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239B1 -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239B1
KR101952239B1 KR1020180054122A KR20180054122A KR101952239B1 KR 101952239 B1 KR101952239 B1 KR 101952239B1 KR 1020180054122 A KR1020180054122 A KR 1020180054122A KR 20180054122 A KR20180054122 A KR 20180054122A KR 101952239 B1 KR101952239 B1 KR 10195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lower peak
connector
thickness
be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오
조인철
Original Assignee
(주)디에이치엠
조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이치엠, 조인철 filed Critical (주)디에이치엠
Priority to KR102018005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39B1/ko
Priority to PCT/KR2019/005460 priority patent/WO20192166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61D17/22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flexible,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면을 보았을 때 제1 상측피크와 제1 하측피크가 교대로 형성되는 외측표피; 절단면을 보았을 때 제2 상측피크와 제2 하측피크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측피크가 상기 제1 하측피크에 대향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표피; 상기 제1 하측피크와 제2 하측피크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분지되는 한 쌍의 홀더; 및 일단이 상기 제1 하측피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측피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BELLOWS FOR CONNECTING PASSAGES OF TRAIN}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객차 연결구조를 개력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차, 지하철, 또는 기타 운송수단은 다수의 객차(10)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객차(1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사람이 왕래 가능하도록 발판과 외부 공기를 차폐시키는 벨로우즈(20)가 설치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5284호(발명의 명칭: 철도차량용 통로연결막)도 벨로우즈(20)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벨로우즈(20)는 외부주름막과 내부주름막이 각각 제조되어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송수단들은 주행시 상, 하, 좌, 우 이동을 하면서 운행되기 때문에 사용 기간이 지남에 따라 벨로우즈(20)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벨로우즈(20)는 사용에 의해서 외부주름막과 내부주름막이 별도로 제작되어 변형이 되거나, 상호 인접한 부분, 특히, 내측 피크 부분이 자주 찢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 및 소음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과 차음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절단면을 보았을 때 제1 상측피크와 제1 하측피크가 교대로 형성되는 외측표피; 절단면을 보았을 때 제2 상측피크와 제2 하측피크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측피크가 상기 제1 하측피크에 대향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표피; 상기 제1 하측피크와 제2 하측피크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분지되는 한 쌍의 홀더; 및 일단이 상기 제1 하측피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측피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표피, 내측표피, 한 쌍의 홀더 및 커넥터는 고무재질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 및 제2 상측피크는 8개 내지 12개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에서 제2 상측피크까지의 거리는 30mm 내지 40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의 두께는 상기 제1 하측피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상측피크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측피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 또는 제2 상측피크의 두께는 2.5mm 내지 4.5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측피크 또는 제2 하측피크의 두께는 2mm 내지 4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하측피크와 제2 하측피크 사이에 전부 또는 일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절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하측피크 또는 제2 하측피크 사이의 높이가 0.1mm 내지 3mm 사이에서 형성되고, 폭은 0.2mm 내지 0.8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절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장지름이 상기 제1 상측피크와 제2 상측피크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외주면의 장지름이 6.7mm 내지 7.6mm 사이에서 형성되고 내주면의 장지름이 5.6mm 내지 6.8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측표피와 내측표피 및 이들의 상호 인접하는 피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측피크와 하측피크의 두께를 달리하여 운송수단의 이동 도중 발생할 수 있는 벨로우즈 변위를 용이하게 하며 내구성 및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객차 연결구조를 개력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는 외측표피(100), 내측표피(200), 한 쌍의 홀더(300) 및 커넥터(400, 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표피(100), 내측표피(200), 한 쌍의 홀더(300) 및 커넥터(400, 500)는 고무재질로써 사출 성형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표피(100)와 내측표피(200)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자바라 형상을 가지고 객차와 객차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표피(100)는 절단면을 보았을 때 제1 상측피크(110)와 제1 하측피크(120)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표피(200)는 절단면을 보았을 때 제2 상측피크(210)와 제2 하측피크(220)가 교대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하측피크(220)는 상기 제1 하측피크(120)에 대향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110) 및 제2 상측피크(210)는 8개 내지 12개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는 상기 제1 상측피크(110) 및 제2 상측피크(210)가 각각 10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110)에서 제2 상측피크(210)까지의 거리(d1)는 30mm 내지 40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110)의 두께(t1)는 상기 제1 하측피크(120)의 두께(t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상측피크(210)의 두께(t1)는 상기 제2 하측피크(220)의 두께(t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측피크와 하측피크의 두께 차이(t1-t2)에 의해 운송수단의 이동시 벨로우즈가 신축 또는 뒤틀림 등에 더욱 효과적인 변형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는 상기 제1 상측피크(110) 또는 제2 상측피크(210)의 두께(t1)가 2.5mm 내지 4.5mm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측피크(120) 또는 제2 하측피크(220)의 두께(t2)는 2mm 내지 4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홀더(300)에서 상기 제1 하측피크(120)와 제2 하측피크(220)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분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홀더(300)는 절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운송수단의 객차에 배치된 프레임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측피크(120)와 제2 하측피크(220)가 분지되는 넥(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하측피크(120)와 제2 하측피크(220)의 일단과 타단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형성되는 부분이 넥(320)을 형성하고, 이러한 넥(320)이 상기 고정부(3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홀더(3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외측표피(100)와 내측표피(200)가 형성하는 내부는 차음공간(s)을 형성하며, 이러한 차음공간(s)에 의해 운행시 발생하는 소리가 저감되고, 운송수단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00, 500)는 일단이 상기 제1 하측피크(1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측피크(2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400, 5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하측피크(120)와 제2 하측피크(220) 사이에 전부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 하측피크(120)와 제2 하측피크(220) 사이의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넥터(400, 500)에 의해 상기 외측표피(100)와 내측표피(200)가 내부에 형성하는 차음공간(s)이 전부 또는 일부 구획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외측표피(100) 또는 내측표피(200)의 파손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 내부에 형성된 커넥터(400, 500)의 형상 및 치수에 따라 벨로우즈의 신축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고려한 커넥터(400, 500)의 두 가지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의 커넥터(400)는 절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400)는 상기 제1 하측피크(120)와 제2 하측피크(220) 사이에 판상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상측피크(110)에서 제2 상측피크(210)까지의 거리(d1)는 30mm 내지 40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110) 또는 제2 상측피크(210)의 두께(t1)가 2.5mm 내지 4.5mm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측피크(120) 또는 제2 하측피크(220)의 두께(d2)는 2mm 내지 4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400)는 벨로우즈 전체의 신축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 하측피크(120) 또는 제2 하측피크(220) 사이의 높이(h)가 0.1mm 내지 3mm 사이에서 형성되고, 폭(w)은 0.2mm 내지 0.8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의 커넥터(500)는 절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400, 500)는 상기 제1 하측피크(120)와 제2 하측피크(220) 사이에 파이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상측피크(110)에서 제2 상측피크(210)까지의 거리(d1)는 30mm 내지 40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측피크(110) 또는 제2 상측피크(210)의 두께(t1)가 2.5mm 내지 4.5mm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측피크(120) 또는 제2 하측피크(220)의 두께(d2)는 2mm 내지 4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벨로우즈 전체의 신축력을 고려하여 상기 커넥터(500)는 외주면의 장지름(D1)이 6.7mm 내지 7.6mm 사이에서 형성되고 내주면의 장지름(D2)이 5.6mm 내지 6.8m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500)에 의한 신축력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상기 커넥터(500)는 장지름이 상기 제1 상측피크(110)와 제2 상측피크(210)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게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는 외측표피(100)와 내측표피(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커넥터(400, 500)를 포함하며, 이러한 일체형의 벨로우즈 구조하에서 상측피크(110, 210)를 하측피크(120, 220)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커넥터(400, 500)의 두께를 고려한 치수를 제공함으로써 운송수단의 이동시 벨로우즈가 신축 또는 뒤틀림 등에 더욱 효과적인 신축성, 내구성 및 차음성을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외측표피 110: 제1 상측피크
120: 제1 하측피크 200: 내측표피
210: 제2 상측피크 220: 제2 하측피크
300: 한 쌍의 홀더 310: 고정부
320: 넥 400, 500: 커넥터

Claims (13)

  1. 절단면을 보았을 때 제1 상측피크와 제1 하측피크가 교대로 형성되는 외측표피;
    절단면을 보았을 때 제2 상측피크와 제2 하측피크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측피크가 상기 제1 하측피크에 대향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표피;
    상기 제1 하측피크와 제2 하측피크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분지되는 한 쌍의 홀더; 및
    일단이 상기 제1 하측피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측피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표피, 내측표피, 한 쌍의 홀더 및 커넥터는 고무재질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측피크의 두께는 상기 제1 하측피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상측피크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측피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피크 및 제2 상측피크는 8개 내지 12개 사이에서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피크에서 제2 상측피크까지의 거리는 30mm 내지 40mm 사이에서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피크 또는 제2 상측피크의 두께는 2.5mm 내지 4.5mm 사이에서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측피크 또는 제2 하측피크의 두께는 2mm 내지 4mm 사이에서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하측피크와 제2 하측피크 사이에 전부 또는 일부 배치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절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하측피크 또는 제2 하측피크 사이의 높이가 0.1mm 내지 3mm 사이에서 형성되고, 폭은 0.2mm 내지 0.8mm 사이에서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절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장지름이 상기 제1 상측피크와 제2 상측피크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게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외주면의 장지름이 6.7mm 내지 7.6mm 사이에서 형성되고 내주면의 장지름이 5.6mm 내지 6.8mm 사이에서 형성되는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KR1020180054122A 2018-05-11 2018-05-11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KR10195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22A KR101952239B1 (ko) 2018-05-11 2018-05-11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PCT/KR2019/005460 WO2019216628A1 (ko) 2018-05-11 2019-05-08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22A KR101952239B1 (ko) 2018-05-11 2018-05-11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239B1 true KR101952239B1 (ko) 2019-02-26

Family

ID=6556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122A KR101952239B1 (ko) 2018-05-11 2018-05-11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2239B1 (ko)
WO (1) WO20192166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628A1 (ko) * 2018-05-11 2019-11-14 (주)디에이치엠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81Y1 (ko) * 2004-01-05 2004-06-10 윤종철 차량통로연결장치
KR20090082138A (ko) * 2008-01-24 2009-07-29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선로 운송장치의 차량 사이의 있는 연결 벨로우즈
KR20090115285A (ko) * 2008-05-01 2009-11-05 윤종철 철도차량용 통로연결막 및 그 조립방법
KR20140132933A (ko) * 2013-05-09 2014-11-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통로 연결막
KR20150101242A (ko) * 2014-02-26 2015-09-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절대차용 갱웨이 벨로우즈 및 그 벨로우즈를 갖는 연결공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39B1 (ko) * 2018-05-11 2019-02-26 (주)디에이치엠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81Y1 (ko) * 2004-01-05 2004-06-10 윤종철 차량통로연결장치
KR20090082138A (ko) * 2008-01-24 2009-07-29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선로 운송장치의 차량 사이의 있는 연결 벨로우즈
KR20090115285A (ko) * 2008-05-01 2009-11-05 윤종철 철도차량용 통로연결막 및 그 조립방법
KR20140132933A (ko) * 2013-05-09 2014-11-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통로 연결막
KR20150101242A (ko) * 2014-02-26 2015-09-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절대차용 갱웨이 벨로우즈 및 그 벨로우즈를 갖는 연결공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628A1 (ko) * 2018-05-11 2019-11-14 (주)디에이치엠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628A1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4097B2 (ja) 異形帯材、異形帯材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40016B1 (ko) 선로 운송장치의 차량 사이의 있는 연결 벨로우즈
KR101952239B1 (ko)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US11788338B2 (en) Pinch detection switch and pinch detection method
RU2651535C2 (ru) Переход между двумя шарнирно соединенными транспортными средствами
US11479088B2 (en) Glass run
KR20170071472A (ko) 차체 구조
AU2011372146A1 (en) Corrugated tube with route-maintaining member, and wire harness
KR101530041B1 (ko) 철도 차량 연결부 사이드 배리어
CN104442322A (zh) 机动车玻璃滑槽
JP2015037333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
KR101307866B1 (ko)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20756B1 (ko) 차량의 필러부재
KR20160075718A (ko) 윈드쉴드 및 밀봉 요소
US7275782B2 (en) Weather strip for folding top
KR102406321B1 (ko) 궤도용 차량의 레일 파이프 신축 이음 구조
US10632661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extrusion molded product for automobiles
JP2009006851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US20200009954A1 (en) Door sealing device, door sealing system and door leaf for a rail vehicle
WO2016088531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外装材
US9505294B2 (en) Weather strip, weather strip joining die set, and weather strip manufacturing method
JP2006150993A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5646227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用の芯金
JP6956892B2 (ja) 乗客コンベヤの移動手摺
CN219172153U (zh) 密封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