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808B1 - Dicing die bond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Google Patents

Dicing die bond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808B1
KR102401808B1 KR1020170123249A KR20170123249A KR102401808B1 KR 102401808 B1 KR102401808 B1 KR 102401808B1 KR 1020170123249 A KR1020170123249 A KR 1020170123249A KR 20170123249 A KR20170123249 A KR 20170123249A KR 102401808 B1 KR102401808 B1 KR 10240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film
die bonding
mai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5149A (en
Inventor
유타 기무라
나오히데 다카모토
겐지 오니시
유이치로 시시도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18Auxiliary support including means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a device or wafer from the auxiliary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2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during dicing or gr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1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Dic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접착제층을 고정밀도로 분단할 수 있는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세퍼레이터와, 접착제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층은, 세퍼레이터와 기재층 사이에 위치한다. 기재층의 양면은, 접착제층과 접한 제1 주면과,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필름의 웨이퍼 고정 영역에서, 접착제층 및 기재층에 있어서의 23℃의 90도 박리력은 0.02N/20mm 내지 0.5N/20mm이다. 웨이퍼 고정 영역에서, 접착제층 및 기재층에 있어서의 -15℃의 90도 박리력은 0.1N/20mm 이상이다. 웨이퍼 고정 영역에 대하여 기재층에 있어서의 제1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32 내지 39mN/m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cing die bonding tape capable of dividing an adhesive layer with high precision.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cing die bonding tape including a separator, and a film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nd a substrate layer. The adhes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substrate layer. Both surfaces of the base material layer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In the wafer fixing region of the film,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23° C. i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layer is 0.02 N/20 mm to 0.5 N/20 mm. In the wafer fixing region,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15°C i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layer is 0.1 N/20 mm or more.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1st main surface in the base material layer with respect to a wafer fixing area|region is 32-39 mN/m.

Figure 112017093207609-pat00002
Figure 112017093207609-pat00002

Description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DICING DIE BOND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DICING DIE BOND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본 개시는,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cing die bonding tap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 예정 라인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반도체 웨이퍼를 파단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을 얻는 방법(이하 「스텔스 다이싱(등록 상표)」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나,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겉면)에 홈을 형성 후에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 연삭을 행함으로써, 개개의 반도체 칩을 형성하는 방법(이하, 「DBG(Dicing Before Grinding)법」이라고 한다.)이 있다.A method of breaking a semiconductor wafer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line to be divided into a semiconductor wafer to obtain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ealth dicing (registered trademark)" in some cases), or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There is a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cing Before Grinding (DBG) method") for forming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by forming a groove on the (outer surface) and then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스텔스 다이싱이나 DBG법에서는, 그 과정에서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에는, 기재층과 접착제층과 세퍼레이터를 갖고, 접착제층이 기재층과 세퍼레이터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의 것이 있다. 기재층과 점착제층과 접착제층과 세퍼레이터를 갖는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도 있다. 전자의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는, 후자의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에 비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In stealth dicing or the DBG method, a dicing die bonding tape may be used in the process. A dicing die bonding tape has a base material layer, an adhesive bond layer, and a separator, and there exists a thing of the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bond layer is located between a base material layer and a separator. There is also a dicing die bonding tape having a base layer, an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separator. The former dicing die bonding tape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compared with the latter dicing die bonding tape.

스텔스 다이싱이나 DBG법에서는, 저온 하에서 접착제층을 분단하는 경우가 있다.In stealth dicing or DBG method, the adhesive bond layer may be parted under low temperature.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50572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50572 일본 특허 제5305501호Japanese Patent No. 5305501

본 개시는, 접착제층을 고정밀도로 분단할 수 있는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접착제층을 고정밀도로 분단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cing die bonding tape capable of dividing an adhesive layer with high precision. An object of this indication is to provid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which can divide|segment an adhesive bond layer with high precision.

본 개시는, 세퍼레이터와, 접착제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층은, 세퍼레이터와 기재층 사이에 위치한다. 기재층의 양면은, 접착제층과 접한 제1 주면과,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필름의 웨이퍼 고정 영역에서, 접착제층 및 기재층에 있어서의 23℃의 90도 박리력은 0.02N/20mm 내지 0.5N/20mm이다. 웨이퍼 고정 영역에서, 접착제층 및 기재층에 있어서의 -15℃의 90도 박리력은 0.1N/20mm 이상이다. 웨이퍼 고정 영역에 대하여 기재층에 있어서의 제1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32 내지 39mN/m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cing die bonding tape including a separator, and a film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nd a substrate layer. The adhes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substrate layer. Both surfaces of the base material layer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In the wafer fixing region of the film,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23° C. i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layer is 0.02 N/20 mm to 0.5 N/20 mm. In the wafer fixing region,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15°C i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layer is 0.1 N/20 mm or more.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1st main surface in the base material layer with respect to a wafer fixing area|region is 32-39 mN/m.

접착제층 및 기재층에 있어서의 23℃의 90도 박리력이 0.02N/20mm 이상이므로, 반도체 웨이퍼의 고정부터 반도체 칩의 픽업까지의 과정에서, 반도체 웨이퍼·반도체 칩이 접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다. 접착제층 및 기재층에 있어서의 -15℃의 90도 박리력이 0.1N/20mm 이상이므로, 접착제층을 고정밀도로 분단할 수 있다. 접착제층에 힘이 효과적으로 전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23℃의 90도 박리력이 0.5N/20mm 이하이므로,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후에, 접착제층이 구비된 반도체 칩을 곤란 없이 박리할 수 있다. 기재층에 있어서의 제1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 E1이 32mN/m 이상이므로, 기재층이, 접착제층에 양호한 습윤성을 나타낸다.Since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23 degreeC in an adhesive bond layer and a base material layer is 0.02 N/20mm or more, in the process from fixing a semiconductor wafer to picking up a semiconductor chip, a semiconductor wafer and a semiconductor chip are hard to peel from an adhesive bond layer. Since the 90 degree peeling force of -15 degreeC in an adhesive bond layer and a base material layer is 0.1 N/20mm or more, an adhesive bond layer can be parted with high precision. It is thought that this is because a force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an adhesive bond layer. Since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23 degreeC is 0.5 N/20mm or less, after a semiconductor wafer is divided, the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can be peeled without difficulty. Since the surface free energy E1 of the 1st main surface in a base material layer is 32 mN/m or more, a base material layer shows favorable wettability to an adhesive bond layer.

본 개시는,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로부터 세퍼레이터를 제거하고, 필름의 접착제층에 반도체 웨이퍼를 고정하는 공정과, 필름에 인장 응력을 가하여, 분단 후 접착제층이 구비된 반도체 칩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tep of removing a separator from a dicing die bonding tape, fixing a semiconductor wafer to an adhesive layer of a film, and applying a tensile stress to the film to form a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layer after division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8에 있어서의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9에 있어서의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10에 있어서의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dicing die bonding tape in Embodiment 1. FIG.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of a part of the dicing die bonding tape in Embodiment 1.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dicing die bonding tap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example 8;
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dicing die bonding tape according to a ninth modification.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dicing die bonding tape according to a tenth modification.

이하에 실시 형태를 기술하여,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embodiment is described below and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mbodiment.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1)는, 세퍼레이터(11)와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a, 12b, 12c, ……, 12m)(이하,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이라고 총칭함)을 포함한다.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1)는 롤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세퍼레이터(11)는 테이프 형상을 이룬다. 세퍼레이터(11)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이다.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은 세퍼레이터(11) 상에 위치하고 있다.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a)과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b) 간의 거리,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b)과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c) 간의 거리, ……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l)과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m) 간의 거리는 일정하다.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은 원반 형상을 이룬다.As shown in Fig. 1, the dicing die bonding tape 1 comprises a separator 11 and dicing die bonding films 12a, 12b, 12c, ..., 12m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cing die bonding film ( 12)”). The dicing die bonding tape 1 may have a roll shape. The separator 11 forms a tape shape. The separator 11 is, for example, a peeling-tre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s positioned on the separator 11 . The distance between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a and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b, the distance between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b and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c, ... … The distance between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l and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m is constant.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forms a disk shape.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은 웨이퍼 고정 영역(12A)과 다이싱 링 고정 영역(12B)을 포함한다. 웨이퍼 고정 영역(12A)은 예를 들어 원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다이싱 링 고정 영역(12B)은 웨이퍼 고정 영역(12A)의 주변에 위치한다. 다이싱 링 고정 영역(12B)은 예를 들어 도넛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ncludes a wafer holding region 12A and a dicing ring holding region 12B. The wafer holding area 12A may have a disk shape, for example. The dicing ring holding region 12B is located on the periphery of the wafer holding region 12A. The dicing ring fixing region 12B may have a donut plate shape, for example.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은 접착제층(121)을 포함한다. 접착제층(121)은 원반 형상을 이룬다. 접착제층(121)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접착제층(121)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접착제층(121)의 양면은, 제1 주면과 제1 주면에 대향한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접착제층(121)의 제1 주면은 세퍼레이터(11)와 접하고 있다. 접착제층(121)은 웨이퍼 고정 영역(12A)에 적어도 종속되는 접착제층 제1부(121A)를 포함한다. 접착제층(121)은 다이싱 링 고정 영역(12B)에 적어도 종속되는 접착제층 제2부(121B)를 포함한다. 접착제층(121)은 접착제층 제1부(121A)와 접착제층 제2부(121B)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층 제3부(121C)를 포함한다. 접착제층 제3부(121C)는 접착제층 제1부(121A)와 접착제층 제2부(121B)를 접속하고 있다. 접착제층 제3부(121C)는 예를 들어 도넛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ncludes an adhesive layer 121 . The adhesive layer 121 forms a disk shap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21 is, for example, 2 µm or more, preferably 5 µm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21 is, for example, 200 µm or less, preferably 15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00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50 µm or less.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layer 121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1 is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11 . The adhesive layer 121 includes an adhesive layer first portion 121A that is at least dependent on the wafer holding region 12A. The adhesive layer 121 includes an adhesive layer second portion 121B that is at least dependent on the dicing ring fixing region 12B. The adhesive layer 121 includes a third adhesive layer 121C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121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21B. The third portion 121C of the adhesive layer connects the first portion 121A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portion 121B of th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third portion 121C may have a donut plate shape, for example.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은 기재층(122)을 포함한다. 기재층(122)은 원반 형상을 이룬다. 기재층(122)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기재층(122)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기재층(122)의 양면은, 접착제층(121)과 접한 제1 주면과 제1 주면에 대향한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웨이퍼 고정 영역(12A)에 제1 영역(122A)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2A)은 전처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전처리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하도제의 도포, 박리 처리, 엠보싱, 자외선 처리, 가열 처리 등이다. 박리 처리를 위한 박리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를 들 수 있다.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다이싱 링 고정 영역(12B)에 제2 영역(122B)을 포함한다. 제2 영역(122B)은 코로나 방전 처리된 영역이다.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ncludes a base layer 122 . The base layer 122 forms a disk shape.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layer 122 is 50 micrometers or more,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80 micrometers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layer 122 is, for example, 200 µm or less, preferably 170 µm or less. Both surfaces of the substrate layer 122 are defined as a first ma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121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ncludes the first region 122A in the wafer fixing region 12A. The first area 122A is an area that has not been pretreated. Pretreatment is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application of a primer, peeling treatment, embossing, ultraviolet treatment, heat treatment, and the like. As for the release agent for a peeling process, a silicone type releasing agent and a fluorine type releasing agent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1st main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layer 122 includes the 2nd area|region 122B in the dicing ring fixing area|region 12B. The second area 122B is a corona discharge-treated area.

웨이퍼 고정 영역(12A)에 관한 기재층(122)에 있어서의 제1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 E1은 32mN/m 이상이다. 32mN/m 이상이므로, 기재층(122)이 접착제층(121)에 양호한 습윤성을 나타낸다. E1의 상한은, 예를 들어 39mN/m, 바람직하게는 36mN/m이다. 39mN/m 이하이면, 기재층(122)의 접착제층(121)에 대한 밀착성이 너무 높지 않으므로,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후에, 접착제층이 구비된 반도체 칩을 곤란 없이 박리할 수 있다.The surface free energy E 1 of the first main surface in the base material layer 122 in the wafer fixing region 12A is 32 mN/m or more. Since it is 32 mN/m or more, the base material layer 122 shows favorable wettability to the adhesive bond layer 121. The upper limit of E 1 is, for example, 39 mN/m, preferably 36 mN/m. If it is 39 mN/m or less, since the adhesion of the base layer 122 to the adhesive layer 121 is not too high, after the semiconductor wafer is divided, the semiconductor chip provided with the adhesive layer can be peeled without difficulty.

웨이퍼 고정 영역(12A)에 관한 접착제층(121)에 있어서의 제2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 E2는, 바람직하게는 33mN/m 이상, 바람직하게는 34mN/m 이상이다. E2의 상한은, 예를 들어 50mN/m, 바람직하게는 45mN/m이다.The surface free energy E 2 of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1 in the wafer fixing region 12A is preferably 33 mN/m or more, preferably 34 mN/m or more. The upper limit of E 2 is, for example, 50 mN/m, preferably 45 mN/m.

웨이퍼 고정 영역(12A)에 관한 접착제층(121)에 있어서의 제1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33mN/m 이상, 바람직하게는 34mN/m 이상이다. 33mN/m 이상이면 접착제층(121)을 세퍼레이터(11)로부터 곤란 없이 박리할 수 있다. 접착제층(121)에 있어서의 제1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상한은, 예를 들어 50mN/m, 바람직하게는 45mN/m이다. 50mN/m 이하이면, 접착제층(121)을 제작하기 위한 액을 세퍼레이터(11)에 곤란 없이 도포 시공할 수 있다.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1 in the wafer fixing region 12A is preferably 33 mN/m or more, preferably 34 mN/m or more. If it is 33 mN/m or more, the adhesive bond layer 121 can be peeled from the separator 11 without difficulty. The upper limit of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first main surface in the adhesive layer 121 is, for example, 50 mN/m, preferably 45 mN/m. If it is 50 mN/m or less, the liquid for producing the adhesive layer 121 can be applied to the separator 11 without difficulty.

E2와 E1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15m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mN/m 이하이다. E2와 E1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1mN/m 이상이다. 1mN/m 미만일 때, 또는 15mN/m을 초과할 때는, 접착제층(121) 및 기재층(122)에 있어서의 23℃의 90도 박리력이 너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E 2 and E 1 is preferably 15 mN/m or less, more preferably 13 mN/m or less. The difference between E 2 and E 1 is preferably 1 mN/m or more. When it is less than 1 mN/m, or when it exceeds 15 mN/m, there exists a tendency for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23 degreeC in the adhesive bond layer 121 and the base material layer 122 to become high too much.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웨이퍼 고정 영역(12A)에 있어서, 접착제층(121) 및 기재층(122)에 있어서의 23℃의 90도 박리력은 0.02N/20mm 이상이다. 0.02N/20mm 이상이므로, 반도체 웨이퍼의 고정부터 반도체 칩의 픽업까지의 과정에서, 반도체 웨이퍼·반도체 칩이 접착제층(121)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다. 23℃의 90도 박리력이 0.1N/20mm 이상이면, 세퍼레이터(11)를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접착제층(121)이 세퍼레이터(11)를 따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3℃의 90도 박리력의 상한은, 0.5N/20mm이며, 바람직하게는 0.3N/20mm이다. 0.5N/20mm 이하이므로,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후에, 접착제층이 구비된 반도체 칩을 곤란 없이 박리할 수 있다.In the wafer fixing area|region 12A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23 degreeC in the adhesive bond layer 121 and the base material layer 122 is 0.02 N/20mm or more. Since it is 0.02 N/20 mm or more, it is difficult for a semiconductor wafer/semiconductor chip to peel from the adhesive bond layer 121 in the process from fixing of a semiconductor wafer to pick-up of a semiconductor chip. If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23 ° C is 0.1 N/20 mm or more, when the separator 11 is removed from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the adhesive layer 121 can be prevented from following the separator 11 . The upper limit of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23 degreeC is 0.5N/20mm, Preferably it is 0.3N/20mm. Since it is 0.5 N/20 mm or less, after a semiconductor wafer is divided, the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can be peeled without difficulty.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웨이퍼 고정 영역(12A)에 있어서, 접착제층(121) 및 기재층(122)에 있어서의 -15℃의 90도 박리력은 0.1N/20m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3N/20mm 이상이다. 0.1N/20mm 이상이므로, 접착제층을 고정밀도로 분단할 수 있다. 접착제층에 힘이 효과적으로 전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15℃의 90도 박리력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N/20mm이다.In the wafer fixing region 12A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15°C in the adhesive layer 121 and the base layer 122 is 0.1N/20mm or more, preferably is greater than 0.3N/20mm. Since it is 0.1N/20mm or more, an adhesive bond layer can be divided with high precision. It is thought that this is because a force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an adhesive bond layer. The upper limit of the 90 degree peeling force of -15 degreeC is 10N/20mm, for example.

기재층(122)은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폴리아릴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EVA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재층(122)은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다.The base layer 122 is, for example, a polyetheretherketone film, a polyetherimide film, a polyarylate film, a polyethylenenaphthalate film,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a polybutene film, a polybutadiene film, a polymethylpentene film, Polyvinyl chloride film, vinyl chloride copolymer 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lm, polyurethane film,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EVA film), ionomer resin film, ethylene-(meth)acrylic acid It is possible to select from plastic films, such as a copolymer film, an ethylen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film, a polystyrene film, and a polycarbonate film, etc. Since the base layer 122 preferably has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it is preferably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or an ionomer resin film.

접착제층(121)에 있어서의 23℃의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0G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GPa 이하이다. 10GPa 이하이면, 기재층(122)과의 밀착성이 높고, 분단 후에 접착제층(121)과 기재층(122)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하한은, 예를 들어 1MPa이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23 degreeC in the adhesive bond layer 121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0 GPa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5 GPa or less. If it is 10 GPa or less, adhesiveness with the base material layer 122 is high, and it can suppress that peeling occurs between the adhesive bond layer 121 and the base material layer 122 after division. The lower limit of the storage modulus at 23°C is, for example, 1 MPa.

접착제층(121)은 수지 성분을 포함한다. 수지 성분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21 includes a resin component. As a resin component, a thermoplastic resin, a thermosetting resin, etc. are mentioned. As a thermoplastic resin, an acrylic resin is mentioned, for example.

아크릴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소수 30 이하, 특히 탄소수 4 내지 18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아크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부틸기, 이소부틸기, 아밀기, 이소아밀기, 헥실기, 헵틸기, 시클로헥실기, 2-에틸헥실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이소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운데실기, 라우릴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스테아릴기, 옥타데실기, 또는 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The acryl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polymer containing as a component one or two or more esters of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having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30 or less carbon atoms, particularly having 4 to 18 carbon atoms (acrylic copolymer) )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lkyl group include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n isopropyl group, an n-butyl group, a t-butyl group, an isobutyl group, an amyl group, an isoamyl group, a hexyl group, a heptyl group, a cyclohexyl group, 2 -Ethylhexyl group, octyl group, isooctyl group, nonyl group, isononyl group, decyl group, isodecyl group, undecyl group, lauryl group, tridecyl group, tetradecyl group, stearyl group, octadecyl group, or dodecyl group and the like.

또한, 중합체(아크릴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다른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또는 크로톤산 등과 같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무수 말레산 또는 무수 이타콘산 등과 같은 산 무수물 단량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8-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10-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12-히드록시라우릴 또는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과 같은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또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인산기 함유 단량체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nother monomer which forms a polymer (acrylic copolymer), For exampl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arboxyethyl acrylate, carboxypentyl 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or crotonic acid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etc., acid anhydride monomers such as maleic anhydride or itaconic anhydride,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 (meth)acrylic acid 2-hydroxypropyl, (meth)acrylic acid 4-hydroxybutyl, ( Meth)acrylic acid 6-hydroxyhexyl, (meth)acrylic acid 8-hydroxyoctyl, (meth)acrylic acid 10-hydroxydecyl, (meth)acrylic acid 12-hydroxylauryl or (4-hydroxymethylcyclohexyl)-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yl acrylate, styrenesulfonic acid, allylsulfonic acid, 2-(meth)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meth)acrylamidopropanesulfonic acid, sulfopropyl (meth)acrylate or (meth)acrylamide ) a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such as acryloyloxynaphthalenesulfonic acid, or a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such as 2-hydroxyethylacryloyl phosphate.

아크릴 수지 중에서도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만 내지 30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만 내지 200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이면, 접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이다.It is preferable that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100,000 or more also in an acrylic resin,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00,000-3 million,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0,000-2 million. It is because it is excellent in adhesiveness and heat resistance as it is in this numerical range. In addition,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the value computed by polystyrene conversion by measuring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아크릴 수지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능기는, 예를 들어 히드록실기, 카르복시기, 니트릴기 등이다. 히드록실기, 카르복시기가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acrylic resin contains a functional group. The functional group is, for example, a hydroxyl group, a carboxy group, or a nitrile group. A hydroxyl group and a carboxy group are preferable.

수지 성분 100중량%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이다. 10중량% 이상이면 가요성이 양호하다. 수지 성분 100중량%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이다.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100 weight% of resin components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0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20 weight% or more. Flexibility is favorable in it being 10 weight% or mor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100 weight% of resin components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80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70 weight% or less.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As a thermosetting resin, an epoxy resin, a phenol resin, etc. are mentioned.

에폭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비스페놀 S형,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수소 첨가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AF형, 비페닐형, 나프탈렌형, 플루오렌형, 페놀노볼락형, 오르토크레졸노볼락형, 트리스히드록시페닐메탄형, 테트라페닐올에탄형 등의 2관능 에폭시 수지나 다관능 에폭시 수지, 또는 히단토인형, 트리스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형 또는 글리시딜아민형 등의 에폭시 수지가 사용된다. 이들 에폭시 수지 중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히드록시페닐메탄형 수지 또는 테트라페닐올에탄형 에폭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에폭시 수지는, 경화제로서의 페놀 수지와의 반응성이 풍부하여,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n epoxy resin, For example, bisphenol A type, bisphenol F type, bisphenol S type, brominated bisphenol A type, hydrogenated bisphenol A type, bisphenol AF type, biphenyl type, naphthalene type, fluorene type, phenol Bifunctional epoxy resins and polyfunctional epoxy resins such as novolak type, orthocresol novolak type, trishydroxyphenylmethane type, tetraphenylolethane type, or hydantoin type, trisglycidyl isocyanurate type or glycidyl Epoxy resins, such as a cidylamine type, are used. Among these epoxy resins, a novolak-type epoxy resin, a biphenyl-type epoxy resin, a trishydroxyphenylmethane-type resin, or a tetraphenylolethane-type epoxy resin is particularly preferable. It is because these epoxy resins are rich in reactivity with the phenol resin as a hardening|curing agent, and are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etc.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100g/eq.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g/eq. 이상이다.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g/eq.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g/eq. 이하이다.The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resin is preferably 100 g/eq. above, more preferably 120 g/eq. More than that. The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resin is preferably 1000 g/eq. Hereinafter, more preferably 500 g/eq. is below.

또한,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JIS K 7236-2009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poxy equivalent of an epoxy resin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prescribed|regulated to JISK7236-2009.

페놀 수지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페놀노볼락 수지, 페놀아르알킬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tert-부틸페놀노볼락 수지, 노닐페놀노볼락 수지 등의 노볼락형 페놀 수지, 레졸형 페놀 수지, 폴리파라옥시스티렌 등의 폴리옥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페놀 수지 중 페놀노볼락 수지, 페놀아르알킬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반도체 장치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A phenol resin acts as a hardening|curing agent of an epoxy resin, For example, novolak-type phenols, such as a phenol novolak resin, a phenol aralkyl resin, a cresol novolak resin, tert- butylphenol novolak resin, a nonylphenol novolak resin. Polyoxystyrene, such as resin, a resol type phenol resin, and polyparaoxystyrene,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phenol resins, a phenol novolak resin and a phenol aralkyl resin are particularly preferable. This is because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mproved.

페놀 수지의 수산기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150g/eq.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g/eq. 이상이다. 페놀 수지의 수산기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500g/eq.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g/eq. 이하이다.The hydroxyl equivalent of the phenol resin is preferably 150 g/eq. or more, more preferably 200 g/eq. More than that. The hydroxyl equivalent of a phenol resin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500 g/eq. Hereinafter, more preferably 300 g/eq. is below.

에폭시 수지와 페놀 수지의 배합 비율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성분 중의 에폭시기 1당량당 페놀 수지 중의 수산기가 0.5 내지 2.0당량이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보다 적합한 것은, 0.8 내지 1.2당량이다. 즉, 양자의 배합 비율이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면, 충분한 경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아, 경화물의 특성이 열화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It is suitable to mix|blend so that the compounding ratio of an epoxy resin and a phenol resin may become 0.5-2.0 equivalent of hydroxyl groups in a phenol resin per 1 equivalent of epoxy groups in an epoxy resin component, for example. More suitable is 0.8 to 1.2 equivalents. That is, when the mixing ratio of both is out of this range, it is because sufficient hardening reaction does not adva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hardened|cured material deteriorates easily.

수지 성분 100중량% 중의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이다.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하이다.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and phenol resin in 100 weight% of resin components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20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30 weight% or more. Total content of an epoxy resin and a phenol resin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90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80 weight% or less.

접착제층(121)은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클레이, 석고, 탄산칼슘, 황산바륨, 알루미나, 산화베릴륨, 탄화규소, 질화규소, 알루미늄, 구리, 은, 금, 니켈, 크롬, 납, 주석, 아연, 팔라듐, 땜납,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카, 알루미나, 은 등이 바람직하고, 실리카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이다. 필러의 평균 입경은 다음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접착제층(121)을 도가니에 넣고, 대기 분위기 하에서, 700℃에서 2시간 강열하여 회화시켜, 얻어진 회분을 순수 중에 분산시켜서 10분간 초음파 처리하고,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베크만 콜터사 제조, 「LS 13 320」; 습식법)를 사용하여 평균 입경을 구한다.The adhesive layer 121 may include an inorganic filler. Examples of the inorganic filler include silica, clay, gypsum,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alumina, beryllium oxide, silicon carbide, silicon nitride, aluminum, copper, silver, gold, nickel, chromium, lead, tin, zinc, palladium, solder. , carbon, and the like. Especially, silica, alumina, silver, etc. are preferable and a silica is more preferabl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0.001 µm to 1 µ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 filler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adhesive layer 121 was put in a crucible, and incinerated by heating at 700° C. for 2 hours in an atmospheric atmosphere, the obtained ash was dispersed in pure water and sonicated for 10 minutes, followed by a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typ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manufactured by Beckman Coulter) , 「LS 13 320」; wet method) to find the average particle size.

접착제층(121) 중의 무기 충전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이다. 접착제층(121) 중의 무기 충전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이다.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n the adhesive bond layer 121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0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3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20 weight% or mor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n the adhesive bond layer 121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85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20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5 weight% or less.

접착제층(121)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필름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합제,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경화 촉진제, 가교제 등을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The adhesive layer 121 may contain suitably the compounding agent generally used for film manufacture, for example, a silane coupling agent, a hardening accelerator, a crosslinking agent, etc. besides the said component.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제작 방법은, 예를 들어 기재층(122)의 제2 영역(122B)에 코로나 방전 처리하는 공정과, 기재층(122) 상에 접착제층(121)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코로나 처리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금속박 등의 기재 표면을 코로나 방전 조사에 의해 개질하는 표면 처리 기술이다. 금속 전극의 사이에 유전체를 삽입하고, 고주파 고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간에 스트리머 코로나라고 불리는, 필라멘트 형상의 플라스마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랜덤하게 형성된다. 고에너지의 전자는, 대향 전극측을 통과하는 고분자 필름의 표면층에 도달하고, 고분자 결합의 주쇄나 측쇄를 분리한다. 절단된 고분자 표층은 라디칼한 상태가 되고, 기상 중의 산소 라디칼이나 오존층이 주쇄나 측쇄와 재결합함으로써, 수산기, 카르보닐기 등의 극성 관능기가 도입된다. 기재 표면에 친수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소수성 고분자에 대한 밀착성(습윤성)이 향상되어, 접착력이 높아진다. 도입된 관능기와 접착제층(121)이 화학적으로 결합하면, 접착력이 더욱 높아진다.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있어서의 기재층(122)의 표면 에너지는, 예를 들어 30dyne/㎝ 이상, 바람직하게는 35dyne/㎝ 이상이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s, for example, the process of corona-discharge-treating the 2nd area|region 122B of the base material layer 122, and forming the adhesive bond layer 121 on the base material layer 122. including the process of Corona treatment is a surface treatment technique which reforms the surface of base materials, such as a plastic film, paper, and metal foil, by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When a dielectric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metal electrodes and a high frequency and high voltage is applied, a filament-shaped plasma called a streamer corona is randomly and temporally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high-energy electrons reach the surface layer of the polymer film passing through the counter electrode side, and separate the main chain and side chain of the polymer bond. The cut polymer surface layer is in a radical state, and by recombination of oxygen radicals and ozone layers in the gas phase with the main chain and side chains, polar functional groups such as hydroxyl groups and carbonyl groups are introduced. Since hydrophilicity is impart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adhesion (wettability) to the hydrophobic polymer is improved, and the adhesive force is increased. When the introduced functional group and the adhesive layer 121 are chemically bonded, the adhesive force is further increased. The surface energy of the base material layer 122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is 30 dyne/cm or more,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35 dyne/cm or more.

코로나 처리를 부분적으로 행하기 위한 주된 방법으로서, 두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첫번째는, 기재층(122)의 일부를, 코로나 처리되지 않도록 마스크(차폐물)로 보호하는 방법이다. 기재층(122)과 방전 전극의 사이에 마스크를 배치함으로써, 기재층(122)의 일부를 마스크로 차폐한다. 마스크는, 예를 들어 비도전 재료를 포함한다. 마스크를 복수 갖는 롤 형상의 물체, 마스크를 복수 갖는 긴 형상의 비접착성 필름, 마스크를 복수 갖는 약점착의 테이프는,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두번째는, 방전 전극과 요철을 갖는 유전체 롤의 사이에 기재층(122)을 통과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는, 볼록부만을 개질할 수 있다. 유전체 롤은, 예를 들어 금속 코어과, 금속 코어에 둘러 감긴 유전체층을 포함한다. 유전체층이 요철을 갖는다. 오목부와 전극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다. 유전체층은, 예를 들어 절연성과 도전성과 코로나 방전 내성을 가질 수 있다. 유전체층은, 예를 들어 염소계 고무, PET 고무, 실리콘 고무, 세라믹 등을 포함한다. 두번째 방법은, 첫번째 방법보다 간단하다. 그러나, 두번째 방법은, 코로나 처리부와 미처리부 사이의 경계가 첫번째의 방법보다도 애매해지는 경향이 있다.As the main methods for partially performing corona treatment, two methods are mentioned. The first is a method of protecting a portion of the base layer 122 with a mask (shielding material) so as not to be corona treated. By disposing a mask between the base layer 122 and the discharge electrode, a part of the base layer 122 is shielded with the mask. The mask comprises, for example, a non-conductive material. A roll-shaped object having a plurality of masks, an elongated non-adhesive film having a plurality of masks, and a weakly adhesive tape having a plurality of masks can be used repeatedly. The second method is to pass the base material layer 122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ielectric roll having the unevenness. In this method, only the convex portion can be modified. The dielectric roll includes, for example, a metal core and a dielectric layer wound around the metal core. The dielectric layer has irregularities.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ss and the electrode is preferably 2 mm or more. The dielectric layer may have, for example, insulation and conductivity and resistance to corona discharge. The dielectric layer includes, for example, chlorine-based rubber, PET rubber, silicone rubber, ceramic, and the like. The second method is simpler than the first method. However, in the second method, the boundary between the corona-treated portion and the untreated portion tends to become more blurred than in the first method.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1)는,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The dicing die bonding tape 1 can be used in order to manufacture a semiconductor device.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사 전 반도체 웨이퍼(4P)의 내부에 집광점을 맞추고, 격자 상의 분할 예정 라인(4L)을 따라서 레이저광(100)을 조사하고, 조사 전 반도체 웨이퍼(4P)에 개질 영역(41)을 형성하여, 반도체 웨이퍼(4)를 얻는다. 조사 전 반도체 웨이퍼(4P)로서는, 실리콘 웨이퍼, 실리콘 카바이드 웨이퍼, 화합물 반도체 웨이퍼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반도체 웨이퍼로서는, 질화갈륨 웨이퍼 등을 들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ight-converging point is set inside the semiconductor wafer 4P before irradiation, and the laser beam 100 is irradiated along the grid-like division line 4L, and the semiconductor wafer 4P before irradiation. A modified region 41 is formed to obtain a semiconductor wafer 4 . As the semiconductor wafer 4P before irradiation, a silicon wafer, a silicon carbide wafer, a compound semiconductor wafer, etc. are mentioned. As a compound semiconductor wafer, a gallium nitride wafer etc. are mentioned.

레이저광(100)의 조사 조건은, 예를 들어, 이하의 조건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The irradiation conditions of the laser beam 100 can be suitably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A) 레이저광(100)(A) laser light (100)

레이저 광원 반도체 레이저 여기 Nd:YAG 레이저Laser Light Source Semiconductor Laser Excitation Nd:YAG Laser

파장 1064nmWavelength 1064nm

레이저광 스폿 단면적 3.14×10- 8Laser beam spot cross-sectional area 3.14×10 - 8 cm2

발진 형태 Q 스위치 펄스Oscillation type Q switch pulse

반복 주파수 100kHz 이하Repetition frequency 100 kHz or less

펄스폭 1μs 이하Pulse width 1 μs or less

출력 1mJ 이하Output 1mJ or less

레이저광 품질 TEM00Laser light quality TEM00

편광 특성 직선 편광Polarization Characteristics Linear Polarization

(B) 집광용 렌즈(B) Condensing lens

배율 100배 이하Less than 100 times magnification

NA 0.55NA 0.55

레이저광 파장에 대한 투과율 100% 이하100% or less transmittance to laser light wavelength

(C) 조사 전 반도체 웨이퍼가 적재되는 적재대의 이동 속도 280mm/초 이하(C) Before irradiation, the moving speed of the loading table on which the semiconductor wafer is loaded is 280 mm/sec or less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4)는 개질 영역(41)을 포함한다. 개질 영역(41)은 그 밖의 영역과 비교하여 취성이다. 반도체 웨이퍼(4)는 반도체 칩(5A, 5B, 5C, ……, 5F)을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 the semiconductor wafer 4 includes a modified region 41 . The modified region 41 is brittle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semiconductor wafer 4 further includes semiconductor chips 5A, 5B, 5C, ..., 5F.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1)로부터 세퍼레이터(11)를 제거하고, 다이싱 링(31)과 가열 테이블에 의해 데워진 반도체 웨이퍼(4)를 롤로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에 고정한다. 반도체 웨이퍼(4)는 웨이퍼 고정 영역(12A)에 고정된다. 반도체 웨이퍼(4)의 고정은, 예를 들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에서 행한다. 반도체 웨이퍼(4)를 고정은, 예를 들어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에서 행한다. 반도체 웨이퍼(4)의 고정 압력은, 예를 들어 1×105Pa 내지 1×107Pa이다. 롤 속도는, 예를 들어 10mm/sec이다. 다이싱 링(31)은 다이싱 링 고정 영역(12B)에 고정된다.5, the separator 11 is removed from the dicing die bonding tape 1, and the semiconductor wafer 4 heated by the dicing ring 31 and the heating table is rolled into a dicing die bonding film ( 12) is fixed. The semiconductor wafer 4 is fixed to the wafer holding area 12A. The semiconductor wafer 4 is fixed, for example, at 40°C or higher, preferably 45°C or higher, more preferably 50°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55°C or higher. The semiconductor wafer 4 is fixed, for example, at 100°C or lower, preferably at 90°C or lower. The fixing pressure of the semiconductor wafer 4 is, for example, 1×10 5 Pa to 1×10 7 Pa. The roll speed is, for example, 10 mm/sec. The dicing ring 31 is fixed to the dicing ring fixing region 12B.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하방에 위치하는 밀어올림 수단(33)으로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을 밀어올려서,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을 확장한다. 확장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하이다. 온도의 하한은 예를 들어 -20℃이다.As shown in FIG. 6,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s pushed up by the pushing means 33 located below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and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s expanded. do. The temperature of the expansion is preferably 10°C or lower, more preferably 0°C or lower. The lower limit of the temperature is, for example, -20°C.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확장에 의해, 개질 영역(41)을 기점으로 반도체 웨이퍼(4)가 분단됨과 함께, 접착제층(121)도 분단된다. 이 결과, 분단 후 접착제층(121A)이 구비된 반도체 칩(5A)이 기재층(122) 상에 형성된다.With the expansion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 the semiconductor wafer 4 is divided with the modified region 41 as a starting point, and the adhesive layer 121 is also divided. As a result, after division, the semiconductor chip 5A provided with the adhesive layer 121A is formed on the base layer 122 .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어올림 수단(33)을 하강시킨다. 이 결과,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에 늘어짐이 발생한다. 늘어짐은 웨이퍼 고정 영역(12A)의 주변에 발생한다.As shown in Fig. 7, the pushing means 33 is lowered. As a result, sagging occurs in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 Sagging occurs at the periphery of the wafer holding area 12A.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하방에 위치하는 흡착 테이블(32)로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을 밀어올려 확장하고, 확장을 유지하면서 흡착 테이블(32)에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을 흡인 고정한다.8,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s pushed up and expanded by the suction table 32 located below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and the suction table 32 is maintained while the expansion is maintained.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s fixed by suction.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착 테이블(32)에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을 흡인 고정한 채, 흡착 테이블(32)을 하강시킨다.As shown in FIG. 9 , the suction table 32 is lowered while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s suctioned and fixed to the suction table 32 .

흡착 테이블(32)에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을 흡인 고정한 채,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늘어짐에 열풍을 쏘아서, 늘어짐을 제거한다. 열풍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이다. 열풍 온도의 상한은, 예를 들어 240℃, 바람직하게는 220℃이다.With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being sucked and fixed to the suction table 32, hot air is blown to the slack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and the slack is removed. The temperature of hot air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7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80 degreeC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hot air temperature is, for example, 240°C, preferably 220°C.

분단 후 접착제층(121A)이 구비된 반도체 칩(5A)을 기재층(122)으로부터 박리한다.After the division, the semiconductor chip 5A provided with the adhesive layer 121A is peeled off from the base layer 122 .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단 후 접착제층(121A)이 구비된 반도체 칩(5A)을 피착체(6)에 압착한다. 압착은, 예를 들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에서 압착을 행한다. 예를 들어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에서 행한다. 피착체(6)는 예를 들어 리드 프레임, 인터포저, TAB 필름, 반도체 칩 등이다. 피착체(6)는 단자부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0 , the semiconductor chip 5A provided with the adhesive layer 121A is pressed against the adherend 6 after division. Crimping is performed, for example, at 80°C or higher, preferably at 90°C or higher. For example, it is 150 degrees C or less, Preferably it carries out at 130 degrees C or less. The adherend 6 is, for example, a lead frame, an interposer, a TAB film, a semiconductor chip, or the like. The adherend 6 has a terminal portion.

반도체 칩(5A)이 구비된 피착체(6)를 가압 분위기 하에서 가열함으로써 분단 후 접착제층(121)을 경화시킨다. 가압 분위기는, 예를 들어 0.5kg/㎠(4.9×10-2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kg/㎠(9.8×10-2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kg/㎠(4.9×10-1MPa) 이상이다. 예를 들어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에서 가열을 행한다. 상한은, 예를 들어 260℃, 200℃, 180℃ 등이다.By heating the adherend 6 provided with the semiconductor chip 5A in a pressurized atmosphere, the adhesive layer 121 is cured after being divided. The pressurized atmosphere is, for example, 0.5 kg/cm 2 (4.9×10 -2 MPa) or more, preferably 1 kg/cm 2 (9.8×10 -2 MPa) or more, more preferably 5 kg/cm 2 (4.9×10 -1 ) or more. MPa) or more. For example, it is 120 degreeC or more, Preferably it is 15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heats at 170 degreeC or more. The upper limit is, for example, 260°C, 200°C, 180°C or the like.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칩(5A)의 전극 패드와 피착체(6)의 단자부를 본딩 와이어(7)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밀봉 수지(8)로 반도체 칩(5A)을 밀봉한다.As shown in FIG. 11 , the electrode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5A an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adherend 6 ar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 bonding wire 7 , and the semiconductor chip 5A is sealed with a sealing resin 8 . .

이상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칩(5A)과 피착체(6)와 다이싱 후 접착제층(121)을 포함한다. 다이싱 후 접착제층(121)은 반도체 칩(5A)과 피착체(6)를 접착하고 있다.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칩(5A)을 덮는 밀봉 수지(8)를 더 포함한다. The semiconductor device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contains the semiconductor chip 5A, the to-be-adhered body 6, and the adhesive bond layer 121 after dicing. After dicing, the adhesive layer 121 bonds the semiconductor chip 5A and the adherend 6 to each other. The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includes a sealing resin 8 that covers the semiconductor chip 5A.

이상과 같이,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1)로부터 세퍼레이터(11)를 제거하고,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접착제층(121)에 반도체 웨이퍼(4)를 고정하는 공정과,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에 인장 응력을 가하고, 분단 후 접착제층(121A)이 구비된 반도체 칩(5A)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As mentioned abov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the separator 11 is removed from the dicing die bonding tape 1, and the semiconductor wafer 4 is fixed to the adhesive bond layer 121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and applying a tensile stress to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and forming the semiconductor chip 5A provided with the adhesive layer 121A after division.

변형예variation 1 One

제2 영역(122B)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영역이다.The second region 122B is a region where a primer is applied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하도제와 기재층(122)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도제는, 기재층(122)과 화학적으로 결합 가능하고, 접착제층 제2부(121B)에 대하여 강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적합하다. 하도제는, 예를 들어 가교제와 중합체를 포함한다. 하도제의 가교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등이다. 저온에서 단시간에 반응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하도제의 중합체는, 가교제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관능기는, 예를 들어 수산기 등이다. 하도제의 두께는 예를 들어 1㎛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imer and the base layer 122 are chemically bonded. It is suitable that the primer can be chemically bonded to the base layer 122 and can exhibit strong adhesion to the adhesive layer second portion 121B. Primers include, for example, crosslinking agents and polymers. The crosslinking agent of the primer is, for example, an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an epoxy type crosslinking agent, or the like. From a viewpoint of being able to react in a short time at low temperature, an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and an epoxy type crosslinking agent are preferable. The polymer of the primer may have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crosslinking agent. The functional group is, for example, a hydroxyl group. The thickness of the primer is, for example, 1 μm.

변형예variation 2 2

제1 영역(122A)은 코로나 방전 처리된 영역이다.The first area 122A is a corona discharge-treated area.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제작 방법은, 예를 들어 기재층(122)에 코로나 방전 처리하는 공정과, 기재층(122) 상에 접착제층(121)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기재층(122)에 코로나 방전 처리하는 공정에서는, 제1 영역(122A)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의 강도를, 제2 영역(122B)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의 강도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제1 영역(122A)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의 강도는, 제2 영역(122B)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의 강도와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접착제층 제1부(121A)는 이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로서는, 불소계, 실리콘계, 오일계 이형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접착제층 제2부(121B)는, 이러한 이형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includes, for example, the process of corona-discharge-treating the base material layer 122,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adhesive bond layer 121 on the base material layer 122. In the process of corona-discharge-treating the base material layer 122, the intensity|strength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n 1st area|region 122A can be made lower than the intensity|strength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n 2nd area|region 122B. The intensity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n the first region 122A may be the same as the intensity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n the second region 122B. In this case, the adhesive layer first portion 121A preferably includes a release agent. As a mold release agent, a fluorine type, silicone type, oil type mold release agent, etc. are mentioned.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second part 121B does not contain such a mold release agent.

변형예variation 3 3

제1 영역(122A)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영역이다.The first area 122A is an area where the primer is applied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하도제의 극성과 접착제층 제1부(121A)의 극성 사이의 양자는, 크게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도제의 표면 에너지는, 예를 들어 5dyne/㎝ 이상 30dyne/㎝ 미만이다. 접착제층 제1부(121A)의 표면 에너지는, 예를 들어 30dyne/㎝를 초과하고 50dyne/㎝ 이하이다. 하도제의 탄성률이 낮으면, 접착제층 제1부(121A)와 기재층(122) 사이의 박리력이 너무 높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온에서의 하도제의 적합한 탄성률은, 예를 들어 100㎫ 이상이다. 하도제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1을 준용한다.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polarity of the primer and the polarity of the adhesive layer first portion 121A are largely different. The surface energy of the primer is, for example, 5 dyne/cm or more and less than 30 dyne/cm. The surface energy of the adhesive layer first portion 121A is, for example, greater than 30 dyne/cm and less than or equal to 50 dyne/cm. When the elastic modulus of the primer is low,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first portion 121A and the base layer 122 may become too high. to be. As a suitable example of a primer, the modification 1 applies mutatis mutandis.

제1 영역(122A)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의 강도는, 제2 영역(122B)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의 강도와 같을 수 있다. 양자는 상이해도 된다.The intensity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n the first region 122A may be the same as the intensity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n the second region 122B. Both may be different.

변형예variation 4 4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면이다.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s a surface coated with a primer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제1 영역(122A)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의 강도는, 제2 영역(122B)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의 강도와 같을 수 있다. 양자는 상이해도 된다. 하도제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1을 준용한다.The intensity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n the first region 122A may be the same as the intensity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n the second region 122B. Both may be different. Suitable examples of the primer apply mutatis mutandis 1 to modification.

변형예variation 5 5

제1 영역(122A)은 엠보스 가공된 영역이다.The first area 122A is an embossed area.

변형예variation 6 6

제2 영역(122B)은 엠보스 가공된 영역이다.The second region 122B is an embossed region.

변형예variation 7 7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엠보스 가공된 면이다.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s an embossed surface.

변형예variation 8 8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층(121)은 접착제층 제1부(121A)와 접착제층 제2부(121B)를 포함하고, 접착제층 제3부(121C)를 포함하지 않는다. 접착제층 제1부(121A)는, 예를 들어 원반 형상을 이룬다. 접착제층 제2부(121B)는, 예를 들어 도넛판 형상을 이룬다. 접착제층 제2부(121B)는, 접착제층 제1부(121A)와 접하고 있지 않다.12 , the adhesive layer 121 includes the first adhesive layer 121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21B, but does not include the third adhesive layer 121C. The adhesive layer first portion 121A has, for example, a disk shape. The adhesive layer 2nd part 121B forms the shape of a donut plate, for example. The second adhesive layer portion 121B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portion 121A.

접착제층 제2부(121B)의 조성·물성은, 접착제층 제1부(121A)의 조성·물성과 상이할 수 있다. 접착제층 제1부(121A)의 조성·물성의 적합한 예는, 실시예 1을 준용한다. 접착제층 제2부(121B)는, 점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제2부(121B)를 구성하는 점착제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고무계, 비닐알킬에테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우레탄계,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계 등의 공지된 점착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1B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21A. Example 1 applies mutatis mutandis to suitable examples of the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first portion 121A.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bond layer 2nd part 121B has adhesiveness. For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second part 121B, for example, a known adhesive such as acrylic, rubber, vinyl alkyl ether, silicone, polyester, polyamide, urethane, or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is used. It can be used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접착제층 제2부(121B)는, 코로나 방전 처리된 제2 영역(122B)에 있어서의 수산기, 카르복실산기 등의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가교제와,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layer second portion 121B preferably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capable of reacting with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ic acid group in the corona discharge-treated second region 122B, and a resin component.

수지 성분은,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제2부(121B)와 기재층(122)을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관능기는, 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산기, 에폭시기, 아민기, 티올기, 페놀기 등이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관능기의 조정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옥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C1-C20 알킬에스테르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와,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등의 카르복실기 또는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모르포릴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이소보르닐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 제2부(121B) 중의 수지 성분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94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이다. 접착제층 제2부(121B) 중의 수지 성분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99.99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9.97중량% 이하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component contains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which can react with a crosslinking agent. This is because the adhesive layer second portion 121B and the substrate layer 122 can be chemically bonded. The functional group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for example, a hydroxyl group, a carboxylic acid group, an epoxy group, an amine group, a thiol group, and a phenol group. As a thermoplastic resin, an acrylic polymer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such as adjustment of a functional group. As the acrylic polymer, for example, (meth)acrylic acid C1-C20 alkyl esters such as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octyl (meth)acrylate homo or copolymer of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such as;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and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 For example, carboxyl group or acid anhydride group containing monomer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a fumaric acid, and maleic anhydrid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acrylic-acid morpholyl;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acrylamide;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acrylonitrile; A copolymer with (meth)acrylic acid ester etc. which has alicyclic hydrocarbon groups, such as (meth)acrylic-acid isobornyl, etc. are mentioned. Content of the resin component in the adhesive bond layer 2nd part 121B is 94 weight% or more,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95 weight% or more. Content of the resin component in the adhesive bond layer 2nd part 121B is 99.99 weight% or less,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99.97 weight% or less.

가교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과산화물 등이다.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미쓰이 가가쿠사 제조, 상품명 D110N),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미쓰이 가가쿠사 제조, 상품명 D160N); 폴리에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것들과 각종 폴리올과의 부가물,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뷰렛 결합, 알로파네이트 결합 등으로 다관능화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접착제층 제2부(121B)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4중량부이다. 응집력, 내구성 시험에서의 박리의 저지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crosslinking agent is, for example,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an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an oxazoline-based crosslinking agent, and a peroxide. A crosslinking agent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An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and an epoxy type crosslinking agent are preferable.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s, for example, aromatic 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and xylene diisocyanate, alicyclic isocyanates such as isophorone diisocyanate, and aliphatic isocyanate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lower aliphatic polyisocyanates such as butylene diisocyanate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cycloaliphatic isocyanates such as cyclopentylene diisocyanate, cyclohexylene diisocyan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2,4 -Aromatic di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xylylene diisocyanate and polymethylene polyphenyl isocyanate, trimethylolpropane/tolylene diisocyanate trimer adduct (Nippon Polyurethane Kogyo Co., Ltd.) Manufactured, trade name Coronate L), trimethylolpropane/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r adduct (Nippon Polyurethane Kogyo Co., Ltd. trade name Coronate HL), isocyanurate form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Nippon Polyurethane Kogyo Co., Ltd.) Isocyanate adducts such as manufactured, trade name Coronate HX), trimethylolpropane adduct of xylylene diisocyanate (Mitsui Chemical Co., Ltd., trade name D110N),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thylolpropane adduct (Mitsui Chemical Co., Ltd. trade name) D160N); Polyether polyisocyanate, polyester polyisocyanate, and an adduct of these and various polyols, polyisocyanate polyfunctionalized by an isocyanurate bond, a biuret bond, an allophanate bond,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an aliphatic isocyanate because the reaction rate is fast. An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mix and use 2 or more types. Content of the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in the adhesive bond layer 2nd part 121B is 0.01-5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resin components, Preferably it is 0.03-4 weight part. It is possible to make it contain suitably in consideration of cohesive force, prevention of peeling in a durability test, etc.

접착제층(121)은 스크린 인쇄, 로터리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그라비아 인쇄, 롤 투 롤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생산성의 관점에서 로터리 스크린 인쇄가 바람직하다. 이들 도포 시공 방법은 1종류만을 사용할 수 있고,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방법에서는, 도포 시공 중에 바니시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도포 시공 중의 바니시 농도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저휘발성의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제는, 예를 들어 MIBK, 아세트산 부틸, 시클로헥사논, γ부티로락톤, 이소포론, 카르비톨아세테이트, DMSO, DMAc, NMP 등이다.The adhesive layer 121 may be manufactured by screen printing, rotary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roll-to-roll, or the like.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rotary screen printing is preferable. Only one type of these coating methods can be used, and it can also be used combining them. In these methods, the varnish is sometimes exposed to the air during applic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low volatility solvent which can suppress the change of the varnish density|concentration during coating. Such solvents are, for example, MIBK, butyl acetate, cyclohexanone, γ-butyrolactone, isophorone, carbitol acetate, DMSO, DMAc, NMP and the like.

변형예variation 8.1 8.1

제2 영역(122B)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영역이다. 변형예 8.1은, 변형예 8과 변형예 1의 조합이다. 변형예 8.1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1을 준용한다.The second region 122B is a region where a primer is applied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8.1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Example 8 and Modification Example 1.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8.1 apply mutatis mutandis 1.

변형예variation 8.2 8.2

제1 영역(122A)은 코로나 방전 처리된 영역이다. 변형예 8.2는 변형예 8과 변형예 2의 조합이다. 변형예 8.2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2를 준용한다.The first area 122A is a corona discharge-treated area. Modification 8.2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Example 8 and Modification Example 2.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8.2 apply mutatis mutandis 2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8.3 8.3

제1 영역(122A)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영역이다. 변형예 8.3은 변형예 8과 변형예 3의 조합이다. 변형예 8.3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3을 준용한다.The first area 122A is an area where the primer is applied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8.3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Example 8 and Modification Example 3.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8.3 apply mutatis mutandis 3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8.4 8.4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면이다. 변형예 8.4는 변형예 8과 변형예 4의 조합이다. 변형예 8.4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4를 준용한다.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s a surface coated with a primer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8.4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Example 8 and Modification Example 4.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8.4 apply mutatis mutandis 4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8.5 8.5

제1 영역(122A)은 엠보스 가공된 영역이다. 변형예 8.5는 변형예 8과 변형예 5의 조합이다.The first area 122A is an embossed area. Modification 8.5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8 and 5.

변형예variation 8.6 8.6

제2 영역(122B)은 엠보스 가공된 영역이다. 변형예 8.6은 변형예 8과 변형예 6의 조합이다.The second region 122B is an embossed region. Modification 8.6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Example 8 and Modification Example 6.

변형예variation 8.7 8.7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엠보스 가공된 면이다. 변형예 8.7은 변형예 8과 변형예 7의 조합이다.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s an embossed surface. Modification 8.7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8 and 7.

변형예variation 9 9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층(121)은 제1층(1211)과 제2층(1212)을 포함한다. 제1층(1211)은 원반 형상을 이룬다. 제1층(1211)의 양면은, 제1 주면과 제1 주면에 대향한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제1층(1211)의 제1 주면은 세퍼레이터(11)와 접하고 있다. 제1층(1211)의 제2 주면은 제2층(1212)과 접하고 있다. 제2층(1212)은 원반 형상을 이룬다. 제2층(1212)의 양면은, 제1 주면과 제1 주면에 대향한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제2층(1212)의 제1 주면은 제1층(1211)과 접하고 있다. 제2층(1212)의 제2 주면은 기재층(122)과 접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adhesive layer 121 includes a first layer 1211 and a second layer 1212 . The first layer 1211 has a disk shape. Both surfaces of the first layer 1211 are defined as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layer 1211 is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11 .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first layer 1211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ayer 1212 . The second layer 1212 has a disk shape. Both surfaces of the second layer 1212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second layer 1212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ayer 1211 .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second layer 1212 is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122 .

변형예variation 9.1 9.1

제2 영역(122B)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영역이다. 변형예 9.1은 변형예 9와 변형예 1의 조합이다. 변형예 9.1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1을 준용한다.The second region 122B is a region where a primer is applied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9.1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9 and Modification 1.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9.1 apply mutatis mutandis 1.

변형예variation 9.2 9.2

제1 영역(122A)은 코로나 방전 처리된 영역이다. 변형예 9.2는 변형예 9와 변형예 2의 조합이다. 변형예 9.2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2를 준용한다.The first area 122A is a corona discharge-treated area. Modification 9.2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Example 9 and Modification Example 2.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9.2 apply mutatis mutandis 2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9.3 9.3

제1 영역(122A)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영역이다. 변형예 9.3은 변형예 9와 변형예 3의 조합이다. 변형예 9.3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3을 준용한다.The first area 122A is an area where the primer is applied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9.3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Example 9 and Modification Example 3. A suitable example of modification 9.3 applies mutatis mutandis 3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9.4 9.4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면이다. 변형예 9.4는 변형예 9와 변형예 4의 조합이다. 변형예 9.4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4를 준용한다.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s a surface coated with a primer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9.4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9 and 4.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9.4 apply mutatis mutandis 4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9.5 9.5

제1 영역(122A)은 엠보스 가공된 영역이다. 변형예 9.5는 변형예 9와 변형예 5의 조합이다.The first area 122A is an embossed area. Modification 9.5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9 and 5.

변형예variation 9.6 9.6

제2 영역(122B)은 엠보스 가공된 영역이다. 변형예 9.6은 변형예 9와 변형예 6의 조합이다.The second region 122B is an embossed region. Modification 9.6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9 and 6.

변형예variation 9.7 9.7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엠보스 가공된 면이다. 변형예 9.7은 변형예 9와 변형예 7의 조합이다.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s an embossed surface. Modification 9.7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9 and 7.

변형예variation 10 10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층(121)은 제1층(1211)과 제2층(1212)을 포함한다. 제1층(1211)은 도넛판 형상을 이룬다. 제1층(1211)은 다이싱 링 고정 영역(12B)에 위치한다. 제1층(1211)의 양면은, 제1 주면과 제1 주면에 대향한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제1층(1211)의 제1 주면은 세퍼레이터(11)와 접하고 있다. 제1층(1211)의 제2 주면은, 제2층(1212)과 접하고 있다. 제1층(1211)은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제2층(1212)은 원반 형상을 이룬다. 제2층(1212)의 양면은, 제1 주면과 제1 주면에 대향한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제2층(1212)의 제1 주면은 다이싱 링 고정 영역(12B)에서 제1층(1211)과 접하고 있다. 제2층(1212)의 제2 주면은 기재층(122)과 접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adhesive layer 121 includes a first layer 1211 and a second layer 1212 . The first layer 1211 has a donut plate shape. The first layer 1211 is located in the dicing ring fixing region 12B. Both surfaces of the first layer 1211 are defined as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layer 1211 is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11 .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first layer 1211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ayer 1212 . The first layer 1211 may have adhesiveness. The second layer 1212 has a disk shape. Both surfaces of the second layer 1212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second layer 1212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ayer 1211 in the dicing ring fixing region 12B.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second layer 1212 is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122 .

변형예variation 10.1 10.1

제2 영역(122B)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영역이다. 변형예 10.1은, 변형예 10과 변형예 1의 조합이다. 변형예 10.1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1을 준용한다.The second region 122B is a region where a primer is applied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10.1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10 and Modification 1.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10.1 apply mutatis mutandis 1.

변형예variation 10.2 10.2

제1 영역(122A)은 코로나 방전 처리된 영역이다. 변형예 10.2는 변형예 10과 변형예 2의 조합이다. 변형예 10.2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2를 준용한다.The first area 122A is a corona discharge-treated area. Modification 10.2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10 and Modification Example 2.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10.2 apply mutatis mutandis 2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10.3 10.3

제1 영역(122A)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영역이다. 변형예 10.3은 변형예 10과 변형예 3의 조합이다. 변형예 10.3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3을 준용한다.The first area 122A is an area where the primer is applied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10.3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 10 and Modification 3.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10.3 apply mutatis mutandis 3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10.4 10.4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코로나 방전 처리 후에 하도제를 칠한 면이다. 변형예 10.4는 변형예 10과 변형예 4의 조합이다. 변형예 10.4의 적합한 예는 변형예 4를 준용한다.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s a surface coated with a primer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Modification 10.4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10 and 4. Suitable examples of modification 10.4 apply mutatis mutandis 4 mutatis mutandis.

변형예variation 10.5 10.5

제1 영역(122A)은 엠보스 가공된 영역이다. 변형예 10.5는 변형예 10과 변형예 5의 조합이다.The first area 122A is an embossed area. Modification 10.5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10 and 5.

변형예variation 10.6 10.6

제2 영역(122B)은 엠보스 가공된 영역이다. 변형예 10.6은 변형예 10과 변형예 6의 조합이다.The second region 122B is an embossed region. Modification 10.6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10 and 6.

변형예variation 10.7 10.7

기재층(122)의 제1 주면은 엠보스 가공된 면이다. 변형예 10.7은 변형예 10과 변형예 7의 조합이다.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base layer 122 is an embossed surface. Modification 10.7 is a combination of Modifications 10 and 7.

변형예variation 11 11

변형예 11에서는,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1)를 DBG법에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앞면)에 홈이 설치된 반도체 웨이퍼를 백그라인드 필름에 고정하고,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 연삭을 행하는 공정과,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1)로부터 세퍼레이터(11)를 제거하고,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의 접착제층(121)에 연삭 후의 반도체 웨이퍼를 고정하는 공정과,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12)에 인장 응력을 가하고, 분단 후 접착제층이 구비된 반도체 칩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In the eleventh modification, the dicing die bonding tape 1 is used for the DBG method. Specifically, a step of fixing a semiconductor wafer in which a groove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to a backgrind film,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removing the separator 11 from the dicing die bonding tape 1 and fixing the semiconductor wafer after grinding to the adhesive layer 121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applying a tensile stress to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2, and after dividing the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process of forming

이들의 변형예는, 다른 변형예와 조합할 수 있다.These modified examples can be combined with other modified examples.

[실시예][Example]

이하, 본 개시에 관해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examples,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thereof.

실시예Example 1 내지 4· 1 to 4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내지 2 to 3에 있어서의in 3 다이싱dicing 다이 본딩 필름의 제작 Fabrication of die bonding film

아크릴 중합체·실리카 필러·고형 에폭시 수지·고형 페놀 수지를 표 1에 따라서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내지 분산시키고, PET 세퍼레이터에 도포 시공하고, 130℃·2분으로 메틸에틸케톤을 날려서, 두께 10㎛의 접착 필름을 얻었다. 구라시키 보세키사 제조의 두께 130㎛의 EVA 필름에, 코로나 처리기(PILLAR TECHNOLOGIES사 제조의 500 시리즈)를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였다. 코로나 처리 후의 EVA 필름에 접착 필름을, 60℃, 10mm/sec, 0.15MPa로 적층하여, 실시예 1 내지 4·비교예 2 내지 3의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을 얻었다. 각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은, EVA 필름과, EVA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접착 필름을 갖는다. EVA 필름의 양면은, 접착 필름과 접한 제1 주면과, 제1 주면에 대향하는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접착 필름의 양면은, 제1 주면과, EVA 필름과 접한 제2 주면으로 정의된다. 각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은 원반 형상을 이룬다. 각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에서는, 웨이퍼 고정 영역의 주변에, 다이싱 링 고정 영역이 위치한다.Acrylic polymer, silica filler, solid epoxy resin, solid phenol resin were dissolved or dispersed in methyl ethyl ketone according to Table 1, coated on a PET separator, and methyl ethyl ketone was blown at 130 ° C. for 2 minutes, and the thickness of 10 μm was An adhesive film was obtained. The 130-micrometer-thick EVA film made from Kurashiki Boseki was corona-discharge-treat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1 using the corona treatment machine (500 series manufactured by PILLAR TECHNOLOGIES). The adhesive film was laminated|stacked on the EVA film after corona treatment at 60 degreeC, 10 mm/sec, 0.15 MPa, and the dicing die bonding film of Examples 1-4 and Comparative Examples 2-3 was obtained. Each dicing die bonding film has an EVA film and the adhesive film located on the EVA film. Both surfaces of the EVA film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film and a second main surface facing the first main surface.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film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VA film. Each dicing die bonding film forms a disk shape. In each dicing die bonding film, a dicing ring holding region is located on the periphery of the wafer holding region.

코로나 처리량Corona Throughput

코로나 처리량은 하기의 식으로 표시된다.The corona treatment amount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방전 처리량(W·min/㎡)=방전 전극의 전압(W)÷전극 폭(m)÷속도(m/min) Discharge throughput (W min/m2) = voltage of discharge electrode (W) ÷ electrode width (m) ÷ speed (m/mi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에 있어서의in 1 다이싱dicing 다이 본딩 필름의 제작 Fabrication of die bonding film

EVA 필름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을 제작하였다.A dicing die bond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EVA film was not subjected to corona discharge treatment.

접착 필름과 adhesive film and EVAEVA 필름의 90도 90 degrees of film 박리력peel force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의 접착 필름에 배접 테이프(닛토덴코사 제조의 BT-315)를 실온 23℃에서 붙이고, 길이 120mm×폭 50mm의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 시험편을 잘라냈다. 오토그래프 AGS-J(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의 챔버를 23℃ 또는 -15℃로 조정하고, 떼어내기 각도 90도, 떼어내기 속도 300mm/min으로 T 박리 시험을 하였다. 박리력의 평균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A backing tape (BT-315 manufactured by Nitto Denko Corporation) was affixed to the adhesive film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at room temperature of 23°C, and a dicing die bonding film test piece having a length of 120 mm and a width of 50 mm was cut out. The chamber of Autograph AGS-J (made by Shimadzu Corporation) was adjusted to 23 degreeC or -15 degreeC, and the T peel test was done at the peeling angle of 90 degrees, and the peeling speed of 300 mm/min. The average values of peel force are shown in Table 1.

표면 자유 에너지surface free energy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의 접착 필름에 배접 테이프(닛토덴코사 제조의 BT-315)를 실온 23℃·50±10%RH에서 붙이고, 접착 필름을 EVA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였다. JIS K 6768:1999에 따라 조제한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표면 장력을 갖는 일련의 시험용 혼합액을, EVA 필름의 제1 주면과 접착 필름의 제2 주면에 박리 후 5분 이내에 적하하고, 10mm폭의 주걱으로 펼침으로써 길이 5cm 정도의 액막을 형성하고, 2초 후에 액막을 관찰하고, 액막의 형상을 정확하게 2초간 유지하는 시험용 혼합액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시험용 혼합액의 표면 장력을 표 1에 나타내었다.A backing tape (BT-315 manufactured by Nitto Denko Corporation) was affixed to the adhesive film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at room temperature of 23°C and 50±10% RH, and the adhesive film was peeled from the EVA film. A series of test mixtures having stepwise increasing surface tension prepared in accordance with JIS K 6768:1999 were dropped on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EVA film and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adhesive film within 5 minutes after peeling, and spread with a 10 mm wide spatula. Thus, a liquid film with a length of about 5 cm was formed, the liquid film was observed after 2 seconds, and a test mixture that maintained the shape of the liquid film accurately for 2 seconds was selected. Table 1 shows the surface tension of the selected test mixture.

분단성division ·· 픽업성pick-up

DISCO사 제조 다이싱 장치(DFD6361)를 사용하여, 12인치의 베어 웨이퍼에 8mm×12mm에, 폭 20 내지 25㎛, 깊이 50㎛의 절입을 넣었다. 절입면에 백그라인드 테이프(닛토덴코사 제조의 UB-3083D)를 부착하고, DISCO사 제조의 백그라인드 장치(DGP8760)로 베어 웨이퍼 두께가 20㎛가 될 때까지 연삭을 행하였다. 연삭 후 웨이퍼를,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의 접착 필름에 60℃, 0.15MPa, 10mm/sec에서 라미네이터로 접합하였다.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의 접착 필름에 60℃, 0.15MPa, 10mm/sec에서 라미네이터로 다이싱 링을 고정하였다. 백그라인드 테이프를 연삭 후 웨이퍼로부터 박리하고, 쿨 익스팬더(DISCO사 제조의 DDS3200)를 사용하여, 냉각 온도 -15℃, 속도 1mm/sec, 늘이기량 11mm로 연삭 후 웨이퍼를 분단하고, 온도 80℃, 속도 1mm/sec, 늘이기량 7mm로 가온 테이블에서 늘이기를 행하고, 200℃에서 열수축(히트 슈링크)시켰다. 이상의 수단으로, 분단 후 접착 필름 구비 칩을 형성하였다. 분단 후 접착 필름이 분단 라인을 따라서 끊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분단 후 접착 필름 구비 칩을 각 예에서 30개 관찰하였다. 분단율을 다음 식으로 구하고, 분단율이 80% 이상을 ○로 하고, 80% 미만을 ×로 하고, 판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Using a dicing apparatus (DFD6361) manufactured by DISCO, a cutout of 20 to 25 µm in width and 50 µm in depth was made in a 12-inch bare wafer at 8 mm x 12 mm. A backgrind tape (UB-3083D manufactured by Nitto Denko Corporation) was attached to the cut surface, and it was ground with a backgrind device (DGP8760) manufactured by DISCO until the bare wafer thickness was set to 20 µm. After grinding, the wafer was bonded to the adhesive film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at 60° C., 0.15 MPa, and 10 mm/sec with a laminator. The dicing ring was fixed to the adhesive film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with a laminator at 60° C., 0.15 MPa, and 10 mm/sec. The backgrind tape is peeled from the wafer after grinding, and using a cool expander (DDS3200 manufactured by DISCO), grinding at a cooling temperature of -15°C, a speed of 1 mm/sec, and an elongation of 11 mm, the wafer is divided, and the temperature is 80°C, Stretching was performed on a heating table at a speed of 1 mm/sec and a stretching amount of 7 mm, and thermal contraction (heat shrink) was performed at 200°C. By the above means, the chip|tip with an adhesive film was formed after divis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adhesive film after division is broken along the division line, 30 chips with an adhesive film after division were observed in each example. The division rate was calculated|required by the following formula, 80% or more of division rate made 80 % or more into (circle), and less than 80 % made x,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shown in Table 1.

분단율division rate

=분단 라인을 따라서 끊어져 있는 분단 후 접착 필름을 갖는 칩의 수/30= Number of chips with adhesive film after division that are broken along the division line/30

픽업성pick-up

분단 후 접착 필름 구비 칩을 10개, 신카와사 제조의 다이 본더 SPA300으로 픽업하고, 성공수가 8개 이상인 경우를 ○로 하고, 8개 미만인 경우를 ×로 하였다.After division, 10 chips with an adhesive film were picked up by the die bonder SPA300 manufactured by Shinkawa Corporatio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successes was 8 or more was made into (circle), and the case where it was less than 8 was made into x.

Figure 112017093207609-pat00001
Figure 112017093207609-pat00001

Claims (5)

세퍼레이터와,
접착제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세퍼레이터 및 상기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의 웨이퍼 고정 영역에서,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기재층에 있어서의 23℃의 90도 박리력이 0.02N/20mm 내지 0.5N/20mm이며,
상기 웨이퍼 고정 영역에서,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기재층에 있어서의 -15℃의 90도 박리력이 0.1N/20mm 이상이며,
상기 기재층의 양면은, 상기 접착제층과 접한 제1 주면과, 제2 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웨이퍼 고정 영역에 대하여 상기 기재층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32 내지 39mN/m이며,
상기 접착제층의 양면은, 상기 세퍼레이터와 접한 제1 주면과, 상기 기재층과 접한 제2 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웨이퍼 고정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34 내지 50mN/m인,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
separator and
A film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and a substrate layer,
The adhes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substrate layer,
In the wafer fixing region of the film, the adhesive layer and the 90 degree peel force at 23 ° C in the base layer are 0.02N/20mm to 0.5N/20mm,
In the wafer fixing region, the 90 degree peeling force at -15 ° C in the adhesive layer and the base layer is 0.1N/20mm or more,
Both surfaces of the base layer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first main surface in the base layer with respect to the wafer fixing region is 32 to 39 mN/m,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layer are defined by a first ma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and a second ma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se material layer,
The dicing die bonding tape, wherein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second main surface in the adhesive layer with respect to the wafer holding region is 34 to 50 m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고정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를 E2로 하고,
상기 웨이퍼 고정 영역에 대하여 상기 기재층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주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를 E1로 했을 때,
E2와 E1의 차가 15mN/m 이하인,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Let E2 be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second main surface in the adhesive layer with respect to the wafer holding region;
When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first main surface in the base layer with respect to the wafer fixing region is E1,
The difference between E2 and E1 is 15 mN/m or less,
Dicing die bonding ta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23℃의 저장 탄성률이 10GPa 이하인,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The dicing die bonding tape of Claim 1 whos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degreeC in the said adhesive bond layer is 10 GPa or less.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이싱 다이 본딩 테이프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를 제거하고, 상기 필름의 상기 접착제층에 반도체 웨이퍼를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필름에 인장 응력을 가하고, 분단 후 접착제층이 구비된 반도체 칩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 step of removing the separator from the dicing die bonding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and fixing a semiconductor wafer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lm;
applying a tensile stress to the film, and forming a semiconductor chip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fter divis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20170123249A 2016-09-28 2017-09-25 Dicing die bond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1024018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9717 2016-09-28
JP2016189717A JP6791701B2 (en) 2016-09-28 2016-09-28 Manufacturing method of dicing die bonding tape and semiconduc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149A KR20180035149A (en) 2018-04-05
KR102401808B1 true KR102401808B1 (en) 2022-05-26

Family

ID=6175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249A KR102401808B1 (en) 2016-09-28 2017-09-25 Dicing die bond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91701B2 (en)
KR (1) KR102401808B1 (en)
CN (1) CN107871702B (en)
TW (1) TWI73887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141603A (en) 2020-03-27 2021-11-0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Sheet for production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chip with film-form adhesi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235A (en) * 2001-03-01 2002-09-11 Hitachi Chem Co Ltd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8244463A (en) * 2007-03-01 2008-10-09 Nitto Denko Corp Heat curing die bond film
JP2009164556A (en) * 2007-12-11 2009-07-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Tape for processing wafer
JP2012164891A (en) * 2011-02-08 2012-08-30 Hitachi Chem Co Ltd Adhesive sheet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sheet for semiconductor, semiconductor wafer,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501B2 (en) 1974-07-04 1978-02-28
JP4599800B2 (en) 2003-02-20 2010-12-1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Adhesive sheet manufacturing metho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781912A (en) * 2012-11-20 2015-07-15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hips and surface protective tape for thin-film grinding used in same
JP6264126B2 (en) * 2014-03-20 2018-01-24 日立化成株式会社 Wafer processing tape
JP6073263B2 (en) * 2014-03-31 2017-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Die bond film with dicing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235A (en) * 2001-03-01 2002-09-11 Hitachi Chem Co Ltd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8244463A (en) * 2007-03-01 2008-10-09 Nitto Denko Corp Heat curing die bond film
JP2009164556A (en) * 2007-12-11 2009-07-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Tape for processing wafer
JP2012164891A (en) * 2011-02-08 2012-08-30 Hitachi Chem Co Ltd Adhesive sheet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sheet for semiconductor, semiconductor wafer,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91701B2 (en) 2020-11-25
KR20180035149A (en) 2018-04-05
CN107871702A (en) 2018-04-03
JP2018056289A (en) 2018-04-05
TW201819175A (en) 2018-06-01
TWI738878B (en) 2021-09-11
CN107871702B (en)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978B1 (en) Dicing die bond film
KR101688236B1 (en) Dicing tape-integrated film for semiconductor back surface
KR101417205B1 (en) Dicing/die bonding film
TWI789409B (en) Die-bonding film, die-cutting die-bonding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04946152B (en) Dicing film, dicing/die bond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436526B1 (en) Dicing sheet, dicing/die-bond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150138835A (en) Dicing tape-integrated film for semiconductor back surface
CN109041575B (en) Tape for electronic device package
JP643743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chip
KR20200108785A (en) Dicing tape with adhesive film
KR20180013715A (en) Dicing tape-integrated film for semiconductor back surface, and process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00110207A (en) Dicing tape with adhesive film
KR20170121064A (en)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401808B1 (en) Dicing die bond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20180116751A (en) Dicing die bond film
KR20160106624A (en) Conductive film-like adhesive and dicing tape with film-like adhesive
JP6935379B2 (en) Electronic device packaging tape
JP688340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cing die bonding tape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20053452A (en) Electronic device packaging tape
TWI825285B (en) Cutting tape with adhesive film
KR20200107833A (en) Dicing tape, and adhesive film attached dicing tape
KR20200106452A (en) Dicing die bond film
TW202028392A (en) Dicing die attachment film capable of securing a sufficient cuff width for cutting points between chips while realizing excellent cutting in an expans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