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522B1 - 콜릿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콜릿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522B1
KR102402522B1 KR1020200039421A KR20200039421A KR102402522B1 KR 102402522 B1 KR102402522 B1 KR 102402522B1 KR 1020200039421 A KR1020200039421 A KR 1020200039421A KR 20200039421 A KR20200039421 A KR 20200039421A KR 102402522 B1 KR102402522 B1 KR 102402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opening
block
rotation
movable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232A (ko
Inventor
게이고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4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ire Bonding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콜릿을 콜릿 홀더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콜릿 분리 장치로서, 상기 콜릿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 돌출 가능한 복수의 가동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의 상기 개구부로의 돌출 마진이 가변인 콜릿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콜릿 분리 장치{Apparatus for seperating collet}
본 발명은 콜릿을 콜릿 홀더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콜릿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콜릿은 다이나 플립 칩 등의 반도체 부품을 기판 상에 탑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흡착 지그이다. 이러한 콜릿은 콜릿 홀더의 선단(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홀딩하여 사용하지만, 사용에 수반하여 콜릿에 먼지가 부착되거나 콜릿 자체에 고장이 나는 것으로부터,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콜릿을 콜릿 홀더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할 필요가 있다.
콜릿을 콜릿 홀더로부터 분리하는 기술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 제60866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클로(claw) 또는 가동 클로를 콜릿에 결합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순히 복수의 고정 클로 또는 가동 클로를 콜릿에 결합시키는 기술에서는, 콜릿의 사이즈가 변경되면 그 콜릿의 사이즈에 따라 고정 클로 또는 가동 클로의 위치나 형상 등을 변경할 필요가 있고, 동일한 장치에 따라 사이즈가 다른 콜릿을 분리하기는 어려웠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이즈가 다른 콜릿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콜릿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콜릿을 콜릿 홀더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콜릿 분리 장치로서, 상기 콜릿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 돌출 가능한 복수의 가동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의 상기 개구부로의 돌출 마진이 가변인 콜릿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는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콜릿 분리 장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블록은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는, 상기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회전 블록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콜릿 분리 장치는, 상기 회전 블록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의 상기 개구부로의 돌출 마진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콜릿 분리 장치는, 상기 회전 블록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의 상기 개구부로의 돌출 마진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릿 분리 장치에 의하면, 가동 클로의 돌출 마진을 가변으로 할 수 있으므로, 콜릿의 사이즈에 따라 가동 클로의 돌출 마진을 변경함으로써, 사이즈가 다른 콜릿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콜릿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콜릿 분리 장치에 있어서, 가동 클로를 개구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콜릿 분리 장치(10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콜릿 분리 장치(100)는, 고정 블록(10)과, 고정 블록(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블록(20)과, 고정 블록(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가동 클로(30)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 클로(30)는, 구체적으로 고정 블록(10)의 상에 설치한 지점 핀(11)을 축으로 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 지점 핀(1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또한, 가동 클로(30)는 안내 홈(31)을 가지고 있는데, 이 안내 홈(31)에는 회전 블록(20)에 설치된 안내 핀(21)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a)의 상태로부터 회전 블록(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 클로(3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클로(30)가 개구부(40)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의 상태로부터 회전 블록(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 클로(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클로(30)가 개구부(40)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40)는 회전 블록(20)의 안쪽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40)는 콜릿(C)이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클로(30)을 개구부(40)로 돌출시킴으로써, 가동 클로(30)가 콜릿(C)과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블록(20)은 안내 홈(22)을 가지고 있고, 이 안내 홈(22)에 지점 핀(11)이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콜릿 분리 장치(100)는, 커버 플레이트(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버 플레이트(50)는 링 형태이고, 고정 블록(10) 및 회전 블록(20)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50)는, 안내 홈(51)을 가지고 있고, 이 안내 홈(51)에 안내 핀(21)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2에서는, 커버 플레이트(5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안내 홈(51)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콜릿 분리 장치(100)는, 회전 블록(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에어 실린더(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에어 실린더(60)는, 그 실린더 로드(61)의 선단이 접속 지그(62)를 통해 회전 블록(2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로드(61)를 전진시키면 회전 블록(20)은, 도 1(a)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실린더 로드(61)를 후퇴시키면 회전 블록(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콜릿 분리 장치(100)는 2개의 스토퍼(71)(72)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 중, 스토퍼(71)는 회전 블록(20)의 시계 방향 회전, 즉 가동 클로(30)를 개구부(40)로 돌출시키는 방향의 회전을 멈춘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블록(20)에 설치한 접촉 핀(23)이 스토퍼(71)에 접촉함으로써, 가동 클로(30)를 개구부(40)로 돌출시키는 방향의 회전 블록(20)의 회전을 멈춘다. 따라서, 이 스토퍼(71)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가동 클로(30)의 개구부(40)로의 돌출 마진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72)는 회전 블록(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즉 가동 클로(30)를 개구부(40)로 돌출시키지 않는 방향의 회전을 멈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콜릿 분리 장치(100)는 회전 블록(20)이 기준 위치(도 1의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도그 센서(8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도그 센서(80)는 고정 블록(10)측에 설치한 발광부(81) 및 수광부(82)와, 회전 블록(20)측에 설치한 차광 플레이트(83)를 갖는다. 그리고, 차광 플레이트(83)는 회전 블록(20)이 기준 위치에 위치할 때, 발광부(81)와 수광부(82) 사이에 위치하고, 발광부(81)로부터 수광부(82)로 향한 광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회전 블록(20)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콜릿 분리 장치(100)에 의해 콜릿을 콜릿 홀더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콜릿 홀더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릿 홀더에 홀딩된 콜릿(C)을 개구부(40)에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 블록(20)을 기준 위치에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실린더(60)의 실린더 로드(61)를 후퇴시키고, 회전 블록(20)에 설치한 접촉 핀(23)이 스토퍼(72)에 접촉한 상태로 한다. 이 기준 위치에 있어서, 가동 클로(30)는 개구부(40)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콜릿 홀더에 홀딩된 콜릿(C)을 개구부(40)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블록(20)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그 센서(80)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도그 센서(80)에 의해, 회전 블록(20)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한 후, 콜릿 홀더에 홀딩된 콜릿(C)을 개구부(40)에 삽입한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60)의 실린더 로드(61)를 전진시켜 회전 블록(20)에 설치한 접촉 핀(23)이 스토퍼(71)에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렇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클로(30)가 개구부(40)로 돌출되고. 콜릿(C)과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콜릿 홀더를 상승시키면 가동 클로(30)가 콜릿(C)의 상면에 결합되고, 콜릿 홀더를 더욱 상승시키면, 콜릿(C)이 콜릿 홀더로부터 벗어나 개구부(40)의 하부에 설치된 폐콜릿 수납 박스(미도시)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콜릿 분리 장치(100)에서는, 가동 클로(30)를 개구부(40)로 돌출시켜 콜릿(C)에 결합시킴으로써, 콜릿(C)을 콜릿 홀더로부터 분리하지만, 가동 클로(30)의 개구부(40)로의 돌출 마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71)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콜릿(C)의 사이즈에 맞추어 가동 클로(30)의 개구부(40)로의 돌출 마진을 변경함으로써, 사이즈가 다른 콜릿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71)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가동 클로(30)의 개구부(40)로의 돌출 마진을 변경하도록 하였지만, 회전 블록(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예컨대 서보 모터를 이용하고, 그 서보 모터(액튜에이터)의 구동량(스트로크량)을 변경함으로써, 가동 클로(30)의 개구부(40)로의 돌출 마진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토퍼(71)는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콜릿을 사용하는 장치와 관련된 산업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콜릿 분리 장치 10: 고정 블록
20: 회전 블록 30: 가동 클로
40: 개구부 50: 커버 플레이트
60: 에어 실린더 71, 72: 스토퍼
80: 도그 센서 C: 콜릿

Claims (5)

  1. 콜릿을 콜릿 홀더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콜릿 분리 장치로서,
    상기 콜릿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로 돌출 가능한 복수의 가동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의 상기 개구부로의 돌출 마진이 가변이며,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는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고,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블록은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는, 상기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회전 블록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블록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가동 클로의 상기 개구부로의 돌출 마진을 변경하는 콜릿 분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39421A 2019-10-21 2020-03-31 콜릿 분리 장치 KR102402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2077 2019-10-21
JP2019192077A JP7446765B2 (ja) 2019-10-21 2019-10-21 コレット取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232A KR20210047232A (ko) 2021-04-29
KR102402522B1 true KR102402522B1 (ko) 2022-05-26

Family

ID=7563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421A KR102402522B1 (ko) 2019-10-21 2020-03-31 콜릿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46765B2 (ko)
KR (1) KR1024025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769B1 (ko) * 1996-01-26 2003-04-10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용렌즈셔터형의광차단장치
KR101340831B1 (ko) 2012-10-30 2013-12-11 세메스 주식회사 콜릿 교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93B1 (ko) * 2003-06-09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중 날개 구조를 가진 부품 실장기용 노즐
KR100988636B1 (ko) * 2008-05-26 2010-10-18 세크론 주식회사 진공 노즐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진공 노즐을교환하는 방법
KR20100034812A (ko) * 2008-09-25 2010-04-02 세크론 주식회사 소잉소터 시스템용 노즐장치
JP6086680B2 (ja) 2012-09-13 2017-03-01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ダイボンダ及びボンディング方法
KR101350550B1 (ko) 2012-10-30 2014-01-10 세메스 주식회사 콜릿 제거 방법
KR101482870B1 (ko) * 2013-06-28 2015-01-15 세메스 주식회사 콜릿 교체 장치
JP2015136740A (ja) 2014-01-21 2015-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ンプ装置
JP2016147318A (ja) 2015-02-10 2016-08-18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棒状のワークのクランプ装置
JP6889614B2 (ja) * 2017-05-31 2021-06-18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769B1 (ko) * 1996-01-26 2003-04-10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용렌즈셔터형의광차단장치
KR101340831B1 (ko) 2012-10-30 2013-12-11 세메스 주식회사 콜릿 교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68785A (ja) 2021-04-30
KR20210047232A (ko) 2021-04-29
JP7446765B2 (ja)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706B1 (ko) 절삭 블레이드의 교환장치
TWI359709B (ko)
JP5457131B2 (ja) ブレード交換装置
JP2007229843A (ja) 切削装置
KR880002270B1 (ko) 전기 및 전자부품 이동 장치
JP6275835B2 (ja) 部品装着機
JP6259462B2 (ja) チャック装置及び部品装着機
JP2007208114A (ja) 切削装置
KR102402522B1 (ko) 콜릿 분리 장치
US20140237788A1 (en) Disassembling device for lens module
JP2019119001A (ja) 切削装置
JP4837974B2 (ja) 切削ブレードの交換装置
KR102220526B1 (ko) 로봇핸드 그리퍼장치
JP2000033528A (ja) 位置決め心出し装置
KR102107780B1 (ko) 웨이퍼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1169865B1 (ko) 툴 플로팅 장치
JP2015205311A (ja) コンタクトチップ取外装置
KR101652986B1 (ko) 모듈 테스트 소켓
US11305391B2 (en) Zero positioning mechanism of the metalworking machine
KR101515705B1 (ko) 콜릿 홀더 교체 장치
JP7069842B2 (ja) ドリル用切粉飛散防止具
KR200477643Y1 (ko) 커넥터
JP2008100307A (ja) 基板分割装置
JP7194778B2 (ja) 部品チャック装置および部品装着装置
JP7452379B2 (ja) チャック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