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129B1 -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129B1
KR102392129B1 KR1020200006376A KR20200006376A KR102392129B1 KR 102392129 B1 KR102392129 B1 KR 102392129B1 KR 1020200006376 A KR1020200006376 A KR 1020200006376A KR 20200006376 A KR20200006376 A KR 20200006376A KR 102392129 B1 KR102392129 B1 KR 10239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treatment
double injection
injection structure
double
a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911A (ko
Inventor
전광일
Original Assignee
(주)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라 filed Critical (주)카라
Priority to KR102020000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1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사출 성형품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Surface treatment agent composition for double injection molding structure and surface treatment method of double inj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범퍼의 상단부와 엔진 후드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즉 엔진룸 전방 위치에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도록 큰 방열 면적의 코어로 구성된 라디에이터(Radiator)가 설치되어 있다.상기 라디에이터는 엔진의 실린더와 연소실을 둘러싸고 있는 워터재킷을 통과한 고온의 냉각수를 압송하여 그 열에너지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상기 라디에이터 앞쪽에는 라디에이터 그릴(Radiator Grille)이 장착되어 있어,엔진룸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유도하여 라디에이터의 냉각을 도모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라디에이터 그릴은 ABS 수지 등을 이용하여 몸체를 사출 성형하고,미관을 부여하기 위하여,니켈,크롬 등의 도금을 실시되어 제조된다.
한편,최근에는 이종의 수지를 이용하여 라디에이터 그릴을 이중 사출하여 라디에이터 그릴을 제조하고 있다.예를 들면, ASA수지와 PC/ASA 수지를 사출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이러한 경우에 ASA 수지와 PC/ASA 수지의 소재가 상이하여, 이들 소재의 냉각 및 경화시간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사술용품의 취출시 상기 이종수지의 접합부(계면 부위)에 잔류기공 및/또는 불연속적인 기포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도 1 참조).이러한 경우,사출 성형한 물품에 도장시 소재 표면에도 가스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상기 물품에 균이란 두께의 도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사출성형 성형품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표면처리제 등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730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이중사출 성형품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및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Methyl Isobutyl Ketone); 을 포함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이중사출 구조물을 예열(pre-heating)하여어닐링하는 단계; 및
어닐링 과정을 거친 이중사출 구조물에 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르면,이중사출 성형된 구조물을 예열하여 어닐링하고,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처리 함으로써,상기 구조물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ASA 수지와 PC/ASA 수지를 이중사출 하였을 때,이종수지의 접합부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결과사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중사출 성형품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본 발명의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르면,이중사출 성형된 구조물을 예열하여 어닐링하고,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처리 함으로써,상기 구조물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및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Methyl Isobutyl Ketone); 을 포함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사이클로헥사논 50 내지 90 중량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또는 사이클로헥사논 65 내지 85 중량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1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사이클로헥사논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은 80: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부"란 각 성분간의 혼합비율(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사이클로헥사논이 50 중량부 미만이고, 메틸이소부틸케톤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포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상기 사이클로헥사논이 90 중량부를 초과하고,메틸이소부틸케톤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장품질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사이클로헥사논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의 혼합비율은 상술한 범위의 비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이종 수지 계면부의 기포제거용일 수 있다.상기 조성물은 어닐링된 이중사출 구조물에 도포하여 표면처리 함으로써,상기 구조물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상기 이종수지 구조물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사출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을이용하여 이중사출 구조물을 표면처리 함으로써 기포 제거 효율을 입증한 바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이중사출 구조물을 예열(pre-heating)한 후 어닐링하는 단계; 및
어닐링 과정을 거친 이중사출 구조물에 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도 2 참조).
먼저, 이중사출 구조물을 예열(pre-heating)하여 어닐링하는 단계(S100)를 설명한다.
여기서, 이중사출 구조물은 이중사출 성형을 실시한 이중사출 성형품을 의미할 수 있다.보다 구체적으로,상기 이중사출구조물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 이트(PMMA) 및 아크릴릭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ASA)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소재로 사출된성형품일 수 있다.예를 들면,상기 이중사출 구조물은 아크릴릭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ASA)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릭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PC/ASA) 수지일 수 있다.
특히, 상기 ASA 는 특수 아크릴 고무를 주원료로 하는 3원 공중합체의 열가소성 수지로,뛰어난 내충격성을 가짐과 동시에 내후성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이며,광범위한 환경조건 하에서 뛰어난 물성을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상기 ASA는 이와 유사한 ABS 에 비해 현저하게 외관변화가 적고 플라스틱으로서 필요물성 균형과 성형성을 갖추고 있어서,그릴 성형용으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PC 는 방향족 그룹이 카보네이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일종의 긴고리 폴리에스테르로,강한 물성과 투명성을 갖는다.특히,기계적 강도가 매우 높아 인장,굴곡 및 충격강도가 양호하여 이 또한 자동차의 그릴 성형용으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수지로 성형된 이중사출 구조물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표면처리를 수행하기 전 상기 이중사출 구조물(성형품)을 어닐링지그로 이동시키고,이중사출 구조물의 수지를 유리전이온도와 용융온도 사이에서 유지시켜 결정화를 진행한 후,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어닐링 단계를 포함한다.이중사출 구조물이 어닐링 단계를 수행함으로써,이중사출 구조물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서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고,불순물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성형품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닐링 단계는 평균 온도 70 내지 90 ℃에서, 40 내지 80 분 동안어닐링을수행하고,상온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상기 어닐링 단계는 평균 온도 80 ℃에서, 60 분 동안어닐링을수행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만일, 어닐링 단계에서 평균 온도가 70 ℃미만인 경우에는 어닐링 온도가 너무 낮아 수지를 결정화시킬 수 없으며,특히 이종수지 접합부에서 발생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다. 아울러, 90 ℃를 초과하는 경우, 어닐링 온도가 너무 높아 이중사출 구조물 수지의 변형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어닐링 단계를 거친 이중사출 구조물은 어닐링 단계 이전 보다 발생된 기포를 67% 이상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닐링 과정을 거친 이중사출 구조물에 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처리 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50 내지 90 중량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Methyl Isobutyl Ketone)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닐링 과정을 거친 이중사출 그릴에 공기 분사(air blow)하여 세척한 후 상기 이중사출 구조물의 전면에 제조예에서 제조한 표면처리제를 스프레이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단계는 수지의 표면을 개질하는 것으로,수지의 접촉각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어닐링 단계에서 제거하고 남은 이중사출 구조물의 기포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면처리 단계를 생략하는 경우,이물질 발생과 같은 공정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기포, 이색, 웰드 등의 소재에 의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기포가 발생하는 플라스틱 성분과 표면처리제의 성분(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및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Methyl Isobutyl Ketone))의 상용성이 양호하여 플라스틱 표면에 크랙이나 핀홀에 표면처리제의 성분이 용해하고 난 다음 크랙을 접합시키거나 핀홀의 일부를 메꿔 기포 현상의 발생을 억제시키거나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은표면 처리된 이중사출 구조물의 전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이중사출 구조물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여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머 층은 투명으로 이루어지고, 아크릴 폴리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상기 프라이머 층은 후술하게 되는 클리어층의도료 또는 컬러층 등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아크릴 폴리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클리어 코팅층은 이중사출 구조물을 외부의 습기로부터 보호하고,스크래치와 지문 및 얼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특정 양태로서,상기 프라이머 층과 클리어코팅층의 사이에는 인쇄패턴 또는 색을 구현할 수 있는 컬러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프레이 분사로 수행되며,상기 이중사출 구조물의 도장면에 대하여 스프레이 분사각이80 내지 100 ° 범위에서로 각각 프라이머 도료와 및 클리어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예를 들면,이중사출 구조물의 도장면에 대하여 스프레이 분사각은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를 분사하기 위한스프레이건은중력식스프레이건일 수 있다.상기 스프레이 건의 노즐 사이즈는 φ1.3~1.5 일 수 있다. 만일,스프레이 노즐 사이즈가 너무 작으면 도료의 토출량이 적고 미립화가 좋아 클리어의 도막을 두껍게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노즐의 직경이 너무 크면,도료의 토출량이 많고 미립화가 부족하여 한 번에 두꺼운 도막이 형성되므로,레벨이 불량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한 이중사출 구조물은 70 내지 90 ℃의 온도에서 건조과정을 수행한다.상기 건조과정은 열풍건조로 이루어지며, 70 내지 90 ℃로 이루어지고,상기 열풍 건조의 시간은 30분~120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르면,이중사출 성형된 구조물을 예열하여 어닐링하고,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처리 함으로써,상기 구조물의 이종수지 접합부(계면 부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사출 성형된 라디에이터 그릴(Radiator grill)의 이종수지 접합면에서 발생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5. 이중사출 그릴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의 제조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및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Methyl Isobutyl Ketone)를 혼합하였다.그리고,상기 혼합물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5분간 교반하여 이중사출 그릴용 표면처리제를 제조하였다.
이때,각각의 제조예에 해당되는 사이클론헥산온과메틸이소부틸케톤의 함량은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사이클로헥사논(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중량부)
제조예 1 50 50
제조예 2 60 40
제조예 3 70 30
제조예 4 80 20
제조예 5 90 10
<실시예>
실시예 1~5.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이중사출 그릴 성형 단계
제조예 1~5에서 제조한 이중사출 그릴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 이중사출 그릴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였다.
사출소재의 제1수지로는 아크릴릭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이하,ASA)을 준비하였으며,제2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릭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이하 PC/ASA)를 준비하였다.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를 이용하여, 이중사출 그릴을 성형하였다.
어닐링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성형한 이중사출 그릴을지그에 로딩(loading) 하고,pre-heater 시켜어닐링(annealing) 하였다.이때,오븐의 온도는 평균 80 ℃ 로 설정하고, 3M/min 의 속도로 1시간동안 수행하였다.참고로,이중사출 그릴은 10개를 준비하여 각각 수행하였다.각각의 시료의 온도,시간및 결과는 아래의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온도(℃) 시간(분) 결과(point)
1-1 79 60 30
1-2 79.5 60 28
1-3 79 60 42
1-4 80 60 40
1-5 80.5 60 36
1-6 80.5 60 55
1-7 80 60 25
1-8 80.5 60 47
1-9 80.5 60 35
1-10 80 60 30
평균 80 60 37
상기 표 2를 참조하면,100포인트(기포)를 기준으로 어닐링 처리한 결과,평균 37포인트로 줄어들었으며,이는 기포 제거율이 63%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에칭 단계
어닐링을 수행한 실시예1-1의 이중사출 그릴에 공기 분사(air blow)하여 세척하였다.이는 1차 정전 air 세척 후에 2차 수동 air 세척을 수행하였다.
그리고,상기 이중사출 그릴의 전면에 제조예에서 제조한 표면처리제를 스프레이 분사로 도포하였다.그리고,2시간 동안 자연 건조 하였다.
프라이머 도포 단계
에칭 처리한 이중사출 그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상기 이중사출 그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상기 프라이머는 우레탄 타입의 도료를 사용하였다. 1차적으로 그릴의 전면을 도장하고, 2차로 그릴의 후면을 도포하였다.참고로,프라이머 도포는 후술하게 되는 Clear 의 부착력 향상을 위함이다.
이때,프라이머를 도포하게되는 표면과는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이중사출 그릴에 스프레이 분사하였다.
클리어 도포 단계
프라이머를 도포한 이중사출 그릴에 클리어를 도포하여, 프라이머 층 상에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클리어 도포 단계에서 우레탄 타입의 도료를 사용하였다. 1차적으로 그릴의 후면을 도장하고, 2차로 그릴의 전면을 도포하였다.참고로,클리어 도포는 그릴을 외부의 습기로부터 보호하고,스크래치와 지문 및 얼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평균 80 ℃ 의 온도에서 상기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한 이중사출 그릴을 건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중사출 그릴을 성형하였다.그리고,공기 분사(air blow)하여 세척한 후,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층과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중사출 그릴을 성형하였다.그리고, 어닐링 단계를 수행하고,공기 분사(air blow)하여 세척한 후,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층과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어닐링 공정 및 표면처리 공정 유/무에 따른 기포발생률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표면처리를 실시한 이중사출그릴과 비교예1의 이중사출 그릴의 표면을 분석하여,어닐링 공정 및 표면처리 공정 유/무에 따른 기포발생률을 분석하였다.
이중 사출 그릴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포결합은 사출과정에서 이종소재 계면에 트랩된 기포가 도장 후 열처리 과정에서 팽창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표면처리제에 의한 에칭 전에 에칭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미리 열처리를 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판단된다.
어닐링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에는 90%의 기포결합율을 나타내었으나, 제적 작업 후 80도에서 어닐링 처리를 실시한 경우(비교예 2)의 경우, 평균 37%의 기포결함율 수준으로 불량률 저감이 가능하였다.
이는 도 3은 비교예 1의 제품 사진을 보여준다.
실험예 2. 표면처리 공정 유/무에 따른 기포발생률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표면처리를 실시한 이중사출그릴과 비교예2의 이중사출 그릴의 표면을 분석하여,표면처리 공정 유/무에 따른 기포발생률을 분석하였다.
도 4는 비교예 2의 이중사출 그릴의 표면 사진이고, 도 5는 실시예1에서 표면처리를 실시한 이중사출 그릴의 표면사진을 나타낸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이중사출 그릴은 기포가 37 point 발생하였으나,본 발명에서 처리한 실시예 1의 이중사출그릴에서는 기포 발생이 거의 나타나지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사이클로헥사논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의 함량에 따른 기포발생률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1~5에서 표면처리를 실시한 이중사출그릴의 기포 발생률을 분석하였다.
그리고,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사이클로헥사논(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중량부) 기포 발생(point)
실시예 1 50 50 9
실시예 2 60 40 8
실시예 3 70 30 7
실시예 4 80 20 3
실시예 5 90 10 5
그 결과,실시예 4의 이중사출 그릴의 기포 발생량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부호없음

Claims (6)

  1.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50 내지 90 중량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Methyl Isobutyl Ketone) 10 내지 5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중사출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은,이종 수지 계면부의 기포제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4. 이중사출 구조물을 예열(pre-heating)하여 어닐링하는 단계; 및
    어닐링 과정을 거친 이중사출 구조물에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표면 처리된 이중사출 구조물의 전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이중사출 구조물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여 클리어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이중사출구조물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아크릴릭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ASA)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소재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KR1020200006376A 2020-01-17 2020-01-17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KR10239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376A KR102392129B1 (ko) 2020-01-17 2020-01-17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376A KR102392129B1 (ko) 2020-01-17 2020-01-17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911A KR20210092911A (ko) 2021-07-27
KR102392129B1 true KR102392129B1 (ko) 2022-04-29

Family

ID=7712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376A KR102392129B1 (ko) 2020-01-17 2020-01-17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1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309B1 (ko) 2013-03-25 2014-08-06 주식회사 불스원신소재 무전해 및 전해 도금의 연속 공정을 이용한 고전도성 탄소 섬유의 제조 방법
EP3156210A1 (de) * 2015-10-16 2017-04-19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m schweissen zweier unterschiedlicher kunststoffe
KR102496192B1 (ko) * 2017-09-06 2023-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코트 방식의 도장용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911A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850B1 (ko) 시이트 성형 화합물 및 열가소성 중합체의 복합체 구조물의 제조방법
KR950000329B1 (ko) 건식페인트 전이공정 및 제품
EP1803553B1 (en) Matt acrylic resin film product for thermoforming,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d product comprising the same
US5725712A (en) Dry paint transfer process for making high DOI automotive body panels
US4936936A (en) Method of making thermoplastic acrylic polymer coated composite structure
KR101590656B1 (ko) 비대칭 라미네이트
RU228687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итражей из пластмассы
US5766739A (en) Panel composed of synthetic resins and coated with an antifogging layer and a method of making the panel
JP2010505662A (ja) 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法による装飾プラスチックグレージングアセンブリ
JPH02194878A (ja) 粉末塗装組成物を用いてプラスチック基材を塗装する方法
US20080164635A1 (en) Method for making multi-finish thermoplastic articles
CN107662478A (zh) 注塑模压车窗及其制造方法
CN113007667B (zh) 一种多色外饰灯具面罩生产工艺
EP1984441B1 (en) Coating process for thermoplastics
KR102392129B1 (ko)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사출 구조물의 표면처리 방법
EP0460053A1 (en) Sheet material useful in forming protective and decorative coatings
GB2092511A (en) Hard coated plastics mouldings
JPH06504317A (ja) 塗装した強化熱可塑性物品の性質の改善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製品
JP4667557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20030108757A1 (en) Coated sheet-molded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H0440183B2 (ko)
JPH04268313A (ja) 耐擦傷性に優れた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TWI448335B (zh) Environmental protection coating processing method
JPH0864008A (ja) 自動車の前照灯用および自動車の別の光源用の合成樹脂からなる透明な遮蔽板並びにその製造法
JPS62253418A (ja) 成形品への硬質被膜形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