件 | |
US20150321581A1 (en) | Seat driving apparatus | |
EP2736058B1 (en) | Operating device | |
KR101725413B1 (ko) |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 |
KR102676723B1 (ko) |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다이얼타입 변속조작장치 | |
CN110150890B (zh) | 多档位支撑调节机构以及可调式坐具 | |
US10490371B2 (en) | Electrical switch | |
JPH04104025U (ja) |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イツチ | |
KR101482738B1 (ko) | 슬라이딩장치가 구비된 의자 | |
KR101770213B1 (ko)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
US20110049956A1 (en) | Recliner Apparatus | |
JP6477389B2 (ja) | スライドレール | |
KR101936111B1 (ko) |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 |
CN107885351B (zh) | 一种摇杆装置及一种遥控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