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34B1 - 밀봉된 절연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된 절연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34B1
KR102397134B1 KR1020177000884A KR20177000884A KR102397134B1 KR 102397134 B1 KR102397134 B1 KR 102397134B1 KR 1020177000884 A KR1020177000884 A KR 1020177000884A KR 20177000884 A KR20177000884 A KR 20177000884A KR 102397134 B1 KR102397134 B1 KR 10239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trip
thermal insulator
reinforcing mat
tank
insula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833A (ko
Inventor
모하메드 사씨
마티외 웡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17002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17C2203/0333Polyureth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14Single wall
    • F17C2203/0624Single wall with four or mor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31Three or mor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17C2203/0663Synthetics in form of fibers or fila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1Improving str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절연 베리어, 이차 밀봉 멤브레인 및 일차 절연 베리어가 기본적으로 지지 구조체 상에 나란히 놓인 한 세트의 조립식 패널(54)로 이루어 밀봉 절연 탱크를 개시한다. 조립식 패널들 사이에 이차 밀봉 멤브레인을 완성하기 위하여 밀봉 스트립이 조립식 패널(54)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인접한 에지 구역(59)에 중첩하도록 밀봉 스트립(65)은 배치된다. 밀봉 스트립 상에 배치된 절연 블록(66)은 강성 보드(68)로 덮여진 열 절연체 층(67) 및 보강 매트(1)를 갖되, 보강 매트는 밀봉 스트립의 긴장 하에서의 강도보다 크거나 동일한 긴장 하에서의 강도를 갖고 또한 강성 보드(68) 반대쪽의 열 절연체 층의 면 상의 열 절연체 층에 접착되며, 보강 매트(1)를 하부 밀봉 스트립(65)에 접착시킴에 의하여 절연 블록은 조립식 패널에 언제나 고정된다.

Description

밀봉된 절연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SEALED INSULATING T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가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밀봉된 절연 탱크, 특히 액화 가스, 특히 대기압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한 탱크에 관한 것이다.
지지 구조체 상에 고정된 탱크 벽을 갖는 밀봉된 절연 탱크가 특히 FR-A-2781557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이 절연 탱크 내에서 탱크 벽은 연속적으로 탱크 내에 담겨진 제품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일차 밀봉 멤브레인, 일차 절연 베리어, 이차 밀봉 멤브레인 그리고 이차 절연 베리어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다.
이차 절연 베리어, 이차 밀봉 멤브레인 그리고 일차 절연 베리어는 기본적으로 지지 구조체 상에 고정된 한 세트의 조립식 패널로 이루어지며, 각 조립식 패널은 연속적으로 강성 베이스 보드, 베이스 보드에 의하여 지지되며(carried by) 그리고 베이스 보드와 함께 제2 절연 베리어의 요소를 형성하는 제1 열 절연체 층, 제1 열 절연체 층을 완전하게 덮으며 제1 열 절연체 층에 접착되고 그리고 제2 밀봉 멤브레인의 요소를 형성하는 누설밀봉 라이닝, 제1 층의 그리고 누설밀봉 라이닝의 중앙 구역을 덮는 제2 열 절연체 층 및 제2 열 절연체 층을 덮으며 그리고 제2 열 절연체 층과 함께 일차 절연 베리어의 요소를 형성하는 강성 커버 보드를 포함한다.
조립식 패널의 베이스 보드, 제1 열 절연체 층 그리고 누설밀봉 라이닝은 제1 사각형 윤곽을 갖는 반면에, 제2 열 절연체 층과 커버 보드는 제1 사각형 윤곽보다 작은 크기의 제2 사각형 윤곽을 가지며, 그 결과 제2 열 절연체 층과 커버 보드는 제1 사각 윤곽의 4개의 에지를 따라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을 덮지 않는다.
조립식 패널은 지지 구조체 상에 서로 평행하게 나란하게 놓여지며 따라서 제1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은 언제나 제2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에 인접한다.
탱크의 벽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층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제조된 밀봉 스트립을 더 가지며, 밀봉 스트립은 그들이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인접하는 에지 구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조립식 패널들 사이에 이차 밀봉 멤브레인을 완성하기 위하여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에 누설 밀봉적으로 접착된다.
탱크의 벽은 밀봉 스트립 상에 배치된 절연 블록을 더 가지며, 2개의 조립식 패널 간에 일차 절연 베리어를 완성하기 위하여 절연 블록은 언제나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의 제2 열 절연체 층들 사이에 배치되고, 절연 블록은 강성 보드로 덮혀진 열 절연체 층을 가지며, 그 결과 절연 블록의 강성 보드와 조립식 패널의 커버 보드는 일차 밀봉 멤브레인을 지지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벽을 형성한다.
EP-A-0248721 는 유사한 구조의 열적 절연 벽 구조체를 설명하며, 이 벽 구조체에서 강성 절연 다공질 재료로 제조된 삽입 패킹이 2개의 인접한 샌드위치 패널 사이의 갭을 채운다. 이 삽입된 패킹은 이차 밀봉 베리어를 형성하는 조인트 커버 스트립으로 덮여지며 그리고 이 조인트 커버 스트립에 접착된다. 블록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조인트 커버 스트립에 접착된 삽입 블록은 조인트 커버 스트립에 인접한 외부 면 상에서 외부 면에 접착된 유리 섬유 직물로 덮여진다. 샌드위치 패널들의 숄더(shoulder)에 의하여 그리고 삽입 패킹에 의하여 형성된 베이스에 대하여 블록이 접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또한 삽입 패킹을 덮는 조인트 커버 스트립의 중앙 부분에서 블록의 유리 섬유 직물은 조인트 커버 스트립에 접착된다.
위에서 언급된 형태의 탱크에서, 탱크가 LNG와 같은 매우 차가운 액체로 채워질 때 그리고 역으로 실온으로의 복귀를 수반하는 탱크가 비워질 때 탱크 벽에 영향을 주는 온도 변화로 인하여 모든 구성 요소에서 변형이 일어난다. 탱크의 수명 동안 시간이 지나면서 반복하는 이러한 열적 수축 및 팽창 효과에 더하여, 선박의 탱크는 해상에 있을 때 선박의 선체의 변형에 의하여 야기된 힘을 또한 받는다. 이는 구성 요소의 피로 현상을 야기하며, 이는 어떠한 파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한 아이디어는 위에서 언급된 형태의 탱크의 이차 밀봉 멤브레인의, 특히 밀봉 스트립이 조립식 패널의 에지 구역과 중첩하도록 밀봉 스트립의 영역 내에서의 피로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의 유연성, 즉 파손되지 않고 굴곡(wave)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지는 재료의 능력 때문에, 밀봉 스트립은 특히 탱크의 수명 동안 변형을 받는다.
이를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 블록은 중합체 수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유리섬유 층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로 제조된 보강 매트를 갖되, 이 보강 매트는 밀봉 스트립의 긴장 하에서의 강도보다 크거나 같은 긴장 하에서의 강도를 가지며, 보강 매트는 강성 보드 반대쪽의 열 절연체 층의 면 상의 열 절연체 층에 접착되며 그리고 보강 매트를 하부 밀봉 스트립에 접착함에 의하여 절연 블록은 언제나 조립식 패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서 언급된 형태의 탱크를 제공한다.
이 특징에 의하여, 이차 멤브레인의 피로강도가 증가될 수 있는 반면에, 패널들 간의 유연한 매트로서의 밀봉 스트립을 보호하며, 이는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으로의 밀봉 스트립의 접착의 신뢰성 및 밀봉 효과에 이점을 가지며 그리고 필요할 때 열적으로 유발된 이동에 응답하여 이차 멤브레인이 이동하는 능력에 이점을 갖는다.
보강 매트가 밀봉 스트립의 긴장 하에서의 강도보다 크거나 같은 긴장 하에서의 강도를 갖는 복합 재료로 제조된다는 점 그리고 보강 매트가 중합체 수지로 함침된 섬유층을 포함한다는 점으로 인하여 선박이 바다에 있을 때 지지 구조체의 열수축 및/또는 변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탱크 벽과 평행하게 발생하는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섬유 복합 재료의 선택은 보강 매트에 의하여 발생된 열 응력을 제한한다.
보강 매트의 긴장 하에서의 강도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보강 매트의 하기 특성이 특히 선택될 수 있다.
- 중합체 수지의 형태, 마지막 상태에서의 영률(Young's modulus).
- 섬유의 형태와 직경.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탱크는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보강 스트립의 다른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열 팽창 계수이며, 이는 섬유, 예를 들어 유리 섬유, 카본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선택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보강 스트립을 위한 다른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은 양호한 접착력이며, 이는 특히 수지의 선택에 의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 수지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폭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편, 필요한 특정 열 처리를 받지 않는 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확실하게 접착하기 더 어렵다.
보강 매트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23℃에서 측정된 열 팽창 계수(α)와 긴장 하에서의 영률(E)을 가져 하기 조건은 이 제품을 위하여 정확하다.
Figure 112017003419122-pct00001
한 예로서, 트리플렉스(Triplex®) (Eㆍα~88000)와 같은 유연한 복합 재료가 보강 매트를 위하여 적합하다. 약 106PaK-1보다 더 큰 값을 위하여, 예를 들어 금속 시트의 경우, 냉각 동안의 재료 내의 열 변형은 너무 클 것이다. 약 7ㆍ104PaK-1보다 더 낮은 값을 위하여, 예를 들어 합판(Eㆍα~48000)의 경우, 강도는 유연한 매트 형태의 밀봉 스트립을 효과적으로 보강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NF EN ISO 1421 방법에 따라 결정된 또는 신장계를 사용하여 결정된, 긴장 (tension) 하에서의 영률은 보강 매트의 긴장 하에서의 강성률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의 사실상 제로 분산을 갖기 위하여 열 수축 계수(α)는 인바(invar) 프레임 상에 장착된 광학 시스템 또는 비교 시스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밀봉 스트립의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는 층의 성분, 개수 및 배치 면에서 다른 방식으로, 특히 하나 이상의 금속 층과 하나 이상의 섬유 층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스트립은 2개의 유리 섬유 층 사이에 끼워진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금속 시트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2개의 유리 섬유 층은 유연한 중합체 수지,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우레탄에 의하여 금속 시트에 결속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매트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층에 결속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예를 들어 밀봉 스트립과 동일한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제조된다. 밀봉 스트립과 보강 매트의 동일한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의 사용은 재료의 공급 및 품질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은 2개의 유리 섬유층 사이에 끼워진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휨적으로 강성의 복합 적층 재료로 제조되며, 2개의 유리 섬유층은 경질 폴리머 수지로 함침된다. 금속 시트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스트립보다 긴장 하에서 더 단단한 재료로 제조된다. 이를 위하여, 경질 폴리머 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폭시 및 그의 혼합물로 함침된 섬유층을 포함하는, 휨적으로 단단한 복합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밀봉 스트립의 유연한 누설밀봉 매트보다 긴장 하에서 더 단단한 재료의 사용은 선박이 바다에 있을 때 지지 구조체의 열 수축 및/변형에 의하여 탱크 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발생하는 인장력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단단한 복합 적층 재료는 누설밀봉 라이닝 그리고 보강 매트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재료의 공급 및 품질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 벽은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의 제1열 절연체 층들 사이에 위치된 갭 및 갭 내에 배치된 재료의 차단 스트립을 가지며, 조립식 패널들 간의 이차 밀봉 멤브레인을 완성하는 밀봉 스트립은 재료의 차단 스트립 위에서 갭을 연결하는 중앙부를 갖되, 밀봉 스트립의 중앙부는 재료의 차단 스트립에 접착되지 않으며, 그리고 보강 매트는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을 덮으면서 그리고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에 접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바다에 있을 때 선박의 열 수축 및/또는 변형에 의하여 야기된 변위를 흡수하기 위하여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은 더 큰 유연성 그리고 더 큰 유동성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착성 재료의 중앙 패드는 유연한 밀봉 매트에 또는 보강 매트에 고정될 수 있다. 패드는 다른 방식으로, 특히 양면 접착제에 의하여 또는 접착 스트립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는 다른 재료,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멜라민 류의 유연한 폼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응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블록은 고정된 비접착성 재료로 제조된 중앙 패드를 더 가지며 따라서 절연 블록의 열 절연체 층 반대쪽의 보강 매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중앙 패드가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을 덮는 방식으로 절연 블록이 밀봉 스트립 상에 배치된다.
다른 대응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스트립은 고정된 비접착성 재료로 제조된 중앙 패드를 더 가지며 따라서 절연 블록을 향하는 밀봉 스트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보강 매트의 중앙 부분이 중앙 패드에 접착되지 않고 중앙 패드를 덮는 방식으로 절연 블록이 밀봉 스트립 상에 배치된다.
다른 재료가 조립식 패널의 그리고 절연 블록의 열 절연체 층에 적합할 수 있다. 저온에 대한 저항 그리고 낮은 전도도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폼이 특히 적절한 재료이다. 폴리우레탄 폼은 바람직하게는 매립 섬유, 예를 들어 유리 섬유로 보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열 절연체 층은 130kg/m3보다 큰, 예를 들어 130 내지 210kg/m3의 밀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절연 베리어의 강성 및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는 예를 들어 LNG를 저장하기 위한 또는 해안 구역 내 또는 심해에서의 부유 구조체, 특히 LNG 운반선, 부유식 가스 저장 및 재기화 설비(FSRU),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및 하역 설비(FPSO) 등에 설치될 육상 저장 설비의 부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가운 액체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은 이중 선체 및 이중 선체 내에 배치된 위에서 언급된 탱크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차가운 유체 제품이 절연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에서 선박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에서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 운반되는, 선박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가운 액체 제품을 위한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시스템은 선박의 선체에 설치된 탱크를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에 연결하기 위하여 배치된 위에서 언급된 선박 절연 파이프라인 및 절연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에서 선박의 탱크로의 또는 선박의 탱크에서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의 차가운 액체 제품의 흐름을 강제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밀봉 절연 탱크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연속적으로 강성 베이스 보드, 베이스 보드에 의하여 받쳐지고 그리고 베이스 보드와 함께 이차 절연 베리어의 요소를 형성하는 제1 열 절연체 층, 제1 열 절연체 층을 완전하게 덮으며 제1 열 절연체 층에 접착되고 그리고 이차 밀봉 멤브레인의 요소를 형성하는 누설밀봉 라이닝, 제1 층의 중앙 영역과 누설밀봉 라이닝의 중앙 영역을 덮는 제2 열 절연체 층 및 제2 열 절연체 층을 덮으며 그리고 제2 열 절연체 층과 함께 일차 절연 베리어의 요소를 형성하는 강성 커버 보드를 각각 포함하는 한 세트의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 것; 제1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이 언제나 제2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에 인접하는 방식으로 조립식 패널들을 지지 구조체 상에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하고 그리고 고정하는 것; 밀봉 스트립이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에 인접하도록 밀봉 스트립을 배치하는 것; 절연 블록, 열 절연체 층을 갖는 절연 패널, 열 절연체 층의 상부 면에 고정된 강성 보드 그리고 중합체 수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2개의 유리섬유층 사이에 끼워진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 적층 재료로 제조된 보강 매트를 제공하는 것; 2개의 조립식 패널 사이에 일차 절연 베리어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절연 블록의 강성 보드와 조립식 패널의 커버 보드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지지 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인접 조립식 패널들의 제2 열 절연체 층들 사이에 언제나 배치된 절연 블록을 밀봉 스트립 상에 배치하는 것; 절연 블록의 보강 매트를 하부 밀봉 스트립에 접착함에 의하여 조립식 패널에 절연 블록을 고정하는 것; 및 일차 밀봉 멤브레인을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지지 벽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조립식 패널의 베이스 보드, 제1 열 절연체 층 및 누설밀봉 라이닝은 제1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 반면에, 제2 열 절연체 층 및 커버 보드는 제1 직사각형 윤곽보다는 작은 규격의 제2 직사각형 윤곽을 가져 그 결과 제2 열 절연체 층과 커버 보드는 제1 직사각형 윤곽의 4개의 에지를 따라서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영역을 덮지 않으며, 밀봉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층에 결속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면서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에 밀봉 스트립을 누설밀봉적으로 접착시키는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제조되고, 보강 매트는 밀봉 스트립의 긴장 하에서의 강도보다 크거나 동일한 장력 하에서의 강도를 가지며, 보강 매트는 강성 보드 반대쪽의 열 절연체 층의 하부면에 접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의 제1 열 절연체 층 사이에 위치된 갭 내에 재료의 차단 스트립을 위치시키는 것; 재료의 차단 스트립 상에서 갭을 연결하는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을 재료의 차단 스트립에 접착시키지 않고 조립식 패널 간에 이차 밀봉 스트립을 완성하는 밀봉 스트립을 배치시키는 것; 그리고 보강 매트의 중앙 부분을 밀봉 스트립에 접착시킴 없이 보강 매트를 갖는 절연 블록을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블록의 열 절연체 층 반대쪽의 보강 매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절연 블록은 고정된 비접착성 재료로 제조된 중앙 패드를 더 가지며, 본 방법은 중앙 패드를 접착시키지 않고 중앙 패드의 측부 상에 절연 블록의 보강 매트를 접착하는 단계 그리고 중앙 부분에 접착시키지 않고 중앙 패드가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을 덮는 방식으로 밀봉 스트립 상에 절연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블록을 향하는 밀봉 스트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밀봉 스트립은 고정된 비접착성 재료로 제조된 중앙 패드를 더 가지며, 본 방법은 중앙 패드를 접착시키지 않고 중앙 패드의 측부 상에 밀봉 스트립을 접착하는 단계 그리고 중앙 패드에 접착시키지 않고 보강 매트의 중앙 부분이 중앙 패드를 덮는 방식으로 밀봉 스트립 상에 절연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주어진 그리고 제한없이 암시하는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적인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 과정에서 본 발명이 더욱 잘 이해될 것이고, 그리고 그 이외의 목적, 세부 사항, 특징 및 장점은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탱크 벽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2개의 조립식 패널 간의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도 1의 탱크 벽의 구역의 평면 분해도.
도 3은 조립된 상태의 탱크 벽의 구역을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4는 2개의 조립식 패널 간의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벽의 구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5는 절연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위한, 다수의 냉각/가열 사이클의 함수로서의 이차 멤브레인의 파괴 변형을 도시한 피로 곡선도.
도 6은 이 탱크를 적재/하역하기 위한 LNG 운반선 탱크와 터미널의 개략적인 절단 도면.
도 1을 참고하여, 이차 절연 베리어, 이차 실링 멤브레인 그리고 일차 절연 베리어가 조립식 패널(54)로 이루어진 탱크 벽의 실시예가 이제 설명된다.
이러한 벽 구조는 실질적으로 다면체의 모든 벽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상에", "위에", "상부" 그리고 "높다"는 일반적으로 탱크 내부를 향하여 위치된 위치를 언급하며 따라서 지구의 중력장 내에서 높다는 개념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동일하게, 용어 "아래에", "밑에", "하부" 그리고 "낮다"는 일반적으로 탱크 외부를 향하여 위치된 위치를 언급하며 따라서 지구의 중력장 내에서 낮다는 개념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조립식 패널(54)은 반복된 패턴에 따라 나란한 형태로 지지 구조체에 고정된다. 각 패널(54)은 이차 절연 베리어(51), 이차 누설밀봉 베리어의 요소 그리고 일차 절연 베리어(53)의 요소를 갖는다.
패널(54)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패널은 제1 열 절연체 층(56)으로 둘러싸인 9㎜ 두께의 합판의 제1 보드(5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열 절연체 층은 그 자체가 0.07㎜ 두께의 알루미늄 시트를 포함하는 강성 누설밀봉 라이닝(52)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리고 이 알루미늄 시트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함침된 2개의 유리섬유 부재 사이에 끼워져 있다. 누설 밀봉 라이닝(52)은 예를 들어 2-성분 폴리우레탄 접착제(two-component polyurethane glue)의 도움으로 열 절연체 층(56)에 접착된다.
제2 열 절연체 층(57)은 누설밀봉 라이닝(52)에 접착되며 그리고 그 자체가 제2의 12㎜ 두께의 합판 보드를 지니고 있다. 서브-조립체(55-56)는 이차 절연 베리어 요소(51)를 형성한다. 서브-조립체(57-58)는 일차 절연 베리어 요소(53)를 형성하며, 그리고 평면도에서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또한 그의 측부는 이차 절연 베리어(51)와 평행하다. 평면도에서, 2개의 절연 베리어 요소는 동일한 중심을 갖는 2개의 직사각형을 형태를 갖는다. 요소(53)는 전체 요소(53) 주변의 누설밀봉 라이닝(52)의 주연 에지 표면(59)을 덮지 않고 남겨둔다. 누설밀봉 라이닝(52)은 이차 밀봉 멤브레인 요소(52)를 형성한다.
방금 설명된 패널(54)은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사전 제조될 수 있으며, 그의 다른 구성 요소는 위에서 지시된 배치 상태로 서로 접착된다. 따라서 이 조립체는 이차 절연 베리어와 일차 절연 베리어를 형성한다. 열 절연체 층(56 및 57)은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허니콤(honeycomb)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폼을 보강하기 위하여 유리 섬유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폼 내에 매립된다.
패널(54)을 지지 구조체(9)에 고정하기 위하여, 패널의 2개의 길이 방향 에지에 걸쳐 규칙적으로 분산된 구멍(60)들이 제공되어 공지된 기술에 따라 지지 구조체(99)에 고정된 핀과 상호 작용한다.
특히 선박의 경우에, 단순히 제조 부정확성의 결과로서 지지 구조체를 위하여 제공된 이론적인 표면에 대하여 지지 구조체(9)는 변동을 갖는다. 공지된 방식에서, 이 변동은 지지 구조체에 대하여 중합 가능한 수지의 비드를 통하여 패널(54)을 도포시킴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으며, 이 중합 가능한 수지는 불완전한 지지 구조체 표면으로부터 제2 보드(58)를 갖는 인접한 패널(54)로 이루어진 클래딩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2 보드는 전체로서 원하는 이론적 표면에 관하여 사실상 변동을 갖지 않은 표면을 한정한다.
구멍(60)은 그 내부에 열 절연 재료(62)의 플러그를 삽입함에 의하여 채워지며, 이 플러그는 패널(54)의 제1 열 절연체 층(56)의 높이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갭 내로 삽입된, 예를 들어 플라스틱 폼 또는 유리 솜의 시트로 이루어진 열 절연 재료(63)가 2개의 인접한 패널(54)의 요소(51)들을 분리하는 갭 내에 더 위치될 수 있다.
연속적인 2차 밀봉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연한 누설밀봉 스트립(65)이 2개의 인접한 패널(54)의 인접한 주변 에지(59)들 상에 위치되며, 그리고 각 구멍(60)에 직각으로 위치된 천공을 차단하기 위하여 그리고 2개의 패널(54) 간의 갭을 덮기 위하여 누설밀봉 스트립(65)이 주변 에지(59)에 접착되어 있다. 누설밀봉 스트립(65)은 트리플렉스(Triplex®)로 불리는 유연한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며 3개의 층을 갖는다; 2개의 외부 층은 유리 섬유 직물의 부재이며, 중간층은, 예를 들어 약 0.1㎜ 두께의 알루미늄 시트의 얇은 금속 시트이다. 이 금속 시트는 이차 밀봉 멤브레인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알루미늄 시트와 유리 섬유 간의 결합 재료의 유연한 특성으로 인하여, 굽어질 때 누설밀봉 스트립의 유연성은 탱크의 팽창 또는 냉각에서의 선체의 변형에 의하여 야기된 패널(54)의 변형을 뒤따르는 것을 허용한다. 굽어질 때의 유연성은 파손되지 않고 파형을 형성하도록 굽어지는 재료의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주변 에지(59)에 수직으로 함몰 구역이 2개의 패널(54)의 요소(53) 사이에 존재하며, 이 함몰부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일차 절연 베리어의 두께이다. 동일하다. 내부에 절연 블록(66)을 위치시킴에 의하여 이 함몰 구역은 채워지며, 여기서 절연 블록은 절연 블록(66)의 상부 표면 상에서 강성의 합판 보드(68)로 그리고 절연 블록(66)의 하부 표면 상에서 보강 매트로 덮여진 열 절연체 층(67)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보강 매트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절연 블록이 2개의 인접한 패널(54)의 주변 에지(59) 위에 위치된 모든 영역을 채우도록 절연 블록(66)은 치수를 갖는다. 절연 블록(66)은 누설밀봉 스트립(65)에 접착된다. 절연 블록이 제자리에 놓여진 후, 보드(68)는 2개의 인접한 패널(54)의 보드(58)들 간의 상대적인 연속성을 보장하여 일치 밀봉 멤브레인을 지지한다.
이 절연 블록(66)은 2개의 인접한 패널(54)의 2개의 요소(53) 간의 거리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그리고 더 큰 길이 또는 더 적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2개의 인접한 패널(54) 간의 약간의 미스얼라인먼트가 있는 경우에 짧은 길이는 더 쉽게 위치하게 한다. 블록(66)은 누설밀봉 스트립(65)에 접착되고 이에 대하여 눌려진다.
탱크 벽의 평면의 양 방향으로 충분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일차 밀봉 멤브레인은 주름진 금속 시트(69)의 멤브레인으로부터 형성되며, 여기서 이 금속 시트는 2개의 일련의 교차 파도 형상(intersecting undulations)을 갖는다.
도 1에서, 절연 블록(66), 누설밀봉 스트립(65) 그리고 열 절연 재료(62, 63)는 분리 도면 형태로 도시되며,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최종 조립 상태에서 탱크 벽의 실제 위치 위에 나타난다. 이들 요소의 최종 위치는 이하에서 설명될 도 3에서 더 잘 보여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2개의 조립식 패널(54) 간의 결합 영역 내에서의 탱크 벽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최종 위치에서 지지 구조체(99) 상단에 고정된 2개의 조립식 패널(54)을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반면에, 절연 블록(66), 절연 블록(66)의 보강 매트(1) 그리고 누설밀봉 스트립(65)은 그들의 최종 위치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된다. 도 3은 최종 조립 위치에 있는 모든 요소들을 도시한다. 더 큰 가시성의 목적을 위하여 누설밀봉 라이닝(52), 누설밀봉 스트립(65), 보강 매트(1) 그리고 대응하는 접착제 층의 두께는 과장되었다.
보강 매트(1)는 접착제 층(3)에 의하여 열 절연체 층(67)의 하부 표면(2)의 상단에 접착된다. 제조 단계 전에 이 접착제는 도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미 보강 매트(1)를 갖고 있는 절연 블록(66)이 탱크가 조립되는 현장에 공급될 수 있다. 접착제는, 예를 들어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이다.
조립 방법은 다음과 같다:
- 2개의 조립식 패널(54)의 누설밀봉 라이닝(52)의 주변 에지 표면(59) 상에 접착제층(4)이 배치된다.
- 그후 누설밀봉 스트립(65)이 접착제 층(4) 상으로 올려지고 그리고 접착제가 굳어질 때까지 누설밀봉 스트립이 눌려진다. 접착제(4)는, 예를 들어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이다. 도 3에서 보여질 수 있는 누설밀봉 스트립(65)은 그의 하부 표면의 중앙부(6)의 영역(2개의 패널(54) 간의 갭을 연결하며, 이 갭은 약 30㎜로 측정됨)에서는 접착되지 않는다.
- 제2 접착제층(5)이 그후 절연 블록(66)의 보강 매트(1)의 하부 표면 또는 누설밀봉 스트립(65)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 마지막으로, 절연 블록(66)은 누설밀봉 스트립(65)의 상부 표면에 놓여지고 그리고 접착제(5)가 굳어질 때까지 눌려진다.
접착제(5)는, 예를 들어 비교적 점성이 있는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이며, 보강 매트(1)의 표면 불균일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이는 비교적 두꺼운 층이 도포되는 것을 허용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얇은 그리고 비교적 취약한 재료로 이루어진 일차 밀봉 멤브레인(69)을 균일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강성 보드(68 및 58) 전체가 매우 평평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실제로 중요하다.
누설밀봉 스트립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음에 의하여 그 중앙 부분(6)의 탄성 및 유동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접착제 층(5)은 바람직하게는 누설밀봉 스트립(65)의 중앙 부분(6)에 직교적으로 도포되지 않는다.
도 4는 2개의 조립식 패널(54) 간의 접합부 영역에서의 탱크 벽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절연 블록은 변형되어 접착제 층(5)은 누설밀봉 스트립(65)의 중앙 부분(5)에 직교적으로 도포되지 않는다. 이전 실시예에서의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4에서, 절연 블록(66)은 부가적으로 비접착성 패드(10)를 가지며, 이 패드는 예를 들어 중합체 폼 또는 두꺼운 종이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누설밀봉 스트립(65)의 중앙 부분(6)을 덮도록 의도된 절연 블록(66)의 중심선 영역에서 보강 매트(1)의 하부 표면에 접착된다. 패드(10)는 다른 방식, 예를 들어 접착제(11)의 선 또는 양면 스카치 테이프에 의하여 또는 패드(10)에 접착제 스트립을 제공함에 의하여 보강 매트(1)에 접착될 수 있다. 탱크의 조립 현장에 수행될 필요가 있는 공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패드(10)는 또한 이전 제조 단계에서 조립될 수 있다.
탱크 벽에 절연 블록(66)을 고정하기 위하여, 비접착성 패드(10)의 일 측 상에서 비접착성 패드(1)에 어떠한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접착제 층(5)이 보강 매트(1)의 하부 표면에 도포된다. 따라서 최종 조립이 완료되면, 누설밀봉 스트립(65)의 중앙부(6)의 상부 표면은 비접착성 패드(10)와 접촉하지만, 이에 접착되지는 않으며, 열적으로 발생된 변위를 흡수하기 위하여 이는 그의 유연성과 유동성에 도움을 준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대안적인 구조를 구성하는 실시예에서, 패드(10)는 보강 매트(1)에 고정되지 않고, 이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양면 스카치 테이프 또는 접착제 스트립으로 유연한 매트(65)에 고정된다.
탱크 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예로서 설명될 것이며 그리고 그의 기계적인 피로-저항 특성이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탱크 벽의 평균 수명의 함수로서 킬로뉴턴(kN)으로 표현된, 냉각시 긴장 상태 하에서 평균 사이클 수로서 표현된 누설밀봉 스트립(65)의 파괴 변형(breaking strain)을 도시한다.
실시예 1
열 절연체 층(56, 57 및 67)은 130kg/m3 밀도의, 유리 섬유로 보강된 폴리우레탄 폼이다. 일차 절연 베리어의 두께는 150㎜이다. 이차 절연 베리어의 두께는 250㎜다. 이차 멤브레인의 서비스 온도(service temperature)는 약 -80℃이다.
누설밀봉 스트립(65)은 허친슨 컴패니에서 공급된, 0.6㎜의 동일한 두께를 갖는 유연한 트리플렉스(Triplex®)(알루미늄, 수지, 유리 섬유)이다. 이 스트립의 폭은 약 250㎜이다. 긴장 하에서의 그의 영률은 E=10 GPa 이며, 23℃에서의 열팽창 계수는α=0.9*10-5K-1이다. 23℃에서 측정된 인장 항복 변형은 약 210 MPa이다. 유연성으로 인하여 이 재료는 보통 롤 형태로 포장된다.
접착제(4)는 참고번호 XPU 18411 A/3B로 보스틱 컴패니에 의하여 공급된 2-성분 폴리우레탄 접착제이다.
보강 매트(1)는 한국컴패니에서 공급된 0.6㎜ 두께를 갖는 강성 트리플렉스(알루미늄, 유리섬유 폴리아미드 수지)이다. 인장 하에서의 그의 영률은 E=15 GPa 이며, 23℃에서의 열팽창 계수는 α=10-5K-1이다. 23℃에서 측정된 인장 항복 변형은 약 210 MPa이다. 보강 매트(1)의 중앙 부분 또한 누설밀봉 스트립(65)에 접착된다. 상대적인 단단함 때문에 이 재료는 흔히 평평한 패널 형태로 포장된다.
접착제(3)는 참고번호 마크로플래스트 8202/5400으로 헨켈 컴패니에 의하여 공급된 2-성분 폴리우레탄 접착제이다.
접착제(5)는 참고번호 UAE 100/300으로 유니트크 컴패니에 의하여 공급된 에폭시 수지이다.
내구성 테스트가 실온과 LNG 온도(162℃) 사이에서 일련의 냉각/가열 사이클 형태로 수행된다. 도 5의 선 12에 의하여 도시된 기준 변형 임계치를 초과하기 전에 누설밀봉 스트립(65)은 7,000 사이클 동안 유지된다. 이 임계치는 절연 조립체의 재료의 파괴에 대응한다.
도 5의 곡선 14는 누설밀봉 스트립(65)의 평균 피로 곡선이다.
더욱이, 이 구성에서, 서비스 온도에서의 탱크 벽의 디지털 시뮬레이션은 약 63MPa의 누설밀봉 스트립(65) 내의 인장 변형을 예상하며, 이는 200MPa에 근접한 유연한 트리플렉스®의 파괴 변형보다 현저하게 낮다.
비교예 1
보강 매트(1)와 접착제층(3)이 제거되었다. 그외, 실시예 1에서의 데이터가 반복된다. 도 5의 선 12에 의하여 도시된 기준 변형 임계치를 초과하기 전에 누설밀봉 스트립(65)은 35,000 사이클 동안 유지된다.
도 5의 곡선 15는 비교예 1의 보외법(extrapolation)으부터 기인된 누설밀봉 스트립(65)에 대한 평균 피로 곡선이다.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누설밀봉 스트립(65)의 수명은 실험예 1에서 얻어진 수명의 50% 미만이다.
더욱이, 이 구성에서, 서비스 온도에서의 탱크 벽의 디지털 시뮬레이션은 약 117MPa의 누설밀봉 스트립(65) 내의 인장 변형을 예상한다.
실시예 2
보강층(1)은 허친슨 컴패니에 의하여 공급된 0.6㎜ 두께의 유연한 트리플렉스® (알루미늄, 유리 섬유)이다. 긴장 하에서의 그의 영률은 E=10 GPa이며, 23℃에서의 열팽창 계수는 α=0.9ㆍ10-5K-1이다. 23℃에서 측정된 인장 항복 변형은 약 200 MPa이다.
그외, 실시예 1로부터의 데이터가 반복된다.
서비스 온도에서의 탱크 벽의 디지털 시뮬레이션은 약 74MPa의 누설밀봉 스트립(65) 내의 인장 변형을 예상하며, 이는 200MPa에 근접한 유연한 트리플렉스®의 파괴 변형보다 현저하게 낮다.
탱크 벽을 제조하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된 기술은 다른 형태의 격납 용기(containment) 내에서, 예를 들어 육상 설비 내 또는 LNG 운반선 등과 같은 부유 구조체 내에 LNG 격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LNG 운반선(70)의 절단면도는 선박의 이중 선체(72) 내의 일반적인 프리즘 형상을 갖는 누설밀봉 절연 탱크(71)를 도시하고 있다. 탱크(71)의 벽은 탱크 내에 수용된 LNG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일차 누설밀봉 멤브레인, 선박의 이중 선체(72)와 일차 누설밀봉 멤브레인 간에 배치된 이차 누설밀봉 멤브레인 및 일차 누설밀봉 멤브레인과 이차 누설밀봉 멤브레인 그리고 이중 선체(72) 사이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절연 베리어를 갖는다.
LNG 화물을 탱크(71)로부터 또는 탱크에서 운송하기 위하여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선박의 상부 갑판에 배치된 적재/하역 파이프라인(73)이 적절한 컨넥터에 의하여 해상 또는 항만 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적재 및 하역 스테이션(75), 해저 파이프(76) 그리고 육상 설비(77)를 갖는 해양 터미널의 예를 도시한다. 적재 및 하역 스테이션(75)은 이동 가능한 아암(74) 그리고 이동 가능한 아암(74)을 지지하는 타워(78)를 갖는, 고정된 연안 설비이다. 이동 가능한 아암(74)은 일단의 절연된 유연한 호스(79)들을 가지며, 이 호스는 적재/하역 파이프라인(73)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이동 가능한 아암(74)은 모든 칫수의 LNG 운반선의 치수에 맞추어질 수 있다. 연결 파이프(도시되지 않음)는 타워(78) 내로 나아간다. 적재 및 하역 스테이션(75)은 육상 설비(77)로부터의 또는 육상 설비로 LNG 운반선(70)을 적재 및 하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육상 설비는 액화가스(80)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및 해저 파이프(76)에 의하여 적재 또는 하역 스테이션(75)에 연결된 연결 파이프(81)를 갖는다. 해저 파이프(76)는 장거리, 예를 들어 5킬로미터에 걸쳐 적재 또는 하역 설비(75)와 육상 설비(77) 간의 액화 가스의 운송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적재 및 하역 작업 동안에 LNG 운반선(70)을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액화 가스를 운반에 요구되는 압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박(70) 선상의 펌프 및/또는 육상 설비(77)가 구비하고 있는 펌프 및/또는 적재 및 하역 스테이션이 구비하고 있는 펌프가 사용된다.
비록 본 발명이 다수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이 설명된 수단의 모든 기술적 등가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은 물론 명백하다.
동사 "갖는", "포함한" 또는 "구비한" 그리고 그들의 활용형은 청구범위에 언급된 것 이외의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또는 단계를 위한 부정 관사의 사용은 이러한 다수의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내의 도면 부호는 청구범위에 제한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6)

  1. 지지 구조체(99) 상에 고정되고 다층 구조체를 갖는 탱크 벽을 갖되, 다층 구조체는 탱크 내에 수용된 제품과 접촉되도록 의도된 일차 밀봉 멤브레인(69), 일차 절연 베리어, 이차 밀봉 멤브레인 및 이차 절연 베리어를 연속적으로 포함하고,
    이차 절연 베리어, 이차 밀봉 멤브레인 및 일차 절연 베리어는 기본적으로 지지 구조체에 고정된 한 세트의 조립식 패널(54)로 이루어지되, 각 조립식 패널은 연속적으로 강성 베이스 보드(55); 베이스 보드에 의하여 받쳐지고 베이스 보드와 함께 이차 절연 베리어의 요소를 형성하는 제1 열 절연체 층(56); 제1 열 절연체 층을 완전하게 덮으며 제1 열 절연체 층에 접착되고 이차 밀봉 멤브레인의 요소를 형성하는 누설밀봉 라이닝(52); 제1 층의 중앙 영역과 누설밀봉 라이닝의 중앙 영역을 덮는 제2 열 절연체 층(57); 및 제2 열 절연체 층을 덮으며 제2 열 절연체 층과 함께 일차 절연 베리어의 요소를 형성하는 강성 커버 보드(58)를 포함하며,
    조립식 패널의 베이스 보드, 제1 열 절연체 층 및 누설밀봉 라이닝은 제1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 반면에, 제2 열 절연체 층 및 커버 보드는 제1 직사각형 윤곽보다는 작은 규격의 제2 직사각형 윤곽을 가져 그 결과 제2 열 절연체 층과 커버 보드는 제1 직사각형 윤곽의 4개의 에지를 따라서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영역(59)을 덮지 않으며,
    조립식 패널들은 지지 구조체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놓여지며 따라서 제1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은 언제나 제2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에 인접하며,
    탱크의 벽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층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제조된 밀봉 스트립(65)을 더 포함하되, 밀봉 스트립은 조립식 패널(54)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인접하는 에지 구역(59)에 중첩하도록 배치되며 조립식 패널들 간의 이차 밀봉 멤브레인을 완성하기 위하여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52)에 누설밀봉적으로 접착되고,
    탱크의 벽은 밀봉 스트립 상에 배치된 절연 블록(66)을 더 포함하되,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들 사이에 일차 절연 베리어를 완성하기 위하여 절연 블록은 언제나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의 제2 열 절연체 층들 사이에 배치되며, 절연 블록은 강성 보드(68)로 덮여진 열 절연체 층(67)을 가지며 그 결과 절연 블록의 강성 보드와 조립식 패널의 커버 보드는 일차 밀봉 멤브레인을 지지할 수 있는 벽을 형성하며,
    절연 블록은 섬유층을 포함하는 편평한 보강 매트(1)를 가지되, 편평한 보강 매트는 강성 보드(68) 반대쪽의 열 절연체 층(67)의 편평한 면 상의 열 절연체 층에 접착되고, 편평한 보강 매트(1)를 하부 절연 스트립(65)에 접착함에 의하여 절연 블록은 언제나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에 고정되며, 편평한 보강 매트(1)는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에 중첩되고,
    편평한 보강 매트는 중합체 수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2개의 유리섬유 층 사이에 끼워진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 적층 재료로 이루어지고 편평한 보강 매트는 밀봉 스트립(65)의 장력 하에서의 강도보다 크거나 같은 장력 하에서의 강도를 갖는, 밀봉된 절연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편평한 보강 매트의 재료는 열 팽창 계수(α) 및 23℃에서 측정된 장력(E) 하에서의 영률(Young's modulus)을 가져 하기 조건이 제품에 해당되는, 밀봉된 절연 탱크.
    Figure 112021150797860-pct00002
  3. 제1항에 있어서, 편평한 보강 매트(1)를 형성하는 복합 적층 재료는 유연한, 밀봉된 절연 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편평한 보강 매트(1)를 형성하는 복합 적층 재료는 굽힘에 있어서 잘 휘어지지 않고, 유리 섬유층은 경질 중합체 수지로 함침된, 밀봉된 절연 탱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스트립(65)은 2개의 유리 섬유 층 사이에 끼워진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이루어지고,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52)은 2개의 유리 섬유 층 사이에 끼워진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이루어지되, 2개의 유리 섬유 층은 경질 중합체 수지에 함침되며, 편평한 보강 매트는 밀봉 스트립(65) 또는 누설밀봉 라이닝(52)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밀봉된 절연 탱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탱크 벽은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54)들의 제1 열 절연체 층들 사이에 위치된 갭 및 갭 내에 배치된 재료(63)의 차단 스트립을 가지며, 조립식 패널들 간의 이차 밀봉 멤브레인을 완성하는 밀봉 스트립(65)은 재료의 차단 스트립 위에서 갭을 연결하는 중앙부(6)를 갖되, 밀봉 스트립의 중앙부는 재료의 차단 스트립에 접착되지 않으며, 편평한 보강 매트(1)는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을 덮으면서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6)에 접착되지 않은, 밀봉된 절연 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절연 블록은 고정된 비접착성 재료로 제조된 중앙 패드(10)를 더 가지며 따라서 절연 블록의 열 절연체 층 반대쪽의 편평한 보강 매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절연 블록은 중앙 패드가 밀봉 스트립(65)의 중앙 부분(6)을 덮는 방식으로 밀봉 스트립 상에 배치된, 밀봉된 절연 탱크.
  8. 제6항에 있어서, 밀봉 스트립은 고정된 비접착성 재료로 제조된 중앙 패드(10)를 더 가지며 따라서 절연 블록을 향하는 밀봉 스트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절연 블록은 편평한 보강 매트(1)의 중앙 부분이 중앙 패드에 접착되지 않고 중앙 패드를 덮는 방식으로 밀봉 스트립 상에 배치된, 밀봉된 절연 탱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식 패널의 제1 열 절연체 층, 조립식 패널의 제2 열 절연체 층 및 절연 블록의 열 절연체 층은 130 kg/m3보다 큰 밀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조된, 밀봉된 절연 탱크.
  10. 이중 선체(72) 및 상기 이중 선체 내에 배치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된 절연 탱크(71)를 포함하는, 차가운 액체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70).
  11.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선박(70)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차가운 액체 제품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부터 선박(71)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로부터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 절연 파이프라인(73, 79, 76, 81)을 통하여 운반되는 방법.
  12.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선박(70), 선박의 선체 내에 설치된 탱크(71)를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77)에 연결시키도록 배치된 절연된 파이프라인(73, 79, 76, 81) 및 절연된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에서 선박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에서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 냉 액체 제품을 강제로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차가운 액체 제품을 위한 운송 시스템.
  13. 한 세트의 조립식 패널(54)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조립식 패널은 연속적으로 강성 베이스 보드(55); 베이스 보드에 의하여 받쳐지고 베이스 보드와 함께 이차 절연 베리어의 요소를 형성하는 제1 열 절연체 층(56), 제1 열 절연체 층을 완전하게 덮으며 제1 열 절연체 층에 접착되고 이차 밀봉 멤브레인의 요소를 형성하는 누설밀봉 라이닝(52), 제1 층의 중앙 영역과 누설밀봉 라이닝의 중앙 영역을 덮는 제2 열 절연체 층(57) 및 제2 열 절연체 층을 덮으며 제2 열 절연체 층과 함께 일차 절연 베리어의 요소를 형성하는 강성 커버 보드(58)를 각각 포함하고, 조립식 패널의 베이스 보드, 제1 열 절연체 층 및 누설밀봉 라이닝은 제1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 반면에, 제2 열 절연체 층 및 커버 보드는 제1 직사각형 윤곽보다는 작은 규격의 제2 직사각형 윤곽을 가져 그 결과 제2 열 절연체 층과 커버 보드는 제1 직사각형 윤곽의 4개의 에지를 따라서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영역(59)을 덮지 않는, 한 세트의 조립식 패널(54)을 제공하는 단계;
    제1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이 언제나 제2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에지 구역에 인접하는 방식으로 조립식 패널들을 지지 구조체(99) 상에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하고 고정하는 단계;
    밀봉 스트립이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의 인접하는 에지 구역에 중첩하도록 밀봉 스트립(65)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이차 밀봉 멤브레인을 조립식 패널들 사이에 완성하도록, 밀봉 스트립(65)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층에 결속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면서 조립식 패널의 누설밀봉 라이닝(52)에 밀봉 스트립(65)을 누설밀봉적으로 접착시키는 유연한 복합 적층 재료로 제조되는, 밀봉 스트립(65)을 배치하는 단계;
    절연 블록(66), 열 절연체 층(67)을 갖는 절연 패널, 열 절연체 층의 상부 면에 고정된 강성 보드(68) 그리고 강성 보드 반대쪽의 열 절연체 층의 편평한 하부면에 접착된 편평한 보강 매트(1)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편평한 보강 매트(1)는 중합체 수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2개의 유리섬유 층 사이에 끼워진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 적층 재료로 제조되며 편평한 보강 매트는 밀봉 스트립(65)의 장력 하에서의 강도보다 크거나 동일한 장력 하에서의 강도를 갖는, 제공하는 단계;
    밀봉 스트립(65) 상에 절연 블록(66)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 사이에 일차 절연 베리어를 완성하고 절연 블록의 강성 보드와 조립식 패널의 커버 보드로 지지 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들의 제2 열 절연체 층들 사이에 절연 블록이 언제나 배치되는 것인, 절연 블록(66)을 배치하는 단계;
    절연 블록의 편평한 보강 매트를 하부 밀봉 스트립에 접착함에 의하여 조립식 패널에 절연 블록을 고정하는 단계로서, 편평한 보강 매트(1)는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에 중첩되는, 고정하는 단계; 및
    일차 밀봉 멤브레인(59)을 지지 벽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밀봉 절연 탱크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조립식 패널의 제1 열 절연체 층들 사이에 위치된 갭 내에 재료(63)의 차단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
    재료의 차단 스트립 상에서 갭을 연결하는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을 재료의 차단 스트립에 접착시키지 않고 조립식 패널들 사이에 이차 밀봉 스트립을 완성하는 밀봉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 및
    편평한 보강 매트의 중앙 부분(6)을 밀봉 스트립(65)에 접착시킴 없이 편평한 보강 매트를 갖는 절연 블록을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밀봉 절연 탱크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절연 블록의 열 절연체 층 반대쪽의 편평한 보강 매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절연 블록은 고정된 비접착성 재료로 제조된 중앙 패드(10)를 더 가지며,
    상기 방법은, 중앙 패드(10)를 접착시키지 않고 중앙 패드의 측부 상에 절연 블록의 편평한 보강 매트(1)를 접착하는 단계, 및 중앙 패드가 중앙 부분에 접착하지 않고 밀봉 스트립의 중앙 부분(6)을 덮는 방식으로 밀봉 스트립 상에 절연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밀봉 절연 탱크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절연 블록을 향하는 밀봉 스트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밀봉 스트립은 고정된 비접착성 재료로 제조된 중앙 패드(10)를 더 가지며,
    상기 방법은 중앙 패드(10)를 접착시키지 않고 중앙 패드의 측부 상에 밀봉 스트립을 접착하는 단계, 및 중앙 패드에 접착시키지 않고 편평한 보강 매트(1)의 중앙 부분이 중앙 패드를 덮는 방식으로 밀봉 스트립 상에 절연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밀봉 절연 탱크 제조 방법.
KR1020177000884A 2014-06-25 2015-06-23 밀봉된 절연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7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5937 2014-06-25
FR1455937A FR3022971B1 (fr) 2014-06-25 2014-06-25 Cuve etanche et isolan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CT/EP2015/064144 WO2015197638A1 (fr) 2014-06-25 2015-06-23 Cuve etanche et isolan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833A KR20170021833A (ko) 2017-02-28
KR102397134B1 true KR102397134B1 (ko) 2022-05-12

Family

ID=5151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884A KR102397134B1 (ko) 2014-06-25 2015-06-23 밀봉된 절연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267455B2 (ko)
EP (1) EP3161370B1 (ko)
JP (1) JP6585635B2 (ko)
KR (1) KR102397134B1 (ko)
CN (1) CN106461158B (ko)
AU (1) AU2015279270B2 (ko)
ES (1) ES2657799T3 (ko)
FR (1) FR3022971B1 (ko)
MY (1) MY179675A (ko)
NO (1) NO3161370T3 (ko)
PH (1) PH12016502450B1 (ko)
PL (1) PL3161370T3 (ko)
PT (1) PT3161370T (ko)
RU (1) RU2682230C2 (ko)
SG (1) SG11201610486RA (ko)
WO (1) WO2015197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2971B1 (fr) * 2014-06-25 2017-03-31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isolan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N106766341A (zh) * 2017-03-02 2017-05-31 舟山巨洋技术开发有限公司 利用船舶废热的液态制冷设备
FR3064042B1 (fr) * 2017-03-15 2021-10-22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 bouchon isolant de renfort
CN110785603B (zh) * 2017-06-01 2022-06-07 气体运输技术公司 密封隔热罐
KR101931879B1 (ko) * 2017-06-28 2019-03-13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밀봉된 멤브레인 및 밀봉된 멤브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FR3077278B1 (fr) * 2018-02-01 2020-02-07 Gaztransport Et Technigaz Paroi etanche a membrane ondulee renforcee
FR3077865B1 (fr) * 2018-02-09 2020-02-28 Gaztran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des bouchons isolants inter-panneaux
CN109606566B (zh) * 2018-07-26 2021-09-2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b型围护系统绝缘块连接处的密封结构
CN109606553B (zh) * 2018-07-26 2021-09-1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密封b型围护系统绝缘块连接处的方法
FR3093159B1 (fr) * 2019-02-21 2021-01-2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097964B1 (fr) * 2019-06-28 2021-11-12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test d’étanchéité de membrane étanche
FR3097934B1 (fr) * 2019-06-28 2022-01-28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d'angle pour cuve
US20220349523A1 (en) * 2019-08-09 2022-11-03 Gaztransport Et Technigaz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having inter-panel insulating inserts
FR3101390B1 (fr) * 2019-09-27 2021-09-03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108383B1 (fr) * 2020-03-20 2023-10-27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KR102469998B1 (ko) * 2020-12-14 2022-1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14688454B (zh) * 2021-12-16 2023-12-08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b型罐支座的绝缘安装方法
CN114458953A (zh) * 2022-01-26 2022-05-10 上海海威斯特保温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低温液化气体储存的围护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97B1 (ko) * 2006-09-20 2007-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탄소 섬유 보강 폴리머(cfrp)를 이용한 lng 저장용기용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1168949B1 (ko) * 2010-06-01 2012-08-02 한국과학기술원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갖는 극저온 액체저장탱크
KR101200019B1 (ko) * 2010-11-29 2012-11-12 한국과학기술원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단열방벽 접합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81557A (fr) * 1934-11-19 1935-05-18 Allume-feu à gaz
JPS62270896A (ja) * 1986-05-19 1987-11-25 Nippon Kokan Kk <Nkk> メンブレンタンクの2次パリヤ−分割構造
FR2599468B1 (fr) * 1986-06-03 1988-08-05 Technigaz Structure de paroi thermiquement isolante de reservoir etanche
FR2724623B1 (fr) * 1994-09-20 1997-01-1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erfectionne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FR2781557B1 (fr) * 1998-07-24 2000-09-15 Gaz Transport & Technigaz Perfectionnement pour un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panneaux prefabriques
ATE480735T1 (de) * 2004-07-06 2010-09-15 Shell Int Research Behälter zur lagerung von flüssiggas
FR2877638B1 (fr) * 2004-11-10 2007-01-19 Gaz Transp Et Technigaz Soc Pa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a elements calorifuges resistants a la compression
FR2903165B1 (fr) * 2006-06-30 2008-09-05 Gaz Transport & Technigaz Panneau prefabrique avec film protecteur
FR2911576B1 (fr) * 2007-01-23 2009-03-06 Alstom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e paroi isolante et etanche d'une cuve
CN102015434B (zh) 2008-05-02 2014-07-02 三星重工业株式会社 用于固定货物的隔热面板的设备和货物的隔热面板
KR101215629B1 (ko) * 2008-06-20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코너 패널
RU2559237C2 (ru) * 2011-03-09 2015-08-10 Блюскоуп Билдингз Норт Америка, Инк. Система изоляции стены, содержащая блоки с расположенными под углом сторонами
FR2973097B1 (fr) * 2011-03-23 2013-04-12 Gaztransp Et Technigaz Element calorifuge pour paroi d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2977562B1 (fr) * 2011-07-06 2016-12-23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FR2978748B1 (fr) * 2011-08-01 2014-10-24 Gaztransp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WO2013083162A1 (en) * 2011-12-05 2013-06-13 Blue Wave Co S.A. Pressure vessel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m onboard of ships
KR101337628B1 (ko) * 2011-12-13 2013-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및 그 설치 방법
FR2996520B1 (fr) * 2012-10-09 2014-10-24 Gaztransp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e membrane metalique ondulee selon des plis orthogonaux
FR3022971B1 (fr) * 2014-06-25 2017-03-31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isolan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3026459B1 (fr) * 2014-09-26 2017-06-0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isolante comportant un element de pontage entre les panneaux de la barriere isolante seconda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97B1 (ko) * 2006-09-20 2007-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탄소 섬유 보강 폴리머(cfrp)를 이용한 lng 저장용기용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1168949B1 (ko) * 2010-06-01 2012-08-02 한국과학기술원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갖는 극저온 액체저장탱크
KR101200019B1 (ko) * 2010-11-29 2012-11-12 한국과학기술원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단열방벽 접합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6867A (ja) 2017-09-14
RU2016150149A3 (ko) 2019-01-17
EP3161370A1 (fr) 2017-05-03
JP6585635B2 (ja) 2019-10-02
AU2015279270B2 (en) 2018-11-29
PT3161370T (pt) 2018-02-16
PH12016502450A1 (en) 2017-03-06
WO2015197638A1 (fr) 2015-12-30
RU2682230C2 (ru) 2019-03-15
SG11201610486RA (en) 2017-01-27
US20170138537A1 (en) 2017-05-18
AU2015279270A1 (en) 2017-01-12
PH12016502450B1 (en) 2017-03-06
FR3022971B1 (fr) 2017-03-31
EP3161370B1 (fr) 2017-12-20
CN106461158B (zh) 2019-12-03
FR3022971A1 (fr) 2016-01-01
RU2016150149A (ru) 2018-07-26
PL3161370T3 (pl) 2018-05-30
KR20170021833A (ko) 2017-02-28
CN106461158A (zh) 2017-02-22
ES2657799T3 (es) 2018-03-06
US10267455B2 (en) 2019-04-23
MY179675A (en) 2020-11-11
NO3161370T3 (ko) 201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134B1 (ko) 밀봉된 절연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79221B2 (ja) コルゲート金属シートを備えたコーナー配置が設けられた二次密閉膜を有する密閉断熱タンク
CN104955722B (zh) 用于存储液体的密封绝热壁
KR102181506B1 (ko)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벽을 제조하기 위한 단열 블록
KR102263150B1 (ko)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선박의 열절연을 위한 자기-지지 케이스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자기-지지 케이스
JP2020532689A (ja) 対流防止充填要素を伴う密閉された断熱タンク
FI112055B (fi) Lämmöneristyssuojarakenne
KR101200019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단열방벽 접합구조물
KR20220157393A (ko) 밀폐 단열 탱크
CN114458952A (zh) 用于贮罐的热绝缘屏障的生产方法
KR20220038065A (ko) 밀봉 단열탱크용 벽의 제조방법
CN116951302A (zh) 包括贯通导管的罐壁
US20220373133A1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having anti-convection insulating seals
KR20220092431A (ko) 브리징 요소를 포함하는 밀봉된 단열 탱크
US20220349523A1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having inter-panel insulating inserts
RU2811637C1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RU2818608C1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RU2812076C1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RU2812589C1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CN116601419A (zh) 密封且热隔绝的罐
KR20220065826A (ko) 밀폐 단열 탱크
CN116457604A (zh) 密封且热隔绝的罐
KR20230040365A (ko) 밀폐 단열 탱크
TW202408878A (zh) 包括貫通導管的槽壁
KR20210058688A (ko) 밀봉 및 단열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