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321B1 -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 Google Patents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321B1
KR102406321B1 KR1020210179500A KR20210179500A KR102406321B1 KR 102406321 B1 KR102406321 B1 KR 102406321B1 KR 1020210179500 A KR1020210179500 A KR 1020210179500A KR 20210179500 A KR20210179500 A KR 20210179500A KR 102406321 B1 KR102406321 B1 KR 10240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ember
rail pipe
rail
expansion join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순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이앤지 filed Critical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to KR102021017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20Dismountable rail joints with gap-bridging
    • E01B11/22Dismountable rail joints with gap-bridging by parts of the rails
    • E01B11/24Dismountable rail joints with gap-bridging by parts of the rails with oblique or overlapping rail e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01B25/24Supporting 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용 차량의 주행 바퀴가 주행하는 주행 레일을 구성하되, 궤도용 차량의 주행 궤도 상에 차례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레일 파이프; 및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레일 파이프 사이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하는 레일 파이프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레일 파이프가 외부 온도에 따라 열변형하는 경우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신축 이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Rail pipe expansion joint structure of tracked vehicles}
본 발명은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궤도용 차량 운행 코스에 설치되는 레일용 원형 파이프의 외부 온도에 따른 열변형에 쉽게 대응하고 충격에 의한 내구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궤도용 차량이 주행하는 레일은 외부 온도에 따른 열변형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수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게 되면 서로 마주보는 레일의 양단이 밀착되면서 레일의 폭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생기게 되며, 레일의 변형으로 인해 궤도 레일 및 차량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고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을 저하시킨다.
이처럼 궤도용 차량이 변형된 레일을 주행할 때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레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궤도용 차량이 좀 더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축 이음 부재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 이음 부재가 설치된 레일 파이프에 궤도용 차량의 바퀴가 접촉하여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일 파이프의 반경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일 파이프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와 신축이음부재(20)를 연결하는 경우 파이프(1)의 양단이 맞닿는 중간 부분에 신축 기능을 하도록 공간을 띄우고 이 공간에 고무 커버(2)를 사이에 넣은 다음, 외주면에 금속밴드(3)로 둘러싸서 고정을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차량의 바퀴(4)가 파이프(1)의 이음 부분인 고무 커버(2) 위 부분을 지나갈 때 금속밴드(3)로 둘러싼 부분 위를 올라 갔다가 다시 내려오게 되면서, 궤도용 차량 전체에 충격을 주게 되고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차량의 바퀴(4)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1)로 구성된 전체 레일에도 손상을 주어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36030 B1 (2013.12.03.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궤도용 차량 운행 코스에 설치되는 레일용 원형 파이프의 외부 온도에 따른 열변형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에 의한 내구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궤도용 차량의 주행 바퀴가 주행하는 주행 레일을 구성하되, 궤도용 차량의 주행 궤도 상에 차례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레일 파이프; 및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레일 파이프 사이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하는 레일 파이프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레일 파이프가 외부 온도에 따라 열변형하는 경우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신축 이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레일 파이프에 결합된 쪽과 반대쪽 단부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1이음부재의 홈 또는 돌기와 대응되게 상기 제1이음부재와 대향하는 단부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제2이음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 파이프와 동일한 외경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레일 파이프와 상기 제1이음부재가 맞닿은 부분과 상기 레일 파이프와 제2이음부재가 맞닿은 부분 중 차량의 주행 바퀴와 사이드 롤러가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용접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레일 파이프가 주행 레일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1이음부재와 제2이음부재에서 주행 바퀴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상기 주행 바퀴와 면접촉을 하도록 면 가공부가 편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면 가공부에는 상단 높이가 상기 레일 파이프의 외주 상단 높이와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주행 바퀴가 제1이음부재와 제2이음부재를 통과할 때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의 폭은 상기 차량의 주행 바퀴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레일 파이프에 결합된 쪽과 반대쪽 단부면에 십자형 홈이 형성된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1이음부재의 십자형 홈과 대응되게 상기 제1이음부재와 대향하는 단부면에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된 제2이음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 파이프와 동일한 외경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레일 파이프가 주행 레일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1이음부재와 제2이음부재에서 주행 바퀴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상기 주행 바퀴와 면접촉을 하도록 편평한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단 높이는 레일 파이프의 외주면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이음부재와 대향하는 단부면 중앙을 가로질러 양쪽 외주 테두리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돌기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단부면 양측 외주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기 제1돌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십자형 홈과 제1돌기 및 제2돌기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에서 상기 레일 파이프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의 각 단부에는 중공의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가 각각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단부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제1이음부재 및 제1이음부재의 홈 또는 돌기와 대응되게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제2이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축 이음부재를 한 쌍의 레일 파이프 사이에 배치하여 레일 파이프가 외부 온도에 따라 열변형하는 경우 신축 이음부재가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궤도용 차량 운행 코스에 설치되는 레일용 원형 파이프의 외부 온도에 따른 열변형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신축 이음부재에서 차량의 주행 바퀴가 접촉하는 상면에는 주행 바퀴와 면접촉을 하도록 면 가공부를 편평하게 형성한 다음 이러한 면 가공부에 편평한 받침 플레이트를 얹어서 구성함으로써, 궤도용 차량이 레일 파이프의 신축 이음부재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켜 승객으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 이음 부재가 설치된 레일 파이프에 궤도용 차량의 주행 바퀴가 접촉하여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일 파이프의 반경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 바퀴가 주행하는 레일 파이프와 신축 이음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신축 이음부재의 상면에 받침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좌측 도면은 면가공부에 받침플레이트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 도면은 면가공부에 받침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신축 이음 부재의 제1이음부재와 제2이음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이음부재와 제2이음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제1이음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제2이음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제1이음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의 제2이음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 바퀴가 주행하는 레일 파이프와 신축 이음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는, 레일 파이프(10)와 신축 이음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 파이프(1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궤도용 차량의 주행 궤도 상에 차례로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후술하는 신축 이음부재(20)가 한 쌍의 레일 파이프(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레일 파이프(10)의 개수를 한 쌍으로 개시하였지만, 궤도용 차량의 주행 궤도 상에 레일 파이프(10)가 복수로 배치되는 것은 당연한 것임을 밝혀둔다.
신축 이음부재(20)는 레일 파이프(10)와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한 쌍의 레일 파이프(10) 사이에 배치되되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한 쌍의 레일 파이프(10)에 결합되어 레일 파이프(10)가 외부 온도에 따라 열변형하는 경우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신축 이음부재(20)는, 레일 파이프(10)에 결합된 쪽과 반대쪽 단부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제1이음부재(21)와, 제1이음부재(21)의 홈 또는 돌기와 대응되게 제1이음부재(21)와 대향하는 단부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제2이음부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레일 파이프(10)가 외부 온도에 따라 열변형하는 경우 신축 이음부재(20)가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궤도용 차량 운행 코스에 설치되는 레일용 원형 파이프(10)의 외부 온도에 따른 열변형에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신축 이음 부재(20)의 제1이음부재(21) 및 제2이음부재(22)에 형성되는 홈 또는 돌기의 형상은, V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디귿자 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파이프(10)가 열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경우 제1이음부재(21)의 홈에 제2이음부재(22)의 돌기가 결합되게 되고, 레일 파이프(10)가 냉각되어 길이 방향으로 축소되는 경우 제1이음부재(21)의 홈으로부터 제2이음부재(22)의 돌기는 분리되게 된다.
이때, 레일 파이프(10)와 제1이음부재(21)가 맞닿은 부분과 레일 파이프(10)와 제2이음부재(22)가 맞닿은 부분 중 사이드 롤러(미도시)가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용접부(30)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신축 이음부재의 상면에 받침 플레이트(P)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좌측 도면은 면가공부에 받침플레이트(P)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 도면은 면가공부에 받침 플레이트(P)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레일 파이프(10)가 주행 레일을 구성하는 경우, 제1이음부재(21)와 제2이음부재(22)에서 주행 바퀴(W)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주행 바퀴(W)와 면접촉을 하도록 면 가공부(12)가 편평하게 형성된다.
이때, 면 가공부(12)에는 상단 높이가 레일 파이프(10)의 외주 상단 높이와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P)가 설치된다.
이러한 받침 플레이트(P)는 주행 바퀴(W)가 제1이음부재(21) 및 제2이음부재(22)를 통과할 때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1이음부재(21) 및 제2이음부재(22)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의 폭은 주행 바퀴(W)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주행 바퀴(W)가 통과할 때 홈으로 빠져서 주행 바퀴 지지면의 높이 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받침 플레이트(P)의 폭은 홈의 폭보다 넓게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신축 이음 부재의 제1이음부재(21)와 제2이음부재(22)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1이음부재(21)와 제2이음부재(22)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부재(20)는, 레일 파이프(10)에 결합된 쪽과 반대쪽 단부면에 십자형 홈(G)이 형성된 제1이음부재(21)와, 제1이음부재(21)의 십자형 홈(G)과 대응되게 제1이음부재(21)와 대향하는 단부면에 제1돌기(E1)와 제2돌기(E2)가 형성된 제2이음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이음부재(21)의 십자형 홈(G)에 제2이음부재(22)의 제1돌기(E1) 및 제2돌기(E2)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합 후 상하로 들뜨거나 처지지 않고 좌우로 이동함이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신축 이음부재(20)는 레일 파이프(10)와 동일한 외경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레일 파이프(10)가 주행 레일을 구성하는 경우, 제1이음부재(21)와 제2이음부재(22)에서 주행 바퀴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주행 바퀴와 면접촉을 하도록 편평한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P)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제1이음부재(21)와 제2이음부재(22)의 상면에 소정의 홀을 가공한 다음 직육면체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P)를 가공된 홀에 끼우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제1이음부재(21)와 제2이음부재(22)를 형성할 때 받침 플레이트(P)를 금형 등에 의해 동시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P)의 상단 높이는 레일 파이프(10)의 외주면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 바퀴(W)가 제1이음부재(21) 및 제2이음부재(22)를 통과할 때 받침 플레이트(P)가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지지해주기 위함이다.
도 10은 도 7의 제1이음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7의 제2이음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정단면도이다.
제2이음부재(22)에 형성된 제1돌기(E1)는 제1이음부재(21)와 대향하는 단부면 중앙을 가로질러 양쪽 외주 테두리에 접하도록 일자로 돌출 형성되고, 제2돌기(E2)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제1돌기(E1)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단부면 양측 외주 테두리로부터 각각 제1돌기(E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돌기(E1)와 제2돌기(E2)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제2돌기(E2)는 일자 형태로 형성된 제1돌기(E1)와 달리 끊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금형에서 작업하는데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돌기(E1)와 제2돌기(E2)의 돌출된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또한, 제1이음부재(21)에 형성된 십자형 홈(G)과 제2이음부재(22)에 형성된 제1돌기(E1) 및 제2돌기(E2)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금형에서 빼내기 용이해진다.
아울러, 제1이음부재(21) 및 제2이음부재(22)의 외주면과 접하는 받침 플레이트(P)의 테두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주행 바퀴가 레일 파이프(10)를 주행하다가 제1이음부재(21) 및 제2이음부재(22)를 통과할 때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4는 도 10의 제1이음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도 15는 도 12의 제2이음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다.
제1이음부재(21) 및 제2이음부재(22)에서 레일 파이프(10)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이음부재(21) 및 제2이음부재(22)의 각 단부에는 중공의 제1중공부(H1)와 제2중공부(H2)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신축 이음부재(20) 자체의 중량을 줄이고 금형을 통해 성형성을 좋게 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C1, C2는 레일 파이프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이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 : 레일 파이프
12 : 면 가공부
20 : 신축 이음부재
21 : 제1이음부재
22 : 제2이음부재
30 : 용접부
P : 받침 플레이트

Claims (13)

  1. 궤도용 차량의 주행 바퀴가 주행하는 주행 레일을 구성하되, 궤도용 차량의 주행 궤도 상에 차례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레일 파이프; 및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레일 파이프 사이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하는 레일 파이프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레일 파이프가 외부 온도에 따라 열변형하는 경우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신축 이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레일 파이프에 결합된 쪽과 반대쪽 단부면에 십자형 홈이 형성된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1이음부재의 십자형 홈과 대응되게 상기 제1이음부재와 대향하는 단부면에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된 제2이음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 파이프와 동일한 외경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파이프가 주행 레일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1이음부재와 제2이음부재에서 주행 바퀴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상기 주행 바퀴와 면접촉을 하도록 편평한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단 높이는 레일 파이프의 외주면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이음부재와 대향하는 단부면 중앙을 가로질러 양쪽 외주 테두리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돌기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단부면 양측 외주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기 제1돌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홈과 제1돌기 및 제2돌기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에서 상기 레일 파이프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의 각 단부에는 중공의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KR1020210179500A 2021-12-15 2021-12-15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KR10240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500A KR102406321B1 (ko) 2021-12-15 2021-12-15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500A KR102406321B1 (ko) 2021-12-15 2021-12-15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321B1 true KR102406321B1 (ko) 2022-06-10

Family

ID=8198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500A KR102406321B1 (ko) 2021-12-15 2021-12-15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27B1 (ko) * 2022-09-27 2024-02-14 길승환 신축 이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45U (ko) * 1997-02-28 1998-10-26 김재석 안전 레일
JP2011153501A (ja) * 2010-01-28 2011-08-11 Senyo Kogyo Kk 鋼管軌条の伸縮継手構造
KR101336030B1 (ko) 2013-02-13 2013-12-03 주식회사 천경기업 레일의 신축 이음매 장치
CN110939021A (zh) * 2019-12-12 2020-03-31 苏州初然环境科技有限公司 表面无缝隙钢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45U (ko) * 1997-02-28 1998-10-26 김재석 안전 레일
JP2011153501A (ja) * 2010-01-28 2011-08-11 Senyo Kogyo Kk 鋼管軌条の伸縮継手構造
KR101336030B1 (ko) 2013-02-13 2013-12-03 주식회사 천경기업 레일의 신축 이음매 장치
CN110939021A (zh) * 2019-12-12 2020-03-31 苏州初然环境科技有限公司 表面无缝隙钢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27B1 (ko) * 2022-09-27 2024-02-14 길승환 신축 이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321B1 (ko)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TWI538834B (zh) An air spring for a moving body, and a trolley for a moving body
US6877900B2 (en) Seal device for a guide device and guide device
EP0554454B1 (en) Core bar of rubber crawler and crawler
KR102470491B1 (ko) 물품 반송 설비
JP2005533710A5 (ko)
EP2562067B1 (en) Metal core for crawler, and rubber crawler
JP2014167348A (ja) 運動案内装置
EA013652B1 (ru) Вагонна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тележка и ее элементы
JP4024498B2 (ja) ゴムクローラ用芯金及びゴムクローラ装置
JP6559176B2 (ja) 運動案内装置
KR101952239B1 (ko)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US4029019A (en) Track for vehicles
JP7102895B2 (ja) 絶縁車輪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43619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680530B1 (ko) 운동 안내 장치
JP2008223878A (ja) 直動案内装置
JP2010264910A (ja) 鉄道車両用台車
KR101465011B1 (ko) 철도차량용 볼스터의 사이드 베어링 구조
JP2581222Y2 (ja) ドロップリフタ
CN112626934A (zh) 轨道、轨道吊装结构及悬挂式轨道交通系统
CA2155914C (en) Train tire profile
KR200490434Y1 (ko) 철도 궤도용 절연부재
JP4387736B2 (ja) 配管用保温材
JPH07163127A (ja) 磁気浮上式鉄道用地上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