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189B1 -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189B1
KR102410189B1 KR1020170032045A KR20170032045A KR102410189B1 KR 102410189 B1 KR102410189 B1 KR 102410189B1 KR 1020170032045 A KR1020170032045 A KR 1020170032045A KR 20170032045 A KR20170032045 A KR 20170032045A KR 102410189 B1 KR102410189 B1 KR 10241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dumpling
dumplings
ski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009A (ko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7003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18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만두 제조장치는: 만두피가 안착되는 성형플레이트와, 성형플레이트에 안착된 만두피에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형성부와, 성형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만두소의 충진을 위해 만두피가 수용되는 수용관과, 수용관에 수용된 만두가 노출되도록 성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부 및 만두를 봉합하는 봉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만두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 만두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만두는 밀가루 반죽으로 된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속이 채워지게 되는데, 만두속이 채워진 만두피를 접합하는 작업의 난이도 때문에 종래에는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만두를 만들어야 했으므로 만두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만두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들이 일부 제작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조잡하고 만두재료의 공급에 있어서도 재료의 이송거리가 길어서 재료가 이송되는 도중에 기계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재료가 변질되거나 익어버려서 재료 자체의 맛이 변질되어 만두의 맛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된 만두의 형태도 좋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해 만두로서의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2-0052115호(공개일:2012.05.23)에는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두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 만두의 봉합력을 향상시키며, 주름에 의한 만두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는: 만두피가 안착되는 성형플레이트와,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만두피에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형성부와,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만두소의 충진을 위해 상기 만두피가 수용되는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에 수용된 만두가 노출되도록 상기 성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부 및 상기 만두를 봉합하는 봉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형성부는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받침주름부 및 상기 받침주름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받침주름부 측으로 가압되는 가압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두피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름형성부는 상기 만두피의 가장자리 일부를 가압하여 주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주름부와 상기 가압주름부는 상호 맞닿는 복수개의 수직면부 및 상기 수직면부를 상호 연결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는 승강브라켓 및 상기 승강브라켓과 접촉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성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합부는 상기 승강작동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만두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봉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합블럭은 상기 만두의 주름측을 지지하도록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제1봉합블럭 및 상기 제1봉합블럭의 상기 오목홈부와 대응되도록 볼록돌기부가 형성되는 제2봉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만두를 상기 수용관의 상부로 돌출시키는 만두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방법은: (a) 만두피가 성형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단계와, (b)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만두피를 압착하여 주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주름이 형성된 상기 만두피를 수용관에 수용시키고, 만두소를 투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만두소가 투입된 상기 만두피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두피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b)단계는 상호 마주보는 받침주름부와 가압주름부가 상기 만두피의 가장자리 일부를 가압하여 주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만두의 주름측을 지지하도록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제1봉합블럭과, 상기 오목홈부와 대응되도록 볼록돌기부가 형성되는 제2봉합블럭이 상기 만두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만두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형성부에 의해 만두피에 많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어 만두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주름형성부는 받침주름부와 가압주름부가 만두피를 압착함으로써, 주름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많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압착부위의 두께가 얇은 겹쳐지더라도 만두피의 다른 부위의 두께와 유사하여 식감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과정에 따른 만두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방법을 보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과정에 따른 만두 형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방법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100)는 성형플레이트(110), 주름형성부(120), 수용관(130), 승강작동부(140) 및 봉합부(150)를 포함한다.
성형플레이트(110)는 만두피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5)의 가장자리에 복수개 구비된다. 이러한 성형플레이트(11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후술되는 수용관(130)과 연통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성형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만두피의 형상과 대응되는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이는 만두피공급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만두피가 성형플레이트(11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게 하고, 안착된 만두피의 유동을 방지한다.
주름형성부(120)는 성형플레이트(110)에 안착된 만두피에 주름을 형성한다. 보다 자세하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형성부(120)는 성형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받침주름부(122) 및 받침주름부(122)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받침주름부(12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주름부(124)를 포함한다.
만두피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주름형성부(120)는 만두피의 가장자리 일부를 가압하여 주름을 형성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피의 주름은 원형의 만두피의 반원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받침주름부(122)와 가압주름부(124)가 만두피를 가압함으로써, 가압을 받는 부위의 만두피는 늘어나게 되어, 두께가 얇아진다. 이로 인해 겹쳐지는 만두의 주름은 만두의 다른 부위와 유사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동일한 식감을 유지시킬 수 있다.
받침주름부(122)와 가압주름부(124)는 상호 맞닿는 복수개의 수직면부(122a,124a) 및 수직면부(122a,124a)를 상호 연결하는 경사면부(122b, 124b)를 포함한다. 이러한 받침주름부(122)와 가압주름부(124)에 의해 형성된 주름은 수직부와 경사부로 형성되고, 수직부가 경사부측으로 접어져 주름이 형성된다.
수용관(130)은 성형플레이트(110)에 구비되어 만두소의 충진을 위해 만두피가 수용된다. 수용관(1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만두소와 만두피가 수용되도록 반원 단면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관(130)의 형상과 대응되는 가압부재(135)가 성형플레이트(110)에 안착된 만두피를 수용관(130) 내부로 가압하여 만두소를 담을 수 있는 컵 형상의 만두피를 형성할 수 있다.
승강작동부(140)는 수용관(130)에 수용된 만두가 노출되도록 성형플레이트(11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성형플레이트(110)에 구비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5)에 힌지 연결되는 승강브라켓(142) 및 승강브라켓(142)과 접촉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5)의 회전에 연동되어 성형플레이트(110)를 승강시키는 승강레일부(144)를 포함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5)에 의해 승강브라켓(142)이 이동되고, 이러한 이동은 승강브라켓(142)이 승강레일부(144)에 접촉되므로 승강레일부(144)의 높이차에 의해 승강브라켓(142)이 시소운동하여 성형플레이트(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브라켓(142)의 단부에는 구름롤러(142a)가 구비되어 승강브라켓(142)과 승강레일부(144)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성형플레이트(110)는 가이드축(145)에 의해 직선으로 승강될 수 있다.
봉합부(150)는 승강작동부(140)에 의해 노출된 만두를 봉합하는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 만두를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봉합블럭을 포함한다.
즉, 봉합블럭은 만두의 주름측을 지지하도록 오목홈부(152a)가 형성되는 제1봉합블럭(152) 및 제1봉합블럭(152)의 오목홈부(152a)와 대응되도록 볼록돌기부(154a)가 형성되는 제2봉합블럭(154)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용관(130)에 수용된 만두를 인출하기 위해 만두를 수용관(130)의 상부로 돌출시키는 만두승강부(160)가 더 구비된다.
만두승강부(160)는 수용관(130)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부(162) 및 승강판부(162)와 접촉되고 승강판부(162)를 승강시키는 돌출레일부(164)를 포함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5)의 이동을 구동력으로 돌출레일부(164)의 높이 차에 의해 승강판부(162)를 수용관(130)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판부(162)의 하부에는 돌출레일부(164)와 접촉되는 구름롤러(162a)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플레이트(105)는 외력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05)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만두를 제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만두피가 성형플레이트(110)에 안착된다(S100). 만두피는 만두피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원형상으로 절단되어 공급되며, 원형상의 만두피는 성형플레이트(110)에 안착된다. 이때, 성형플레이트(110)에는 만두피의 형상과 대응되는 안착홈(115)이 형성되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고, 안착 이후 안착홈(115)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이후, 성형플레이트(110)에 안착된 만두피를 압착하여 주름을 형성한다(S200). 만두피의 주름은 주름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플레이트(110)에는 받침주름부(122)가 형성되고, 성형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가압주름부(124)가 만두피를 가압함으로써, 만두피의 일측 반원의 가장자리에 주름을 형성한다. 이때, 받침주름부(122)와 가압주름부(124)의 압착에 의해 만두피가 늘어져 두께가 얇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무엇보다 받침주름부(122)와 가압주름부(124)의 압착에 의해 만두피의 압착부위의 면적이 넓어짐으로 보다 많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받침주름부(122)와 가압주름부(124)는 상호 맞닿는 복수개의 수직면부(122a,124a)와 수직면부(122a,124a)를 연결하는 경사면부(122b, 124b)로 이루어져, 만두피의 주름은 수직부와 경사부가 형성된다.
이후, 주름이 형성된 만두피를 수용관(130)에 수용시키고, 만두소를 투입한다(S300). 즉, 베이스플레이트(105)가 한스텝 옆으로 이동되면 성형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가압부재(135)가 하강하여 수용관(130)으로 만두피를 눌러 삽입시킨다. 이처럼 가압부재(135)가 수용관(130)으로 만두피를 누르게 되면, 만두피가 수용관(130)에 수용되어 수용관(130)과 대응되는 컵 형태를 형성하고, 그리고, 만두피의 내부에는 만두소가 충진된다. 이때, 만두피는 컵 형상의 수용관(130)에 수용되면서, 수직부가 경사부측으로 접어져 겹쳐진 주름을 형성한다.
만두피의 수직부와 경사부는 상호 겹쳐져도 받침주름부(122)와 가압주름부(124)에 의해 압착되어 얇아진 상태이므로 만두피의 다른 부위와 유사한 두께를 지닐 수 있어 식감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만두소가 투입된 만두피는 봉합부(150)에 의해 봉합된다(S400). 만두의 봉합은 성형플레이트(110)가 하강하여 수용관(130)의 상단부가 성형플레이트(11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만두의 상단부가 마주하는 제1봉합블럭(152)과 제2봉합블럭(154)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어 봉합된다. 보다 자세하게, 만두의 주름측은 제1봉합블럭(152)의 오목홈부(152a)가 접하고, 반대측은 제2블럭의 볼록돌기부(154a)가 접하여 상호 압착되면서 만두의 상단부를 원호형상으로 봉합한다.
봉합이 완료된 만두는 만두배출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수용관(130)의 만두는 만두승강부(160)에 의해 수용관(130)의 상부로 돌출되므로써, 만두배출부에 의해 배출이 가능하다.
즉, 승강판부(162)의 하단부는 돌출레일부(164)와 접촉된 상태이고 만두의 배출부위에서 돌출레일부(164)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승강판부(162)가 상승되어 만두를 수용관(130)의 상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만두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주름형성부에 의해 만두피에 많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어 만두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주름형성부는 받침주름부와 가압주름부가 만두피를 압착함으로써, 주름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많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압착부위의 두께가 얇은 겹쳐지더라도 만두피의 다른 부위의 두께와 유사하여 식감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만두 제조장치 105 : 베이스플레이트
110 : 성형플레이트 112 : 관통홀
115 : 안착홈 120 : 주름형성부
122 : 받침주름부 122a, 122b : 수직면부
124 : 가압주름부 124a, 124b : 경사면부
130 : 수용관 135 : 가압부재
140 : 승강작동부 142 : 승강브라켓
144 : 승강레일부 145 : 가이드축
150 : 봉합부 152 : 제1봉합블럭
152a : 오목홈부 154 : 제2봉합블럭
154a : 볼록돌기부 160 : 만두승강부
162 : 승강판부 164 : 돌출레일부

Claims (11)

  1. 만두피가 안착되는 성형플레이트;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만두피에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형성부;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만두소의 충진을 위해 상기 만두피가 수용되는 수용관;
    상기 수용관에 수용된 만두가 노출되도록 상기 성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부; 및
    상기 만두를 봉합하는 봉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형성부는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받침주름부; 및
    상기 받침주름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받침주름부 측으로 가압되는 가압주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만두피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름형성부는 상기 만두피의 일측 반원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주름을 형성하고,
    상기 봉합부는 상기 승강작동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만두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봉합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봉합블럭은 상기 만두의 주름측을 지지하도록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제1봉합블럭; 및
    상기 제1봉합블럭의 상기 오목홈부와 대응되도록 볼록돌기부가 형성되는 제2봉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주름부와 상기 가압주름부는 상호 맞닿는 복수개의 수직면부; 및
    상기 수직면부를 상호 연결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는 승강브라켓; 및
    상기 승강브라켓과 접촉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성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만두를 상기 수용관의 상부로 돌출시키는 만두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9. (a) 만두피가 성형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단계;
    (b)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만두피를 압착하여 주름을 형성하는 단계;
    (c) 주름이 형성된 상기 만두피를 수용관에 수용시키고, 만두소를 투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만두소가 투입된 상기 만두피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만두피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b)단계는 상호 마주보는 받침주름부와 가압주름부가 상기 만두피의 일측 반원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주름을 형성하며,
    상기 (d)단계는 상기 만두의 주름측을 지지하도록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제1봉합블럭과, 상기 오목홈부와 대응되도록 볼록돌기부가 형성되는 제2봉합블럭이 상기 만두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32045A 2017-03-14 2017-03-14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1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45A KR102410189B1 (ko) 2017-03-14 2017-03-14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45A KR102410189B1 (ko) 2017-03-14 2017-03-14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09A KR20180105009A (ko) 2018-09-27
KR102410189B1 true KR102410189B1 (ko) 2022-06-20

Family

ID=6371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045A KR102410189B1 (ko) 2017-03-14 2017-03-14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899B1 (ko) * 2020-09-15 2021-05-20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KR102581012B1 (ko) * 2021-03-02 2023-09-20 씨제이제일제당 (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
KR20240015231A (ko) 2022-07-26 2024-02-05 최상업 회오리 형상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만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35Y1 (ko) * 2002-05-01 2002-08-13 성재원 만두제조용 만두 성형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25B1 (ko) * 2012-04-16 2014-06-02 (주)에스에프아이엔티 복주머니형 만두 성형장치
KR20150113320A (ko) * 2014-03-27 2015-10-08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성형장치
KR101718973B1 (ko) * 2014-10-14 2017-03-24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피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35Y1 (ko) * 2002-05-01 2002-08-13 성재원 만두제조용 만두 성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09A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189B1 (ko)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64327B1 (ko)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103717097B (zh) 用于制造包覆食品的开闭装置及其方法
US9039589B2 (en) Beverage pod packaging manufacturing machine
US8875477B2 (en) Beverage pod manufacturing machine
KR101402325B1 (ko) 복주머니형 만두 성형장치
CN106103033B (zh) 用于形成具有杯状主体的物体的方法和设备
CN111838235B (zh) 折叠食品的成形方法及成形装置
EP06263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vacuum package filled with granular material
KR20140138313A (ko) 딥 드로잉된 종이 접시, 종이 접시 제조 방법 및 장치, 및 접시형 제품 패키지
JP4260216B1 (ja) 食品成形装置
CN203871432U (zh) 软包弧形电芯成型设备
CN104669596B (zh) 用于锂离子电池包装膜的气压成形模具和气压成形方法
US4759706A (en) Multipurpose cutting and forming device
JP2014082950A (ja) 米飯成形機構および米飯成形方法
KR20100000930A (ko) 금속용기의 일체형 와테 성형방법
US20040175458A1 (en) Pocket brea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mass production
KR101732951B1 (ko) 만두성형장치
AU2002214339B2 (en) Pocket brea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mass production
JP3893312B2 (ja) 米飯成型装置
KR20130083222A (ko) 만두 성형장치
CN104009248B (zh) 软包弧形电芯成型方法及成型设备
IT201900006294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onfezione biodegradabile di un prodott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JP2004313072A (ja) 食品成形装置
JPH0642966Y2 (ja) 包装機用の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