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796B1 - 물품 보관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796B1
KR102385796B1 KR1020180003273A KR20180003273A KR102385796B1 KR 102385796 B1 KR102385796 B1 KR 102385796B1 KR 1020180003273 A KR1020180003273 A KR 1020180003273A KR 20180003273 A KR20180003273 A KR 20180003273A KR 102385796 B1 KR102385796 B1 KR 10238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ositioning member
type
class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263A (ko
Inventor
다카히로 호리이
다이치 도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08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와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면(16A)과, 제1종 물품(C1)을 위치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 부재(22)를 구비하고,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를,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과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위치결정하도록 배치하고, 제1 위치 결정 부재(21)을,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하고, 제2 위치 결정 부재(22)를,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한다.

Description

물품 보관 설비{ARTICLE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을 보관 가능한 물품 보관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 보관 설비의 종래예가, 일본 공개특허 제2015―17191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제1종 물품(소용기 B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탑재체 측 소용기용 지지부(40)의 탑재면(42)]과, 제2종 물품(대용기 B2)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탑재체 측 대용기용 지지 부재(50)의 탑재면(53)]을 높이가 다르게 구비하고,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같은 위치에 보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물품 보관 설비에는, 대소(大小) 용기용 위치 결정 지지 부재(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대소 용기용 위치 결정 지지 부재(50)에,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맞닿아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맞닿아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부가 구비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5―17191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제2종 물품을 보관했을 때, 제2종 물품이 제1 위치 결정부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제2종 물품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은, 제1 지지면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종 물품을 보관했을 때, 제1종 물품이 제2 지지면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2 지지면은 제1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지지면의 면적이 작아져, 제2종 물품을 보관할 때 제2 지지면에 의해 제2종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하기 쉬운 물품 보관 설비의 실현이 요구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품 보관 설비의 특징적 구성은,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角部)를 가지는 제1종 물품과,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2종 물품을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하며,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제1종 물품과 상기 제2종 물품과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위치결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들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므로, 이들 바닥면부가 중복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작은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위치 결정 부재는,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같은 높이로 할 수 있어, 제1종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제2종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종 물품이나 제2종 물품을 지지면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하기 용이해진다.
도 1은 물품 보관 설비의 측면도
도 2는 물품 보관 설비의 정면도
도 3는 제1종 물품의 사시도
도 4는 제2종 물품의 사시도
도 5는 제3종 물품의 사시도
도 6은 지지면의 사시도
도 7은 제1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제2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제3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 1에서의 제1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 1에서의 제2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 1에서의 제3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1. 실시형태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설비는, 물품(C)을 반송(搬送; transport)하는 천정 반송차(ceiling transport vehicle)(1)와, 물품(C)을 보관하는 보관 선반(storage rack)(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IC 칩(chip)을 지지한 트레이 등의 판형의 수용물을 복수 개 수용하는 용기를 물품(C)으로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1)는, 천정에 현수 지지된(suspended and supported) 주행 레일(2)을 따라 주행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선반(3)은, 물품(C)을 보관하는 보관부(4)를 전후 방향 X로 복수 배열되는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선반(3)은, 주행 레일(2)에 인접하도록 천정에 현수 지지되어 있다.
1―1. 물품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C)으로서,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이 있다. 이들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과의 각각은, 바닥면부(6)와 천정면부(7)와 한 쌍의 측면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종 물품(C)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지만, 한 쌍의 측면부(8)가 배열되는 방향을 폭 방향 W라고 하고, 높이 방향 H에서 볼 때(이하, 평면에서 볼 때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폭 방향 W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 L이라고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부(6)는, 길이 방향 L 및 폭 방향 W를 따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부(6)는, 그 외형이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변(長邊)이 길이 방향 L을 따르고, 단변(短邊)이 폭 방향 W를 따르고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6)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의 각각에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면부(6)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1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부(6)의 외형은 한 쌍의 오목부(10)를 구비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부(6)는, H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바닥면부(6)는, 2개의 측변 부분과, 폭 방향 W로 2개의 측변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을 가지고 있다. 중앙 부분의 길이는, 측변 부분의 길이보다도 짧은(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변 부분의 3/4∼4/5 정도의 길이). 또한, 중앙 부분의 폭은, 측변 부분의 폭의 수배[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종 물품(C1)은 10배, 제2종 물품(C2)은 8배, 제3종 물품(C3)은 3배)]의 폭으로 되어 있다.
바닥면부(6)는, 그 외형이 복수의 각부(11)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닥면부(6)는, 적어도 4개의 각부(11)를 가지고 있고, 이 4개의 각부(11)는, 바닥면부(6)의 4코너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4개의 각부(11)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칭한다. 즉, 바닥면부(6)의 중심(P)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측이며 또한 제1 폭 방향 W1 측에 위치하는 각부(11)를 제1 각부(11A)라고 한다. 바닥면부(6)의 중심(P)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측이며 또한 제2 폭 방향 W2 측에 위치하는 각부(11)를 제2 각부(11B)라고 한다. 바닥면부(6)의 중심(P)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측이며 또한 제1 폭 방향 W1 측에 위치하는 각부(11)를 제3 각부(11C)라고 한다. 바닥면부(6)의 중심(P)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측이며 또한 제2 폭 방향 W2 측에 위치하는 각부(11)를 제4 각부(11D)라고 한다.
그리고, 길이 방향 L의 일방향을 제1 길이 방향 L1이라고 하고, 길이 방향 L의 다른 방향을 제2 길이 방향 L2라 하고, 폭 방향 W의 일방향을 제1 폭 방향 W1이라고 하고, 폭 방향 W의 다른 방향을 제2 폭 방향 W2라고 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면부(7)는, 길이 방향 L 및 폭 방향 W를 따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천정면부(7)의 외형은, 바닥면부(6)의 외형과 같은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부(8)의 각각은, 길이 방향 L 및 높이 방향 H을 따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부(8)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길이 방향 L을 따라 슬릿(slit)(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8A)은, 높이 방향 H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물품(C)는, 한 쌍의 측면부(8)에 형성된 슬릿(8A)에 길이 방향 L로 꽂도록 하여 판형의 수용물을 지지하고, 이와 같이 수용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바닥면부(6)와 천정면부(7)와 한 쌍의 측면부(8)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수용물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면부(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제2종 물품(C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및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각각은, 바닥면부(6)의 중심 측으로 퇴피하는 오목부(10)를 가지고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제2종 물품(C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및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형상이 직사각형상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6)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의 각각에 직사각형의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제2종 물품(C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및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각각은, 복수의 각부(1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의 길이 D4는,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의 길이 D5와 같은 길이이지만, 제3종 물품(C3)의 바닥면부(6)의 길이 D6보다도 짧다. 또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의 폭 D1은,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의 폭 D2보다도 넓고,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의 폭 D2는, 제3종 물품(C3)의 바닥면부(6)의 폭 D3보다도 넓다. 이와 같이,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에서는, 바닥면부(6)의 외형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보관 선반(3) 및 천정 반송차(1)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주행 레일(2)이 연신(延伸)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 X라고 하고,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전후 방향 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Y라고 하여 설명한다.
1―2. 보관 선반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선반(3)은, 물품(C)을 지지하는 판형의 지지체(16)와, 천정에 현수 지지되어 있는 현수체(懸垂體)(17)와, 좌우 방향 Y를 따라 설치된 제1 프레임체(18)와, 전후 방향 X를 따라 설치된 제2 프레임체(19)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프레임체(19)는, 좌우 방향 Y로 배열되는 상태로 한 쌍 구비되어 있고, 한 쌍의 제2 프레임체(19)의 각각에서의 전후 방향 X의 양 단부가, 현수체(17)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체(16)는, 1개의 보관부(4)에 대하여 1개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16)의 상면에 의해 지지면(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16)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은, 제1종 물품(C1), 제2종 물품(C2) 및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16)에서의 전후 방향 X의 양 단부가 제1 프레임체(18)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그 제1 프레임체(18)의 좌우 방향 Y의 양 단부가 제2 프레임체(1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6)는, 물품(C)의 바닥면부(6)를 지지하는 지지면(16A)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부(4)에는,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는 지지면(16A)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는,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에서의 각부(11)와 맞닿아 제1종 물품(C1)을 위치결정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위치 결정 부재(22)는,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에서의 각부(11)와 맞닿아 제2종 물품(C2)을 위치결정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는, 제3종 물품(C3)의 바닥면부(6)에서의 각부(11)와 맞닿아 제3종 물품(C3)을 위치결정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는, 평면에서 볼 때의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위치결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는, 평면에서 볼 때 제1종 물품(C1) 및 제2종 물품(C2)과 방향이 상이하도록 제3종 물품(C3)을 위치결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에서의 장변[바닥면부(6)의 제1 변에 상당하는 것이며, 이하, 제1종 물품(C1)의 장변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이,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전후 방향 X를 따르는 변이며, 이하, 지지면(16A)의 변이라고 함]과 평행상(平行狀)으로 되도록, 제1 위치 결정 부재(21)가 제1종 물품(C1)을 위치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종 물품(C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장변이, 지지면(16A)의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제1 설정 각도(90°미만의 각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4°)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제2 위치 결정 부재(22)가 제2종 물품(C2)을 위치결정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장변이, 지지면(16A)의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제2 설정 각도(90°미만의 각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5°)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제3 위치 결정 부재(23)가 제3종 물품(C3)을 위치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는,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다. 또한, 제3 위치 결정 부재(23)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3종 물품(C3)의 바닥면부(6)는,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 및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다.
다음에, 각 위치 결정 부재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는, 제1 부재(21A)와 제2 부재(21B)와 제3 부재(21C)와 제4 부재(21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부재(21A)는, 제1종 물품(C1)의 제1 각부(11A)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1종 물품(C1)의 제1 각부(11A)와 맞닿음으로써, 제1종 물품(C1)의 제1 각부(11A)가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2 부재(21B)는, 제1종 물품(C1)의 제2 각부(11B)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1종 물품(C1)의 제2 각부(11B)와 맞닿음으로써, 제1종 물품(C1)의 제2 각부(11B)가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3 부재(21C)는, 제1종 물품(C1)의 제3 각부(11C)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1종 물품(C1)의 제3 각부(11C)와 맞닿음으로써, 제1종 물품(C1)의 제3 각부(11C)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4 부재(21D)는, 제1종 물품(C1)의 제4 각부(11D)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1종 물품(C1)의 제4 각부(11D)와 맞닿음으로써, 제1종 물품(C1)의 제4 각부(11D)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위치 결정 부재(22)는, 제5 부재(22A)와 제6 부재(22B)와 제7 부재(22C)와 제8 부재(22D)를 구비하고 있다.
제5 부재(22A)는, 제2종 물품(C2)의 제1 각부(11A)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에 위치하고 있고, 제2종 물품(C2)의 제1 각부(11A)와 맞닿음으로써, 제2종 물품(C2)의 제1 각부(11A)가 제1 길이 방향 L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6 부재(22B)는, 제2종 물품(C2)의 제2 각부(11B)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2종 물품(C2)의 제2 각부(11B)와 맞닿음으로써, 제2종 물품(C2)의 제2 각부(11B)가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7 부재(22C)는, 제2종 물품(C2)의 제3 각부(11C)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2종 물품(C2)의 제3 각부(11C)와 맞닿음으로써, 제2종 물품(C2)의 제3 각부(11C)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8 부재(22D)는, 제2종 물품(C2)의 제4 각부(11D)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2종 물품(C2)의 제4 각부(11D)와 맞닿음으로써, 제2종 물품(C2)의 제4 각부(11D)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는, 제9 부재(23A)와 제10 부재(23B)와 제11 부재(23C)와 제12 부재(23D)를 구비하고 있다.
제9 부재(23A)는, 제3종 물품(C3)의 제1 각부(11A)에 대하여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3종 물품(C3)의 제1 각부(11A)와 맞닿음으로써, 제3종 물품(C3)의 제1 각부(11A)가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10 부재(23B)는, 제3종 물품(C3)의 제2 각부(11B)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3종 물품(C3)의 제2 각부(11B)와 맞닿음으로써, 제3종 물품(C3)의 제2 각부(11B)가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11 부재(23C)는, 제3종 물품(C3)의 제3 각부(11C)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3종 물품(C3)의 제3 각부(11C)와 맞닿음으로써, 제3종 물품(C3)의 제3 각부(11C)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제12 부재(23D)는, 제3종 물품(C3)의 제4 각부(11D)에 대하여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3종 물품(C3)의 제4 각부(11D)와 맞닿음으로써, 제3종 물품(C3)의 제4 각부(11D)가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재(21A)와 제5 부재(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부재(21A)와 제5 부재(22A)와 제1 블록(B1)이 구성되어 있다.
제2 부재(21B)와 제10 부재(2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2 부재(21B)와 제10 부재(23B)와 제2 블록(B2)이 구성되어 있다.
제6 부재(22B)와 제9 부재(2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6 부재(22B)와 제9 부재(23A)와 제3 블록(B3)이 구성되어 있다.
제3 부재(21C)와 제11 부재(2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3 부재(21C)와 제11 부재(23C)와 제4 블록(B4)이 구성되어 있다.
제4 부재(21D)와 제8 부재(22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4 부재(21D)와 제8 부재(22D)와 제5 블록(B5)이 구성되어 있다.
제7 부재(22C)와 제12 부재(23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7 부재(22C)와 제12 부재(23D)와 제6 블록(B6)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블록(B1), 제2 블록(B2), 제3 블록(B3), 제4 블록(B4), 제5 블록(B5) 및 제6 블록(B6)은, 지지체(16)를 아래쪽으로부터 관통시킨 비스(vis)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제1 위치에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과,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제2 위치에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과, 제3 위치 결정 부재(23)에 의해 제3 위치에 위치결정된 제3종 물품(C3)은, 각각에서의 바닥면부(6)의 중심(P)은 평면에서 볼 때 같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부재(22B)의 일부 및 제7 부재(22C)의 일부가,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위치 결정 부재(22)의 일부가,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에서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 부재(23A)의 일부 및 제12 부재(23D)의 일부가,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의 일부가,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에서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 부재(23A)의 일부 및 제12 부재(23D)의 일부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의 일부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에서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블록(B1)으로부터 제6 블록(B6)의 각각에는, 안내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와의 각각에 안내부(2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 반송차(1)에 의해 제1종 물품(C1)을 지지면(16A) 상에 내려놓을 때, 제1종 물품(C1)이 제1 위치에 대하여 전후 방향 X나 좌우 방향 Y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구비되어 있는 안내부(25)가, 제1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는 제1종 물품(C1)에 맞닿아, 제1종 물품(C1)을 제1 위치를 향해 안내한다. 마찬가지로,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구비되어 있는 안내부(25)가, 제2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는 제2종 물품(C2)에 맞닿아, 제2종 물품(C2)을 제2 위치를 향해 안내한다. 또한, 제3 위치 결정 부재(23)에 구비되어 있는 안내부(25)가, 제3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는 제3종 물품(C3)에 맞닿ㅇ아제3종 물품(C3)을 제3 위치를 향해 안내한다.
1―3. 천정 반송차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1)는, 주행 레일(2) 상을 주행 레일(2)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31)와, 주행 레일(2)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주행부(31)에 현수 지지된 본체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2)는, 물품(C)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機構)(33)와, 지지 기구(33)를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기구(33)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조작 기구(34)와, 승강 조작 기구(34)를 주행부(31)의 바로 아래의 퇴피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 Y로 이동시킨 돌출 위치(도 2 참조)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조작 기구(35)와, 지지 기구(33)를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승강 조작 기구(34)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지지 기구(33)에 지지된 물품(C)의 위쪽 및 전후 방향 X를 덮는 커버체(3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기구(33)에는, 승강 조작 기구(34)에 의해 현수 지지된 승강 본체부(38)와, 물품(C)을 지지하는 물품 지지부(39)와, 승강 본체부(38)에 대하여 물품 지지부(39)를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심(軸心) 주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40)에 의해 승강 본체부(38)에 대하여 물품 지지부(39)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기구(33)에 의해 지지하고 있는 물품(C)의 자세를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심 주위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품 지지부(39)는, 물품(C)에서의 천정면부(7)를 파지(把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지지부(39)에는, 물품(C)에 수용한 수용물에 대하여 길이 방향 L로 배열되는 상태에 위치하는 방지체(39A)가 구비되어 있다. 물품 지지부(39)에 의해 물품(C)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방지체(39A)에 의해 물품(C)으로부터 수용물이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천정 반송차(1)는, 제1종 물품(C1)을 보관부(4)로 반송(transport)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관부(4)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까지 주행부(31)를 주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조작 기구(35)에 의해 승강 조작 기구(34)를 돌출 위치까지 돌출시키고, 그 후, 지지 기구(33)를 하강시켜 제1종 물품(C1)을 지지체(16)의 지지면(16A) 상에서의 제1 위치에 내려놓는다.
또한, 천정 반송차(1)는, 제2종 물품(C2)을 보관부(4)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관부(4)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까지 주행부(31)를 주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조작 기구(35)에 의해 승강 조작 기구(34)를 돌출 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승강 본체부(38)에 대하여 물품 지지부(39)를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제1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그 후, 지지 기구(33)를 하강시켜 제2종 물품(C2)을 지지체(16)의 지지면(16A) 상에서의 제2 위치에 내려놓는다.
또한, 천정 반송차(1)는, 제3종 물품(C3)을 보관부(4)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관부(4)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까지 주행부(31)를 주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조작 기구(35)에 의해 승강 조작 기구(34)를 돌출 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승강 본체부(38)에 대하여 물품 지지부(39)를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제2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그 후, 지지 기구(33)를 하강시켜 제3종 물품(C3)을 지지체(16)의 지지면(16A) 상에서의 제3 위치에 내려놓는다.
2. 그 외의 실시형태
다음에, 물품 보관 설비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블록(B1)으로부터 제6 블록(B6)에 의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를 구성하였지만, 이들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핀(42)에 의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를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도 10에 있어서는, 제1 위치 결정 부재(21)를 구성하는 8개의 핀(42)에 대하여, 다른 핀(42)과 다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제2 위치 결정 부재(22)를 구성하는 8개의 핀(42)에 대하여, 다른 핀(42)과 다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제3 위치 결정 부재(23)를 구성하는 8개의 핀(42)에 대하여, 다른 핀(42)과 다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제1 변이,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과 평행상으로 되도록, 제1 위치 결정 부재(21)가 제1종 물품(C1)을 위치 결정하였으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제1 변이,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과 평행상으로 되지 않도록, 제1 위치 결정 부재(21)가 제1종 물품(C1)을 위치결정해도 된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면부(6)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2개의 오목부(10)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바닥면부(6)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오목부(10)가 형성되지 않은 직사각형이나, 오목부(10)가 형성된 사다리꼴로 형성하는 등, 바닥면부(6)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과 바닥면부(6)의 형상을 동일한 형상으로 하였으나,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과 바닥면부(6)를 상이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을 직사각형으로 하였으나,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을 사다리꼴이나 원형상이나 타원 형상 등,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과의 3종류의 물품(C)을, 지지면(16A)에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했지만, 2종류의 물품(C)[예를 들면,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를, 지지면(16A)에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해도 되고, 4종류 이상의 물품(C)을, 지지면(16A)에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6)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보관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보관 설비는,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를 가지는 제1종 물품과,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2종 물품을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하며,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제1종 물품과 상기 제2종 물품과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위치결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므로, 이들 바닥면부가 중복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작은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위치 결정 부재는,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같은 높이로 할 수 있고, 제1종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제2종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종 물품이나 제2종 물품을 지지면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하기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바닥면부의 중심 측으로 퇴피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가 가지고 있는 오목부를 이용하여,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를,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오목부 내에 배치함으로써,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모두를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오목부 밖에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작은 스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의 각각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종 물품에서의 장변이 따른 방향의 양 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이용하여,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를,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오목부 내에 배치함으로써,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장변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작은 스페이스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종 물품 및 상기 제2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3종 물품도, 상기 제1종 물품 및 상기 제2종 물품과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하며,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3 위치 결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3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3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종 물품, 상기 제2종 물품, 및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모두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에 위치결정된 상기 제3종 물품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 및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2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제1종 물품의 상기 제1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제1종 물품의 상기 제1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3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3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3종 물품의 바닥면부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므로, 이들 바닥면부가 중복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과 제3종 물품을 작은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종 물품을 지지면 상에 보관하는 경우와, 제2종 물품을 지지면 상에 보관하는 경우와, 제3종 물품을 지지면 상에 보관하는 경우에, 보관하는 물품에 따라 물품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1종 물품, 제2종 물품, 및 제3종 물품의 각각을 적절히 위치결정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 상기 제2종 물품, 및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과 평행상으로 되도록,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이므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의 전체를 지지면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제2종 물품이나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이므로, 이들 제2종 물품이나 제3종 물품을 제1종 물품에 대하여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위치 결정한 경우에 있어서, 이들 제2종 물품이나 제3종 물품의 바닥면부의 전체 또는 바닥면부의 넓은 면적을 지지면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같은 위치에 보관 가능한 물품 보관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6: 바닥면부
10: 오목부
11: 각부
16A: 지지면
21: 제1 위치 결정 부재
22: 제2 위치 결정 부재
23: 제3 위치 결정 부재
C1: 제1종 물품
C2: 제2종 물품
C3: 제3종 물품

Claims (5)

  1.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角部)를 가지는 제1종 물품; 및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2종 물품;을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한 물품 보관 설비로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부재; 및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2 위치 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제1종 물품과 상기 제2종 물품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위치결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바닥면부의 중심 측으로 퇴피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물품 보관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短邊)의 각각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물품 및 상기 제2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3종 물품도, 상기 제1종 물품 및 상기 제2종 물품과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하며,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3 위치 결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3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3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종 물품, 상기 제2종 물품, 및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모두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에 위치결정된 상기 제3종 물품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 및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2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제1종 물품의 상기 제1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제1종 물품의 상기 제1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3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물품 보관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 상기 제2종 물품, 및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과 평행상(平行狀)으로 되도록,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물품 보관 설비.
KR1020180003273A 2017-01-12 2018-01-10 물품 보관 설비 KR102385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3539 2017-01-12
JP2017003539A JP6686914B2 (ja) 2017-01-12 2017-01-12 物品保管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263A KR20180083263A (ko) 2018-07-20
KR102385796B1 true KR102385796B1 (ko) 2022-04-11

Family

ID=6286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273A KR102385796B1 (ko) 2017-01-12 2018-01-10 물품 보관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86914B2 (ko)
KR (1) KR102385796B1 (ko)
CN (1) CN108298238B (ko)
TW (1) TWI7422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2865B (zh) * 2021-04-16 2022-01-11 迅得機械股份有限公司 具有擋止功能的卡匣及卡匣搬送系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5934A (ja) 2011-11-15 2013-05-30 Lintec Corp 支持装置及び支持方法
JP2014045013A (ja) 2012-08-24 2014-03-13 Bondtech Inc 基板上への対象物の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
JP2017150056A (ja)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トレイ及び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8708U (ko) * 1986-09-18 1988-04-02
US5246218A (en) * 1992-09-25 1993-09-21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securing an automatically loaded wafer cassette on a wafer processing equipment
TWI237305B (en) * 1998-02-04 2005-08-01 Nikon Corp Exposure apparatus and positioning apparatus of substrate receiving cassette
US6550619B2 (en) * 2000-05-09 2003-04-22 Entergris, Inc. Shock resistant variable load tolerant wafer shipper
JP4082652B2 (ja) * 2001-11-02 2008-04-30 平田機工株式会社 載置装置
KR100557854B1 (ko) * 2004-06-04 2006-03-10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반도체 제조장치의 웨이퍼 카세트 스테이지
TWI348988B (en) * 2006-08-04 2011-09-21 Hon Hai Prec Ind Co Ltd Tray locating-device
CN202186633U (zh) * 2011-07-29 2012-04-1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承载装置
JP6052209B2 (ja) 2014-03-11 2016-12-27 株式会社ダイフク 容器搬送設備
JP6191543B2 (ja) * 2014-05-22 2017-09-06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5934A (ja) 2011-11-15 2013-05-30 Lintec Corp 支持装置及び支持方法
JP2014045013A (ja) 2012-08-24 2014-03-13 Bondtech Inc 基板上への対象物の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
JP2017150056A (ja)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トレイ及び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98238A (zh) 2018-07-20
KR20180083263A (ko) 2018-07-20
CN108298238B (zh) 2021-05-14
JP6686914B2 (ja) 2020-04-22
TWI742215B (zh) 2021-10-11
TW201829270A (zh) 2018-08-16
JP2018111577A (ja)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987B1 (ko) 반송차 및 반송 설비
JP7005666B2 (ja) ロボットの物体取り扱い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308078B1 (ko) 반송 시스템
JP2021176811A (ja) 貯蔵システム
KR102637389B1 (ko) 물품 수납 선반, 및 물품 수납 선반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KR102385796B1 (ko) 물품 보관 설비
JP2020065015A (ja) 物品搬送車
EP3050825B1 (e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lacing two types of articles on a support device
KR101474124B1 (ko) 광학 필름 수납함 및 그 수납함의 운반 대차
KR20110097598A (ko) 반송차 시스템
CN114940392A (zh) 运输系统和运输方法
JP5367481B2 (ja) 通い箱
KR20140003014U (ko) 승용차 소화물 고정용 홀더
JP7010262B2 (ja) 物品収納棚
SK7809Y1 (sk) Systém uloženia a pohybu buniek v obaloch na prepravu tovarov
KR102645998B1 (ko)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내부 구조를 갖는 팰릿
JP3986784B2 (ja) 梱包装置および緩衝材
EP2896577B1 (en) Supporting and stack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s
JP7392003B2 (ja) モジュール式コンテナアクセスステーション
JPH02117507A (ja) 物流装置
JPH1059482A (ja) 箱型荷箱の仕切り装置
WO2024042794A1 (ja) 移載システム
CN210140054U (zh) 货架
JP7167390B2 (ja) 立体自動倉庫
JP2011219127A (ja) 仕切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