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153A -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153A
KR20090084153A KR1020080010163A KR20080010163A KR20090084153A KR 20090084153 A KR20090084153 A KR 20090084153A KR 1020080010163 A KR1020080010163 A KR 1020080010163A KR 20080010163 A KR20080010163 A KR 20080010163A KR 20090084153 A KR20090084153 A KR 2009008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etal container
cylinder
lift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327B1 (ko
Inventor
황찬오
Original Assignee
황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찬오 filed Critical 황찬오
Priority to KR102008001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32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석도금강판 등의 금속재질로서 원통형이나 사각형으로 제작되는 용기의 상단 테두리부에 커링과 비딩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된 평판 소재를 1매씩 컨베이어 라인으로 공급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이송시키는 소재 공급부 및 이들 소재의 양 선단부를 한쌍의 전극롤러에 의해 접합하는 소재 용접부를 가지며, 상기 소재의 상, 하부 위치를 바꾸기 위해 180°로 회전시키는 반전기구 및 소재의 밑면 테두리부를 하판으로 막아 폐색시키기 위한 고정기구로 이루어진 금속용기의 성형장치로서; 컨베이어 라인 상에서의 이동이 정지된 소재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를 밀어눌러 1차 커링을 형성하는 제1구동유닛 및 이 제1구동유닛에 인접 배치되어 소재를 다시 상승시키면서 2차 커링 및 비딩을 형성하는 제2구동유닛을 더 구비하고 있다.
금속용기, 컨베이어 라인, 리프트, 실린더, 커링, 비딩

Description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A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tal container}
본 발명은 주로 고추장이나 된장, 식용유, 페인트 등을 수용하여 유통(流通)시키기 위한 금속용기를 자동화 라인을 통해 연속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석도금강판 등의 금속재질로서 원통형이나 사각형으로 제작되는 용기의 상단 테두리부에 커링(currying)과 비딩(beading)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이 빈 금속제 용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부풀림 장치(bulging device)를 이용하여 금속관 내부에 기름과 같은 유체로 압력을 가함에 따라 금속관이 금형내에서 부풀어 오르게 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피닝 장치(spinning device)를 이용하여 금속관을 롤러 등의 회전체로 금형에 밀착시켜 점차 둥근 형태로 만들어 가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부풀림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가공량에 한계가 있고 가공 후의 탄성변형 때문에 정밀한 치수의 형상을 얻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상기 스피닝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여러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성형해야만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게 됨은 물론 다수의 금형이 필요하고 생산성이 낮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로 고추장이나 된장 등의 반액상류, 식용유나 페인트 등의 액상류 제품을 담아 유통시키기 위한 금속용기(10)는, 통상 컨베이어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소재를 원통형이나 사각형으로 하여 본체 (11)를 성형한 후 이 본체(11)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12)에 별도의 프레스 작업으로 제작된 상판 및 하판(13a,13b)을 각각 장착하여 결속시키고, 상기 상판(생산현장에서는 일명 '와테'라고 불리움)에 마련된 주입구(14)로 덮개(15)를 씌워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기 구조에 있어서는 본체(11)의 양 끝단에 플랜지(12)를 형성하여 상판(13a)과 하판(13b)을 각각의 합체 과정을 통해 서로 접합시켜야만 용기(10)의 소정 강도(强度)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판(13a)의 중앙부나 한쪽 부분에 주입구(14)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번거로워 생산성이 떨어지고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반액상류인 경우 깨끗하게 배출시킬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는 것이었다.
이러한 금속용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전에 등록실용신안 제02438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추장이나 젓갈 등을 담아 유통시키기 위한 사각형상의 금속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작이 어렵고 사용이 불편한 상판(와테)을 없애는 대신에 본체의 상단 테두리부에 커링 및 비딩을 각각 형성함에 따라 용기의 견고성 및 실용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금속용기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금속용기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프레스기에 장착된 라운딩 금형을 이용하여 커링을 성형한 후에 별도의 3본 롤러로 이루어진 구동기구를 이용하여 비딩을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제반 작업공정이 복잡해지고 용기 내부의 청결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킨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정해진 금속용기의 용량에 따라 절단된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에 커링 및 비딩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의 강도(强度)를 충분히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은 수동작업 시의 단점이었던 제품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용기 성형장치는,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된 평판 소재를 1매씩 컨베이어 라인으로 공급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이송시키는 소재 공급부 및 이들 소재의 양 선단부를 한쌍의 전극롤러에 의해 접합하는 소재 용접부를 가지며, 상기 소재의 상, 하부 위치를 바꾸기 위해 180°로 회전시키는 반전기구 및 소재의 밑면 테두리부를 하판으로 막아 폐색시키기 위한 고정기구로 이루어진 금속용기의 성형장치로서; 컨베이어 라인 상에서의 이동이 정지된 소재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를 밀어눌러 1차 커링을 형성하는 제1구동유닛 및 이 제1구동유닛에 인접 배치되어 소재를 다시 상승시키면서 2차 커링 및 비딩을 형성하는 제2구동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구동유닛은, 컨베이어 라인 상에 배치된 실린더에 의해 승, 하강 작동하는 리프트와, 이 리프트의 상측에 대향하는 지지틀 상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와, 이 모터의 축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와, 이 피동기어의 동축 상에 설치된 회동체와, 상기 지지틀 상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함과 동시에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를 밀어눌러 1차 커링을 행하는 편심커더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컨베이어 라인 상에 배치된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트와, 이 리프트의 상측에 대향하는 지지틀 상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구동축 주위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소재에 2차 커링을 행하기 위한 제1금형과, 소재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비딩을 행하기 위한 제2금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금형은 그 저면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반구홈에 의해 소재에 2차 커링을 실시하며, 제2금형의 바깥쪽 둘레에는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에 대향하여 오목홈을 가지는 지지금형이 실린더에 의해 미세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구동유닛의 일측에는, 소재의 용접부분을 검지하여 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제어기구를 구비하며, 이 위치제어기구는 소재를 중속 및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한쌍의 테이블과, 이들 테이블의 상측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이동편으로부터 분기되는 아암의 양측 끝단에 설치된 한쌍의 센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위치제어기구의 일측에는, 소재의 외관을 원통형에서 사각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성형유닛을 구비하며, 이 성형유닛은 실린더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고정된 가이드부재가 끼워져 조립되는 경사홈을 가지는 4개의 분할편과, 이들 각 분할편의 끝단에 형성된 확장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용기 성형방법은,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된 평판 소재를 1매씩 공급하여 컨베이어 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원통형으로 말아 성형하는 단계와, 이들 양 선단부를 전극롤러에 의해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소재를 180°로 회전시켜 상, 하부 위치를 반전시키는 단계와, 소재의 테두리부에 하판을 장착하여 취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금속용기의 성형방법으로서; 정해진 위치에 유지된 원통형 소재를 리프트 상에서 상승시키면서 편심커터로 소재의 상부 끝단면을 밀어누름과 동시에 소재를 회전시켜 1차 커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1차 커링이 행해진 소재를 리프트 상에서 상승시키면서 제1금형 내로 밀어올려 2차 커링을 실시함과 동시에 실린더에 장착된 구동축의 상하 작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금형 및 지지금형에 의해 소재 상단부의 원주면 상에 비딩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소재에 비딩을 형성한 후, 소재의 용접부분을 센싱하여 정 위치에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소재의 용접부분이 한쪽 모서리를 이루도록 사각형태로 성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 소재가 정해진 컨베이어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통형으로 성형됨과 동시에 그 상단 테두리부에 커링 및 비딩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전의 금속용기에서와 같은 상판(와테)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용기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수동작업 시의 단점이었던 제품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8은 금속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각 부분별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된 평판 소재(W)를 1매씩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소재 공급부(20)와, 소재의 양 선단부를 접합하기 위한 소재 용접부(30)와, 소재의 용접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카 도포부(40)와,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에 커링 및 비딩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구동유닛(50,60)과, 원통형 소재를 사각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성형기구(70)와, 소재의 위치를 180°로 바꿔주기 위한 반전기구(80)와, 소재 일측의 끝단 개구부를 별도로 제작된 하판으로 막아 폐색시키기 위한 하판장착기구(90)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각 부분별 장치들은, 통상의 컨베이어 라인(L)을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소재(W)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센서(도시생략)의 감지동작에 의해 단계적으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원통형이나 또는 사각형으로 제작되는 금속용기의 형태 및 그 용량에 따라 가동단계나 범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각 부분별 장치 중에서 제1 및 제2구동유닛(50,60)을 제외한 구성들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판과 하판을 가지는 금속용기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던 것과 거의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행하는 것이므로, 이들 장치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소재 공급부(20)에는 통상의 제어방식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척킹부재(21)가 마련되어 평판 소재(W)를 1매씩 흡착한 후 인접하는 컨베이어 라인(L)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소재(W)는 이송롤(22a,22b)과 함께 회전하는 통상의 밀착판(23) 등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상단부가 절취되어 있는 원통체(24) 및 실린더(25)에 의해 축(25a)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원호형상의 압착판(26a,26b) 사이로 인입되어 둥근 형태로 성형된다.
또, 상기 소재 용접부(30)는 전원이 공급되는 한쌍의 전극롤러(31A,31B)로 이루어져 소재(W)의 양 선단부를 접합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락카 도포부(40)는 액저장통(41)으로부터 밸브(42)를 통해 정량 공급되는 락카(계림화학 제품 KR6000)를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는 롤러(43)로서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재의 용접부위가 부식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성형된 소재(W)가 컨베이어 라인(L) 상에서 이송되어 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도시생략)가 감지하는 경우, 제1구동유닛(50)에 의해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에 1차 커링을 실시함과 동시에 이어서 제2구동유닛(60)에 의해 2차 커링 및 비딩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구동유닛(50)은, 컨베이어 라인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소재(W)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51)의 축(51a) 상에 장착된 리프트(52)를 가지고 있으며, 이 리프트(52)의 상측에 대향하여 지지틀(53) 상에 설치된 모터(54)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구동기어(55) 및 피동기어(56a,56b)를 포함하여 소재(W)의 상단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회동체(57a,57b)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동체(57a,57b)의 외측에는 실린더(58a,58b)에 의해 회동 조작하는 편심커더(59a,59b)가 장착되어 소재(W)의 인입 및 회전시에 그 상단 테두리부를 밀어누르는 것에 의해 1차 커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유닛(60)은, 소재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61)의 축 (61a) 상에 장착된 리프트(62)를 가지고 있으며, 이 리프트(62)의 상측에 대향하여 지지틀(63) 상에 설치된 실린더(64)의 구동축(64a) 주위에는 소재에 2차 커링을 행하는 제1금형(65) 및 비딩을 행하는 제2금형(6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금형(65)의 저면에는 반구홈(65a)이 형성되어 1차 커링이 완료된 소재가 승강 이동하면서 그 상단 테두리부에 2차 커링을 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실린더(64)의 구동축(64a) 주위에는 경사면(64b)의 상승 이동에 의해 제2금형(66)이 수평방향으로 밀려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제2금형(66)의 바깥둘레에는 누름돌기(66a)가 형성되어 소재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비딩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제2금형(66)의 대향 위치에는 소재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홈(67a)을 가지는 지지금형(67)이 부설되어 실린더 (68)에 의해 소재 측으로 미세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구동유닛(60)의 일측에는 원통형 소재를 사각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성형기구(7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성형기구(70)는 소재의 용접부분을 검지하여 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제어기구(70A)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치제어기구(70A)는 소재를 중속 및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한쌍의 테이블(71A,71B)과, 이들 테이블(71A,71B)의 상측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모터 (72)의 회전에 의해 승, 하강 작동하는 이동편(73) 및 이 이동편(73)에서 분기된 아암(74)의 양측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센서(75A,75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성형기구(70)는 실린더(76)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더(76a) 및 이 슬라이더(76a)에 고정된 가이드부재(76b)가 끼워져 조립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부재(76b)는 4개의 분할편(77)에 형성된 경사홈(77a) 내로 끼워져 조립되어 있는 동시에 각 분할편(77)의 끝단에 형성된 확장봉(78)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반전기구(80)는 컨베이어 라인(L)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소재(W)를 센서(81)가 검지하는 경우 소재를 180°로 회전시켜 상, 하부 위치를 바꿔주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실린더(82) 및 이 회전실린더(82)의 연동축 (83)에 장착된 받이편(84)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하판장착기구(90)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별도로 제작된 하판(91)을 적재부(92) 내에 일렬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흡착유닛(93)의 회동조작에 의해 하판(91)을 1매씩 취출하여 소재(W)의 끝단 개구부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되며, 컨베이어 라인(L)에는 실린더(94)에 의해 승, 하강 작동하는 리프트(95)가 배설되어 종래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소재(W)를 승강 이동시킴과 동시에 하판(91)을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용기의 성형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된 평판 소재(W)를 통상의 척킹부재(21)에 의해 1매씩 흡착하여 인접 컨베이어 라인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되며, 이 소재는 이송롤(22a,22b) 및 밀착판(23)에 의해 원통체(24)와 압착판(26a,26b) 사이로 인입 됨과 동시에 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둥글게 말리면서 한쌍의 전극롤러(31A,31B)를 지나면서 양 선단부가 접합된다.
이어서, 상기 소재의 용접부분에는 모터로서 정속으로 회전하는 롤러(43)에 의해 락카(시판품)를 도포함에 따라 부식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 때 컨베이어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소재의 상, 하측 개구부가 수직상태로 유지되어 계속 이송되다가 제1구동유닛(50) 상에서 센서(도시생략)가 감지함에 따라 정지한다.
그 후,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제1구동유닛(50)을 구성하는 리프트(52)에 의해 소재(W)가 회동체(57a,57b)의 바깥쪽으로 유지되고, 이어서 모터 (54)가 가동되어 축을 포함한 구동기어(55) 및 피동기어(56a,56b)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실린더(58a,58b)에 의해 편심커더(59a,59b)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를 밀어누름에 따라 1차 커링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1차 커링이 행해진 소재(W)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다시 제1구동유닛(50)에 인접 배치된 제2구동유닛(60) 상의 리프트(62)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이 실린더(64)의 구동축(64a) 주위에 장착되어 있는 제1금형(65)의 반구홈(65a) 내로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가 인입되어 2차 커링을 행하게 되며, 실린더(64)의 구동축(64a)이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금형(66)을 양측으로 벌려줌에 따라 소재 상단부의 원주면 상에 비딩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소재 안쪽에 위치하는 제2금형(66)의 바깥쪽 둘레에는 누름돌기(66a)가 형성되어 있고, 소재 바깥쪽에 위치하여 실린더(68)에 의해 미세 이동하 는 지지금형(67)에는 오목홈(67a)이 형성되어 비딩을 매끄럽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재(W)의 상단 테두리부에 커링 및 비딩이 형성된 상태에서 소재를 사각형태로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제어기구(70A)에 의해 소재의 용접부분을 검지한 상태에서 실린더(76)에 의해 작동하는 성형기구(70)로서 사각형태로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소재(W)에 커링 및 비딩을 형성한 후, 소재가 위치제어기구(70A) 상에 유지되면 테이블(71A,71B)이 각각 중속 및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한쌍의 센서 (75A,75B)를 통해 테이블(71A,71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소재 용접부분을 일정 위치에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실린더(76)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더(76a)의 가이드부재(76b)가 분할편(77)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홈(77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4개의 확장봉(78)이 사방으로 벌어져 소재를 사각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변형된 소재(W)는 반전기구(80)를 구성하는 회전실린더(82)의 작동에 의해 연동축(83)의 끝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받이편(84)에 의해 유지된 소재를 180°로 회전시켜 상, 하 위치를 바꿔줌에 따라 밑면부가 위쪽으로 향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소재(W)가 하판장착기구(90) 상에 위치하게 되면 별도 프레스 성형에 의해 원통형으로 제작된 하판(91)을 흡착유닛(93)에 의해 적재부(92) 내에서 1매씩 취출하여 본체 내부로 이송시키고, 실린더(94)에 의해 작동하는 리프 트(95)를 상승 이동시켜 소재의 개구부 측에 하판(91)을 장착시킨 후 테두리 부분을 말아 일체로 접속시킴에 따라 원통형 금속용기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은 일반적인 금속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단면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소재 공급부, 소재 용접부, 락카 도포부의 구성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1 및 제2구동유닛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a, 도 4b는 제1구동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5a, 도 5b는 제2구동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6은 성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7은 반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8은 하판장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소재 공급부 21: 척킹부재
22a,22b: 이송롤 23: 밀착판
24: 원통체 25: 실린더
26a,26b: 압착판 30: 소재 용접부
31A,31B: 전극롤러 40: 락카 도포부
41: 액저장통 42: 밸브
43: 롤러 50: 제1구동유닛
51: 실린더 51a: 축
52: 리프트 53: 지지틀
54: 모터 55: 구동기어
56a,56b: 피동기어 57a,57b: 회동체
58a,58b: 실린더 59a,59b: 편심커터
60: 제2구동유닛 61: 실린더
61a: 축 62: 리프트
63: 지지틀 64: 실린더
64a: 구동축 64b: 경사면
65: 제1금형 65a: 반구홈
66: 제2금형 66a: 누름돌기
67: 지지금형 67a: 오목홈
68: 실린더 70: 성형기구
70A: 위치제어기구 71A,71B: 테이블
72: 모터 73: 이동편
74: 아암 75A,75B: 센서
76: 실린더 76a: 슬라이더
76b: 가이드부재 77: 분할편
77a: 경사홈 78: 확장봉
80: 반전기구 81: 센서
82: 회전실린더 83: 연동축
84: 받이편 90: 하판장착기구
91: 하판 92: 적재부
93: 흡착유닛 94: 실린더
95: 리프트

Claims (6)

  1.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된 평판 소재를 1매씩 컨베이어 라인으로 공급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이송시키는 소재 공급부 및 이들 소재의 양 선단부를 한쌍의 전극롤러에 의해 접합하는 소재 용접부를 가지며, 상기 소재의 상, 하부 위치를 바꾸기 위해 180°로 회전시키는 반전기구 및 소재의 밑면 테두리부를 하판으로 막아 폐색시키기 위한 고정기구로 이루어진 금속용기의 성형장치로서;
    컨베이어 라인(L) 상에서의 이동이 정지된 소재(W)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를 밀어눌러 1차 커링을 형성하는 제1구동유닛(50) 및 이 제1구동유닛(50)에 인접 배치되어 소재를 다시 상승시키면서 2차 커링 및 비딩을 형성하는 제2구동유닛(6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구동유닛(50)은, 컨베이어 라인(L) 상에 배치된 실린더(51)에 의해 승, 하강 작동하는 리프트(52)와, 이 리프트의 상측에 대향하는 지지틀(53) 상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54)와, 이 모터의 축(54a)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구동기어(55) 및 피동기어(56a,56b)와, 이 피동기어의 동축 상에 설치된 회동체(57a,57b)와, 상기 지지틀(53) 상의 실린더(58a,58b)에 의해 작동함과 동시에 소재의 상단 테두리부를 밀어눌러 1차 커링을 행하는 편심커더(59a,59b)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구동유닛(60)은, 컨베이어 라인(L) 상에 배치된 실린더(61)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트(62)와, 이 리프트의 상측에 대향하는 지지틀(63) 상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64)와, 이 실린더의 구동축(64a) 주위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소 재에 2차 커링을 행하기 위한 제1금형(65)과, 소재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비딩을 행하기 위한 제2금형(66)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65)은 그 저면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반구홈(65a)에 의해 소재에 2차 커링을 실시하며, 제2금형(66)의 바깥쪽 둘레에는 누름돌기(66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에 대향하여 오목홈(67a)을 가지는 지지금형(67)이 실린더(68)에 의해 미세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유닛(60)의 일측에는, 소재(W)의 용접부분을 검지하여 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제어기구(70A)를 구비하며, 이 위치제어기구(70A)는 소재를 중속 및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한쌍의 테이블(71A,71B)과, 이들 테이블의 상측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이동편(73)으로부터 분기되는 아암(74)의 양측 끝단에 설치된 한쌍의 센서(75A,75B)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기구(70A)의 일측에는, 소재(W)의 외관을 원통형에서 사각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성형유닛(70)을 구비하며, 이 성형유닛 (70)은 실린더(76)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더(76a)와, 이 슬라이더에 고정된 가이드부재(76b)가 끼워져 조립되는 경사홈(77a)을 가지는 4개의 분할편 (77)과, 이들 각 분할편의 끝단에 형성된 확장봉(78)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5.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된 평판 소재를 1매씩 공급하여 컨베이어 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원통형으로 말아 성형하는 단계와, 이들 양 선단부를 전극롤러에 의해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소재를 180°로 회전시켜 상, 하부 위치를 반전시키는 단계와, 소재의 테두리부에 하판을 장착하여 취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금속용기의 성형방법으로서;
    정해진 위치에 유지된 원통형 소재(W)를 리프트(52) 상에서 상승시키면서 편심커터(59a,59b)로 소재의 상부 끝단면을 밀어누름과 동시에 소재를 회전시켜 1차 커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1차 커링이 행해진 소재(W)를 리프트(62) 상에서 상승시키면서 제1금형(65) 내로 밀어올려 2차 커링을 실시함과 동시에 실린더(64)에 장착된 구동축(64a)의 상하 작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금형(66) 및 지지금형(67)에 의해 소재 상단부의 원주면 상에 비딩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용기의 성형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재에 비딩을 형성한 후, 소재의 용접부분을 센싱하여 정 위치에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소재의 용접부분이 한쪽 모서리를 이루도록 사 각형태로 성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용기의 성형방법.
KR1020080010163A 2008-01-31 2008-01-31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096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163A KR100964327B1 (ko) 2008-01-31 2008-01-31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163A KR100964327B1 (ko) 2008-01-31 2008-01-31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153A true KR20090084153A (ko) 2009-08-05
KR100964327B1 KR100964327B1 (ko) 2010-06-17

Family

ID=4120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163A KR100964327B1 (ko) 2008-01-31 2008-01-31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32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8530A (zh) * 2014-12-08 2015-03-25 苏州华源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钢桶的压卷结构
KR20150078106A (ko) * 2013-12-30 2015-07-08 동양 알.피.에프 산업(주) 헌치형단부로 마감된 데크 플레이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데크 플레이트
CN107597932A (zh) * 2017-09-26 2018-01-19 南京埃斯顿智能系统工程有限公司 车门包边机及其用于车门包边的方法
CN108746387A (zh) * 2018-08-20 2018-11-06 东莞市三合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全带连接片的双工位上下料机构
CN110625002A (zh) * 2019-10-25 2019-12-31 嘉兴永发电子有限公司 一种宠物盆自动生产线
CN112371801A (zh) * 2020-10-14 2021-02-19 江门市恒正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锅体边缘处理自动生产线
CN112517777A (zh) * 2020-12-03 2021-03-19 柳州鸿嘉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化剪切冲压成型设备
KR102458541B1 (ko) * 2022-04-13 2022-10-24 김지윤 사각캔 성형가공장치
CN116274595A (zh) * 2023-03-28 2023-06-23 佛山市通宝华龙控制器有限公司 一种双金属碟片的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57B1 (ko) * 2014-07-03 2015-06-11 이창열 코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432A (ja) * 1989-06-28 1991-02-13 Toyo Seikan Kaisha Ltd 缶体のフランジ部の形成方法と工具
JPH03161129A (ja) * 1989-11-21 1991-07-11 Maeda Seisakusho:Kk 断続ビードを持つ缶および断続ビードの成形装置
DE59510211D1 (de) 1994-08-10 2002-06-27 Elpatronic Ag Bergdietik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unden von Blechstücken
KR20080018008A (ko) * 2006-08-23 2008-02-27 박흥남 스틸 소재의 에어졸 캔의 상부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106A (ko) * 2013-12-30 2015-07-08 동양 알.피.에프 산업(주) 헌치형단부로 마감된 데크 플레이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데크 플레이트
CN104438530A (zh) * 2014-12-08 2015-03-25 苏州华源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钢桶的压卷结构
CN107597932A (zh) * 2017-09-26 2018-01-19 南京埃斯顿智能系统工程有限公司 车门包边机及其用于车门包边的方法
CN108746387A (zh) * 2018-08-20 2018-11-06 东莞市三合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全带连接片的双工位上下料机构
CN110625002A (zh) * 2019-10-25 2019-12-31 嘉兴永发电子有限公司 一种宠物盆自动生产线
CN112371801A (zh) * 2020-10-14 2021-02-19 江门市恒正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锅体边缘处理自动生产线
CN112371801B (zh) * 2020-10-14 2022-07-26 江门市恒正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锅体边缘处理自动生产线
CN112517777A (zh) * 2020-12-03 2021-03-19 柳州鸿嘉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化剪切冲压成型设备
CN112517777B (zh) * 2020-12-03 2024-05-14 柳州鸿嘉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化剪切冲压成型设备
KR102458541B1 (ko) * 2022-04-13 2022-10-24 김지윤 사각캔 성형가공장치
CN116274595A (zh) * 2023-03-28 2023-06-23 佛山市通宝华龙控制器有限公司 一种双金属碟片的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327B1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327B1 (ko) 금속용기의 성형장치 및 그 방법
US7618359B2 (en) Heat-insulating containe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993841B1 (ko) 금속용기의 일체형 와테 성형방법
CN111053271B (zh) 食品成型方法以及成型机构
KR102410189B1 (ko)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485617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tubular container
US2357793A (en) Machine for working sheet metal articles
CN206716782U (zh) 一种卷圆卷方一体机
US6769164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an making
KR100635592B1 (ko) 보강비드가 형성된 금속용기의 제조방법
CN111439405B (zh) 一种不锈钢卷带制造卷绕成型后包装机械及其包装方法
CN210475308U (zh) 一种折边-抱圆-扣缝一体机
CN112975438A (zh) 一种金属包装罐的全自动高速全程制作生产线
CN108339878B (zh) 汽车钣金件快速包边机构
CN108338388B (zh) 一种食品用卷制机
CN215360138U (zh) 新型纸容器筒身搭接缝的位置纠偏机构
EP1825936A2 (en) Apparatus for making a metal can and method for making said can
CN212279665U (zh) 一种自动化烙饼机
CN214641728U (zh) 一种金属包装罐的全自动高速全程制作生产线
JP3656922B2 (ja) フランジ成形方法並びにフランジ成形装置
JP7188710B1 (ja) 生地成形装置及び方法
CN214801970U (zh) 一种蛋卷筒加工设备的压制模具
CN212634092U (zh) 一种便于调整进料角度的连续冲压加工装置
KR102284785B1 (ko) 보강 덕트 제조장치
CN220423098U (zh) 一种豆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