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466B1 -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466B1
KR102383466B1 KR1020200103206A KR20200103206A KR102383466B1 KR 102383466 B1 KR102383466 B1 KR 102383466B1 KR 1020200103206 A KR1020200103206 A KR 1020200103206A KR 20200103206 A KR20200103206 A KR 20200103206A KR 102383466 B1 KR102383466 B1 KR 10238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ime
making
temperature
ic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257A (ko
Inventor
김두하
Original Assignee
블루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466B1/ko
Priority to US17/128,793 priority patent/US20220057128A1/en
Publication of KR2022002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은 얼음제조부에서 제빙이 시작되는 제빙 시작 시점부터 제빙이 완료되는 제빙 완료 시점까지 제빙소요시간을 카운트하며, 제빙 과정을 수행하는 제1 단계; 카운트된 상기 제빙소요시간를 획득하며, 외부온도센서로부터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제2 단계;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 및 상기 제빙소요시간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탈빙 시간을 이용하여 탈빙 과정을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상의 온도 조건 뿐만 아니라 가혹한 환경에서도 탈빙 과정 중 냉판의 얼음이 완벽하게 분리되어 제빙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변된 탈빙 시간을 통해 제빙기의 제빙 능력이 상승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TEMPERATURE CONTORL METHOD FOR DETACHING ICE OF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빙 시간 제어 및 온도에 따른 제빙용 펌프 동작 제어를 통해 탈빙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치 타입(Batch Type) 제빙기는 냉판에 얼음을 얼리는 제빙 과정과 냉판에 언 얼음을 분리시키는 탈빙 과정을 교대로 반복 수행하는 제빙기로, 제빙기의 제빙 능력은 일일 얼음 생산량에 따라 결정되며, 특히 배치 타입 제빙기의 제빙 능력은 제빙 시간 및 탈빙 시간이 얼마나 짧게 유지되느냐에 따라 주로 결정된다.
제빙 과정에서는, 제빙에 필요한 물이 급수 밸브를 통해 워터탱크 내부로 급수되며, 워터탱크의 용량은 한번 얼려지는 얼음의 양과 일치한다. 워터탱크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물이 냉판에 흐르도록 제빙용 워터 펌프가 동작함과 동시에 냉동 사이클이 진행되며, 이때 냉동 사이클에 의해 냉판이 차가워지며 냉판 위에 흐르는 물이 얼음으로 변하게 된다. 즉, 급수 온도가 낮을수록 물이 어는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지고, 제빙 시간도 짧아지게 된다.
반면, 탈빙 과정에서는, 핫가스 밸브에 의해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냉판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냉판의 온도가 올라가고, 냉판 표면에 닿아있는 얼음면이 녹기 시작하며 냉판의 얼음이 얼음 저장기로 분리되게 된다. 즉, 제빙 과정과 반대로, 탈빙 과정은 급수 온도가 높을수록 탈빙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제빙 과정은 제빙 시간이 짧아질수록, 탈빙 과정은 탈빙 시간이 짧아질수록 효율이 증대되는데, 제빙기 주변의 주위 온도가 너무 낮거나 급수 온도가 너무 낮은 것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는 탈빙 과정 중 온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종전과 동일하게 탈빙 과정을 수행하면 냉판의 얼음이 완벽하게 분리되지 않고, 다음 주기의 제빙 과정에서 이전 주기에서 분리되지 않은 냉판의 얼음 위에 다시 얼음이 얼려지게 되며 냉판 전체가 결빙되게 되고, 탈빙 과정에서 얼음을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빙기의 기능이 상실되며, 고장이 유발되는 바, 제빙기 주변의 주위 온도나 급수되는 물의 급수 온도가 너무 낮아지면 탈빙 과정에서 얼음이 완벽하게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환경 조건이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가변시킨 탈빙 공정을 수행하여 탈빙 과정 중 얼음이 완벽하게 분리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탈빙 과정에서 탈빙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다음 주기의 제빙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탈빙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1) KR 1993-010641 A
본 발명은, 제빙용 워터 펌프 동작을 가변시켜 다음 주기의 제빙 과정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탈빙 시간을 가변시켜 통상의 온도 조건은 물론 가혹한 환경에서도 탈빙 과정 중 얼음이 완벽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은, 얼음제조부에서 제빙이 시작되는 제빙 시작 시점부터 제빙이 완료되는 제빙 완료 시점까지 제빙소요시간을 카운트하며, 제빙 과정을 수행하는 제1 단계, 카운트된 상기 제빙소요시간를 획득하며, 외부온도센서로부터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제2 단계,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 및 상기 제빙소요시간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탈빙 시간을 이용하여 탈빙 과정을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 및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단계는,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가 제1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3 단계는, 획득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상기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 내에 있는경우,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증발기 출측 배관에 설치된 증발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매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감지 시점부터 결정된 상기 탈빙 시간이 카운트되며, 상기 탈빙 시간 동안 상기 냉매 온도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증발기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제빙용 워터 펌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탈빙 시간 동안 상기 냉매 온도가 제3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워터 펌프 동작을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벗어났다면, 탈빙 과정이 완료됐을 때 이전 주기의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상기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벗어났었는지 추가로 검출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상기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적어도 2회 이상 연속 초과하였다고 검출되는 경우, 에러를 표시하고 제빙기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연속하여 벗어나면 냉판의 얼음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것이여서 제빙 및 탈빙 과정을 계속할 경우 냉판 전체가 얼어 제빙기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빙 시작 시점은 상기 탈빙 시간이 도과한 시점부터 기산되며, 상기 제빙 완료 시점은 급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에 도달하면 감지되며, 상기 제1 단계는, 급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제빙소요시간의 카운트 및 제빙 과정을 계속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탈빙 시간 중 마지막 구간에서 상기 제빙용 워터 펌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탈빙 과정에서 제빙에 사용되는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급수 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 온도를 획득하여, 상기 급수 온도에 따라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획득한 상기 급수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급수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할 수 있다. 주위 온도 및 제빙소요시간 뿐만 아니라 급수 온도까지 고려하여 탈빙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빙기의 효율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 및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검출 결과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탈빙 시간을 이용하여 탈빙 과정을 수행하여 주변 환경 조건 변화에도 탈빙 과정에서 얼음이 완벽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제빙기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빙 과정 중 온도가 너무 높아져 다음 제빙 과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빙용 워터 펌프를 제어하여 최적 제빙 온도를 유지하며, 제빙기의 내구성을 오래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주위 온도 및 제빙소요시간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냉매의 온도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그 예는 도면에 도시된다.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설명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 또는 단계만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 또는 단계를 추가, 부가한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이들은 다만 청구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이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하는 방법의 예일 뿐이다.
아래에서, 예를 들어, "...때", "...의 경우"라고 기재된 용어는 "만약" 또는 "만일" 또는 "..한다면" 또는 "확정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라고 해석될 수 있다.
아래에서, 탈빙 시간이 카운트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탈빙 시간이 10초일 경우, 0초가 되지 않고, 10초, 9초,...1초로 카운트 되고 있다는 의미이며, 탈빙 시간이 도과되는 것은, 예를 들어, 탈빙 시간이 10초일 경우, 탈빙시간의 카운트가 종료되고 탈빙 시간이 0초가 되어, 더이상 탈빙 시간이 남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100)은, 얼음제조부에서 제빙이 시작되는 제빙 시작 시점부터 제빙이 완료되는 제빙 완료 시점까지 제빙소요시간을 카운트하며, 제빙 과정을 수행하는 제1 단계(S110), 카운트된 상기 제빙소요시간를 획득하며, 외부온도센서로부터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제2 단계(S120),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 및 상기 제빙소요시간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제3 단계(130) 및 결정된 상기 탈빙 시간을 이용하여 탈빙 과정을 수행하는 제4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탈빙 시간은 제빙 완료 시점에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매를 가열하는 시간과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시간의 합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가변되는 탈빙 시간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후 결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시간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탈빙 공정은 결정된 탈빙 시간보다 길게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10에서, 상기 제빙 시작 시점은 상기 탈빙 시간이 도과한 시점부터 기산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 완료 시점은 급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에 도달하면 감지될 수 있고, 특히, 상기 급수 탱크 내에 설치된 수위 센서를 통해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급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에 도달하지 못하면, 제빙 과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빙소요시간의 카운트 및 제빙 과정을 계속할 수 있다.
도 2 는 S120 및 S130의 단계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과정이 시작되면 제빙 시작 시점부터 제빙소요시간을 카운트하며(S201), 카운트함과 동시에 제빙 과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202).
상술한 바와 같이, 제빙 완료는 급수 탱크 내에 설치된 수위 센서가 설정된 수위 이하에 도달함을 감지하여 제빙 완료 시점이 도달한 것을 의미하며, 제빙 완료(S202)가 되면 카운트를 종료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며, 제빙 완료 시점이 도달하지 않으면 계속 카운트 및 제빙 과정을 계속 동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완료되면(S202), 제빙소요시간 카운트를 완료하여 제빙소요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빙기의 외부온도센서로부터 주위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S20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 및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단계(S130)는,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가 제1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3 단계는, 획득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상기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 내에 있는경우,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제빙소요시간은 제빙 과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최적제빙시간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탈빙 시간을 가변시켜 얼음이 냉판에서 분리될 수 있는 탈빙 온도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줄 수 있으며, 이때, 주위 온도만으로 탈빙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제빙소요시간만으로 탈빙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주위 온도 및 제빙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탈빙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3에서 확인하여 획득한 주위 온도가 제1 온도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S204), 주위 온도가 제1 온도 미만일 경우, S203에서 확인하여 획득한 제빙소요시간이 t1 미만인지(S205), 제빙소요시간이 t2 초과하는지 판단하여(S206), 주위 온도 및 제빙소요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탈빙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 온도가 매우 낮은 가혹한 환경에 제빙기가 있을 경우, 얼음이 냉판에서 분리되도록 냉판의 온도를 올리기가 어려워 긴 탈빙 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주위 온도가 제1 온도 미만(YES)일 경우, 추가적으로 제빙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탈빙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주위 온도가 제1 온도 이상(NO)일 경우, 탈빙 온도에 도달하기가 용이한 바 짧은 탈빙 시간 T1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1 온도는 18℃일 수 있고, T1 은 120초일 수 있다.
또한, 주위 온도가 제1 온도 미만일 때, 제빙소요시간이 t1 미만(YES)일 경우, 긴 탈빙 시간 T2를 적용할 수 있고, 제빙소요시간이 t1 이상(N0)이더라도 t2를 초과할 경우(YES), 긴 탈빙 시간 T2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온도는 18℃일 수 있고, T2 는 480초일 수 있다. 주위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급수 온도가 0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짧고, 결과적으로 제빙소요시간도 짧아지게 되는 바,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t1보다 짧을 경우 탈빙을 수행하기 위한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충분히 긴 탈빙 시간이 필요하다.
한편, 주위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냉판에 생성된 얼음이 냉판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분리되지 않은 얼음 위에 다시 얼음이 얼려지게 되면 워터 탱크 내의 수위가 정상 속도로 줄어들 수 없어 제빙소요시간이 정상 범위보다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t2를 초과할 경우에도 냉판의 얼음을 제거하고 원활한 제빙 및 탈빙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충분히 긴 탈빙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빙소요시간이 t1 미만이거나, t2를 초과할 경우, 긴 탈빙시간 T2(예를 들어, 480초)를 적용하며(S207a), 제빙소요시간이 t1 내지 t2 범위 내면 주위 온도가 제1 온도 미만이더라도 짧은 탈빙시간 T1(예를 들어, 120초)을 적용할 수 있다(S207b). 이때, 설정된 최적제빙시간 범위는 t1 내지 t2로, t1≤t2이며, t1=t2도 될 수 있어, 제빙소요시간이 최적 설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가 아니라 최적 설정값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변 탈빙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1 은 21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빙 시간이 결정되면, 탈빙 과정을 시작하며(S208), 탈빙 과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며(S209), 탈빙 시간이 도과하여 탈빙 과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YES), 제빙소요시간이 t2 를 2회 연속 초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2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S130)에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t1 내지 t2)를 벗어났다면, 탈빙 과정이 완료(S209)됐을 때 이전 주기의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벗어났었는지 추가로 검출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상기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적어도 2회 이상 연속 초과하였다고 검출(S210)되는 경우, 에러를 표시하고 제빙기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소요시간이 t2 를 2회 연속 초과하였는지 판단하여(S210), 2회 연속 초과가 검출될 경우(YES) 에러를 표시하고 제빙기 구동을 중단하며, 2회 연속 초과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NO) 그대로 다음 주기의 제빙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t1 내지 t2)를 연속하여 벗어나면 냉판의 얼음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것이어서 제빙 및 탈빙 과정을 그대로 계속할 경우 냉판 전체가 얼어 제빙기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급수 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 온도를 획득하여, 상기 급수 온도에 따라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획득한 상기 급수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급수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할 수 있다.
주위 온도 및 제빙소요시간 뿐만 아니라 급수 온도까지 고려하여 더 정확한 탈빙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빙기의 효율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S140)는, 증발기(401) 출측 배관에 설치된 증발기 센서(405)에 의해 감지된 냉매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감지 시점부터 결정된 상기 탈빙 시간이 카운트되며, 상기 탈빙 시간 동안 상기 냉매 온도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증발기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제빙용 워터 펌프(403)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탈빙 시간 동안 상기 냉매 온도가 제3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빙용 워터 펌프(403) 동작을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4 단계(S140)는, 상기 탈빙 시간 중 마지막 구간에서 상기 제빙용 워터 펌프(403)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탈빙 과정에서 제빙에 사용되는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인렛 밸브(Water inlet valve, 410)로부터 워터 탱크(Water tank, 402) 내로 물이 급수되며, 워터 펌프(water pump, 403)가 동작하면, 워터 탱크(402) 내의 물이 스프레이 튜브(Spray tube, 404)로 흘러 증발기(Evaporate, 401)가 위치한 냉판으로 공급된다. 중력으로 인해 상부에서 하부로 물이 흐르며, 증발기(401)를 지나는 찬 냉매에 의해 냉판 위로 얼음이 생성되고, 워터 탱크(402) 내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 이하로 줄어들면 수위 센서(Level sensor, 405)가 이를 감지하고, 제빙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탈빙 과정이 시작되며, 곧바로 결정된 탈빙 시간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증발기(401)의 출측 배관에 설치된 증발기 센서(Evaporate Sensor, 406)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결정된 탈빙 시간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센서가 7℃를 감지하면, 결정된 탈빙 시간, 예를 들어 탈빙 시간 T1 또는 탈빙 시간 T2를 진행할 수 있다. 수위 센서(405)가 저수위를 감지하면 동시에 핫 가스 밸브(Hot gas valve, 408)는 열리고, 리퀴드 밸브는 닫히면서 증발기로 고온의 냉매를 공급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빙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탈빙 과정에서 제빙에 사용되는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의 온도가 얼음의 온도보다 높아 제빙 과정에서 사용될 물을 미리 급수하여 냉판의 온도 상승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탈빙 시간 중 마지막 구간에서 상기 제빙용 워터 펌프(4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빙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물의 온도가 냉매의 온도보다 낮아 워터 펌프(403) 구동을 통해 냉판의 온도 하강을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탈빙 과정 중에서 제빙에 사용될 물을 급수하거나 탈빙 시간 중 마지막 구간에서 제빙용 워터 펌프(403) 동작을 수행하는 것 외에는 탈빙 시간 중 아무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 빈 시간(화살표 구간)이 존재하며, 빈 시간 동안 고온의 냉매가 냉판에 계속 공급되어 증발기(401)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될 수 있고, 다음 제빙 과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빙 시간 중 증발기(401) 출측 배관의 증발기 센서(406)를 통해 냉매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냉매 온도가 제 2 온도, 예를 들어, 50℃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지나치게 상승한 냉판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제빙용 워터 펌프(403)의 동작을 수행하여 저온의 물을 냉판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50℃에 도달한 냉판의 온도가 하강하여 제 3 온도, 예를 들어 30℃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제빙용 워터 펌프(403)의 동작을 오프할 수 있다.
탈빙 과정을 위해 탈빙 시간 동안 냉판의 온도가 올라가지만 지나치게 온도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빙기의 내구성을 유지하고, 다음 주기의 제빙 과정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제2 온도 또는 제3 온도에 따라 워터 펌프(40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기의 탈빙 과정을 수행하면서, 주위 온도 및제빙 과정에서 카운트한 제빙소요시간을 통해 가변된 탈빙 시간을 결정하고, 또한, 제빙 과정에서 사용할 물을 미리 급수받고, 제빙에 사용되는 워터 펌프를 구동하여 탈빙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빙 과정은 냉판의 온도를 낮추고, 탈빙 과정은 냉판의 온도를 높여서 제빙기의 효율을 높이는 제빙기의 균형을 유지하여 효율을 극대화하고, 제빙기의 고장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401: 증발기 402: 워터 탱크
403: 워터 펌프 404: 스프레이 튜브
405: 수위 센서 406: 증발기 센서
407: 압축기 408: 핫 가스 밸브
409: 기타 소자 410: 워터 인렛 밸브

Claims (10)

  1. 얼음제조부에서 제빙이 시작되는 제빙 시작 시점부터 제빙이 완료되는 제빙 완료 시점까지 제빙소요시간을 카운트하며, 제빙 과정을 수행하는 제1 단계;
    카운트된 상기 제빙소요시간를 획득하며, 외부온도센서로부터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제2 단계;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 및 상기 제빙소요시간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탈빙 시간을 이용하여 탈빙 과정을 수행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고, 획득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상기 설정된 제빙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가변되는 탈빙 시간을 결정하고,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가 제1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주위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4. 삭제
  5.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증발기 출측 배관에 설치된 증발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매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감지 시점부터 결정된 상기 탈빙 시간이 카운트되며,
    상기 탈빙 시간 동안 상기 냉매 온도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증발기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제빙용 워터 펌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탈빙 시간 동안 상기 냉매 온도가 제3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워터 펌프 동작을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6.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벗어났다면, 탈빙 과정이 완료됐을 때 이전 주기의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상기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벗어났었는지 추가로 검출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빙소요시간이 상기 설정된 제빙소요시간 범위를 적어도 2회 이상 연속 초과하였다고 검출되는 경우, 에러를 표시하고 제빙기 구동을 중단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시작 시점은 상기 탈빙 시간이 도과한 시점부터 기산되며,
    상기 제빙 완료 시점은 급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에 도달하면 감지되며,
    상기 제1 단계는, 급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제빙소요시간의 카운트 및 제빙 과정을 계속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탈빙 시간 중 마지막 구간에서 상기 제빙용 워터 펌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탈빙 과정에서 제빙에 사용되는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10.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급수 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 온도를 획득하여, 상기 급수 온도에 따라 탈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획득한 상기 급수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길어지고,
    획득한 상기 급수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탈빙 시간이 짧아지도록 결정하는,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KR1020200103206A 2020-08-18 2020-08-18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KR10238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06A KR102383466B1 (ko) 2020-08-18 2020-08-18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US17/128,793 US20220057128A1 (en) 2020-08-18 2020-12-21 Method of controlling ice-detaching temperature of ice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06A KR102383466B1 (ko) 2020-08-18 2020-08-18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257A KR20220022257A (ko) 2022-02-25
KR102383466B1 true KR102383466B1 (ko) 2022-04-07

Family

ID=8026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206A KR102383466B1 (ko) 2020-08-18 2020-08-18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57128A1 (ko)
KR (1) KR102383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9791A1 (ko) * 2022-08-03 2024-02-08 (주)원봉 제빙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3936B (zh) * 2022-07-12 2022-09-16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制冰系统进出水控制系统与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5015A (ja) 2006-12-07 2008-06-26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41A (ja) * 1991-07-05 1993-01-19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及びフアジイ推論による製氷機の制御方法
KR100510817B1 (ko) * 2003-01-10 2005-08-31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자동 제빙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83028B1 (ko) * 2008-06-11 201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KR101281587B1 (ko) * 2011-03-30 2013-07-03 정휘동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20150115988A (ko) * 2014-04-03 2015-10-15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88638B1 (ko) * 2016-12-09 2018-08-14 대영이앤비(주) 제빙기의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5015A (ja) 2006-12-07 2008-06-26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9791A1 (ko) * 2022-08-03 2024-02-08 (주)원봉 제빙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7128A1 (en) 2022-02-24
KR20220022257A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689B1 (ko)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KR102383466B1 (ko)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KR20150111926A (ko) 제빙기의 얼음 두께 감지 장치 및 방법
US6705090B2 (en) Ice maker harvest control and method
US5829257A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rvesting ice in an ice making apparatus
JP5294781B2 (ja) 自動製氷機の異常検知方法
JP4954684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US20070157636A1 (en) Icemaker control system
JP2009121768A (ja) 自動製氷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52173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EP3086060A1 (en) Defrosting method and device for refrigerating 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75699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급수 제어방법
US20030145608A1 (en) Ice maker control
JP2015087050A (ja) 製氷機
JP5591552B2 (ja) 製氷機
KR10063655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 장치 및 급수 제어 방법
JP2000258009A (ja) 自動製氷機
JP7174552B2 (ja) 自動製氷機
JP6397767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CN111829226A (zh) 制冰控制方法、制冰控制装置和制冰机
WO2022050012A1 (ja) 冷却水系制御方法および冷却水系制御装置
JP2003336945A (ja) セル型製氷機
KR100213650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확인방법
JP2022042815A (ja) 冷却水系制御方法および冷却水系制御装置
JP3301809B2 (ja) 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