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886B1 - 밸브 코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밸브 코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886B1
KR102408886B1 KR1020217041737A KR20217041737A KR102408886B1 KR 102408886 B1 KR102408886 B1 KR 102408886B1 KR 1020217041737 A KR1020217041737 A KR 1020217041737A KR 20217041737 A KR20217041737 A KR 20217041737A KR 102408886 B1 KR102408886 B1 KR 10240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re
valve
screw nut
stop
cor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433A (ko
Inventor
밍 뤼
Original Assignee
저장 산후아 클라이메이트 앤드 어플라이언스 컨트롤스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장 산후아 클라이메이트 앤드 어플라이언스 컨트롤스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저장 산후아 클라이메이트 앤드 어플라이언스 컨트롤스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5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1/00Articles provided with screw threads
    • B29L2001/005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16K31/5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the actuating element being rotatable, non-rising, and driving a non-rotatable axially-slid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t Valve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전기 밸브로서, 밸브 본체 부품(40), 밸브 시트 부품(20), 전달 부품(30) 및 밸브 코어 부품(10)을 포함하고, 밸브 코어 부품(10)은 밸브 코어 본체(11) 및 하부 정지 부품을 포함하고; 밸브 코어 본체(11)는 본질적으로 관 형상이고, 밸브 코어 본체(11)는 일체형 구조이며 환형의 박벽부(112)를 포함하고; 하부 정지 부품은 밸브 코어 본체(11)의 내부 공동에 배치되고, 하부 정지 부품은 하부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부 공동(2)은 하부 정지부의 상부에 존재하고, 하부 공동(3)은 하부 정지부의 하부에 존재하고, 하부 정지 부품은 상부 공동(2) 및 하부 공동(3)과 연통하는 제1 축 관통홀(4)을 포함하고; 너트(32)는 상부 공동(2)에 위치된 방사상 돌출부(321)를 포함하고, 방사상 돌출부(321)는 밸브 코어 부품(10)의 상부 정지부(121)와 일치할 수 있고, 너트(32)는 밸브 코어 부품(10)을 축 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고; 환형의 박벽부(112)는 밸브 시트 부품(20)의 밀봉부에 인접하거나 밀봉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하부 정지부는 너트(32)의 하부 단부와 협력할 수 있다. 설명된 전기 밸브는 밸브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명된 전기 밸브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한 전기 밸브와 관련된 밸브 코어 조립체도 개시된다.

Description

밸브 코어 조립체{Valve Core Assembly}
본 발명은 유체 제어 기술 분야, 특히 전기 밸브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1월 31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전기 밸브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번호 제201810094300.9호에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7022202호의 분할출원이다.
일부 에어컨, 특히 가변 냉매 유동 시스템과 같은 상업용 에어컨 시스템에서, 하나의 실외기가 다수의 실내기와 연결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냉매를 차단하거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기 제어 밸브가 긱각의 실내기의 냉매 루프에 장착될 필요가 있다. 현재, 전기 밸브의 작동 성능 요구 사항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전기 밸브의 작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전념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4850호(2013. 04. 15. 공고).
본 출원의 목적은 밸브의 작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 따라 개시된 전기 밸브는,
제1 유체 포트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 부품;
밸브 본체 부품에 고정 연결되고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는 밸브 시트 본체를 포함하는 밸브 시트 부품;
전기 밸브의 밸브 챔버 내에 배치되고 스크류 로드 및 스크류 너트를 포함하는 전달 부품으로서, 스크류 로드는 스크류 너트와 나사 연결되는 전달 부품; 및
밸브 챔버 내에 배치되고 밸브 코어 본체 및 하부 정지 부품을 포함하는 밸브 코어 부품;을 포함하고,
밸브 코어 본체는 실질적으로 관형이고, 밸브 코어 본체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밸브 코어 본체는 환형의 박벽부를 포함하고; 하부 정지 부품은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고, 하부 정지 부품은 하부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부 챔버는 하부 정지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 챔버는 하부 정지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 정지 부품은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와 연통하는 제1 축 관통홀을 포함하고,
스크류 너트는 상부 챔버에 위치하는 방사상 돌출부를 포함하고, 방사상 돌출부는 밸브 코어 부품의 상부 정지부와 협력할 수 있고, 스크류 너트는 밸브 코어 부품을 축 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할 수 있고; 환형의 박벽부는 밸브 시트 부품의 밀봉부에 인접하거나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정지부는 스크류 너트의 하부 단부와 협력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밸브에 따르면, 밸브 코어 부품은 밸브 코어 본체 및 하부 정지 부품을 포함하고, 밸브 코어 본체는 실질적으로 관형이고, 밸브 코어 본체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밸브 코어 본체는 환형의 박벽부를 포함하고; 하부 정지 부품은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고, 하부 정지 부품은 하부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부 챔버는 하부 정지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 챔버는 하부 정지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 정지 부품은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와 연통하는 제1 축 관통홀을 포함하고, 이는 밸브의 작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라 상술한 기능을 가지는 전기 밸브의 제조 방법이 추가로 제공되며,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중공의 밸브 코어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직경 감소부, 대경부, 및 직경 감소부와 대경부 사이의 천이부를 포함하는 단계;
S2: 밀봉부를 갖는 밸브 시트 코어, 밸브 시트 본체 및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밸브 포트 재킷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밸브 시트 본체의 상부 단부 표면에는 밸브 시트 코어를 장착하기 위한 상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상부 단차부가 제공되고; 밸브 시트 코어를 상부 단차부에 장착하고 밸브 시트 본체의 상부 단부를 밸브 시트 코어에 크림핑하고, 밸브 포트 재킷의 외부 벽을 밸브 시트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3: 가이드 슬리브를 제공하고, 제1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이드 슬리브를 밸브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4 : 스크류 너트, 밀봉 조립체, 탄성 부재 및 하부 정지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직경 감소부의 외주부에 밀봉 조립체를 슬리브하고, 직경 감소부의 상부 단부를 밀봉 조립체에 크림핑하고; 스크류 너트를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챔버의 내부에 삽입하고 스크류 너트의 방사상 돌출부는 천이부에 의해 위치 제한되기 위하여 스크류 너트의 나사식 연결 단부가 밸브 코어 본체의 외부로 연장하고; 탄성 부재를 장착한 이후에 하부 정지 부품을 내부 챔버의 내부에 장착한 다음, 제2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 정지 부품을 밸브 코어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5 : 스크류 너트가 스크류 로드와 나사식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제2 조립체를 제1 조립체와 하부에서 상부로 조립하는 단계; 및
S6 : 밸브 본체를 밸브 시트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상술한 기능을 가지는 전기 밸브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이 본 출원에 따라 추가로 제공되고,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중공의 밸브 코어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S2 : 밀봉부를 갖는 밸브 시트 코어, 밸브 시트 본체 및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밸브 포트 재킷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밸브 시트 본체의 상부 단부 표면에는 기 밸브 시트 코어를 장착하기 위한 상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상부 단차부가 제공되고; 밸브 시트 코어를 상부 단차부에 장착하고 밸브 시트 본체의 상부 단부를 밸브 시트 코어에 크림핑하고, 밸브 포트 재킷의 외부 벽을 밸브 시트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3: 가이드 슬리브 및 밀봉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가이드 슬리브는 가이드부 및 설치부를 포함하고, 설치부의 내부 벽 및 가이드부의 내부 벽은 하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제2 위치 결정 단차부를 형성하고; 밀봉 조립체가 제2 위치 결정 단차부에 장착된 이후에, 설치부의 하부 단부를 링 형상의 하부 위치 제한 부재에 크림핑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4: 단계 S3 이후에 제1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이드 슬리브를 밸브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5: 스크류 너트, 탄성 부재 및 하부 정지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하부 정지 부품은 지지 부재 및 정지 부재를 포함하고; 스크류 너트를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챔버의 내부에 삽입하고 스크류 너트의 방사상 돌출부는 상기 밸브 코어 본체에 위치 제한되기 위하여, 스크류 너트의 나사식 연결 단부가 밸브 코어 본체의 외부로 연장한 다음, 탄성 부재를 스크류 너트와 함께 조립한 다음, 제1 축 관통홀을 가지는 정지 부재를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챔버의 내부에 장착한 다음, 지지 부재를 그 내부에 장착한 다음, 제2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를 밸브 코어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6: 스크류 너트는 스크류 로드와 나사식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제2 조립체를 제1 조립체와 하부에서 상부로 조립하는 단계;
S7: 밸브 본체를 밸브 시트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밸브의 작동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들이 이하에서 간략하게 소개된다. 명백하게,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를 단지 예시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며, 다른 도면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들 도면에 기초하여 어떠한 창조적 노력없이 획득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완전 개방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완전 폐쇄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밸브 본체 부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전달 부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스크류 너트 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축 연결 파이프에 고정된 이후에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밸브 시트 부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부분(IA)의 수정된 예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밸브 시트 본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밸브 코어 재킷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a는 도 1에 도시된 밸브 코어 부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부분(I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부분(I2)의 수정된 예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d는 도 9c에 도시된 부분(I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 및 밀봉 조립체의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a는 도 1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스크류 너트 및 밸브 코어 부품의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스크류 너트 및 밸브 코어 부품의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리프 스프링이 오링으로 대체된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본체의 수정된 예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은 도 9a에 도시된 부분(I2)의 수정된 예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해결책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본 출원은 도면 및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출원에 포함된 상부 및 하부와 같은 방향 용어는 본 출원의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로 정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고, 이는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방향 용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축 방향"은 종이 표면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바닥으로 또는 바닥에서 상부로의 방향을 말하고, 이는 로터 및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방사상 방향"은 전술한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밸브 포트 개방"은 밸브 포트에서의 유체가 축 연결 파이프와 방사상 연결 파이프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밸브 포트 폐쇄"는 밸브 포트에서의 유체가 축 연결 파이프와 방사상 연결 파이프의 사이에 유동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통합된"은 하나 이상의 부품이 두 개 이상의 피스가 조립 또는 고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일 피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박벽(thin-walled)"은 벽 두께가 0.3mm 및 2.0mm 사이, 즉, 벽 두께가 M으로 정의되면 0.3mm≤ M ≤ 2.0mm 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정 연결된"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고정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는 것, 즉, 두 개의 구성요소가 간접적으로 고정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완전 개방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완전 폐쇄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밸브 본체 부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전달 부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스크류 너트 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축 연결 파이프에 고정된 이후에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밸브 시트 부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밸브 시트 본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밸브 코어 재킷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a는 도 1에 도시된 밸브 코어 부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부분(I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부분(I2)의 수정된 예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d는 도 9c에 도시된 부분(I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 및 밀봉 조립체의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a는 도 1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밸브는 밸브 코어 부품(10), 밸브 시트 부품(20), 전달 부품(30), 밸브 본체 부품(40), 스크류 너트 키트(50),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60) 및 코일 부품(70)을 포함한다. 코일 부품(70)은 밸브 본체 부품(40)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코일 부품(70)은 밸브 본체 부품(40)의 외주에 슬리브되고 브래킷(44)을 통해 밸브 본체 부품(40)과 고정 연결된다.
밸브 본체 부품(40)은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밸브 본체(41) 및 밸브 커버(42)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41)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구조이며, 프레싱, 펀칭, 롤링, 압출 성형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특정 가공 공정에서 제조하기 쉽다. 그 가공 기술은 간단하고 생산 효율이 높다. 밸브 본체(41)는 구체적으로 상부 실린더부(41a), 중간 실린더부(41b) 및 하부 실린더부(41c)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3 개의 부분을 가진다. 상부 실린더부(41a)의 외경은 가장 작고, 중간 실린더부(41b)의 외경은 상부 실린더부(41a)의 외경보다 크다. 하부 실린더부(41c)의 외경은 상대적으로 가장 크다. 이러한 배치는 기능적 부품들의 내부 설치 및 조립 부품들의 외부 용접을 용이하게 하고, 이는 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만든다. 하부 실린더부(41c)의 측벽에는 제1 유체 포트(401)가 개방되어 있고, 방사상 연결 파이프(43)가 밸브 본체(41)의 하부 실린더부(41c)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제1 유체 포트(401)와 연통되어 있다. 밸브 커버(42)는 밸브 본체(41)의 중간 실린더부(41b)의 외부 벽에 고정되고, 밸브 본체(41)의 상부 실린더부(41a)는 밸브 커버의 내부로 연장된다. 밸브 커버(42)는 용접 조인트에 의해 밸브 본체(41)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아래의 다른 부품들의 용접은 또한 다른 간접 고정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조립 요건을 만족시키는 전제에서, 밸브 본체(41)는 중간 실린더부(41b)의 외경이 하부 실린더부(41c)의 외경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이는 밸브 본체(41)가 실질적으로 2 개의 부분 구조를 가지는 것과 동등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30)는 밸브 챔버 내에 배치된다. 전달 부재(30)는 자기 로터(34), 스크류 로드(31) 및 스크류 너트(32)를 포함한다. 스크류 로드(31)는 밸브 커버(4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자기 로터(34)는 밸브 커버(42)에 배치된다. 자기 로터(34)는 연결 시트(35)를 통해 스크류 로드(31)와 고정 연결된다. 스크류 너트(32)의 하부 단부는 밸브 본체(41) 내부로 연장되고 스크류 너트(32)와 나사 결합된다. 대유량 전기 밸브에서, 스크류 로드(31)는 비-셀프 로킹형 나사산에 의해 스크류 너트(32)와 연결되며, 이는 막힘과 같은 숨겨진 위험이 회피되는 장점이 있다.
자기 로터(34), 스크류 로드(31), 밸브 본체 부품(40) 및 코일 부품(70)은 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 로터(34)가 코일 부품(70)의 구동력 하에서 회전할 때, 스크류 로드(31)는 자기 로터(34)와 함께 원주에서 회전하고, 스크류 로드(31)의 원주 회전은 스크류 너트(32)의 축 운동으로 변환되어, 스크류 너트(32)는 전기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하여 밸브 코어 부품(10)을 축 방향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스크류 로드(31)는 밸브 본체 부품(4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기 로터(34)는 스크류 로드(31)와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자기 로터(34), 스크류 로드(31), 밸브 본체 부품(40) 및 코일 부품(70)은 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다. 코일 부품(70)의 구동력은 작동 동안 밸브 코어 부품(아래 참조)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더 작은 모터가 고정된 크기의 밸브 포트에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제품의 소형화에 도움이 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너트(32)는 밸브 코어 부품(10)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크류 로드(31)의 회전을 축 방향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스크류 너트(32)와 협동하는 스크류 너트 키트(50)는 스크류 너트(32)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밸브 본체(41) 및 스크류 너트(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스크류 너트 키트(50)는 용접에 의해 밸브 본체(41)에 고정된다. 스크류 너트 키트(50)와 협동하는 스크류 너트(32)의 일부의 외주벽은 비원형 단면을 갖는 실린더형 구조이다. 스크류 너트 키트(50)는 스크류 너트(3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스크류 너트(32)와 협동하는 스크류 너트 제한부(51) 및 밸브 코어 부품(10)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밸브 코어 제한부(52)를 포함한다. 밸브 코어 부품(10)이 밸브 코어 제한부(52)에 인접한 위치로 축 방향으로 상향 이동하도록 스크류 너트(32)가 밸브 코어 부품(10)을 구동한 이후에, 밸브 코어 부품(10)은 상향 이동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스크류 너트 키트(50)는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를 펀칭(punching) 및 크림핑(crimping)에 의해 형성되고, 스크류 너트 키트(50)는 튜브형 부분(55) 및 튜브형 부분(55)의 하부 단부를 바깥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평판 부분(56)을 포함하고; 튜브형 부분(55)의 내부 벽은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 평면부(58)를 포함한다. 스크류 너트(32)의 원주 회전은 평면부(58)과 스크류 너트(32)의 외부 모서리부 사이의 협동에 의해 제한된다. 본 해결책에서, 튜브형 부분(55)의 내부 벽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구조이고, 아크 형상의 천이가 정사각형의 4 개의 측면들 사이에 제공되고, 즉, 본 특정 해결책에서 4 개의 평면부(58)들은 스크류 너트(32)의 원주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 너트 키트(50)의 평판 부분(56)을 밸브 본체(41)의 중간 실린더부의 내부 모서리에 용접함으로써 전체 구조가 단순하다. 스크류 너트 키트(50)는 튜브형 부분(55)과 평판 부분(56)을 개별적으로 가공한 다음 용접에 의해 둘을 고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평판 부분(56)은 축 방향에서 밸브 코어 부품(10)의 상향 이동의 최대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밸브 코어 제한부로서 기능한다. 즉,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스크류 너트 키트(50)를 통해, 스크류 너트(32)의 원주 회전을 방지하고 밸브 코어 부품(10)을 축 방향으로 제한하는 이중 기능이 달성된다.
도 1,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품(20)은 용접에 의해 밸브 챔버(416)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41)의 하부 개구에 고정된다. 밸브 시트 부품(20)은 밸브 시트 본체(21), 밸브 시트 코어(22) 및 밸브 포트 재킷(24)을 포함한다. 밸브 시트 본체(21)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밸브 시트 본체(21)의 상부 단부는 밸브 포트(200)를 포함하고, 밸브 시트 본체(21)의 하부 단부는 제2 유체 포트(201)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41)의 하부 실린더부(41c)를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외부 단차부(213)가 밸브 시트 본체(21)의 외부 벽에 구비되고, 밸브 본체(41)의 하부 실린더부(41c)는 외부 단차부(213)의 단차 표면에 인접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밸브 시트 본체(21)는 실질적으로 링 구조이고, 상부 단차부(211)는 상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밸브 시트 본체(21)의 내부 벽에 구비되고, 밸브 시트 코어(22)는 상부 단차부(211)에 배치되고, 밸브 시트 코어(22)는 밸브 코어 부품과 협동하는 밀봉부(2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밸브 시트 코어(22)는 비금속 연질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밸브 시트 코어와 금속(본 실시예에서는 강판)으로 제조된 밸브 코어 부품(10) 사이의 밀봉 성능을 보장하는 것이 용이하다. 밸브 시트 코어(22)는 밸브 포트 재킷(24) 상에 슬리브된다. 밸브 시트 코어(22)는 중심 관통홀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凸"자 형상이다. 밸브 시트 코어(22)의 단면은 원형이다. 밸브 시트 코어(22)는 베이스부(221) 및 베이스부(221)의 상부 단부 표면에 대해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20)를 포함한다. 돌출부(220)의 외경은 베이스부(221)의 외경보다 작고, 돌출부(220)의 상부 단부 표면은 밀봉부(222)를 형성한다. 돌출부(220)와 베이스부(221)는 단차부를 형성하고, 밸브 포트 가압 시트(25)는 단차부에 설치된다. 밸브 시트 본체(21)가 가공될 때, 돌출부(214) (도 7에 도시된 돌출부(214)는 크림핑 전의 상태임)가 밸브 시트 본체(21)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다. 제품이 조립될 때, 밸브 포트 가압 시트(25)는 돌출부(214)를 크림핑함으로써 밸브 시트 코어(22)의 단차부에 대해 가압되고, 그로 인하여 밸브 시트 코어(22)의 설치 및 위치결정을 실현한다. 밸브 포트 재킷(24)은 밸브 시트 코어(22)의 내부에 배치되고, 밸브 포트 가압 시트(25)와 함께 밸브 시트 코어(22)의 설치 및 위치결정을 추가로 보장한다.
본 해결책에서, 하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하부 단차부(212)가 밸브 시트 본체(21)의 내부 벽에 구비된다. 도 1,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포트 재킷(24)은 환형의 박벽의 실린더이고, 이는 실린더부(243) 및 플랜징(flanging)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부(244)를 포함한다. 플랜지부(244)는 하부 단차부(212)의 내부 바닥면에 인접하고, 축 연결 파이프(23)의 단부는 플랜지부(244)에 인접하고 제2 유체 포트와 연통한다. 축 연결 파이프(23)는 용접에 의해 밸브 시트 본체(21)에 고정된다. 밸브 포트 재킷(24)은 2 개의 본체 구조일 수 있으며, 즉, 실린더부(243)와 플랜지부(244)는 두 부분이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해결책에서, 밸브 포트 재킷(24)의 내부 챔버와 연통하는 밸런스 구멍(241)은 상부 단차부(211)의 내부 바닥면에 대응하는 밸브 포트 재킷(24)의 실린더부(243)의 위치에 배치되고, 밸런스 통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배치의 목적은, 전기 밸브의 작동 동안에, 매체의 일부가 밸브 시트 코어(22)의 바닥과 밸브 시트 본체(21)의 상부 단차부(211)의 단차 표면의 사이로 들어가고 잔존하게 하는 것이고, 전기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순간 압력 변화로 인한 매체의 순간 기화와 같은 비정상적인 변동은 밸브 시트 코어(22)가 밸브 시트 본체(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으며, 제품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반면에, 밸런스 구멍(241)의 개방은 축 연결 파이프(23)의 내부 챔버와 연통하는 밸브 시트 코어(22)의 바닥에서 매체를 유지할 수 있고, 전술한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본 해결책의 밸브 시트 부품에서, 부품의 설치 및 협동은 콤팩트하고, 상호 위치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고, 공정은 간단하고, 제품은 매우 신뢰성이 있다.
밸브 챔버(416)는 밸브 시트 부품(20)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밸브 코어 부품(10)에 설치되고, 전달 부품(30)은 전기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밸브 코어 부품(10)과 밸브 시트 부품(20)의 접촉 또는 분리를 제어한다.
도 1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코어 부품(10)은 밸브 코어 본체(11) 및 하부 정지 부품을 포함한다. 밸브 코어 본체(11)는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튜브 형상은 밸브 코어 본체(11)의 내부가 축 방향의 관통 구조를 가지는 것, 즉, 밸브 코어 본체(11)는 조립 전에 중공 구조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밸브 코어 본체(11)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며, 금속 재료를 드로잉(drawing)하거나 스탬핑(stamping)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축 관통홀(115)은 밸브 코어 본체(11)의 상부 단부에 구비되고, 하부 개구(116)는 밸브 코어 본체(11)의 하부 단부에 구비된다. 밸브 코어 본체(11)는 구체적으로 용접된 강관을 스탬핑하거나 강판을 드로잉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공정 기술은 간단하고, 비용이 절약되고, 그 무게는 가볍다. 밸브 코어 본체(11)는 환형의 박벽부(112)를 포함한다. 환형의 박벽부(112)가 밸브 시트 부품(20)의 밀봉부(222)와 인접할 때, 제2 유체 포트는 제1 유체 포트(401)와 연통하지 않고, 환형의 박 벽부(112)가 밀봉부(222)로부터 분리될 때, 제1 유체 포트(401)는 제2 유체 포트(201)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환형의 박벽부(112)의 하부 단부(100)는 밸브 포트(2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밸브 시트 코어(22)와 인접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환형의 박벽부(112)의 제공은 유체가 밸브 코어 본체(11)와 밸브 시트 부품(20) 사이에서 빠르게 유동하게 하고, 밸브 코어 부품(10)이 받는 압력 차이 힘을 감소시키고 밸브의 작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하부 정지 부품은 밸브 코어 본체(11)의 내부 챔버(101)에 설치되고 밸브 코어 본체(1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부 챔버(2)는 하부 정지 부품의 하부 정지부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 챔버(3)는 하부 정지부 하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하부 정지부는 내부 챔버(101)를 상부 챔버(2) 및 하부 챔버(3)로 분할할 수 있고, 하부 정지 부품은 지지 부재(17) 및 정지 부재(18)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7)는 상하로 개방된 실린더형 구조이고, 금속 재료를 드로잉 또는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는 용접된 강관을 스탬핑하거나 강판을 드로잉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박벽의 실린더이다. 지지 부재(17)는 밸브 코어 본체(11)의 내부 벽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정지 부재(18)는 지지 부재(17)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되고 밸브 코어 본체(11)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 부재의 상부 단부와 인접하는, 제1 축 관통홀(4)을 가지는 판 유사 구조이다. 정지 부재(18)의 상부 단부 표면은 하부 정지부(181)를 형성한다. 제1 축 관통홀(4)은 상부 챔버(2) 및 하부 챔버(3)와 연통한다. 지지 부재(17) 및 정지 부재(18)의 공정은 또한 재료를 절약하고, 그 공정 기술은 단순하고, 그 무게는 가볍다. 또한, 지지 부재(17)가 밸브 코어 본체(11)의 내부 벽에 용접된 이후에, 정지 부재(18)는 용접없이 오직 지지 부재(17)의 상부 단부 표면에 배치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조립하기에 편리하다.
본 해결책에서, 밸브 코어 부품(10)은 금속 개스킷일 수 있는 상부 정지 부재(14)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부 정지 부재(14)는 크림핑 또는 용접에 의해 밸브 코어 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챔버(2)는 상부 정지 부재(14)와 정지 부재(18)의 사이에 형성되고, 스크류 너트(32)의 방사상 돌출부(321)는 상부 챔버(2)로 제한된다. 이 경우에, 상부 정지 부재(14)의 하부 단부 표면은 스크류 너트(32)의 방사상 돌출부(321)에 인접할 수 있는 상부 정지부(121)로서 기능한다. 상부 정지 부재(14)와 밸브 코어 본체(11)의 두 부분이 서로 협동하는 경우에, 밸브 코어 본체(11)는 용접된 강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재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밸브 코어 본체(11)의 상부 단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만곡부를 형성하는 한 상부 정지 부재(14)를 별도로 제공하지 않는 것도 적용 가능하고, 횡방향 만곡부의 하부 단부 표면은 상부 정지 부재로서 기능하고, 횡방향 만곡부의 내부 모서리는 상부 챔버와 연통하는 제2 축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에 또한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횡방향 만곡부는 금속 재료를 드로잉하거나 스탬핑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그 공정 기술은 보다 단순하다.
본 해결책에서, "정지 부재(18)는 지지 부재(17)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된다"는 것은 정지 부재(18)가 지지 부재(17)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본 해결책에서, 밸브 내의 유체의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밸브 코어 부품(10)은 필터 부품(13)을 추가로 포함한다. 필터 부품(13)은 지지 부재(17)의 상부 단부와 정지 부재(18)의 하부 단부 사이에 걸린다. 필터 부품(13)은 필터 부재(131) 및 필터 부재(131)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링(132)을 포함한다. 지지 링(132)은 외부 플랜지부(1321) 및 제3 축 관통홀(5)을 가지는 내부 리세스(1322)를 포함한다. 외부 플랜지부(1321)의 상부 단부 표면은 정지 부재(18)의 하부 단부 표면과 지지 부재(17)의 상부 단부 표면과 인접한다. 필터 부재(131)는 제3 축 관통홀(5)을 관통하고, 하부 챔버(3) 및 제1 축 관통홀(4)과 연통한다. 필터 부품(13)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정지 부재(18)가 지지 부재(17)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것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밸브 코어 부품(10)은 밸브 코어 본체(11)의 하부 개구(116), 하부 챔버(3), 정지 부재(18)의 제1 축 관통홀(4), 상부 챔버(2), 및 밸브 코어 본체(11)의 제2 축 관통홀(115)을 포함하는 밸런스된 유로를 추가로 포함한다. 밸런스 유로의 배치는 밸브 코어 부품(10)의 상부 및 하부 압력의 밸런스에 도움이 되고, 축 방향 이동 중에 밸브 코어 부품(10)이 받는 압력차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스크류 너트(32)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일 단부가 상부 챔버(2) 내부로 연장되고 타 단부가 상부 챔버(2)로부터 연장한다. 스크류 너트(32)는 제2 축 관통홀(115)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32)와 제2 축 관통홀(115)의 벽 사이에 큰 간극이 구비된다. 상부 챔버(2)에 위치된 스크류 너트(32)의 방사상 돌출부(321)는 밸브 코어 부품(10)의 상부 정지부(121)와 협동할 수 있어서, 스크류 너트(32)는 밸브 코어 부품(10)을 후술하는 가이드 슬리브의 축 방향으로 상향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32)는 밸브 코어 부품(10)이 스크류 너트 키트(50)의 밸브 코어 제한부(52)와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밸브 코어 부품(10)을 구동할 때, 전기 밸브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있다. 스크류 너트(32)가 하향 이동할 때, 방사상 돌출부(321)는 상부 정지부(21)를 지지하기 때문에, 밸브 코어 부품(10)은 그 자체의 중력 하에서 하향 이동하여, 환형의 박벽부(112)의 하부 단부(100)가 밸브 시트 코어(22)의 밀봉부(222)와 인접하게 한다. 밸브가 완전히 폐쇄될 때, 스크류 너트(32)가 하향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스크류 너트(32)의 하부 단부는 하부 정지부(181)와 협동할 수 있다.
도 1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너트(32)의 축 방향 이동 동안에 밸브 코어 부품(10)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 챔버(416)에서, 밸브 본체 부품(40)과 고정 연결되는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60)은 밸브 코어 부품(10)을 가이드하기 위해 밸브 코어 부품(10)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용접에 의해 밸브 본체(41)의 중간 실린더부(41b)의 내부 모서리에 고정된다.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60)은 가이드 슬리브(61)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61)는 작은 상부 부분 및 큰 하부 부분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구조를 가지고, 밸브 코어 부품을 가이드하기 위해 밸브 코어 부품(10)과 슬라이딩 간격이 맞는 가이드부(612) 및 가이드부(6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설치부(613)를 포함한다. 가이드부(612) 및 설치부(613)의 내부 벽은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이다. 가이드부(612)의 내경은 설치부(613)의 내경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612)의 내부 벽(65)은 밸브 코어 부품(10)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 표면으로서 기능한다. 수용 공간(1)은 밀봉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부(613)의 내부 벽과 밸브 코어 본체(11)의 외부 벽 사이에 구비된다. 밀봉 조립체는 밸브 코어 본체(11)의 외주부에 슬리브되고 설치부(613)의 내부 벽과 밸브 코어 본체(11)의 외부 벽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 조립체는 밀봉 부품 및 하부 위치 제한 부재(64)를 포함한다. 밀봉 부품은 환형의 슬라이드 시트(63) 및 슬라이드 시트(63)의 외주부에 슬리브되는 밀봉 링(6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제2 위치 결정 단차부(611)가 가이드부(612)와 설치부(613) 사이에 구비되고, 하부 위치 제한 부재(64)는 크림핑 또는 용접에 의해 설치부(613)의 하부 단부에 고정되고, 밀봉 부품은 제2 위치 결정 단차부(611)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제2 위치 결정 단차부(611)와 하부 위치 제한 부재(64) 사이에서 하부 위치 제한 부재(64)에 의해 위치 제한된다. 본 특정 해결책에서, 하부 위치 제한 부재(64)는 개스킷이다.
도 1,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에 기초하여, 밸브가 폐쇄될 때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환형의 박벽부(112)의 하부 단부(100)는 아크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코어 본체(11)는 더 작은 상부 부분 및 더 큰 하부 부분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가이드 슬리브(61)와 슬라이딩 간격이 맞는 직선의 튜브형 가이드 고정부(1111) 및 가이드 고정부(11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환형의 박벽부(112)를 포함한다. 환형의 박벽부(112)의 외경은 가이드 고정부(1111)의 외경보다 크고, 환형의 박벽부(1112)의 내경은 가이드 고정부(1111)의 내경보다 크다. 또한, 밀봉 조립체의 밀봉부 및 밸브 코어 본체(11)의 가이드 고정부(1111)의 직경은 D1으로 정의되고, D1은 밸브 코어 본체(11)의 가이드 고정부(1111)의 외경이다. 환형의 박벽부(112)의 하부 단부(10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 구조이다. 아크 구조의 바닥 단부(102)는 밀봉을 위해 밸브 시트 코어(22)와 협동한다. 아크 구조의 바닥 단부(102)가 위치한 링의 직경은 D2로 정의되고, 밸브 코어 본체(11)의 외부 벽의 직경은 D1으로 정의되고, D1은 D2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도록 설계되고, 즉, 밸브 코어 본체(11)의 외부 벽의 수평 방향으로의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아크의 바닥 단부가 위치한 원형 라인과 일치하여, 밸브 코어 부품(10)이 받는 유체의 압력 차는 가능한 한 최대로 감소될 수 있고, 밸브의 개방 및 폐쇄는 더 매끄럽고, 밸브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것이 쉽고, 밸브 작동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대안으로서, 도 9c 및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박벽부(112)의 하부 단부(100)의 하단부는 직경이 밸브 포트(200)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테이퍼되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대 구조를 가질 수 있고(즉, 상부 부분은 더 크고 하부 부분은 더 작음), 환형의 밀봉 평면(102')을 포함한다. 환형의 밀봉 평면(102')은 밸브 시트 코어(22)에 인접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가이드 고정부(1111)의 외부 벽의 수평 방향으로의 돌출부는 환형의 밀봉 평면(102')의 중심 원형 라인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즉, 환형의 밀봉 평면(102')상의 밸브 코어 본체(11)의 외부 벽의 돌출부는 밀봉 원형 라인(X')으로 정의되고, 밀봉 원형 라인의 직경은 D3으로 정의되고, 환형의 밀봉 평면(102')의 외부 원형 라인(y)의 직경은 D4로 정의되고, 내부 원형 라인(Z)의 직경은 D5로 정의되고, D3은 D4-D5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고, 즉, D3 = (D4-D5)/2 또는 D3
Figure 112021147438206-pat00001
(D4-D5)/2 이고, 이는 또한 밸브 코어 부품(10)이 받는 유체의 압력차를 감소시키고, 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보다 부드럽게 하고, 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밸브 코어 본체(11)의 가이드 고정부(111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환형의 박벽부(112)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는 0.5 mm 이하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고정부(111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환형의 박벽부(112)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는 a로 표현되고, 거리 a ≤ 0.5mm 이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밸브 코어 본체(11)의 가이드 고정부(1111)의 외부 표면과 환형의 박벽부(112)의 외부 표면 사이의 천이의 환형 영역은 상대적으로 작고, 외부 압력 차이 힘(압력 차이 힘 = 링 면적 * 압력차)은 더 작고, 밸브의 작용 성능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에서, 밸브 포트 재킷은 다른 대안적인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부분(IA)의 수정된 예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포트 재킷(24')의 실린더부(243')의 상부 단부는 밸브 시트 코어(22)의 밀봉부(222)보다 축 방향으로 높고, 환형의 박벽부(112)의 돌출부의 중심 원형 라인과 실린더부(243')의 내부 모서리 벽 사이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단 방사상 거리(H)는 2mm 보다 작다. 환형의 박벽부(112)의 수평 방향으로의 돌출부는 원형이고, 중심 원형 라인은 돌출부의 내부 및 외부 모서리로부터 동일한 거리이다. 밸브 포트 재킷(24')은 밸브 시트 코어(22)의 상부 단부(222)보다 축 방향으로 높기 때문에, 밸브 코어 부품(10)의 환형의 박벽부(112)가 밸브 포트(200)를 개방하도록 밸브 시트 코어(22)의 밀봉부(222)를 떠날 때, 밸브 포트 재킷(24')의 더 높은 부분은 밸브 개방 공정이 안정적일 수 있도록 고압 유체의 즉각적인 충격을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방사상 최단 거리(H)는 2mm 미만으로 제어되어, 환형의 박벽부(112)에 대한 고압 유체의 즉각적인 충격을 또한 감소시킬 수 있고 밸브 개방 공정을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전기 밸브는 양방향 유동을 실현할 수 있고, 유체는 방사상 연결 파이프(43)로부터 유입되어 축 연결 파이프(23)로부터 유출될 수 있거나, 축 연결 파이프(23)로부터 유입되어 방사상 연결 파이프(43)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체가 방사상 연결 파이프(43)로부터 유입되어 축 연결 파이프(23)로부터 유출되는 예시가 설명될 것이다. 자기 로터(34)는 전자기 코일의 구동하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크류 너트(32)를 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시킨다. 자기 로터(3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밸브 코어 부품(10)은 밸브 포트(200)를 향해 이동하고, 자기 로터(3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밸브 코어 부품(10)은 밸브 포트(20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밸브가 도 1에 도시된 완전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밸브 코어 부품(10)은 밸브 코어 제한부(52)에 의한 제한으로 인해 축 방향으로 더 상향 이동할 수 없고, 코일 부품(70)은 자기 로터(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동력을 공급받고, 자기 로터(34)의 원주 회전은 스크류 로드(31)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 너트(32)의 축 방향 운동으로 전환되어, 스크류 너트(32)는 환형의 박벽부(112)의 하부 단부(100)가 밸브 포트(200)를 폐쇄할 때까지, 즉, 전기 밸브가 도 2에 도시된 상태일 때까지 밸브 코어 부품(10)을 하향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 밸브가 개방될 필요가 있을 때, 코일 부품(70)은 자기 로터(3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동력을 공급받고, 스크류 너트(32)의 방사상 돌출부(321)는 밸브 코어 부품(10)의 상부 정지부(121)와 인접하여, 스크류 너트(32)는 밸브 코어 부품(10)이 스크류 너트 키트(50)의 밸브 코어 제한부(52)와 인접할 때까지, 즉 도 1에 도시된 밸브의 완전 개방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밸브 코어 부품(10)을 축 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도록 옮긴다.
전기 밸브의 작동 동안에, 전기 밸브에 동력이 차단된 후에, 자기 로터의 토크는 스크류 로드(31)를 통해 스크류 너트(32) 및 밸브 코어 부품(10)에 전달되어, 밸브를 폐쇄하는 밸브 코어 부품(10)의 위치를 유지한다. 그러나, 전기 밸브의 실제 작동에서, 진동 및 다른 이유로 인해, 스크류 로드(31)는 스크류 너트(32)의 전달 나사산에 대해 슬립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스크류 로드(31)에 의해 스크류 너트(32) 및 밸브 코어 부품(10)로 전달되는 잠금 힘이 불충분할 수 있고, 그 결과 밸브는 효과적으로 폐쇄될 수 없고, 누설 문제를 더 일으킨다.
이를 위해, 도 1, 4,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 해결책의 전기 밸브에서의 추가적인 설계에서, 스크류 너트(32)는 링 형상의 하부 연장부(322)를 더 포함한다. 하부 연장부(322)는 상부 챔버(2)에 설치되고, 방사상 돌출부(321)를 따라 실질적으로 하향 연장한다. 탄성 부재(33)는 스크류 너트(32)와 정지 부재(18)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 연장부(322)의 외주 상에 슬리브된다. 탄성 부재(33)의 일 단부는 방사상 돌출부(321)와 인접하고, 타 단부는 하부 정지부(181)에 인접한다. 환형의 박벽부(112)가 밀봉부(222)로부터 분리될 때, 하부 연장부(322)의 하부 단부와 하부 정지부(181)의 사이에 축 방향 갭이 존재한다.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환형의 박벽부(112)가 밀봉부(222)와 인접한 후에, 하부 연장부(322)의 하부 단부는 하부 정지부(181)와 인접한다. 누설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는 전술한 상황이 발생하면, 탄성 부재(33)의 탄성력은 밸브 시트 코어(22)에 대해 밸브 코어 부품(10)을 단단히 가압하여, 밸브 포트(200)가 폐쇄되는 것을 보장하고 누출을 방지한다. 이 해결책에서 탄성 부재는 구체적으로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리프 스프링(leaf spring, 33)이다. 명백하게, 탄성 부재는 하기의 제2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압축 스프링 일 수 있다. 탄성 부재가 압축 스프링인 경우에, 스크류 너트(32)의 구조는 제2 실시예에서 스크류 너트(32A)로 상응하여 변경된다. 또한, 탄성 부재가 전술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한, 탄성 부재는 하기의 제3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오링(O-ring)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의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S1: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중공의 밸브 코어 본체(11)를 제공하는 단계;
S2: 밀봉부(222)를 갖는 밸브 시트 코어(22), 밸브 시트 본체(21) 및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밸브 포트 재킷(24)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밸브 시트 본체(21)의 상부 단부 표면에는 밸브 시트 코어를 장착하기 위한 상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상부 단차부(211)가 제공되고; 밸브 시트 코어(22)를 상부 단차부(211)에 장착하고 밸브 시트 본체(21)의 상부 단부를 밸브 시트 코어(22)에 크림핑하고, 밸브 포트 재킷(24)의 외부 벽을 밸브 시트 본체(21)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3: 가이드 슬리브(61) 및 밀봉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설치부(613)의 내부 벽 및 가이드부(612)의 내부 벽은 하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제2 위치 제한 단차부(611)를 형성하고; 밀봉 조립체를 제2 위치 제한 단차부(611)에 장착하고; 다음으로 가이드 슬리브(61)의 하부 단부를 크림핑 또는 용접에 의해 링 형상의 하부 위치 제한 부재(64)에 고정하는 단계;
S4: S3 단계 이후에 제1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이드 슬리브(61)를 밸브 본체(41)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5: 스크류 너트(32), 상부 정지 부재(14), 탄성 부재(33) 및 하부 정지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하부 정지 부품은 지지 부재(17) 및 정지 부재(18)를 포함하고; 상부 정지 부재(14)를 밸브 코어 본체(11)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스크류 너트(32)를 밸브 코어 본체(11)의 내부 챔버(101) 내부에 삽입하고 스크류 너트(32)의 방사상 돌출부(321)가 상부 정지 부재에 의해 위치 제한되기 위하여 스크류 너트(32)의 나사식 연결 단부를 밸브 코어 본체(11)의 외부로 연장하고; 탄성 부재(33)를 스크류 너트(32)의 하부 단부의 주변부 상에 슬리브하고; 다음으로 제1 축 관통홀(4)을 가지는 정지 부재(18)를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챔버 내부에 장착한 다음, 그 안에 지지 부재(17)를 장착한 다음, 제2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지지 부재(17)를 밸브 코어 본체(11)에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
S6: 스크류 너트(32)가 스크류 로드(31)와 나사식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제2 조립체를 제1 조립체와 하부에서 상부로 조립하는 단계;
S7: 밸브 본체(41)를 밸브 시트 본체(21)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8: 연결 시트(35)를 통해 로터(41)를 스크류 로드(31)의 상부 단부에 고정 연결하는 단계;
S9 : 밸브 본체(41)를 밸브 커버(42)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및
S10 : 브래킷(44)을 통해 코일 부품(70)을 밸브 커버(42)의 외주부에 고정하는 단계.
S1 내지 S7의 단계 번호는 단계의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가 제조될 수 있는 한, 단계들의 순서는 조정 가능하다.
도 12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기 밸브의 스크류 너트 및 밸브 코어 부품의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 12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해결책에 따른 전기 밸브는 밸브 코어 부품(10A), 밸브 시트 부품(20), 전달 부품(30A), 밸브 본체 부품(40), 스크류 너트 키트(50A), 및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60A) 및 코일 부품(70)을 포함한다.
이 해결책에서, 밸브 시트 부품(20), 밸브 본체 부품(40), 스크류 너트 키트(50A), 코일 부품(70), 전달 부품(30A)의 스크류 로드(31), 자기 로터(34), 환형의 박벽부(112A)의 하부 단부(100) 및 도 6a에 도시된 밸브 포트 재킷의 내부 벽과 환형의 박벽부 사이의 거리 관계는 제1 실시예의 텍스트 설명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고,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인 구조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 부품(10A) 및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60A)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상이하고, 따라서 밀봉 조립체와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60A) 사이의 협동 방식 및 밀봉 조립체와 밸브 코어 부품(10A) 사이의 협동 방식도 변경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해결책에서, 밸브 코어 부품(10A)을 가이드하는 밸브 코어 가이드 부품(60A)은 가이드 슬리브(61A)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61A)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구조를 가지고, 밸브 본체(41)의 중간 실린더부(41b)의 내부 모서리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밸브 코어 부품(10A)은 가이드 슬리브(61A)의 내부 챔버에서 축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가이드 슬리브(61A)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간격이 맞는 것이 가능하다. 밸브 코어 부품(10A)은 환형의 박벽부(112A)를 포함한다. 밸브 코어 부품(10A)의 축 방향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환형의 박벽부(112A)와 밸브 시트 부품(20)의 밀봉부의 접촉 또는 분리는 전기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 부품(10A)은 밸브 코어 본체(11A) 및 밸브 코어 본체(11A)에 구비된 하부 정지 부품을 포함한다. 밸브 코어 본체(11A)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다. 밸브 코어 본체(11A)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금속 재료를 드로잉하거나 스탬핑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코어 본체(11A)는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116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밸브 코어 본체(11A)는 용접된 강관을 스탬핑하거나 강판을 드로잉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공정 기술은 간단하고, 비용은 절약되고, 그 무게는 가볍다.
밸브 코어 본체(11A)는 직경 감소부(110A), 및 가이드 슬리브(61A)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간격이 맞는 것이 가능한 대경부(111A)를 포함한다. 대경부(111A)의 내경은 직경 감소부(110A)의 내경보다 크고, 대경부(111A)의 외경은 직경 감소부(110A)의 외경보다 크다. 제2 축 관통홀(115A)은 대경부(111A)와 직경 감소부(110A) 사이에 구비된다. 대경부(111A)는 가이드 슬리브(61A)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간격이 맞는 가이드 고정부(1111A) 및 가이드 고정부 하부에 구비된 환형의 박벽부(112A)를 포함한다. 환형의 박벽부(112A)의 외경은 대경부(111A)의 외경보다 크고, 환형의 박벽부(112A)의 내경은 대경부(111A)의 내경보다 크다. 환형의 박벽부(112A)의 하부 단부(100)는 밸브 시트 코어(22)의 밀봉부(222)와 인접하거나 분리된다. 하부 단부가 밀봉부와 인접할 때, 제2 유체 포트(201)는 제1 유체 포트(401)와 연통하지 않고, 하부 단부가 밀봉부로부터 분리될 때, 제2 유체 포트(201)는 제1 유체 포트(401)와 연통한다. 천이부(121A)는 직경 감소부(110A)와 대경부(111A)사이에 형성된다. 천이부(121A)의 하부 단부 표면에는 상부 정지부가 형성되고, 직경 감소부(110A)의 상부 단부에는 크림핑에 의해 밀봉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크림핑부(114A)가 구비된다(도 13은 크림핑부(114A)가 크림핑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가이드 고정부(1111A)의 내부 벽은 하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제1 위치 결정 단차부(1113A)를 포함한다. 하부 정지 부품은 대경부(111A)의 내부 벽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판 형상의 하부 정지 부재(18A)를 포함한다. 하부 정지 부재(18A)는 제1 축 관통홀(4A)을 포함하고, 하부 정지 부재(18A)의 상부 단부 표면은 하부 정지부(181A)를 형성한다. 하부 정지 부재(18A)의 상부 단부는 제1 위치 결정 단차부(1113A)의 단차 표면과 인접하고, 가이드 고정부(1111A)의 내부 벽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상부 챔버(2A)는 하부 정지 부재(18A)의 하부 정지부(181A)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 챔버(3A)는 하부 정지부(181A)의 하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하부 정지부(181A)는 밸브 코어 본체(11A)의 내부 챔버(101A)를 상부 챔버(2A) 및 하부 챔버(3A)로 분할할 수 있다. 하부 정지 부재(18A)의 제1 축 관통홀(4A)은 상부 챔버(2A) 및 하부 챔버(3A)와 연통한다.
밀봉 조립체는 밸브 코어 부품(10A)과 가이드 슬리브(61A) 사이에 설치된다. 전기 밸브가 완전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밀봉 조립체는 전기 밸브의 방사상 연결 파이프(43)가 밸브 포트(200)와 연통하지 않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밀봉 조립체는 밸브 코어 본체(11A)의 직경 감소부(110A)와 가이드 슬리브(61A) 사이의 수용 공간(1A)에 설치되고, 직경 감소부(110A)의 외부 모서리와 가이드 슬리브(61A)의 내부 벽 사이에 위치된다. 밀봉 조립체는 상부 위치 제한 부재(67A), 하부 위치 제한 부재(66A), 및 하부 위치 제한 부재(66A)와 상부 위치 제한 부재(67A) 사이에 구비된 밀봉 부품을 포함한다. 밀봉 부품은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 밀봉 링(62) 및 고무 재료로 제조된 슬라이드 시트(63)를 포함한다. 밀봉 링(62)은 슬라이딩 시트(63) 내에 포개진다. 상부 위치 제한 부재(67A) 및 하부 위치 제한 부재(66A)는 개스킷일 수 있다. 하부 위치 제한 부재(66A)는 직경 감소부(110A)의 외주에 슬리브되고 천이부(121A)의 상부 단부 표면에 걸린다. 상부 위치 결정 단차부(113A)는 밸브 코어 본체(11A)의 직경 감소부(110A)의 상부 단부의 외부 모서리에 구비된다. 상부 위치 제한 부재(67A)는 상부 위치 결정 단차부(113A)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직경 감소부(110A)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부 위치 제한 부재(67A)는 직경 감소부(110A)의 상부 단부에 크림핑에 의해 고정된다. 밀봉 조립체는 상부 개스킷(67A)과 하부 개스킷(66A) 사이에 구비되며, 두 개에 의해 축 방향으로 위치 제한된다.
스크류 너트(32A)는 방사상 돌출부(321A) 및 상부 챔버(2A)에 위치한 하부 연장부(322A)를 포함한다.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스크류 너트(32A)의 방사상 돌출부(321)는 밸브 코어 본체(11A)의 상부 정지부와 인접할 수 있어서, 스크류 너트(32A)는 밸브 코어 부품(10)을 가이드 슬리브(61)의 축 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밸브 포트(200)가 폐쇄될 필요가 있을 때, 스크류 너트(32A)는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고, 밸브 코어 부품(10A)는 하향 이동한다. 밸브가 완전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하부 연장부(322A)의 하부 단부는 하부 정지부(181A)와 인접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32A)는 수용 챔버(323A)를 더 포함하고, 탄성 부재(33A)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공동(323A)에 배치된다. 이 해결책에서,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33A)이다. 스크류 너트(32A)의 하부 연장부(322A)와 정지 부재(18A)의 하부 정지부(181A)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구비된다. 압축 스프링(33A)의 일 단부는 하부 정지부(181A)와 인접하고, 타 단부는 스크류 너트(32A)와 인접한다. 제1 실시예의 탄성 부재의 기능에 더하여, 이 해결책에서 압축 스프링(33A)의 상부 단부는 필터 조립체(13A)를 추가로 지지한다. 필터 조립체(13A)는 밸브 내의 유체의 불순물을 여과한다. 명백하게,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 너트(32A)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스크류 너트(3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압축 스프링(33A)은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리프 스프링 또는 오링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구조 설계에 따르면, 밸브 코어 부품(10A)은 밸브 코어 본체(11A)의 하부 개구(116A), 하부 챔버(3A), 정지 부재(18A)의 제1 축 관통홀(4A), 상부 챔버(2A) 및 직경 감소부(110A)의 상부 개구를 포함하는 밸런스된 유로를 더 포함한다. 밸런스 유로의 배치는 밸브 코어 부품(10A)의 상부 및 하부 압력의 밸런스에 도움이 되고, 축 방향 이동 중에 밸브 코어 부품(10A)이 받는 압력차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 해결책에서, 환형의 박벽부(112A)의 내압(pressure-bearing)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환형의 박벽부(112A)의 하부 단부(100A)는 도 9b 및 9d의 환형의 박벽부(112)의 하부 단부(100)를 참조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다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D1은 밀봉 조립체의 밀봉부 및 가이드 슬리브(61A)의 직경이어야하고, 대경부(111A)의 외경 또는 가이드 슬리브(61A)의 내경과 거의 동일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전기 밸브의 유리한 효과 및 작동 과정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고, 이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다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와 제1 실시예 사이의 차이는 주로 이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는 밸브 코어 부품(10A)의 이동과 동기식으로(synchronously) 이동한다는 것에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전기 밸브의 전체 작업 과정 동안, 밀봉 조립체는 가이드 슬리브(61)에 고정되기 때문에, 밀봉 조립체는 밸브 코어 부품(10)의 축 방향 이동과 함께 움직이지 않는다. 이 실시예의 전기 밸브는 또한 제1 실시예의 전기 밸브의 유리한 효과를 가지고, 이를 기초로 하여,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밸브 코어 부품(10A)의 구조 및 공정 기술이 더 단순하고, 그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고, 그 설치가 보다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의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중공형 밸브 코어 본체(11A)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상부 위치 결정 단차부(113A)가 직경 감소부(110A)의 상부 단부의 외부 벽에 형성되는 단계;
S2: 밀봉부(222)를 갖는 밸브 시트 코어(22), 밸브 시트 본체(21) 및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밸브 포트 재킷(24)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밸브 시트 본체(21)의 상부 단부 표면에는 밸브 시트 코어를 장착하기 위한 상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상부 단차부(211A)가 제공되고; 밸브 시트 코어를 상부 단차부(211A)에 장착하고 밸브 시트 본체(21)의 상부 단부를 밸브 시트 코어에 크림핑하고, 밸브 포트 재킷(24)의 외부 벽을 밸브 시트 본체(21)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3: 가이드 슬리브(61A)를 제공하고, 제1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이드 슬리브(61A)를 밸브 본체(41)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4: 스크류 너트(32A), 밀봉 조립체, 탄성 부재(33A) 및 하부 정지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밀봉 조립체는 직경 감소부의 외주부 상에 슬리브되고, 상부 위치 제한 부재(67A)의 하부 단부는 상부 위치 결정 단차부(113A)와 인접하고; 직경 감소부(110A)의 상부 단부를 밀봉 조립체에 크림핑하고; 스크류 너트(32A)를 밸브 코어 본체(11A)의 내부 챔버(2A) 내부에 삽입하고 스크류 너트(32A)의 방사상 돌출부(321A)가 천이부(121A)에 의해 위치 제한되기 위하여 스크류 너트(32A)의 나사식 연결 단부를 밸브 코어 본체(11A)의 외부로 연장하고; 하부 정지 부품을 내부 챔버 내부에 장착한 다음, 제2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 정지 부품을 밸브 코어 본체에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
S5: 스크류 너트(32A)가 스크류 로드(31)와 나사식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제2 조립체를 제1 조립체와 하부에서 상부로 조립하는 단계; 및
S6: 밸브 본체(41)를 밸브 시트 본체(21)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S6 이후의 조립 단계는 이해를 위해 이전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S1 내지 S6의 단계 번호는 단계의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가 제조될 수 있는 한, 단계들의 순서는 조정 가능하다.
도 14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스크류 너트 및 밸브 코어 부품의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부분은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즉, 도 14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서 다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코어 본체(11B)는 금속 재료를 드로잉 또는 스탬핑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개구(115B) 및 하부 개구(116B)를 포함하는 실린더형 부재이다. 그 공정 기술은 간단하고, 비용이 절약되고, 그 무게는 가볍다. 밸브 코어 본체(11B)는 직경 감소부(110B), 가이드 슬리브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간격이 맞는 것이 가능한 대경부(111B), 및 대경부(111B)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환형의 박벽부(112B)를 포함한다. 상부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천이부(121B)는 직경 감소부(110B)와 대경부(111B) 사이에 형성된다. 직경 감소부(110B)의 상부 단부는 크림핑에 의해 밀봉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크림핑부(114B)를 구비한다. 하부 정지 부품은 대경부(111B)의 내부 벽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지지 부재(17B) 및 지지 부재(17B)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정지 부재(18B)를 포함한다. 정지 부재(18B)의 상부 단부 표면은 하부 정지부(181B)를 형성한다.
상부 챔버(2B)는 밸브 코어 본체(11B)와 하부 정지 부품 사이에 설치된다. 스크류 너트(32B)는 상부 챔버(2B) 내의 방사상 돌출부(321B) 및 하부 연장부(322B)를 포함한다.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스크류 너트(32B)의 방사상 돌출부(321B)는 밸브 코어 본체(11B)의 천이부(121B)와 인접한다. 전술한 구조 설계에 따르면, 밸브 코어 부품(10B)은 밸브 코어 본체(11B)의 하부 개구(116B), 하부 정지 부재(18B)의 제1 축 관통홀(4B), 상부 챔버(2B) 및 밸브 코어 본체(11B)의 상부 개구를 포함하는 밸런스된 유로를 더 포함한다. 밸런스 유로의 배치는 밸브 코어 부품(10B)의 상부 및 하부 압력의 밸런스에 도움이 되고, 밸브 코어 부품(10B)이 받는 압력 차이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탄성 부재는 스크류 너트(32B)와 하부 정지 부품 사이에 설치된다. 이 해결책에서, 탄성 부재는 리프 스프링(33B)이다. 리프 스프링(33B)의 구조는 도 11a 및 11b에 도시되어 있다. 명백하게, 이 실시예에서 리프 스프링(33B)은 오링(33C)으로 대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도 14에서 리프 스프링이 오링으로 대체된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스크류 너트(32B)의 구조는 제2 실시예에서 스크류 너트(32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리프 스프링(33B)은 제2 실시예에 도시된 압축 스프링(33A)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환형의 박벽부(112B)의 하부 단부(100B)의 구조는 도 9b 및 9d를 참조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다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본 출원의 핵심 아이디어는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으며, 각각의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 부품의 밸브 코어 본체의 환형의 박벽부는 가이드 고정부와 동일한 외경 및 내경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고, 즉, 환형의 박벽부가 깔대기(funnel)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밸브의 제2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 본체(11A)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본체의 수정된 예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코어 본체(11A')의 대경부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에서, 밸브 코어 본체는 실질적으로 통합된 관형 구조를 가지고, 따라서 그 처리 기술은 간단하고, 밸브 코어 본체는 박벽으로 가공되기 쉬우며, 이는 재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밸브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부 정지 부품은 밸브의 추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챔버에 제공되고, 이는 밸브의 소형화에 도움이 된다. 하부 정지 부품의 하부 정지부는 내부 챔버를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로 분할한다. 하부 정지 부품은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와 연통하는 제1 축 관통홀을 포함하여, 축 방향 관통 구조가 밸브 코어에 형성되며, 이는 밸브의 내부 밸런스에 도움이 된다. 밸브 코어 본체는 밸브 시트 부품의 밀봉부와 협동하는 환형의 박벽부를 포함한다. 환형의 박벽부의 배치는 밸브 코어 부품이 받는 압력 차이 힘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밸브 내부의 압력 밸런스에 도움이 되고 밸브의 작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의 설명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전기 밸브는 온/오프 밸브로서 사용될 수 있고 밸브 포트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유량 조절 밸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밸브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은 앞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본 출원의 원리 및 실시예는 특정 예시에 의해 본원에 예시되어 있다. 전술한 예시의 설명은 본 출원의 개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본 출원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대한 몇몇 개선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개선은 또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20: 밸브 시트 부품
30: 전달 부품

Claims (9)

  1. 전달 부품 및 밸브 코어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코어 부품은 밸브 코어 본체 및 하부 정지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코어 본체는 관형이고;
    상기 하부 정지 부품은 상기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코어 본체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하부 정지 부품은 하부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부 챔버가 상기 하부 정지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 챔버가 상기 하부 정지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정지 부품은 상기 상부 챔버 및 상기 하부 챔버와 연통하는 제1 축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코어 본체는 상부 챔버와 연통하는 제2 축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품은 스크류 로드 및 스크류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로드는 상기 스크류 너트와 나사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 너트는 상기 상부 챔버에 배치된 방사상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상 돌출부는 상기 밸브 코어 부품의 상부 정지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너트는 상기 밸브 코어 부품을 축 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 본체는 직경 감소부 및 대경부를 포함하며, 제2 축 관통홀은 상기 직경 감소부 및 상기 대경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는 상기 제2 축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직경 감소부 및 대경부 사이에 천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천이부의 하부 단부 표면은 상기 상부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의 내부 벽은 하향을 향하는 단차 표면을 가지는 제1 위치 제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정지 부품은 상기 제1 위치 제한 단차부에 인접하는 하부 정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정지 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대경부의 상기 내부 벽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정지 부재는 상기 제1 축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정지 부재의 상부 단부 표면은 하부 정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스크류 너트는 실린더형의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장부는 수용 공동을 포함하고,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 단부는 상기 스크류 너트에 인접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다른 단부는 상기 하부 정지부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 본체는 가이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고정부는 직선의 관 형상이고;
    상기 밸브 코어 부품은 용접 또는 크림핑(crimping)에 의해 상기 밸브 코어 본체에 고정되는 상부 정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정지 부재의 하부 단부 표면은 상부 정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정지 부재는 제2 축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코어 본체는 상기 밸브 코어 본체의 상부 단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만곡부의 하부 단부 표면은 상기 상부 정지부로 기능하고, 상기 횡방향 만곡부는 제2 축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정지 부품은 상기 밸브 코어 본체의 내부 벽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는 정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 부재에는 제1 축 관통홀이 제공되고, 상기 정지 부재의 상부 단부 표면은 상기 하부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너트는 환형의 하부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장부는 상기 상부 챔버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는 상기 하부 연장부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 단부는 상기 방사상 돌출부에 인접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다른 단부는 상기 하부 정지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관 형상이고, 상기 지지 부재는 금속 재료를 드로잉 또는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정지 부재는 판 형상이고;
    필터 부품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 단부와 상기 정지 부재의 하부 단부 사이에 걸리고, 상기 필터 부품은 지지 링 및 필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링은 외부 플랜지부 및 제3 축 관통홀을 가지는 내부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플랜지부의 상부 단부 표면은 상기 정지 부재의 하부 단부 표면에 인접하고, 상기 외부 플랜지부의 하부 단부 표면은 상기 밸브 코어 본체의 상부 단부 표면에 인접하고,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제3 축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챔버 및 상기 제1 축 관통홀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류 너트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의 일 단부는 상부 챔버로 연장되고, 스크류 너트의 타 단부는 상부 챔버로부터 연장되고;
    스크류 너트와 제2 축 관통홀의 벽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고, 스크류 너트는 제2 축 관통홀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코어 본체의 하부 단부에는 하부 개구가 구비되고; 하부 개구, 하부 챔버, 제1 축 관통홀, 상부 챔버(2), 및 밸브 코어 본체의 제2 축 관통홀은 밸런스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조립체.
KR1020217041737A 2018-01-31 2018-05-17 밸브 코어 조립체 KR102408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094300.9 2018-01-31
CN201810094300 2018-01-31
KR1020207022202A KR102343398B1 (ko) 2018-01-31 2018-05-17 전기 밸브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
PCT/CN2018/087275 WO2019148692A1 (zh) 2018-01-31 2018-05-17 一种电动阀及电动阀的制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202A Division KR102343398B1 (ko) 2018-01-31 2018-05-17 전기 밸브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433A KR20210157433A (ko) 2021-12-28
KR102408886B1 true KR102408886B1 (ko) 2022-06-14

Family

ID=6747789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738A KR102408887B1 (ko) 2018-01-31 2018-05-17 전기 밸브
KR1020207022202A KR102343398B1 (ko) 2018-01-31 2018-05-17 전기 밸브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
KR1020217041737A KR102408886B1 (ko) 2018-01-31 2018-05-17 밸브 코어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738A KR102408887B1 (ko) 2018-01-31 2018-05-17 전기 밸브
KR1020207022202A KR102343398B1 (ko) 2018-01-31 2018-05-17 전기 밸브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788642B2 (ko)
JP (1) JP7049464B2 (ko)
KR (3) KR102408887B1 (ko)
CN (1) CN111417807B (ko)
WO (1) WO20191486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67Y1 (ko) * 2023-03-10 2023-11-2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제어유 압력조절용 밸브의 밸브 케이싱 오일 누설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제어유 압력조절용 밸브
KR200497938Y1 (ko) * 2023-03-17 2024-04-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용 가압기 안전밸브 누설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전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9284A (zh) * 2019-09-20 2021-03-23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流量控制阀
DE102019134523A1 (de) * 2019-12-16 2021-06-17 Hanon Systems Vorrichtung zum Regeln eines Durchflusses und Expandieren eines Fluids in einem Fluidkreislauf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CN113915343A (zh) * 2020-07-09 2022-01-11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阀及电动阀的装配方法
JP2024519134A (ja) * 2021-07-30 2024-05-08 浙江三花智能控制股▲ふん▼有限公司 電動弁
CN117780943B (zh) * 2024-02-23 2024-04-30 山东东阀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性高的电动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643A (ja) 2001-09-03 2003-05-21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
JP2007292336A (ja) 2006-04-21 2007-11-08 Saginomiya Seisakusho Inc アンモニア冷媒冷凍サイクル装置用弁装置およびアンモニア冷媒冷凍サイクル装置
CN100509053C (zh) 2002-09-27 2009-07-08 赞塔里斯有限公司 持续释放的药物活性肽施用形式及其制备方法
JP2012533717A (ja) 2010-10-15 2012-12-27 浙江三花股▲ふん▼有限公司 電動弁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5847B2 (ja) * 1995-07-12 2004-07-21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JP4224187B2 (ja) * 1999-06-02 2009-02-12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EP1069366A1 (en) * 1999-07-16 2001-01-17 S.K.G. Italiana S.p.A.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US6460567B1 (en) * 1999-11-24 2002-10-08 Hansen Technologies Corpporation Sealed motor driven valve
DE20303764U1 (de) * 2003-03-10 2003-05-22 Huang Chun Cheng Ventil mit Motorantrieb für Gasdurchflusssteuerung
DE102004028865B4 (de) * 2003-06-20 2007-06-06 Danfoss A/S Kälteanlage
US8296071B2 (en) 2004-03-15 2012-10-23 Terumo Bct Biotechnologies, Llc Methods for uniformly treating biological samples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CN100348897C (zh) * 2004-12-14 2007-11-14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4835354B2 (ja) * 2006-09-27 2011-12-14 三浦工業株式会社 ニードル弁
JP4881137B2 (ja) * 2006-11-24 2012-02-22 株式会社不二工機 流量制御弁及び冷凍サイクル
JP2008232276A (ja) 2007-03-20 2008-10-02 Fuji Koki Corp 電動弁
CN201121713Y (zh) * 2007-11-06 2008-09-24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阀结构和电子膨胀阀
JP5106135B2 (ja) 2008-01-10 2012-12-26 株式会社不二工機 可逆式流量制御弁
EP3062004B1 (en) 2009-01-22 2017-08-16 Fujikoki Corporation Motor-driven valve
CN101956854B (zh) 2009-07-15 2012-10-24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控阀及其阀体装置
CN102252120B (zh) * 2010-05-21 2012-10-24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热交换装置及其电动阀
CN102338240B (zh) * 2010-07-23 2015-08-19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热交换装置及其电磁阀
WO2012048659A1 (zh) * 2010-10-15 2012-04-19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阀
CN102853100B (zh) * 2011-06-27 2013-12-25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调节阀
JP5901960B2 (ja) * 2011-12-22 2016-04-13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103185164B (zh) * 2011-12-31 2014-12-17 丹佛斯(天津)有限公司 电磁阀
CN103775717B (zh) * 2012-10-22 2017-08-29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6043152B2 (ja) * 2012-10-29 2016-12-14 株式会社鷺宮製作所 流量制御弁
EP2933540B1 (en) * 2012-12-11 2020-12-16 Zhejiang Sanhua Climate & Appliance Controls Group Co., Ltd.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04565401B (zh) * 2013-10-22 2019-05-07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106415092B (zh) * 2014-01-29 2019-02-22 上海高迪亚电子系统有限公司 一种低压降低泄漏旋转式四通换向阀
CN105090534B (zh) * 2014-04-30 2017-05-17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直动式电动阀
TWM491146U (zh) * 2014-08-05 2014-12-01 Neocene Technology Co Ltd 膨脹閥
JP2016133156A (ja) * 2015-01-19 2016-07-25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6526478B2 (ja) * 2015-05-18 2019-06-05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US10145594B2 (en) * 2016-02-03 2018-12-04 Dunan Microstaq, Inc. Expansion valve
JP2017203509A (ja) *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643A (ja) 2001-09-03 2003-05-21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
CN100509053C (zh) 2002-09-27 2009-07-08 赞塔里斯有限公司 持续释放的药物活性肽施用形式及其制备方法
JP2007292336A (ja) 2006-04-21 2007-11-08 Saginomiya Seisakusho Inc アンモニア冷媒冷凍サイクル装置用弁装置およびアンモニア冷媒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2533717A (ja) 2010-10-15 2012-12-27 浙江三花股▲ふん▼有限公司 電動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67Y1 (ko) * 2023-03-10 2023-11-2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제어유 압력조절용 밸브의 밸브 케이싱 오일 누설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제어유 압력조절용 밸브
KR200497938Y1 (ko) * 2023-03-17 2024-04-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용 가압기 안전밸브 누설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전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17340A1 (en) 2023-12-28
KR20210157920A (ko) 2021-12-29
JP2021511467A (ja) 2021-05-06
JP7049464B2 (ja) 2022-04-06
KR102408887B1 (ko) 2022-06-14
US11788642B2 (en) 2023-10-17
KR20210157433A (ko) 2021-12-28
KR102343398B1 (ko) 2021-12-28
US20200340596A1 (en) 2020-10-29
US20230417339A1 (en) 2023-12-28
CN111417807A (zh) 2020-07-14
CN111417807B (zh) 2022-04-26
KR20200102498A (ko) 2020-08-31
WO2019148692A1 (zh)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886B1 (ko) 밸브 코어 조립체
US10352467B2 (en) Direct-action-type electrically-operated valv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US11365822B2 (en) Direct action type electrically operated valve
KR102320122B1 (ko) 전자밸브
CN110094525B (zh) 一种电动阀及其制造方法
JP6709926B1 (ja) 電動弁
EP3872380A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KR102313777B1 (ko) 전기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CN110094513B (zh) 一种电动阀
CN110094524B (zh) 一种电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