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866B1 -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866B1
KR101307866B1 KR1020130045855A KR20130045855A KR101307866B1 KR 101307866 B1 KR101307866 B1 KR 101307866B1 KR 1020130045855 A KR1020130045855 A KR 1020130045855A KR 20130045855 A KR20130045855 A KR 20130045855A KR 101307866 B1 KR101307866 B1 KR 101307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einforcement
vehicle
weather strip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계화
Original Assignee
임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계화 filed Critical 임계화
Priority to KR102013004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866B1/ko
Priority to CN201480021282.1A priority patent/CN105121198A/zh
Priority to PCT/KR2014/002711 priority patent/WO20141755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8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reinforcement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는 긴 판 형태로 형성되고,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를 포함하고,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는 보강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을 형성하여, V자형 굴곡을 형성하지 않은 보강재보다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동일한 강성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보강재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보강재가 내설된 웨더 스트립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보강재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서 보강재의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Weather strip of vehicle, core member for weather strip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에 사용되는 보강재 외주면에 굴곡을 형성하여, 외주면에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보강재보다 강성이 높은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의 도어 개구부나 윈도우 개구부의 플랜지를 따라 웨더 스트립이 장착된다. 이런 웨더 스트립은 도어나 윈도우의 틈새를 따라 길게 장착되는 일종의 기밀부재로서, 도어나 윈도우의 틈새를 통해 침입하는 빗물, 먼지 등의 이물질과, 풍절음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웨더 스트립은 고무나 열가소성 합성수지(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한다) 등의 폴리머재료에 의해 횡단면이 U자 형상인 스트립을 갖는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고, U자 형상의 스트립을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끼움으로써 고정시켜 사용된다.
이러한 웨더 스트립은 횡단면이 U자 형상의 긴 보강용 보강재를 스트립의 내부에 매설하여 일체화하는데, 웨더 스트립에 보강재를 보강함으로서 개구부의 플랜지에 웨더 스트립을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스트립 내부에 매설된 보강재는 일정한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져 일정한 외력에 스트립이 변형하지 않아 스트립이 개구부의 플랜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보강재가 사용되는 웨더 스트립이 개구부의 플랜지에 안정되게 고정되기 위해선, 보강재는 이에 필요한 강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보강재는 일정 이상의 두께를 두텁게 유지해야 하고, 보강재의 두께가 두터워질 수록 보강재의 무게는 증가하며, 이로 인해 보강재가 매설된 웨더 스트립의 무게가 증가한다.
또한, 보강재의 두께가 두터워질 수록 보강재의 재료원가가 증가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1474호, 2013년 01월 04일 (명칭 : 차량의 웨더스트립용 심재와 이의 제조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보강재보다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동일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긴 판 형태로 형성되고,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 상기 보강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댐바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강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은 외주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된 롤러에 압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상기 보강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게 기울어져 V자형 굴곡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은 사잇각이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의 간격은 0.6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소재는 냉간압연강판(cold rolled steel sheet), 스프링강판, 고장력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비철금속판 중 어느 하나의 금속판 또는 경질의 판형상 열가소성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또는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기밀부재와, 상기 기밀부재에 내장되는 차량의 웨더스트립용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웨더스트립용 보강재는 긴 판 형태로 형성되고,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긴 판 형태의 금속판을 압연(rolling) 또는 펀칭(punching)하여,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를 포함하는 금속판을 제조하는 제조단계,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을 형성하는 굴곡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굴곡형성단계는 상기 금속판을 외주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된 롤러에 통과시켜 압연하여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웨더스트립, 차량의 웨더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보강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을 형성하여, V자형 굴곡을 형성하지 않은 보강재보다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동일한 강성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보강재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보강재가 내설된 웨더 스트립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보강재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서 보강재의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가 포함된 차량의 웨더 스트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형성단계에서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을 형성하는 모습은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가 포함된 차량의 웨더 스트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은 기밀부재(70)와 차량의 웨더스트립용 보강재(100)을 포함한다.
기밀부재(70)는 차량의 도어나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따라 장착되는 부재로서, 도어나 윈도우의 틈새를 통해 침입하는 빗물, 먼지 등의 이물질과, 풍절음을 차단해주는 부재이다. 달리 말하면, 기밀부재(70)은 고무나 열가소성 합성수지(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등의 유동성이 있는 폴리머재료를 사용하고,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끼워 빗물, 먼지 등의 이물질과, 풍절음을 차단해주기 위해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장착되는 부분은 U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기밀부재(70)가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장착되어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해선, 고정되는데 필요한 강성을 갖는 보강재를 내설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은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안정되게 고정하는데 필요한 강성을 갖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가 포함된다. 차랑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가 기밀부재(70)에 내장될 때는 기밀부재(70)의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장착되는 부분과 동일한 U자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는 복수의 보강바(10) 및 적어도 하나의 댐바(30)를 포함한다.
보강바(10)는 긴 판 형태로 형성되고,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다. 복수의 보강바(10)는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웃하는 보강바(10) 사이에는 공간분리부(12)가 형성된다.
보강바(10) 사이에 공간분리부(12)를 형성하는 이유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이 장변방향으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이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장착되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공간분리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이 장변방향으로는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댐바(30)는 보강바(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보강바(10)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바(3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보강바(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보강바(10)를 장변방향으로 각각 연결하고 있다. 즉, 이웃하는 보강바(10)를 연결하는 댐바(30)가 2열로 설치되고, 이웃하는 보강바(10) 사이의 공간분리부(12)가 2열의 댐바(30)에 의해 3개의 영역으로 분할 되어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댐바(30)는 복수의 보강바(10)을 연결하는 부분이므로 댐바(30)가 넓어질 수록 공간분리부(12)는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댐바(3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보강바(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보강바(10)를 각각 연결하므로서, 복수의 보강바(10)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보강바(10)의 중심에 공간분리부(12)를 확보하여 공간분리부(12)를 통해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이 장변방향으로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댐바(30)는 1열로 구성되어, 복수의 보강바(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보강바(10)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보강바(10)를 연결하는 댐바(30)가 1열로 설치되고, 이웃하는 보강바(10) 사이의 공간분리부(12)가 1열의 댐바(30)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분할 될 수 있다.
또한, 댐바(30)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가 기밀부재(70)에 내장된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이 장변방향으로 유연하게 구부러 질 수 있게 보강바(10)의 중심에 공간분리부(12)를 확보할 수 있으면 댐바는 3열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는 댐바(30)의 수가 1열 또는 2열 이상의 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차체 부위별로 제품특성에 따라 압출 성형 후 댐바(30)가 분리되는 타입(분리형), 또는 댐바(30)가 분리되지 않는 타입(비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일체로 구성된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소재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이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장착되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강성을 가지기 위해, 냉간압연강판(cold rolled steel sheet), 스프링강판, 고장력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비철금속판 중 어느 하나의 금속판 또는 경질의 판형상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V자형 굴곡(20)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20)을 형성함으로서 V자형 굴곡이 형성되지 않을 때보다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의 강성이 증가한다. 달리 말하면,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20)을 형성함으로서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의 연신율이 증가하여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을 형성되지 않을 때보다 강성이 증가한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20)을 형성함으로서 V자형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보다 강성이 20 내지 40% 증가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V자형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않은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와 동일한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두께는 20 내지 40%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는 V자형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보다 무게를 줄임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를 포함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는 V자형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보다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0.3 내지 0.6mm의 두께를 가지는 냉간압연강판(cold rolled steel sheet), 스프링강판, 고장력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비철금속판 중 어느 하나의 금속판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더 스트링용 보강재(100)는 기존의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보다 20 내지 40%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기존의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와 동일한 강도를 가지는 냉간압연강판(cold rolled steel sheet), 스프링강판, 고장력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비철금속판 중 어느 하나의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20)은 보강바(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게 기울어져 V자형 굴곡(20)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20)은 강성을 주는 보강바(10)의 중심에서 양 끝단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대각선 굴곡을 형성하여, 보강바(10)는 보강바(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끝단까지 동일한 강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 때,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20)은 사잇각이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 일 수 있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20)의 간격은 0.6 내지 2mm일 수 있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20)의 간격이 0.6mm 미만 또는 2mm 초과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의 강성은 기존의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보다 강성이 20 내지 40% 증가할 수 없게 된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20)은 상부면 및 하부면에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V자형 굴곡(20)을 형성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20)은 상부면 및 하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2)와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24)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V자형 굴곡(20)을 형성할 수 있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이 오목부(22)를 형성하면 상부면의 오목부(22)와 맞닿는 하부면은 볼록부(24)를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2)와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24)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V자형 굴곡(20)을 형성할 때,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2)와 맞닿는 보강바(10) 및 댐바(30)의 하부면은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24)가 형성되고,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24)와 맞닿는 보강바(10) 및 댐바(30)의 하부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2)가 형성되어 보강바(10) 및 댐바(30)의 하부면에도 오목부(22)와 볼록부(24)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V자형 굴곡(20)을 형성되는 것이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은 외주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된 롤러(40)에 압연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형성단계에서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을 형성하는 모습은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제조방법은 제조단계 및 굴곡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제조단계는 긴 판 형태의 금속판을 압연(rolling) 또는 펀칭(punching)하여,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10)와, 보강바(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보강바(10)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30)를 포함하는 금속판을 제조한다. 달리 말하면, 제조단계에서 긴 판 형태의 금속판을 압연 또는 펀칭함으로서,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10)와, 이들 복수의 보강바(10)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3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웃하는 보강바(10) 사이에 분리공간부(1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100)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이 도어나 윈도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 장착되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공간분리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웨더 스트립(50)이 장변방향으로는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굴곡형성단계는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20)을 형성한다.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20)은 외주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된 롤러(40)에 압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금속판을 외주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된 롤러(40)에 통과시켜 압연하여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20)을 형성하는 것이다.
V자형 굴곡이 형성된 롤러(40) 중 하나는 V자형 굴곡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V자형 굴곡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보강바(10) 및 댐바(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V자형 굴곡(20)은 상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 상부면과 맞닿는 하부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보강바
12 : 공간 분리부
20 : V자형 굴곡
22 : 오목부
24 : 볼록부
30 : 댐바
40 : 롤러
50 : 차량의 웨더 스트립
70 : 기밀부재
100 :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Claims (10)

  1. 긴 판 형태로 형성되고,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
    상기 보강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보강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게 기울어져 V자형 굴곡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의 간격은 0.6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바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강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은 외주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된 롤러에 압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은 사잇각이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소재는 냉간압연강판(cold rolled steel sheet), 스프링강판, 고장력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비철금속판 중 어느 하나의 금속판 또는 경질의 판형상 열가소성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8. 차량의 도어 또는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기밀부재;
    상기 기밀부재에 내장되는 차량의 웨더스트립용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웨더스트립용 보강재는 긴 판 형태로 형성되고,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보강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게 기울어져 V자형 굴곡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의 간격은 0.6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
  9. 긴 판 형태의 금속판을 압연(rolling) 또는 펀칭(punching)하여, 장변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바를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바를 포함하는 금속판을 제조하는 제조단계;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보강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게 기울어져 V자형 굴곡을 형성하는 굴곡형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V자형 굴곡의 간격은 0.6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형성단계는 상기 금속판을 외주면에 V자형 굴곡이 형성된 롤러에 통과시켜 압연하여 상기 보강바 및 댐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V자형 굴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제조방법.
KR1020130045855A 2013-04-25 2013-04-25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07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855A KR101307866B1 (ko) 2013-04-25 2013-04-25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201480021282.1A CN105121198A (zh) 2013-04-25 2014-03-31 车辆的挡风雨条、车辆的挡风雨条用加强材料及其制造方法
PCT/KR2014/002711 WO2014175566A1 (ko) 2013-04-25 2014-03-31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855A KR101307866B1 (ko) 2013-04-25 2013-04-25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866B1 true KR101307866B1 (ko) 2013-09-12

Family

ID=4945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855A KR101307866B1 (ko) 2013-04-25 2013-04-25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07866B1 (ko)
CN (1) CN105121198A (ko)
WO (1) WO20141755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15A (ko) * 2021-08-27 2023-03-07 유일고무 주식회사 웨더 스트립용 심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4379A1 (de) * 2018-06-01 2019-12-05 Psa Automobiles Sa Einleger für eine Kraftfahrzeugdichtung und Kraftfahrzeugdichtung
DE102020101975A1 (de) * 2020-01-28 2021-07-29 Bfc Fahrzeugteile Gmbh Metallb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0896A (ja) * 2002-07-17 2004-02-19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5149A (ja) * 2009-03-18 2010-09-30 Tokai Kogyo Co Ltd ウェザースト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305A (en) * 1980-07-09 1981-12-29 Helmut Albrecht Core steel reinforcement for window guide channels and the like
JP3343955B2 (ja) * 1992-10-14 2002-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芯金入りトリムの押出方法
JP2003019929A (ja) * 2001-07-06 2003-01-21 Tokai Kogyo Co Ltd トリム製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3200791A (ja) * 2001-10-29 2003-07-15 Nippon Purai Kk トリム用インサート及びトリム
JP2004082899A (ja) * 2002-08-27 2004-03-18 Toyo Tire & Rubber Co Ltd ウエザストリップ
JP2005014792A (ja) * 2003-06-26 2005-01-20 Toyoda Gosei Co Ltd トリム用インサート
JP4880507B2 (ja) * 2007-03-22 2012-02-22 日本プライ株式会社 トリム用インサート
JP2010095065A (ja) * 2008-10-15 2010-04-30 Tokai Kogyo Co Ltd 芯材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並びに押出成形品の製造方法
US8205390B2 (en) * 2009-02-26 2012-06-26 Henniges Automotive Sealing Systems North America, Inc. Mechanically stiffened weatherseal carrier
JP5563316B2 (ja) * 2009-03-18 2014-07-30 東海興業株式会社 芯材の製造方法及びトリム材の製造方法並びに芯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0896A (ja) * 2002-07-17 2004-02-19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5149A (ja) * 2009-03-18 2010-09-30 Tokai Kogyo Co Ltd ウェザーストリ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15A (ko) * 2021-08-27 2023-03-07 유일고무 주식회사 웨더 스트립용 심금
KR102565842B1 (ko) * 2021-08-27 2023-08-11 유일고무 주식회사 웨더 스트립용 심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1198A (zh) 2015-12-02
WO2014175566A1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866B1 (ko) 차량의 웨더 스트립, 차량의 웨더 스트립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0471710C (zh) 汽车遮阳顶棚系统的玻璃板结构
CN101837764B (zh) 装饰条的制造方法
US9193319B2 (en) Motor vehicle bumper with an integrated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US20090193999A1 (en) Communication Bellows Between Cars of a Rail Vehicle
CN107407328A (zh) 直线运动引导装置
US11788338B2 (en) Pinch detection switch and pinch detection method
JP2014008826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CN204112959U (zh) 车辆用门铰链
CN100544987C (zh) 密封条
US6854240B2 (en) Trim insert and trim
CN102416855B (zh) 机动车用密封条
JP4880507B2 (ja) トリム用インサート
US9944157B2 (en) Window molding for vehicle
US20120305357A1 (en) Sensor Element for a Sensor Device
WO2019120455A4 (en) Reinforced flexible structure or seal
KR101365656B1 (ko) 강선 압연을 이용한 웨더스트립용 심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웨더스트립용 심재
KR101952239B1 (ko)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US20160108660A1 (en) Door Leaf Device for Mass Transportation Vehicl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Door
US10427513B2 (en) Sunroof device
US11235653B2 (en) Door sealing device, door sealing system and door leaf for a rail vehicle
CN101980944B (zh) 用于移动的走道、自动扶梯等的扶手
JP6693029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CN112298236B (zh) 一种车门密封结构及优化设计方法
JP6956892B2 (ja) 乗客コンベヤの移動手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