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346B1 -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 - Google Patents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346B1
KR102402346B1 KR1020210104439A KR20210104439A KR102402346B1 KR 102402346 B1 KR102402346 B1 KR 102402346B1 KR 1020210104439 A KR1020210104439 A KR 1020210104439A KR 20210104439 A KR20210104439 A KR 20210104439A KR 102402346 B1 KR102402346 B1 KR 102402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protection plate
sheet material
wall surface
waterproof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요석
Original Assignee
강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요석 filed Critical 강요석
Priority to KR102021010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벽면 및 방수시트재 사이로의 우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작업과정을 줄여 시공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 {Waterproof protecting plate and waterproof structure having the same plate}
본 발명은 방수보호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면에 매몰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방수시트재에 물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방수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지면 아래로 매몰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부분과 지상으로 돌출되어 실제 사용공간으로 사용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건축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고려할 때, 지상으로 돌출된 부분이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지면 아래로 매몰된 부분에서 부식 등을 방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건축물이 지면 아래로 매몰되는 부분에는, 습기, 우수 등의 침투로 인한 내구성 저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시트재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지면매몰부위 방수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수구조물(10)은, 방수시트재(5) 및 상기 방수시트재(5)와 건축물 벽면(50) 사이의 틈으로 우수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보호판(1)을 포함하는 간략한 구성으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방수구조물(10)은 이처럼 단순히 방수시트재(5) 위에 말하자면 덮개 역할을 하는 방수보호판(1)을 씌워주는 정도로 우수 침투 방지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수구조물(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방수보호판(1)이 방수시트재(5) 일면을 덮어주는 정도로 방수시트재(5) 위치를 고정하기 때문에, 방수시트재(5)가 위치이탈을 하게 될 우려가 있다. 물론 건축물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방수시트재(5)가 지면 아래로 매몰되기 때문에 지반이 방수시트재(5) 일면을 지지해 준다. 그러나 시공과정에서 방수시트재(5)가 위치이탈한 상태에서 지반을 메우게 되면 방수시트재(5)와 방수보호판(1)이 밀착되지 못하고 어긋난 채로 그 틈새에 이물질이 끼어들어가게 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방수시트재(5)와 방수보호판(1)이 서로 위치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할 분명한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더불어 덮개 역할을 하는 방수보호판(1) 자체가 건축물 벽면(50)에 완전 밀착되지 못할 경우 그 틈새로 또 우수 등이 침투할 가능성이 여전히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수구조물(10) 시공과정에 있어서, 방수시트재(5)를 건축물 벽면(50)에 부착한 후 방수보호판(1)을 덧대는 식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방수시트재(5) 부착작업, 방수보호판(1) 덧대기작업 등 작업공수가 늘어나게 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고 시공시간이 늘어나는 등의 여러 불편함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543586호("건축 구조물의 방수보호용 구조체", 이하 '선행문헌')에는 도 1과 유사한 형태의 방수구조물이 개시된다. 이 때 선행문헌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과 방수보호판 사이의 틈새로 우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건축물 벽면에 홈을 형성하고 방수보호판의 상측 끝단을 홈에 끼우는 구성을 도입하였다. 물론 이렇게 함으로써 우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기는 하나, 시공과정에 있어서 건축물에 홈을 형성하는 작업이 더 추가되기 때문에 작업자 편의성 저하, 시공시간 증가의 문제는 더 커지게 된다. 또한 방수보호판 끼움용 홈을 건축물에 형성하는 과정에서 벽면에 불필요한 충격을 가하게 될 우려가 있고, 끼움용 홈 자체가 건축물 벽면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구조인 바, 건축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여러 가지로 단점이 있다.
1. 한국특허등록 제1543586호("건축 구조물의 방수보호용 구조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벽면 및 방수시트재 사이로의 우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작업과정을 줄여 시공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보호판(110)은, 건축물 벽면(500) 하단에 구비되는 방수시트재(150)의 상측을 덮어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보호판(110)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 상측 일부를 덮는 전면부(111); 상기 전면부(111) 상측에서 벤딩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면을 덮는 상면부(112); 상기 상면부(112) 끝단에서 벤딩되어 상기 벽면(500)과 밀착되는 밀착부(113); 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500)에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을 관통시키는 관통부(114); 상기 전면부(111)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누름부(115);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누름부(115)는, 상기 전면부(111) 하측 끝단이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벤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누름부(115)는, 벤딩각(θ)이 커질수록 상기 누름부(115)의 길이(L)가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상기 전면부(111) 후면에서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보조누름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누름부(116)는, 점 또는 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113)는, 상기 밀착부(113)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된 밀착수단(120)이 구비되되,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결합 시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을 눌러 압박하도록, 상기 벽면(50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114)는, 상기 고정수단(130)이 상기 전면부(111)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모두 관통하여 상기 벽면(50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면부(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폴리머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구조물(100)은, 건축물 벽면(500) 하단에 구비되는 방수시트재(150);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측을 덮어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보호판(110);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착수단(120); 상기 벽면(500)에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 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 상측 일부를 덮는 전면부(111), 상기 전면부(111) 상측에서 벤딩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면을 덮는 상면부(112), 상기 상면부(112) 끝단에서 벤딩되어 상기 벽면(500)과 밀착되는 밀착부(113), 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500)에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을 관통시키는 관통부(114), 상기 전면부(111)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누름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누름부(115)는, 상기 전면부(111) 하측 끝단이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벤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상기 전면부(111) 후면에서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보조누름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113)는,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결합 시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을 눌러 압박하도록, 상기 벽면(50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114)는, 상기 고정수단(130)이 상기 전면부(111)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모두 관통하여 상기 벽면(50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면부(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폴리머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수단(120)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보호판이 건축물 벽면 및 방수시트재 각각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건축물 벽면 및 방수시트재 사이로의 우수 침투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방수보호판이 방수시트재를 고정하는 구조에 의하여 방수보호판 및 방수시트재 간의 밀착정도 및 결합력이 향상되어 방수구조물의 안정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보호판 및 방수시트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방수보호판을 건축물 벽면에 고정시키는 작업만으로 시공이 완료되어 시공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수구조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구조물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구조물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보호판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보호판의 여러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방수구조물의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방수구조물(100)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수구조물(100)은 기본적으로 방수시트재(150), 방수보호판(110), 밀착수단(120), 고정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방수시트재(150)는 건축물 벽면(500) 하단에 구비되어 방수 주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방수시트재(150)는 상기 벽면(500) 중에서 지면 아래로 매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지반으로부터 침투하는 지하수, 습기 등로부터 상기 벽면(5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수시트재(150)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500)과 면접촉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방수시트재(150)가 배치되는 부분은 건축물 완공시점에서는 지면 아래로 매몰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방수시트재(150)는 지반에 의해 지지되어 자연히 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건축물 시공과정에서 상기 방수시트재(150)가 정위치를 이탈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방수시트재(150)는 상기 벽면(500) 상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측을 덮어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시트재(150)는 지반으로부터 상기 벽면(500)으로 침투하려는 지하수, 습기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방수시트재(150)와 상기 벽면(50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여기로 우수 등이 침투함으로써 상기 벽면(500)에 습기가 침투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측, 즉 상기 방수시트재(150)와 상기 벽면(5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아주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 때 종래에는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단순히 상기 방수시트재(150) 상측을 덮는 형태로만 형성되어 있었을 뿐으로, 서로 단단히 결합 고정되지 못하여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 사이에도 틈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시공과정이 [방수시트재를 벽면에 배치 → 방수보호판을 벽면에 결합]과 같이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는 과정에서, 시공자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시공시간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수보호판(110)의 형상을 개선하여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상기 방수보호판(11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방수구조물(100)의 전체적인 구성 설명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밀착수단(120)은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틈새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단순히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측을 덮는 덮개 역할을 하는 형태로만 형성되어 있었으며, 따라서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경우 그 틈새로 우수가 침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수가 상기 방수시트재(150) 및 상기 벽면(500) 사이의 틈새로 침투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상기 밀착수단(120)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사이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밀폐시켜 준다. 상기 밀착수단(120)은 이러한 밀폐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벽면(500)에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30)에 해당하는 볼트가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을 직접 결합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30)이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모두 관통하여 상기 벽면(500)에 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수시트재(150)는 그 명칭으로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연하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시트 형태로서, 볼트 등과 같은 금속소재부품에 비해 당연히 강성이 훨씬 낮다. 따라서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상기 벽면(500)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더 관통시킨다 해도 시공과정에의 어려움은 전혀 없다. 반면 이처럼 상기 고정수단(130)이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모두 관통하여 상기 벽면(50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방수보호판(110) 고정시공 자체가 상기 방수시트재(150)까지 한꺼번에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수보호판(110) 상에 상기 고정수단(130)이 상기 벽면(500)과 결합되어야 하는 별도구조가 불필요하게 되어, 상기 방수보호판(11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상기 방수구조물(100)은, 상기 방수보호판(110)의 개선된 구조로 인해 종래보다 뛰어난 방수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시공시간을 단축해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보호판의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도 5를 통해 상기 방수보호판(1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1), 상면부(112), 밀착부(113), 관통부(114), 누름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보호판(110)의 각부는 일체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PVC 등과 같은 폴리머, 스테인레스 스틸, 아연 등과 같은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폴리머 소재일 경우 압출과 같은 공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금속 소재일 경우 역시 압출공정로 만들어지거나 평면 형상의 금속판을 벤딩, 프레싱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전면부(111)는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 상측 일부를 덮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면부(111)는 상기 방수시트재(150) 전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 및 배치된다.
상기 상면부(112)는 상기 전면부(111) 상측에서 벤딩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면부(111) 및 상기 상면부(112)의 결합체는 대략 ㄱ자 형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 및 상면을 덮어 가려줌으로써 상기 방수시트재(150)로의 우수 침투를 막아주게 된다.
상기 밀착부(113)는 상기 상면부(112) 끝단에서 벤딩되어 상기 벽면(500)과 밀착되는 부분이다. 앞서 상기 방수구조물(100)에 대한 설명에서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이 밀착되지 못하면 이 틈새로 우수가 침투하여 결과적으로 우수침투방지에 실패하게 된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상기 밀착부(113)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500)과 밀착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밀착부(113)가 직접 상기 벽면(500)에 접착됨으로써 밀착될 수도 있으나, 각각의 표면이 완전한 평면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접착으로는 부분적으로 밀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역시 앞서 상기 방수구조물(100)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인 상기 밀착수단(1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수단(120)과의 효과적인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상기 밀착부(113)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 5에도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113)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상기 밀착수단(120)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상기 벽면(50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을 눌러 압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밀착부(113), 상기 벽면(500) 상에 다소 울퉁불퉁한 부분이 있었다 하더라도 탄성소재인 상기 밀착수단(120)에 의해 틈새들이 매우 안정적으로 메꿔져서, 결과적으로 우수한 밀폐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밀착부(113)는, 도 5 하측도면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결합 시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을 좀더 강력하게 눌러 압박하도록, 상기 벽면(50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을 상기 벽면(500) 쪽으로 눌러 압박해 줌으로써 상기 방수구조물(100) 및 상기 벽면(500) 간의 우수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을 눌러주는 힘이 강할수록 더욱 우수한 밀착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밀착부(113)가 도 5 하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50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강력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결합 시에는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에 밀려 기울어진 각도가 줄어들게 되는데, 그러면 상기 밀착부(113)에는 원래 형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수단(120)은 상기 밀착부(113)의 위치에 따른 압박 뿐만 아니라 복원력에 의한 압박까지 받게 된다. 즉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상기 밀착수단(120) 및 상기 벽면(500) 간의 밀착 뿐만 아니라 상기 밀착수단(120) 및 상기 밀착부(113) 간의 밀착 또한 더욱 우수해지며, 결과적으로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간의 밀폐가 더욱 강력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관통부(114)는 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500)에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을 관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관통부(114)는 상기 전면부(111)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114)가 상기 전면부(111) 상에 형성됨으로써, 역시 앞서 상기 방수구조물(100)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30)이 상기 전면부(111)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모두 관통하여 상기 벽면(5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130)이 형성되어야 하는 별도구조가 불필요하게 되어 상기 방수보호판(110)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방수보호판(110) 고정과정에서 상기 방수시트재(150)까지 단단히 정위치에 고정되게 되어 상기 방수구조물(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115)는 상기 전면부(111)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 간에 별도의 고정구조나 결합구조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상기 방수시트재(150)가 상기 방수보호판(110) 시공과정 또는 다른 시공과정에서 정위치를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시공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수보호판(110)에 상기 누름부(11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압박하여 고정하여 줌으로써, 상기 방수시트재(150)가 안정적으로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누름부(11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보호판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누름부(115)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여러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부(115)는, 상기 전면부(111) 하측 끝단이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벤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누름부(115)를 포함하는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얇은 판재 형태로 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방수시트재(150)는 다소 푹신한 질감을 가지는 다공성소재 등의 형태로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115)가 압박하는 힘이 지나치게 커질 경우 상기 방수시트재(150)에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누름부(115)의 벤딩각(θ)이 클수록, 또한 상기 누름부(115)의 길이(L)가 길수록 압박하는 힘 또는 면적이 커져서 고정력은 향상될 수 있겠으나, 그만큼 손상 위험성도 커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누름부(115)는, 도 6의 여러 실시예의 비교도로 나타난 바와 같이, 벤딩각(θ)이 커질수록 상기 누름부(115)의 길이(L)가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상기 전면부(111) 후면에서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보조누름부(116)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누름부(116)는 상기 누름부(115)와 겹치건 겹치지 않건 어떤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줄 수 있도록 대략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누름부(116)는 그 위치의 자유도가 다소 높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고정수단(130) 사이사이에 형성된다든가 하는 식의 응용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상기 보조누름부(116)는 상기 전면부(111) 후면에 별도의 소재가 덧붙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이루는 판재에 벤딩, 프레싱 등의 가공을 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누름부(116)는 상기 누름부(115)와 함께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눌러 고정하는 힘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하측도면에는 상기 보조누름부(116)가 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물론 상기 보조누름부(116)가 좀더 길게 연장되어 선 형태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등,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보조누름부(115)는, 특히 상기 방수보호판(110)이 금속일 경우 프레싱공정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방수구조물 110 : 방수보호판
111 : 전면부 112 : 상면부
113 : 밀착부 114 : 관통부
115 : 누름부 116 : 보조누름부
120 : 밀착수단 130 : 고정수단
150 : 방수시트재 500 : 벽면

Claims (15)

  1. 건축물 벽면(500) 하단에 구비되는 방수시트재(150)의 상측을 덮어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보호판(110)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 상측 일부를 덮는 전면부(111);
    상기 전면부(111) 상측에서 벤딩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면을 덮는 상면부(112);
    상기 상면부(112) 끝단에서 벤딩되어 상기 벽면(500)과 밀착되는 밀착부(113);
    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500)에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을 관통시키는 관통부(114);
    상기 전면부(111) 하측 끝단 전체가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누름부(115);
    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벤딩되어 상기 밀착부(113)-상기 상면부(112)-상기 전면부(111)-상기 누름부(115)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113)는, 상기 밀착부(113)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된 밀착수단(120)이 구비되되,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결합 시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을 눌러 압박하도록, 상기 벽면(50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14)는, 상기 고정수단(130)이 상기 전면부(111)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모두 관통하여 상기 벽면(50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면부(111) 상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115)는, 상기 밀착부(113)가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벽면(500) 쪽으로 기울어지되, 상기 밀착부(113)가 기울어진 정도보다 적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간 결합 시 상기 누름부(115)보다 상기 밀착부(113)가 먼저 상기 벽면(50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보호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상기 전면부(111) 후면에서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보조누름부(1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보호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누름부(116)는,
    점 또는 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보호판.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폴리머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보호판.
  9. 건축물 벽면(500) 하단에 구비되는 방수시트재(150);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측을 덮어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보호판(110);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착수단(120); 상기 벽면(500)에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 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 상측 일부를 덮는 전면부(111),
    상기 전면부(111) 상측에서 벤딩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상면을 덮는 상면부(112),
    상기 상면부(112) 끝단에서 벤딩되어 상기 벽면(500)과 밀착되는 밀착부(113),
    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500)에 상기 방수보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을 관통시키는 관통부(114),
    상기 전면부(111) 하측 끝단 전체가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시트재(150)의 전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누름부(115)
    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벤딩되어 상기 밀착부(113)-상기 상면부(112)-상기 전면부(111)-상기 누름부(115)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113)는, 상기 밀착부(113) 및 상기 벽면(500)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된 밀착수단(120)이 구비되되,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결합 시 상기 밀착부(113)가 상기 밀착수단(120)을 눌러 압박하도록, 상기 벽면(50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14)는, 상기 고정수단(130)이 상기 전면부(111) 및 상기 방수시트재(150)를 모두 관통하여 상기 벽면(50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면부(111) 상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115)는, 상기 밀착부(113)가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벽면(500) 쪽으로 기울어지되, 상기 밀착부(113)가 기울어진 정도보다 적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수보호판(110) 및 상기 벽면(500) 간 결합 시 상기 누름부(115)보다 상기 밀착부(113)가 먼저 상기 벽면(50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상기 전면부(111) 후면에서 상기 방수시트재(150) 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보조누름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
  12. 삭제
  13. 삭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보호판(110)은,
    폴리머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120)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
KR1020210104439A 2021-08-09 2021-08-09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 KR102402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439A KR102402346B1 (ko) 2021-08-09 2021-08-09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439A KR102402346B1 (ko) 2021-08-09 2021-08-09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346B1 true KR102402346B1 (ko) 2022-05-26

Family

ID=8181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439A KR102402346B1 (ko) 2021-08-09 2021-08-09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3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86B1 (ko) 2015-03-20 2015-08-11 유정산업주식회사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구조체
KR101618325B1 (ko) * 2016-02-12 2016-05-09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복합시트를 이용한 옥상 슬라브 방수구조 및 방법
KR101854082B1 (ko) * 2017-08-18 2018-05-02 권영재 옥상 파라펫의 방수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86B1 (ko) 2015-03-20 2015-08-11 유정산업주식회사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구조체
KR101618325B1 (ko) * 2016-02-12 2016-05-09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복합시트를 이용한 옥상 슬라브 방수구조 및 방법
KR101854082B1 (ko) * 2017-08-18 2018-05-02 권영재 옥상 파라펫의 방수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98790A (ja) ドアミラー用ガスケット
KR102402346B1 (ko) 방수보호판 및 상기 방수보호판을 포함하는 방수구조물
KR101618325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옥상 슬라브 방수구조 및 방법
KR101920704B1 (ko)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CN211200942U (zh) 上人屋面变形缝及排水沟融合结构
JPH09228562A (ja) 断熱パネルとその接続構造
JP3399875B2 (ja) パネル板材の防水取付構造
JP2881112B2 (ja) 断熱屋根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JPS6043543A (ja) 筒状地下構造物の継手
KR100996424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JP3052904B2 (ja) 断熱金属パネル
JP3007251U (ja) 笠木の取付構造
JP3445185B2 (ja) パネル板材の枠材における組成連結構造
JP4079298B2 (ja) 窓固定装置
JP3848058B2 (ja) プレスドアのサッシュ構造
JPH0542645Y2 (ko)
KR200302098Y1 (ko) 건축용 보호캡
JPH0776887A (ja) ユニット建物の横目地防水構造
JP3050836B2 (ja) 棟板及びその取付構造
JP3637134B2 (ja) 目地材
JP6139631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コンクリート函体の止水継手方法
JP3652760B2 (ja) 沈埋トンネル用ガスケット
JP2001193178A (ja) 目地材、建築パネルおよび目地防水工法
JP3445752B2 (ja) マンホール、汚水桝等の嵌合構造
JP2585928Y2 (ja) 外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