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708B1 -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708B1
KR102393708B1 KR1020200085947A KR20200085947A KR102393708B1 KR 102393708 B1 KR102393708 B1 KR 102393708B1 KR 1020200085947 A KR1020200085947 A KR 1020200085947A KR 20200085947 A KR20200085947 A KR 20200085947A KR 102393708 B1 KR102393708 B1 KR 102393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seat belt
gear unit
gea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971A (ko
Inventor
구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8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7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는, 복수의 기어가 서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어에서 동력이 전달되어 복원유닛을 회전시키는 기어유닛 및 기어유닛의 간격이 인접하도록 기어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SEAT BELT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경우 웨빙과 사용자 상호간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경감시키기 위한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차량 충돌 시에 사용자를 구속하는 시트벨트가 마련되어, 차량의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전방으로 튀어 나가서 차체나 물체와 충돌하여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러한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관성에 의해 몸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면서 시트벨트에 마련된 웨빙이 가슴부위를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웨빙의 결착력을 높여 사용자를 견고히 고정하는 경우에, 차량의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전방으로 튀어나가서 차체나 물체와 충돌하여 발생되는 상해는 줄일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웨빙이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강하게 압박하여 가슴이나 복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웨빙의 견고한 결착력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웨빙 상호 간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 범위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로드리미터가 시트벨트에 구비된다.
로드리미터를 포함하여 로드리미터에 작용하는 초기하중을 일부 증가시켜 하중을 조정하거나 로드 리미터 작동 초기 하중이 상승함에 따라 발생하는 오버슈트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하중조절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에 탑승한 직후, 리턴 스프링 또는 복원 유닛에 의해 시트벨트가 스풀로 인입되면서 발생하는 복원력(RETRACTION FORCE)으로 인해 사용자는 웨빙에 의해 신체적 압박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다수의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착용하더라도 클립이나 스토퍼로 시트벨트를 고정시키거나 느슨하게 착용함으로써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트벨트를 느슨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사용자를 구속하지 못하게 되어 차량의 일측과 충돌하면서 경우에 따라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트벨트 착용 직후에 시트벨트와 사용자 상호간의 하중을 경감하기 위한 수단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복원유닛의 축에 결합되어 기어 상호간에 맞물림상태 및 맞물림해제상태를 선택적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직후 시트벨트와 사용자 상호간의 하중을 경감시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는, 웨빙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풀 및 상기 웨빙이 상기 스풀에 감기도록 상기 스풀을 탄성 지지하는 복원유닛을 포함하는 리트렉터에 연결되어 상기 웨빙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중을 경감시키는 장치로서, 복수의 기어가 서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어에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복원유닛을 회전시키는 기어유닛; 및 상기 기어유닛의 간격이 인접하도록 상기 기어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의 축에 연결되는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는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2 기어부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제공유닛은 상기 제2 기어부와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상기 제2 기어부를 상기 제1 기어부에 맞물리게 하는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유닛은 상기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유닛은 상기 제2 기어부의 상기 제1 기어부를 향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인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전자석부의 위치에 대향하여 영구자석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기어부는 기어이가 비틀림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는 상기 복원유닛의 축과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기어부를 고정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의 축에 축결합 되어 상기 복원유닛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직후 편안함을 유지하여 시트벨트 착용에 대한 거부감 없이 항상 시트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둘째,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웨빙을 스풀로 인입시키는 복원유닛에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에 대해 큰 제약이 없이 종래의 리트렉터와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복원유닛에 연결된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전자석부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전자석부에 전압이 인가되어 제2 기어부가 제1 기어부와 맞물려 복원유닛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전자석부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2 기어부가 제1 기어부가 맞물리는 정도를 제어하여 복원유닛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복원유닛에 연결된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10)는 웨빙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풀 및 스풀을 탄성 지지하여 웨빙이 스풀에 다시 감는 역할을 수행하는 복원유닛을 포함하는 리트렉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크게 기어유닛(200), 동력제공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어유닛(200)은 복수의 기어가 서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어에서 동력이 전달되어 복원유닛(RS)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유닛(200)은 제1 기어부(220), 제2 기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기어부(220)는 복원유닛(RS)의 축에 연결되고 복원유닛(RS)은 웨빙이 권취된 스풀에 축결합되어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경우에 복원유닛(RS)의 복원력에 의해서 웨빙이 스풀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어부(240)는 제1 기어부(220)와 맞물려 웨빙이 스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 기어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2 기어부(240)는 제1 기어부(220)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제1 기어부(220)가 제2 기어부(240)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웨빙이 인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삽입위치에 따른 웨빙 인출정도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하고 제1 기어부(220)와 제2 기어부(240)의 형상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기어부(220)는 기어이가 비틀림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어부(220)는 제1 기어이의 일측면에 제2 기어이가 점접촉하여 제1 기어이의 일측면을 제2 기어부(240)의 진행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기어가 회전하여 복원유닛(RS)이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비틀림 방향 또는 비틀림 각, 치형 기준면을 포함하는 형상, 재질 등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기어부(220)는 비틀림 방향 또는 비틀림 각을 웨빙이 스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설계된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부(220)는 복원유닛(RS)의 축에 후술할 연결유닛(6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닛(600)은 복원유닛(RS)의 축결합되어 복원유닛(RS)의 외부로 돌출되고 연결유닛(600)과 제1 기어부(220)의 일면에는 각각 결합부재가 마련되고 서로 결합되어 제1 기어부(220)의 회전에 따라 복원유닛(RS)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부(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과 후방측의 경사가 없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제2 기어부(240)와 처음으로 접하기 시작하는 후방측 둘레가 전방측 둘레보다 더 작게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를 가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기어부(220)와 제2 기어부(240)가 처음으로 접하기 시작하는 일측에서는 접하지 않거나 또는 점접합 하다가 제2 기어부(240)가 타측으로 더 진입하면서 완전히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기어부(240)는 상술한 제1 기어부(220)에 맞물려 제1 기어부(220)를 웨빙이 스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 형상의 기어로 마련되고 내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인터널(INTERNAL) 기어일 수 있으며 제2 기어부(240)의 일측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되어 후술할 전자석부(420)와 자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영구 자석은 전자석부(420)에 의해 제2 기어부(240)를 제1 기어부(22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제2 기어부(240)에서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지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후술할 전자석부(420)에 대향하는 부분에 영구자석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기어부(240) 전체가 하나의 영구자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기어부(240)는 후술할 가이드부(460)가 인입되는 관통홀(242)이 형성되어 제2 기어부(240)가 가이드부(460)를 따라 제1 기어부(2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동력제공유닛(4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어유닛(200)의 간격이 인접하도록 기어유닛(200)에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동력제공유닛(400)은 차량의 전자제어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석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석부(420)는 전체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거나 일측에 영구자석이 마련된 제2 기어부(240)와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제2 기어부(240)를 제1 기어부(220)에 맞물리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석부(420)는 케이스(C)의 형상에 대응되어 케이스(C)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부(240)가 내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원형의 링기어일 경우 케이스(C)는 원형의 링기어의 외주면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석부(420)는 원통형으로 마련된 케이스(C)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원기등 형상으로 형성될 수있다.
따라서 케이스(C)의 내부에 고정된 전자석부(420)가 전자제어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부(420)와 대향하도록 영구자석이 마련된 제2 기어부(240)가 제1 기어부(220)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동력제공유닛(400)은 탄성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440)는 제1 기어부(220) 및 제2 기어부(240)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전자석부(420)에 전압이 인가되어 제2 기어부(240)가 제1 기어부(220)로 맞물리게 된 다음 전자석부(420)로 인가되는 전압이 차단되면 제2 기어부(240)가 원래의 자리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1 기어부(2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4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부(220)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어 제2 기어부(24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탄성부(440)는 일측이 제2 기어부(240)의 일면에 고정 형성되고 타측이 복원유닛(RS)의 일면에 지지되어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 수축되고 전압 인가가 해제되는 경우 복원되어 제1 기어부(220)와 맞물린 제2 기어부(240)를 원위치 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동력제공유닛(400)은 또한, 가이드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60)는 제2 기어부(240)의 제1 기어부(220)를 향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60)는 제2 기어부(240)의 관통홀(242)에 대응하는 직경의 원기둥 바(bar) 형태로 복원유닛(RS)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기어부(240)에 두개의 관통홀(242)이 상하로 형성된 경우에, 가이드부(460)는 두개로 마련되며 두개의 가이드부(460) 각각은 두개의 관통홀(242)에 각각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제2 기어부(240)가 가이드부(460)를 따라 안정적으로 제1 기어부(220) 방향으로 인접하거나 전자석부(420)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부(460)는 제2 기어부(240)의 관통홀(242)의 크기와 관통홀(242)이 제2 기어부(240)에서 형성되는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는 연결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유닛(600)은 복원유닛(RS)의 축과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제1 기어부(22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유닛(600)은 복원유닛(RS)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결합된 연결유닛(600)에 다시 제1 기어부(2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원유닛(RS), 연결유닛(600) 및 제1 기어부(220)는 동일축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유닛(600)은 복원유닛(RS)의 내부에서 탄성스프링이 감긴 축에 축결합 되고 길게 연장되어 복원유닛(RS)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로 돌출된 연결유닛(600)의 일면에는 결합부재가 마련되고 제1 기어부(220)의 결합부재와 상호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연결유닛(600)의 결합부재는 연결유닛(600)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부(220)의 결합부재는 돌출 형성된 연결유닛(600)의 직사각형의 자석이 인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자석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홈 내부는 자석이 고정될 수 있는 철재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유닛(600)의 자석과 서로 반대 극성의 자석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10)는 앞서 발명의 효과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에 포함되는 리트랙터의 한정된 공간에서 복원스프링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와 웨빙 상호 간의 하중을 경감시키는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종래의 리트랙터 대비 현저한 효과상의 차이가 명확하다고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전자석부(4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전자석부(420)에 전압이 인가되어 제2 기어부(240)가 제1 기어부(220)와 맞물려 복원유닛(RS)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전자석부(42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2 기어부(240)가 제1 기어부(220)가 맞물리는 정도를 제어하여 복원유닛(RS)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의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게 되고 시트벨트를 장착하게 되면 시트벨트는 차량의 전자제어시스템(미도시)으로 착용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시트벨트로부터 착용신호를 전달받은 전자제어시스템(미도시)는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장착한 후 불쾌감 또는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시점을 기 설정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동력제공유닛(400)으로 전기적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때 동력제공유닛(400)의 전자석부(420)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자화되고 자화된 전자석부(420)는 제2 기어부(240)를 가이드부(460)를 따라 제1 기어부(220)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기어부(240)에 마련된 영구 자석과 다른 극성으로 자화된 전자석부(420)에 의해 제2 기어부(240) 및 전자석부(420) 상호간에 반발력이 작용하게 되고 제2 기어부(240)가 제1 기어부(220)로 이동하여 맞물리게 되고 제1 기어부(220)가 웨빙이 스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이 전자석부(420)에 인가되기 전의 초기상태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2 기어부(240)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자석부(42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2 기어부(240)가 제1 기어부(220)로 이동하는 최대거리를 기 설정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제2 기어부(240)는 제1 기어부(220)와 맞물려 웨빙이 스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 기어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2 기어부(240)는 제1 기어부(220)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경우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2 기어부(240)와 전자석부(420) 간의 반발력의 정도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석부(420)를 기준으로 제2 기어부(240)가 제1 기어부(220)를 향해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석부(420)에 인가되는 전압을 1V로 미리 설정하면 제2 기어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부(220)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제1 기어부(220)가 제2 기어부(240)에 삽입되면서 복원유닛(RS)이 회전하게 되고 웨빙이 스풀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전자석부(420)에 인가되는 전압을 2V로 설정하게 되면 제2 기어부(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1 기어부(220)를 향해 더 이동하게 되고 제1 기어부(220)는 제2 기어부(240)에 완전히 삽입되면서 복원유닛(RS)은 전압이 1V인 경우보다 더 많은 회전을 하게 되고 따라서 웨빙이 스풀에서 인출되는 길이도 1V인 경우보다 늘어나게 된다.
즉 전자석부(420)에 인가되는 전압을 미리 제어하여 제2 기어부(240)와 제1 기어부(220)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다양한 웨빙의 인출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후 불쾌감을 느끼는 시점에 웨빙 및 사용자 상호 간의 하중이 경감되어 불쾌감이 해소될 수 있다.
나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전자제어시스템(미도시)은 또 다른 전기적 신호를 전자석부(420)로 전달하게 되고 전자석부(420)에 인가되는 전압이 중단되면서 제2 기어부(240)는 탄성부(44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제어시스템(미도시)는 차량운행 중 차량에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전술한 조건에 관계없이 전자석부(4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제1 기어부(220)에서 제2 기어부(240)를 이탈시켜 제1 기어부(220) 및 제2 기어부(2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직후 편안함을 유지하여 시트벨트 착용에 대한 거부감 없이 항상 시트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200: 기어유닛
220: 제1 기어부
240: 제2 기어부
400: 동력제공유닛
420: 전자석부
440: 탄성부
460: 가이드부
600: 연결유닛

Claims (10)

  1. 웨빙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풀 및 상기 웨빙이 상기 스풀에 감기도록 상기 스풀을 탄성 지지하는 복원유닛을 포함하는 리트렉터에 연결되어 상기 웨빙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중을 경감시키는 장치로서,
    복수의 기어가 서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어에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복원유닛을 회전시키는 기어유닛; 및
    상기 기어유닛의 간격이 인접하도록 상기 기어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의 축에 연결되는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2 기어부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웨빙이 인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유닛은,
    상기 제2 기어부와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상기 제2 기어부를 상기 제1 기어부에 맞물리게 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유닛은,
    상기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유닛은,
    상기 제2 기어부의 상기 제1 기어부를 향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인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전자석부의 위치에 대향하여 영구자석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기어부는, 기어이가 비틀림각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복원유닛의 축과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기어부를 고정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의 축에 축결합 되어 상기 복원유닛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KR1020200085947A 2020-07-13 2020-07-13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KR102393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47A KR102393708B1 (ko) 2020-07-13 2020-07-13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47A KR102393708B1 (ko) 2020-07-13 2020-07-13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971A KR20220007971A (ko) 2022-01-20
KR102393708B1 true KR102393708B1 (ko) 2022-05-04

Family

ID=8005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947A KR102393708B1 (ko) 2020-07-13 2020-07-13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7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86B1 (ko) 2003-06-20 2008-01-16 박삼균 차량용 안전벨트의 자동 인출 및 회수제어 장치
KR101349322B1 (ko) 2008-04-16 2014-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의 텐션 리듀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012U (ja) * 1991-11-11 1993-06-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テンシヨンリデユーサ
KR20150002057A (ko) * 2013-06-28 2015-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86B1 (ko) 2003-06-20 2008-01-16 박삼균 차량용 안전벨트의 자동 인출 및 회수제어 장치
KR101349322B1 (ko) 2008-04-16 2014-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의 텐션 리듀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971A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4159B1 (en) Seat belt retractor
EP1265774B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473014B1 (ko) 안전 벨트 리트랙터
US20050173580A1 (en) Safety belt retractor having a pretensioning device
CN107559382B (zh) 车辆减速器
KR20090017774A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2393708B1 (ko) 시트벨트의 하중 경감 장치
EP3851338A1 (en) Safety belt retractor and safety belt assembly
EP3851339A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ssembly
JP2005088838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CN110745099B (zh) 带子卷取装置
JP7135726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1331835B1 (ko) 항복토크 조절이 가능한 토크리미터
CN202448935U (zh) 一种安全带卷收器及具有该安全带卷收器的安全带装置
KR101492900B1 (ko) 프로그레시브 로드 리미터
JP2018134920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20120054401A (ko) 로드 컷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2567086B1 (ko)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KR101176786B1 (ko) 프리텐셔너용 클러치
JP7171347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5000705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KR0114527Y1 (ko)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가 내설된 자동차의 리트랙터
KR101128406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및 이에 이용되는 클러치
KR101694140B1 (ko) 마찰이 감소된 시트벨트 로드리미터 구조
IT201900009111A1 (it) Dispositivo per sollevare ed abbassare una ruota di scorta di un veicolo, avente superfici di impeg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