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774A -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774A
KR20090017774A KR1020070082182A KR20070082182A KR20090017774A KR 20090017774 A KR20090017774 A KR 20090017774A KR 1020070082182 A KR1020070082182 A KR 1020070082182A KR 20070082182 A KR20070082182 A KR 20070082182A KR 20090017774 A KR20090017774 A KR 20090017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pring
tooth
vehicle seat
ca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944B1 (ko
Inventor
차재원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7008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944B1/ko
Priority to US12/669,936 priority patent/US8128170B2/en
Priority to DE112008002102.3T priority patent/DE112008002102B4/de
Priority to CN200880103029A priority patent/CN101778733A/zh
Priority to PCT/KR2008/000872 priority patent/WO2009022775A1/en
Publication of KR2009001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rotatab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50Interlocking shaft arrangements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hinge mechanisms on both sides of a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큰 외력이 시트백에 가해져 폴투스(70)가 회전중심돌기(11)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섹터투스(20)와 폴투스(70)의 치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치 않는 시트백의 회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승객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리클라이닝장치, 리클라이너, 치합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Recli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 사고시에도 섹터투스와 폴투스의 치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부품수의 절감을 통해 중량 및 원가 절감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탑승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및 엉덩이에서 허벅다리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는 그 골격이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연접부위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백의 각도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리클라이닝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두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시트의 좌,우 측부에 각각 장착되며, 이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샤프트의 양단과 각각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어 일체화 된 구조로서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샤프트가 전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축회전하면서 리클 라이닝 동작을 행하는 전동식 및, 착석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축회전하면서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는 수동식이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수동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닝장치는 구성부품간 기어의 결합력이 강해야만 전체적인 강도향상을 이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리클라이닝장치의 크기를 크게 하여 구성부품간 기어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리클라이닝장치의 크기는 시트를 고려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무작정 크게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시트백에 가해지는 승객의 하중에 의해 섹터투스와 폴투스의 치합상태가 강제로 해제되고, 이 결과 원치 않는 시트백의 회전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콤팩트 한 크기를 유지함과 더불어 충돌 사고시 승객이 시트백에 하중을 가하더라도 섹터투스와 폴투스의 치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원치 않는 시트백의 회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승객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의 절감을 통해 중량 및 원가 절감을 함 께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캠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홀더와 섹터투스사이에서 샤프트에 의해 관통 결합되어 설치되는 캠레버와; 회전하는 캠레버와의 접촉으로 시소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홀더에 구비된 회전중심돌기에 끼워져 설치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홀더의 원주방향을 향한 양쪽의 측면이 플레이트홀더에 구비된 가이드돌기에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폴투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폴투스의 양쪽 측면에는 외력에 의해 폴투스가 회전중심돌기로부터 이탈될 때 가이드돌기의 측면을 함몰시키면서 가이드돌기와 암수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압돌기 및 결합홈이 연속적으로 구비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클라이닝장치는, 비교적 큰 외력이 시트백에 가해져 폴투스가 회전중심돌기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섹터투스와 폴투스의 치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원치 않는 시트백의 회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승객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는, 부품수의 절감을 통해 중량 및 원가 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그 크기를 크게 하지 않더라도 섹터투스와 폴투스의 치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콤팩트 한 크기를 갖도록 설계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에 대한 자유도가 높아짐으로써 원가 절감에 큰 효과가 있 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홀더(10)와,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내주면에 기어치(2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결합되는 섹터투스(2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바깥 둘레면과 상기 섹터투스(20)의 바깥 둘레면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이들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30)과,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의 중앙부를 일체로 관통하여 시트의 양측면을 기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샤프트(4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샤프트(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섹터투스(20)에 형성된 기어치(21)와 선택적인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는 작동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회전중심돌기(11) 및 가이드돌기(12)가 상기 섹터투스(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돌기(11)들은 샤프트(40)를 중심으로 한 동일한 반경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돌기(12)는 회전중심돌기(11) 사이에 각각 한 개씩 위치하게 되며, 이들은 모두 샤프트(40)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니트는, 상기 샤프트(40)에 의해 관통되면서 샤프트(40)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리클라이닝 동작시 일체로 회전하는 캠레버(50)와, 상기 캠레버(50)의 회전작동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일단이 상기 가이드돌기(12)에 구비된 스프링돌기(12a)에 걸려지고 타단이 상기 캠레버(50)에 구비된 스프링구멍(51)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캠스프링(60)과, 회전하는 캠레버(50)와의 접촉으로 시소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중심돌기(11)에 끼워지는 돌기홈(71)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원주방향을 향한 양쪽의 측면(72,73)이 상기 가이드돌기(12)에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폴투스(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스프링(60)은 부품수의 절감을 통해 중량 및 원가 절감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도 3과 같이 다수번 권선된 형상의 스파이럴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6과 같이 한 번 정도만 권선된 스파이럴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는 바, 그 형상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캠스프링(60)은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돌기(12)에 구비된 스프링돌기(12a)에 걸려지고 타단은 상기 캠레버(50)에 구비된 스프링돌기(53)에 걸려져 설치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캠레버(50)에 결합되는 캠스프링(60)의 타단은 스프링구멍(51)으로 끼워져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스프링돌기(53)에 걸려져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캠레버(50)에는 스프링구멍(51)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스프링돌기(53)가 형성될 수 있으나,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폴투스(70)는 리클라이닝 동작을 위해 상기 섹터투스(20)와 선택적인 기어 치합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섹터투스(20)를 향하는 바깥의 일부 구간에는 섹터투스(20)의 기어치(21)와 선택적인 기어 치합을 이루는 기어치(7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초기 상태에서는 섹터투스(20)의 기어치(21)와 폴투스(70)의 기어치(74)가 서로 치합을 이룬 상태이므로, 시트백은 샤프트(40)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로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샤프트(40)에 외력을 가하여 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레버(50)의 외곽에 존재하는 돌기부가 폴투스(70)의 돌기부와 접촉하여 폴투스(70)에 힘을 가하여 주게 됨으로써, 상기 폴투스(70)는 회전중심돌기(11)를 중심으로 일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폴투스(70)의 기어치(74)는 섹터투스(20)의 기어치(21)와 치합이 해제됨으로써 섹터투스(20)는 플레이트홀더(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시트백은 샤프트(40)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시트백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샤프트(40)에 가해주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캠레버(50)에 의해 수축 권취되어 있던 캠스프링(60)이 최초의 상태로 팽창(복원)되면서 일방으로 회전되어 있던 상태의 캠레버(5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폴투스(70)도 복귀 회전하여 기어치(21,74)가 재차 치합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시트백은 각도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충돌 사고시 승객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에 하중을 가하더라도 섹터투스(20)와 폴투스(70)는 지속적인 치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폴투스(70)의 양쪽 측면(72,73)에는 도 5와 같이 가압돌기(72a,73a) 및 결합홈(72b,73b)이 연속적으로 구비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면서, 상기 돌기홈(71)에도 결합홈(75)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폴투스(70)는 열처리 가공되어 형성된 부품이고, 상기 회전중심돌기(11) 및 가이드돌기(12)를 포함한 섹터투스(20)는 열처리되지 않은 상태의 부품으로서, 상기 폴투스(70)는 상기 회전중심돌기(11) 및 가이드돌기(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돌 사고시 시트백에 큰 하중을 가해지면 섹터투스(2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하중(P1,P2)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강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섹터투스(20)와 치합된 상태의 폴투스(70)는 회전중심돌기(1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폴투스(70)에 구비된 가압돌기(72a,73a)는 가이드돌기(12)의 측면을 함몰시키면서 가이드돌기(12)의 내측으로 압입 결합되는 형태가 되고, 또한 폴투스(70)에 구비된 결합홈(71b,72b,75)으로는 가이드돌기(12)의 측면 중 가압돌 기(71a,72a)에 의해 함몰되지 않은 나머지 부위 및 회전중심돌기(11)가 삽입되면서 압입 결합되는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폴투스(70)가 회전중심돌기(11)로부터 이탈되면서 이동하더라도 그 이동범위가 회전중심돌기(11) 및 가이드돌기(12)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됨으로써, 상기 섹터투스(20)의 기어치(21)와 폴투스(70)의 기어치(74)는 지속적인 치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폴투스(70)의 좌측의 측면(71)이 가이드돌기(12)와 결합하여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고, 도 8은 폴투스(70)의 우측의 측면(72)이 가이드돌기(12)와 결합하여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면서 회전중심돌기(11)와 결합홈(75)이 결합하여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장치는 비교적 큰 외력이 시트백에 가해져 폴투스(70)가 회전중심돌기(11)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섹터투스(20)와 폴투스(70)의 치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치 않는 시트백의 회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승객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는 그 크기를 크게 하지 않더라도 섹터투스(20)와 폴투스(70)의 치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구성이므로, 콤팩트 한 크기를 갖도록 설계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경량화를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리클라이닝 동작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리클라이닝장치를 구성하는 폴투스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서 캠스프링을 제외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캠스프링의 다른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과 도 8은 외력에 의해 폴투스가 회전중심돌기로부터 이탈될 때 폴투스와 가이드돌기의 결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홀더 11 - 회전중심돌기
12 - 가이드돌기 12a,53 - 스프링돌기
20 - 섹터투스 21,73 - 기어치
30 - 커버브라켓트 40 - 샤프트
50 - 캠레버 51 - 스프링구멍
60 - 캠스프링 70 - 폴투스
71 - 돌기홈 72,73 - 측면
72a,73a - 가압돌기 72b,73b,75 - 결합홈

Claims (6)

  1. 캠스프링(60)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홀더(10)와 섹터투스(20)사이에서 샤프트(40)에 의해 관통 결합되어 설치되는 캠레버(50)와;
    회전하는 캠레버(50)와의 접촉으로 시소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구비된 회전중심돌기(11)에 끼워지는 돌기홈(71)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원주방향을 향한 양쪽의 측면(72,73)이 플레이트홀더(1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12)에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폴투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폴투스(70)의 양쪽 측면(72,73)에는 외력에 의해 폴투스(70)가 회전중심돌기(11)로부터 이탈될 때 가이드돌기(12)의 측면을 함몰시키면서 가이드돌기(12)와 암수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압돌기(72a,73a) 및 결합홈(72b,73b)이 연속적으로 구비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투스(70)는,
    외력에 의해 폴투스(70)가 회전중심돌기(11)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돌기홈(71)이 회전중심돌기(11)를 함몰시킬 때 상기 회전중심돌기(11)와 암수 결합을 이루도록 돌기홈(71)에 형성된 결합홈(75);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투스(70)는 상기 회전중심돌기(11) 및 가이드돌기(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유지하도록 열처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스프링(60)은,
    일단은 상기 가이드돌기(12)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캠레버(5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한 개의 스파이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50)에는 캠스프링(60)과의 결합을 위해 스프링구멍(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50)에는 캠스프링(60)과의 결합을 위해 스프링돌기(5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20070082182A 2007-08-16 2007-08-16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092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182A KR100923944B1 (ko) 2007-08-16 2007-08-16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US12/669,936 US8128170B2 (en) 2007-08-16 2008-02-14 Reclin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DE112008002102.3T DE112008002102B4 (de) 2007-08-16 2008-02-14 Verstellvorrichtung eines Sitzes für ein Fahrzeug
CN200880103029A CN101778733A (zh) 2007-08-16 2008-02-14 车辆座椅的倾斜装置
PCT/KR2008/000872 WO2009022775A1 (en) 2007-08-16 2008-02-14 Reclin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182A KR100923944B1 (ko) 2007-08-16 2007-08-16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774A true KR20090017774A (ko) 2009-02-19
KR100923944B1 KR100923944B1 (ko) 2009-10-29

Family

ID=4035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182A KR100923944B1 (ko) 2007-08-16 2007-08-16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28170B2 (ko)
KR (1) KR100923944B1 (ko)
CN (1) CN101778733A (ko)
DE (1) DE112008002102B4 (ko)
WO (1) WO2009022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9000118B4 (de) * 2008-01-17 2014-12-18 Fisher Dynamics Corp. Verstellmechanismus und Sitzbaugruppe
FR2951413B1 (fr) * 2009-10-20 2012-02-24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de vehicule
JP5592753B2 (ja) * 2010-10-26 2014-09-17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8616648B2 (en) * 2011-03-11 2013-12-31 Keiper Gmbh & Co. Kg Vehicle seat and recliner fitting for vehicle seat
US8876212B2 (en) * 2011-11-07 2014-11-0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KR20130066346A (ko) 2011-12-12 2013-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5821650B2 (ja) * 2012-01-19 2015-11-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091766B2 (ja) * 2012-04-09 2017-03-0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969873B2 (ja) * 2012-09-27 2016-08-17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2903857A1 (en) * 2012-10-08 2015-08-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eat treatment for vehicle seat structures and components
US9296315B2 (en) 2013-02-26 2016-03-2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mechanism with backdriving feature
CN103241145B (zh) * 2013-05-23 2016-03-30 烟台延锋江森座椅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座椅调角器的收缩式弹簧止动配件
US9902297B2 (en) 2014-06-11 2018-02-27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Latch mechanism with locking feature
CN107074129B (zh) * 2014-10-16 2019-07-05 株式会社三角工具加工 旋转力传递控制机构以及座椅结构
JP6488746B2 (ja) * 2015-02-10 2019-03-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05329120B (zh) * 2015-12-02 2017-08-29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座椅及其双向驱动装置
JP6682300B2 (ja) * 2016-03-04 2020-04-1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02017221944A1 (de) * 2017-12-05 2019-06-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Rastbeschlag zum Verrasten zweier Fahrzeugtei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41582A1 (de) * 1976-09-16 1978-03-23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Gelenkbeschlag fuer fahrzeugsitze mit in bezug auf das sitzteil schwenkbarer rueckenlehne
FR2722150B1 (fr) * 1994-07-05 1996-09-27 Cesa Articulation a memoire de position de reglage pour siege
FR2729108B1 (fr) * 1995-01-10 1997-03-2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equipe d'une telle articulation
FR2763291B1 (fr) * 1997-05-15 1999-08-06 Cesa Articulation pour sie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muni de cette articulation
FR2763290B1 (fr) * 1997-05-15 1999-08-06 Cesa Articulation perfectionnee pour sie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muni de cette articulation
US6149235A (en) * 1999-08-13 2000-11-21 Lear Corporation Rotary-cam type reclining device
DE60142665D1 (de) * 2000-06-29 2010-09-09 Fuji Kiko Kk Neigu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Sitz
CA2374798C (en) * 2001-03-30 2005-06-14 Fujikiko Kabushiki Kaisha Recli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2387393C (en) * 2001-05-24 2006-01-03 Fujikiko Kabushiki Kaisha Seat recliner
US6854802B2 (en) * 2002-10-01 2005-02-15 Fujikiko Kabushiki Kaisha Seat recliner for vehicle
KR100513576B1 (ko) 2003-02-18 2005-09-13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라운드형 리클라이너
US7255398B2 (en) * 2004-10-26 2007-08-14 Fujikiko Kabushiki Kaisha Seat reclining apparatus
JP4653524B2 (ja) * 2005-03-09 2011-03-16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653523B2 (ja) * 2005-03-09 2011-03-16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761935B2 (ja) * 2005-11-01 2011-08-3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871041B2 (ja) * 2006-01-31 2012-02-08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836500B1 (ko) * 2006-06-15 2008-06-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DE102007027341A1 (de) * 2006-08-22 2008-03-06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Gelenk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e mit mindestens zwei Sperrarmen
US7588294B2 (en) * 2006-11-28 2009-09-15 Fuji Kiko Co., Ltd. Seat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US7677666B2 (en) * 2008-01-09 2010-03-16 Bae Industries, Inc. Disc recliner assembly incorporated into a seatback/seat base pivot associated with a vehicle seat
FR2927027B1 (fr) * 2008-02-06 2010-04-02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articulation a elements de verrouillage pivotant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944B1 (ko) 2009-10-29
CN101778733A (zh) 2010-07-14
DE112008002102T5 (de) 2010-07-08
DE112008002102B4 (de) 2016-03-31
US20100194164A1 (en) 2010-08-05
WO2009022775A1 (en) 2009-02-19
US8128170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94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083650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0446127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052910B1 (ko)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차량 좌석
KR10125723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CN102066153B (zh) 用于车辆座椅的配件
CN108177569B (zh) 车辆座椅
JP5768128B2 (ja) 自動車座席用のヘッドレスト
JP5604535B2 (ja) 特に自動車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
JP3619855B2 (ja) 自動車のサブマリン防止用パネル構造
JP6750471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05847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034308B1 (ko)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20110012897A (ko) 다중 고정 타입 리클라이너 레버 장치
KR101034309B1 (ko)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101107985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20230139258A (ko) 모터 감속장치
KR101107987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2332908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0998335B1 (ko) 차량 시트용 사이클로이드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20180045483A (ko)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KR20180100743A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KR20080110546A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의 유격방지구조
KR20110101896A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20190048403A (ko) 차량 시트용 매뉴얼 리클라이너의 연동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