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689B1 -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 Google Patents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689B1
KR102021689B1 KR1020177035216A KR20177035216A KR102021689B1 KR 102021689 B1 KR102021689 B1 KR 102021689B1 KR 1020177035216 A KR1020177035216 A KR 1020177035216A KR 20177035216 A KR20177035216 A KR 20177035216A KR 102021689 B1 KR102021689 B1 KR 10202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baseline
ice maker
notifica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412A (ko
Inventor
존 알렌 브로드벤트
파올로 모로
Original Assignee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filed Critical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4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25C5/10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using hot refrigerant; using fluid heated by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냉동 시스템, 물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갖는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제빙기가 개시된다. 냉동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한다. 물 시스템은 얼음이 될 물을 보유하기 위한 섬프와 물 필터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제빙 사이클의 초기 설정 이후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및/또는 기준선 충전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빙기가 정비를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선 결빙 시간, 수확 시간 및/또는 충전 시간에 대해 후속 수확 시간, 결빙 시간 및/또는 충전 시간을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가 제빙기가 정비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제어기는 제빙기에 접속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본 발명은 자동 제빙기, 특히, 제빙기의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능력을 갖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 기계 또는 제빙기는 통상적으로 냉동 및 물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냉매 팽창 디바이스, 증발기 및 증발기와 열적으로 결합된 격자형 큐브 몰드를 포함하는 결빙 판을 통해 직렬식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소스를 채용한다. 추가적으로, 전형적 제빙기는 중력 물 유동 및 얼음 수확 시스템을 채용하고, 이들은 잘 알려져있고 널리 사용된다. 이런 냉동 및 물 시스템을 갖는 제빙기는 종종 얼음 저장 통의 상단에 배치되며, 수확된 얼음은 필요시까지 여기에 저장된다. 이런 제빙기는 또한 제빙기 및 얼음 저장 통은 단일 유닛인 "자립형"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제빙기는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으며, 특히, 신선한 얼음에 대한 높은 그리고 지속적인 수요가 있는 식당, 바, 모텔 및 다양한 음료 소매점 같은 상업적 시설에 특히 바람직하다.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Broadbent에 의해 2014년 2월 4일자로 출원되고 미국 공개 제2014/0216071호로서 공개된 발명의 명칭이 "Controlling Refrigeration Appliances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인 미국 출원 번호 제14/172,374호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제빙기가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한다.
이러한 출원은 스마트폰이 접속 또는 재접속되어 있을 때 스마트폰 상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작용을 추천하기 위해 제빙기에 의해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고 있다.
발명의 양태에서, 제빙기는 문제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세 가지 조건을 검출하는 능력을 가지고, 그후, 최종 사용자에 대한 교정 작용을 추천할 수 있다. 제빙기는 스마트폰이 제빙기에 접속(또는 재접속)될 때 이러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제1 조건은 제빙기의 응축기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세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각 제빙 사이클의 결빙 부분이 얼마나 길게 발생하는지의 추적을 유지함으로써, 제빙기는 제빙 성능이 시간에 걸쳐 서서히 열화하는지 여부를 추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가장 가능성있는 원인은 응축기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오염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빙기가 스마트폰에 접속(또는 재접속)되는 다음 시기에, 제빙기는 사용자/정비사에게 응축기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점검 또는 세정되어야 함을 추천할 수 있다.
제2 조건은 제빙기의 섬프 및/또는 증발기의 디스케일링(descaling)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제빙기의 증발기 상의 스케일(scale)의 존재는 얼음 수확 프로세스를 저속화할 것이다. 제빙기가 얼음 수확에 소요되는 시간을 쉽게 측정 및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제빙기는 수확 시간의 증가를 검출할 수 있고, 제빙기가 스마트폰에 접속(또는 재접속)되는 다음 시간에, 제빙기는 사용자/정비사에게 제빙기가 디스케일링되는 것을 추천할 수 있다.
제3 조건은 제빙기의 물 필터의 세정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 필터가 노화되고, 교체가 필요할 때, 그들을 통한 물의 유량은 느려지기 시작할 것이다. 섬프를 물로 채우기 위해 소요하는 시간을 감시함으로써, 제빙기는 느려지는 물 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제빙기와 접속(또는 재접속)될 때, 제빙기는 사용자/정비사에게 물 필터가 세정 또는 교체되는 것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제빙기는 냉동 시스템, 물 시스템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냉동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는 하나 이상의 냉매 라인에 의해 유체 연통된다. 물 시스템은 얼음이 될 물을 보유하기 위한 섬프와 물 필터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제빙 사이클의 초기 설정 이후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및/또는 기준선 충전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추가로 후속 수확 시간, 결빙 시간 및/또는 충전 시간을 기준선 결빙, 수확 및/또는 충전 시간에 비교하여 제빙기가 정비를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제어기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제어기에 접속될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고, 통지는 응축기를 세정하고, 제빙기를 디스케일링하고 및/또는 물 필터를 세정 또는 교체하기 위한 통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첨부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 완전하게 명확해질 것이며,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특징을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 제빙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빙기의 응축기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점검 또는 세정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빙기의 증발기 및 물 시스템이 디스케일링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필터가 세정 또는 교체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정비가 추천되는 통지를 푸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다양한 도면 중 몇몇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 참조 번호는 대응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은 다음 도면에 예시되거나 다음 설명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배열 및 구성의 세부사항에 그 용례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으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포함하는" 또는 "갖는" 및 그 변형의 사용은 그후 나열된 항목 및 그 균등물과 추가적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측정치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수치는 모든 경우에 용어 "약"으로 수식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전방, 후방, 우측, 좌측, 상단, 저부, 상부 및 하부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의도하는 것이며, 어떠한 하나의 위치 또는 공간 배향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 또는 그 구성요소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냉동 시스템(12) 및 물 시스템(14)을 갖는 그리드형 제빙기(10)의 일 실시예의 특정 원론적 구성요소를 예시한다. 제빙기(10)의 냉동 시스템(12)은 압축기(15), 압축기(15)로부터 배출된 압축된 냉매 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16),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냉매 팽창 디바이스(19), 얼음 형성 디바이스(20) 및 고온 가스 밸브(24)를 포함한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는 모세관 튜브, 자동온도조절 팽창 밸브 또는 전자 팽창 밸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얼음 형성 디바이스(20)는 증발기(21) 및 증발기(21)에 열적으로 결합된 결빙 판(22)을 포함한다. 증발기(21)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사형 배관(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결빙 판(22)은 표면 위로 유동하는 물을 수집할 수 있는 그 표면 상의 많은 수의 포켓(일반적으로, 셀의 그리드 형태)을 포함한다. 고온 가스 밸브(24)는 얼음이 원하는 두께에 도달하였을 때 결빙 판(22)으로부터 얼음 큐브를 제거 또는 수확하기 위해 증발기(21)에 직접적으로 압축기(15)로부터 따뜻한 냉매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제빙기(10)는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를 제어하기 위해 증발기(21)의 출구에 배치된 온도 센서(26)를 포함한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9)가 열 팽창 밸브(TXV)인 경우, 이때, 센서(26) 및 팽창 디바이스(19)는 내부에 포함된 냉매의 압력을 통해 온도 센서(26)에 의해 팽창 디바이스(19)가 제어될 수 있게 하는 모세관 튜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9)가 전자 팽창 밸브인 경우, 이때, 온도 센서(26)는 제어기(80)와 전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통신될 수 있고, 제어기는 차례로 온도 센서(26)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응답하여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를 제어하도록 냉매 팽창 디바이스(19)와 전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도 2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로서, 온도 센서(26)는 냉매 팽창 디바이스(19)와 전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냉매 팽창 디바이스(19)가 전자 팽창 밸브인 경우, 제빙기(10)는 또한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를 제어하기 위해 증발기(21)의 출구에 배치된 압력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16)는 냉매 패스(예를 들어, 사형 배관, 마이크로-채널)의 포퓰레이션과 포퓰레이션 핀을 갖는 종래의 응축기일 수 있다. 응축기 팬(18)은 응축기(16)의 냉각을 제공하도록 응축기(16)를 가로질러 가스 냉각 매체(예를 들어, 공기)를 송풍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냉매 라인(28a, 28b, 28c, 28d)을 통해 냉동 시스템(12)의 구성요소를 통한 냉매 사이클 형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위치에서 더욱 완전하게 설명된 바와 같다.
제빙기(10)의 물 시스템(14)은 물 펌프(62), 물 라인(63), 물 분배기(66)(예를 들어, 매니폴드, 팬, 튜브 등) 및 물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결빙 판(22) 아래에 위치된 섬프(70)를 포함한다. 제빙기(10)의 동작 동안, 물 라인(63)을 통해 물 펌프(62)에 의해 섬프(70)로부터 물 분배기(66)의 외부로 물이 펌핑될 때, 물은 결빙 판(22)에 충돌하고, 결빙 판(22)의 포켓 위로 유동하고, 얼음으로 결빙한다. 섬프(70)는 물이 물 펌프(62)에 의해 재순환될 수 있도록 결빙 판(22) 외부로 흐르는 물을 포획하도록 결빙 판(22)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물 분배기(66)는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 공보 제2014/0208792호로서 공개되고 Broadbent에 의해 2014년 1월 29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Water Distributor for an Ice Maker"인 미국 출원 제14/167,089호에 설명된 물 분배기일 수 있다.
제빙기(10)의 물 시스템(14)은 추가로 물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물로 섬프(70)를 충전하기 위해 그와 유체 연통하는 물 입구 밸브(52) 및 물 공급 라인(50)을 포함하며, 공급된 물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얼음으로 결빙될 수 있다. 물 필터(58)는 물 소스로부터의 유입 물을 필터링하기 위해 물 공급 라인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빙기(10)의 물 시스템(14)은 물 배출 라인(54) 및 그 위에 배치된 배출 밸브(56)(예를 들어, 퍼지 밸브, 드레인 밸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얼음이 형성된 이후 섬프(70) 내에 잔류하는 물 및/또는 임의의 오염물은 물 배출 라인(54) 및 배출 밸브(5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물 배출 라인(54)은 물 라인(63)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섬프(70) 내의 물은 물 펌프(62)가 구동 중일 때 배출 밸브(56)를 개방함으로써 섬프(7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추가로, 제빙기(10)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은 다른 종래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제빙기(10)의 일 실시예의 개별 구성요소 각각을 설명하였으며, 구성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호작용 및 동작하는 방식을 이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제빙기 사이클에서의 제빙기(10)의 동작 동안, 압축기(15)는 낮은 압력의, 실질적으로 가스상 냉매를 증발기(21)로부터 흡입 라인(28d)을 통해 수용하고, 냉매를 가압하고, 높은 압력의 실질적으로 가스상의 냉매를 배출 라인(28b)을 통해 응축기(16)로 배출한다. 응축기(16)에서, 열은 냉매로부터 제거되어 실질적 가스상 냉매가 실질적으로 액체 냉매로 응축되게 한다. 열은, 응축기(16)를 가로질러 제빙기(10) 외측으로부터 주변 공기를 견인하도록 순방향으로 응축기 팬 모터(18a)를 동작시키는 제어기(80)에 의해 응축기(16)로부터 제거된다. 응축기 팬(18)은 바람직하게는 제빙 사이클 동안 순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동작한다. 응축기(16)를 벗어나는 실질적 액체 냉매는 냉매가 액체-가스 혼합물이도록 일부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16)를 벗어난 이후, 높은 압력의 실질적 액체 냉매가 액체 라인(28c)을 통해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를 통해 라우팅되며, 이는 입구(21a)에서 증발기(21)에 도입되도록 실질적 액체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낮은 압력의 팽창된 냉매가 증발기(21)의 배관을 통과할 때, 냉매는 증발기(21) 내에 포함된 튜브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냉매가 튜브를 통과할 때 기화한다. 낮은 압력의 실질적 가스상 냉매는 흡입 라인(28d)을 통해 증발기(21)의 출구(21b)로부터 배출되고, 압축기(15)의 입구로 재도입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제빙 사이클의 시작시, 물 충전 밸브(52)가 온 상태로 되어 섬프(70)에 물의 질량을 공급하고, 물 펌프(62)가 온 상태로 된다. 제빙기는 물의 질량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얼음으로 결빙할 것이다. 물의 원하는 질량이 섬프(70)에 공급된 이후, 물 충전 밸브가 폐쇄될 수 있다. 압축기(15)가 온 상태로 되어 냉동 시스템(12)을 통해 냉매의 유동을 시작한다. 물 펌프(62)는 물 라인(63) 및 물 분배기(66)를 통해 결빙 판(22) 위에서 물을 순환시킨다. 물 펌프(62)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그후 결빙 판(22)과 접촉할 때 냉각을 시작하고, 결빙 판(22) 아래의 물 섬프(70)로 복귀하고, 물 펌프(62)에 의해 결빙 판(22)으로 재순환된다. 물이 충분히 냉각되고 나면, 결빙 판(22)을 가로질러 유동하는 물이 얼음 큐브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원하는 얼음 큐브 두께가 도달되도록 얼음 큐브가 형성된 이후, 물 펌프(62)는 오프 상태로 되고, 제빙 사이클의 수확 부분은 고온 가스 밸브(24)를 개방함으로써 개시된다. 이는 압축기(15)로부터의 따뜻한 높은 압력의 가스가 고온 가스 바이패스 라인(28a)을 통해 유동하여 입구(21a)의 증발기(21)에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따뜻한 냉매는 증발기(21)의 사형 배관을 통해 유동하고, 열 전달이 따뜻한 냉매와 증발기(21)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 열 전달은 증발기(21), 결빙 판(22) 및 결빙 판(22)에 형성된 얼음을 따뜻하게 한다. 이는 얼음이 결빙 판(22)으로부터 방출되어 얼음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 추후 회수되는 얼음 저장 통(31) 내로 떨어지도록 하는 정도까지 형성된 얼음의 용융을 초래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제빙기(10) 각각은 또한 제어기(80)를 포함한다. 제어기(80)는 얼음 형성 디바이스(20) 및 섬프(70)로부터 원격의 제빙기(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기(80)는 제빙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80)의 프로세서(82)는 프로세서(82)가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도록 명령어를 나타내는 코드를 저장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2)는 예로서 상업적으로 가용한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ASIC의 조합일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특정 기능을 달성하고, 하나 이상의 특정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8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 또는 다수의 회로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기(80)는 또한 제어기(80)에 의해 검색가능한 형태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8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구성요소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기(80)는 또한 제빙기(10)의 다양한 구성요소와 통신 및/또는 그를 제어하도록 입력/출력(I/O)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예로서, 제어기(80)는 수확 센서, 온도 센서(들)(26)(도 1 참조), 섬프 수위 센서, 얼음 레벨 센서(도시되지 않음), 전력 소스(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압력 트랜스듀서, 음향 센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센서 및/또는 스위치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로서, 이들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기(80)는 압축기(15), 응축기 팬 모터(18a), 냉매 팽창 디바이스(19), 고온 가스 밸브(24), 물 입구 밸브(52), 배출 밸브(56) 및/또는 물 펌프(62)를 제어할 수 있을 수 있다. 제어기(80)는 또한 데이터, 신호, 메시지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원격 컴퓨터, 원격 서버, 네트워크 등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 컴퓨터 및/또는 제빙기(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임의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80) 및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추가적 세부사항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 공개 제2014/0216071호에 공개되고 Broadbent에 의해 2014년 2월 4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Controlling Refrigeration Appliances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인 미국 출원 번호 제14/172,374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제빙기(10)의 제어기(80)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 통신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빙기(10)의 제어기(80)와 접속될 때, 제어기(80)가 제빙기(10)의 제어기(8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추천을 전송한다. 제어기(80)는 제빙기(10)의 정비 또는 서비스 작용을 추천하도록 적어도 세 개의 파라미터를 감시 또는 추적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제어기(80)는 (1) 제빙기(10)가 새로운 것일 때보다 결빙 사이클이 현저히 더 긴 경우, 응축기 공기 필터를 점검 또는 세정하거나 응축기를 점검 또는 세정하고, (2) 수확 사이클이 제빙기(10)가 새로운 것일 때보다 현저히 더 긴 경우 제빙기(10)를 디스케일링하고, (3) 충전 시간이 제빙기(10)가 새로운 것일 때보다 현저히 더 긴 경우 물 필터를 변경할 것을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통신할 것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응축기(16) 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도시되지 않음)의 세정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세정이 필요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제빙기(10)의 제어기(80)는 얼음 큐브의 각 배치를 결빙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추적한다. 제어기(80)는 그후 결빙 시간이 시간에 걸쳐 너무 길게 커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선 결빙 시간에 대해 해당 결빙 시간을 비교할 것이다. 결빙 시간이 특정 허용차를 초과하여 증가한 경우, 제어기(80)는 무엇인가가 잘못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고, 가장 가능성있게는 응축기(16) 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막히거나 오염되었고 세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제빙기(10)의 제어기(80)가 이러한 문제를 검출하는 경우, 제어기(80)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응축기(16)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점검 또는 세정 또는 교체되는 추천을 통신할 수 있다.
점검 또는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빙기(10)의 제어기(80)가 기준선 결빙 시간을 먼저 측정한다. 이 기준선은 제빙기(10)가 그 최종 위치에 설치되고 시간 기간 동안 구동된 이후 생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기(80)는 약 500 결빙 사이클 이후 기준선 결빙 시간을 결정할 것이다. 이는 제빙기(10)의 연속 동작의 약 10일에 상당할 수 있다. 약 500 사이클까지 기준선 결빙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대기하는 것은 공장 테스트 및/또는 상품 전시회 또는 대리점에서의 동작을 허용하고, 제빙기(10)가 그 최종 위치에 있고,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위치에서 구동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사이클의 수는 약 500 미만(예를 들어, 약 100, 약 200, 약 300 및 약 400)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이클의 수는 약 500을 초과(예를 들어, 약 600, 약 700, 약 800, 약 900, 약 1000)할 수 있다.
다음에, 결빙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인자(응축기 필터 청결도 이외의)에 의해 최소로 영향을 받는 방식으로 측정된다. 얼음을 결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물 온도 및 주변 공기 온도 양자 모두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섬프(70)에서의 수위가 강하하기 시작할 때 결빙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이 32°F(0°C)에 도달하였을 때 수위가 단지 강하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해당 시점에서, 유입 물의 온도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섬프(70) 내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예시적 수위 센서 및 시스템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 미국 공개 제2014/0208781호 및 Broadbent에 의해 2014년 1월 2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Ice Thickness and Detecting Failure Modes of an Ice Maker"인 미국 출원 제14/162,365호에 설명되어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제어기(80)는 제빙기(10)가 500 사이클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제빙기(10)가 그 최종 위치에서 동작한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이클 카운터(n)는 단계 302에서 제로(0)로 설정된다. 단계 304에서, 제어기(80)는 제빙기(10)가 얼음이 형성되는, 그리고, 섬프(70)의 수위가 강하하기 시작한 제빙 사이클의 부분(즉, 압축기(15)가 온 상태이고, 고온 가스 밸브(24)가 폐쇄되어 있을 때인 FREEZE 사이클)에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섬프 내의 수위가 강하는 경우, 제어기(80)는 단계 3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어기(80)는 섬프(70) 내의 수위가 강하하기 시작할 때까지 계속 기다릴 것이다. 단계 306에서, 얼음의 배치를 결빙하는데 소요하는 시간의 길이의 타이밍을 위해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어기(80)에서 구현되는 타이머는 제로로 리셋된다(TFreeze = 0). 단계 308에서, 제어기(80)는 수확이 개시되어 결빙이 종료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대기한다. 수확이 단계 308에서 시작되었을 때, 제어기(80)는 단계 310에서 변수 TFreeze(0)로서 경과 시간 "Telapsed"를 기록한다. 이 TFreeze(0)는 응축기(16)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새롭고 깨끗할 때, 얼음의 배치를 결빙하기 위해 제빙기(10)가 소요하는 시간의 기준선 길이이다.
단계 312에서, 제어기(80)는 현재 사이클의 결빙 시간(TFreeze(n))이 약 50%만큼 최초 기록된 사이클의 결빙 시간(TFreeze(0))(기준선 결빙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점검한다. 초기 기준선 실행 동안, n = 0일 때, TFreeze(n)은 TFreeze(0)와 같고, 따라서, 제어기(80)는 단계 314로 진행할 것이다. 단계 314에서, 사이클 카운터(n)는 1만큼 증분된다. 제빙기(10)는 그후 얼음을 형성하기를 지속할 것이고, 제어기(80)는 단계 304 내지 312를 반복할 것이다. 응축기(16)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도시되지 않음)는 오물, 먼지, 이물, 그리스 및/또는 다른 오염물을 수집할 것이고, 얼음의 배치를 결빙시키기 위해 소요하는 시간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단계 312에서, 제어기(80)는 현재 결빙 시간(TFreeze(n))은 약 50%만큼 기준선 결빙 시간(TFreeze(0))을 초과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그후, 단계 316에서, 제어기(80)는 "CleanCond"로 라벨링된 플래그를 "TRUE"로 설정한다. 이는 제어기(80)가 응축기(16)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점검 또는 세정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CleanCond" 플래그는 제어기(80)가 현재 결빙 시간(TFreeze(n))이 기준선 결빙 시간(TFreeze(0))의 약 1.25 내지 약 2.0 배(예를 들어, 약 1.25 배, 약 1.5 배, 약 1.75 배, 약 2.0 배)라는 것을 결정한 경우 "TRUE"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318에서, 사이클 카운터(n)는 그후 1로 설정된다. 제어기(80)는 그후 단계 304로 되돌아가서 결빙 시간을 다시 감시하기 시작한다.
사이클 카운터(n)가 단계 318에서 1로 설정되기 때문에, 기준선 결빙 시간(TFreeze(0))은 불변으로 남아있다. 이는 기준선 결빙 시간이 응축기(16)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가 새것이며 CleanCond 플래그가 TRUE로 설정될 때와 같이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때이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CleanCond 플래그가 True로 설정되는 경우, 얼음 기계는 도 6의 단계 6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6) 및/또는 응축기 공기 필터를 점검 또는 세정하도록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대해 추천을 푸시할 것이다(재접속시).
도 4는 적절한 경우 제빙기(10)의 디스케일링을 추천하기 위해 수확 시간을 감시하기 위한 제빙기(10)의 제어기(80)를 위한 유사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도 4에서, 제빙기(10)는 기계가 500 사이클에 도달할 때 기준선 수확 시간을 포착한다. 이는 기준선 수확 시간이 제빙기(10)가 그 최종 위치에서 소정 시간 길이 동안 구동된 이후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사이클의 수는 약 500 미만(예를 들어, 약 100, 약 200, 약 300 및 약 400)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이클의 수는 약 500을 초과(예를 들어, 약 600, 약 700, 약 800, 약 900, 약 1000)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400에서, 제어기(80)는 제빙기(10)가 500 제빙 사이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500 사이클이 도달한 경우, 그후 단계 402에서, 제어기는 사이클 카운터(n)를 0으로 설정한다. 단계 404에서, 제빙기(10)는 제빙기(10)가 수확 사이클을 시작하였는지 여부(즉, 고온 가스 밸브(24) 개방시)를 점검한다. 수확이 개시되는 경우, 제어기(80)는 단계 406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 제어기(80)는 수확이 개시될 때까지 계속 대기할 것이다. 단계 406에서, 수확될 얼음의 배치에 대해 소요하는 시간의 길이를 타이밍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어기(80)에서 구현되는 타이머는 제로로 리셋된다(TH = 0). 단계 408에서, 제어기(80)는 수확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수확이 단계 408에서 시작되었을 때, 제어기(80)는 단계 410에서 변수 TH(0)로서 경과 시간 "Telapsed"를 기록한다. 이 TH(0)는 제빙기(10)가 새것이고 깨끗할 때 얼음의 배치를 수확하기 위해 제빙기(10)가 소요하는 시간의 기준선 길이이다.
단계 412에서, 제어기(80)는 현재 사이클(TH(n))의 수확 시간이 제1 기록된 사이클(TH(0))의 수확 시간(기준선 수확 시간)을 약 50%만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점검한다. 초기 기준선 실행 동안, n = 0일 때, TH(n)은 TH(0)와 같고, 따라서, 제어기(80)는 단계 414로 진행할 것이다. 단계 414에서, 사이클 카운터(n)는 1만큼 증분된다. 제빙기(10)는 그후 얼음을 형성하기를 지속할 것이고, 제어기(80)는 단계 404 내지 412를 반복할 것이다. 시간에 걸쳐, 제빙기(10)가 얼음 제조를 지속하고, 스케일 및 미네랄 침전물이 제빙기(10)의 물 시스템(14)(예를 들어, 섬프(70), 물 분배기(66), 물 라인(63) 등)과 증발기(21) 상에 및/또는 내에 형성될 것이며, 얼음 배치의 수확을 위해 소요하는 시간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단계 412에서, 제어기(80)가 현재 수확 시간(TH(n)이 약 50%만큼 기준선 수확 시간(TH(0))을 초과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이때, 단계 416에서, 제어기(80)는 "Descale"로 라벨링된 플래그를 "TRUE"로 설정한다. 이는 제어기(80)가 제빙기(10)가 디스케일링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기(80)가 현재 수확 시간(TH(n))이 기준선 수확 시간(TH(0))의 약 1.25 내지 약 2.0 배(예를 들어, 약 1.25 배, 약 1.5 배, 약 1.75 배, 약 2.0 배)라는 것을 결정한 경우 "Descale" 플래그가 "TRUE"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418에서, 사이클 카운터(n)는 그후 1로 설정된다. 제어기(80)는 그후 단계 404로 되돌아가서 수확 시간을 다시 감시하기 시작한다.
사이클 카운터(n)가 단계 418에서 1로 설정되기 때문에, 기준선 수확 시간(TH(0))은 불변으로 남아있다. 이는 기준선 수확 시간이 제빙기(10)의 물 시스템(14) 및 증발기(21)가 새것이고 Descale 플래그가 TRUE로 설정될 때에서와 같이 스케일 형성되지 않은, 어떠한 스케일도 없을 때이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 다른 유사한 프로세스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빙기(10)의 섬프(70)가 물로 충전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감시된다. 이 충전 시간은 물 필터(58)(사용되는 경우)가 막히기 시작할 때 시간에 걸쳐 증가할 것이다. 도 5의 흐름도는 이 충전 시간이 감시되고 제어기(80)에 의해 테스트되는 방식을 예시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도 5에서, 제빙기(10)는 제빙기(10)가 500 사이클에 도달할 때 기준선 충전 시간을 포착한다. 이는 기준선 충전 시간이 제빙기(10)가 그 최종 위치에서 소정 시간 길이 동안 구동된 이후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사이클의 수는 약 500 미만(예를 들어, 약 100, 약 200, 약 300 및 약 400)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이클의 수는 약 500을 초과(예를 들어, 약 600, 약 700, 약 800, 약 900, 약 1000)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500에서, 제어기(80)는 제빙기(10)가 500 제빙 사이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500 사이클이 도달한 경우, 그후 단계 502에서, 제어기(80)는 사이클 카운터(n)를 0으로 설정한다. 단계 504에서, 제빙기(10)는 제빙기가 충전 프로세스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점검한다(즉, 섬프(70)를 물로 충전한다). 물의 충전은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섬프(70) 내에서 상승하는 수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섬프(70) 내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예시적 수위 센서 및 시스템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 미국 공개 제2014/0208781호 및 Broadbent에 의해 2014년 1월 2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Ice Thickness and Detecting Failure Modes of an Ice Maker"인 미국 출원 제14/162,365호에 설명되어 있다. 섬프(70)의 충전이 개시되는 경우, 제어기(80)는 단계 506로 진행하며, 다른 경우에, 제어기(80)는 충전이 개시될 때까지 계속 대기할 것이다. 단계 506에서, 물로 제빙 레벨까지 충전하기 위해 섬프(70)가 소요하는 시간의 길이를 타이밍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어기(80) 내에 구현되는 타이머는 제로(TFill = 0)로 리셋된다. 단계 508에서, 제어기(80)는 섬프(70)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섬프(70)의 충전이 단계 508에서 완료되었을 때, 제어기(80)는 단계 510에서 변수 TFill(0)로서 경과된 시간 "Telapsed"을 기록한다. 이 TFill(0)는 제빙기(10)의 물 필터(58)가 새롭고 청정한 상태일 때 제빙 레벨까지 섬프(70)를 충전하기 위해 소요하는 기준선 시간의 길이이다.
단계 512에서, 제어기(80)는 현재 사이클(TFill(n))의 충전 시간이 약 100%만큼 최초 기록된 사이클(TFill(0))의 충전 시간(기준선 충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점검한다. 초기 기준선 실행 동안, n = 0일 때, TFill(n)은 TFill(0)와 같고, 따라서, 제어기(80)는 단계 514로 진행할 것이다. 단계 514에서, 사이클 카운터(n)는 1만큼 증분된다. 제빙기(10)는 그후 얼음을 형성하기를 지속할 것이고, 제어기(80)는 단계 504 내지 512를 반복할 것이다. 시간에 걸쳐, 제빙기(10)가 얼음 형성을 계속함에 따라, 제빙기(10)의 물 필터(58)는 막히기 시작할 것이고, 섬프(70)를 충전하기 위해 소요하는 시간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단계 512에서, 제어기(80)는 현재 충전 시간(TFill(n))이 약 100%만큼 기준선 충전 시간(TFill(0))을 초과하였다고 결정하는 경우, 그후, 단계 516에서, 제어기(80)는 "ChangeFilter"로 라벨링된 플래그를 "TRUE"로 설정한다. 이는 제어기(80)가 물 필터(58)가 세정 또는 교체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ChangeFilter" 플래그는 제어기(80)가 현재 충전 시간(TFill(n))이 기준선 충전 시간(TFill(0))의 약 1.50 내지 약 3.0배라고 결정하는 경우 "TRUE"로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약 1.5 배, 약 1.75 배, 약 2.0 배, 약 2.25 배, 약 2.5 배, 약 2.75 배, 약 3.0 배). 단계 518에서, 사이클 카운터(n)는 그후 1로 설정된다. 제어기(80)는 그후 단계 504로 되돌아가서 충전 시간을 다시 감시하기 시작한다.
사이클 카운터(n)가 단계 518에서 1로 설정되기 때문에, 기준선 충전 시간(TFill(0))은 불변으로 남아있다. 이는 기준선 충전 시간이, 제빙기(10)의 물 필터(58)가 새것이고 ChangeFilter 플래그가 TRUE로 설정될 때와 같이 막혀지지 않은 청정한 상태일 때이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도 3, 도4 및 도 5는 제빙기(10)의 제어기(80)가 결빙 시간, 수확 시간 및 충전 시간을 추적하여 제빙기(10)가 응축기(16) 및/또는 응축기 필터를 세정, 제빙기(10)를 디스케일링 및/또는 물 필터(58)를 교체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추천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6은 제어기(80)가 이런 정보를 최종 사용자에게 통신하는 방식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단계 600 및 602에서, 제빙기(10)의 제어기(80)는 인터넷 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접속되는 경우를 결정한다. 제어기(80)가 접속되는 경우, 제어기(80)는 단계 604로 진행하고, 플래그 CleanCond가 TRUE인 경우를 점검한다. 이러한 경우, 그후, 단계 606에서, 제어기(80)는 원격 컴퓨터 및/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접속된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응축기 필터 세정 추천"(또는 유사 메시지)를 푸시한다. 유사하게, 단계 608에서, 제어기(80)는 플래그 Descale이 TRUE라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단계 610에서, 제어기(80)는 원격 컴퓨터 및/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접속된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제빙기 디스케일링 추천"(또는 유사 메시지)를 푸시한다. 유사하게, 단계 612에서, 제어기(80)는 플래그 ChangeFilter가 TRUE라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단계 614에서, 제어기(80)는 원격 컴퓨터 및/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접속된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물 필터 변경 추천"(또는 유사 메시지)를 푸시한다. 서브루틴은 단계 616에서 종료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빙기(10)에 밀접하게 근접하여 있을 때, 제어기(80)는 제빙기(10)가 온 상태로 되거나 온 상태일 때 사용자에 의해 보유 또는 소지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술한 메시지 또는 통지를 푸시할 수 있다.
제어기(80)는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Wi-Fi, 클라우드를 거쳐 또는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빙기(10)에 근접할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원격 컴퓨터 및/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푸시된 통지 또는 메시지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빙기(10) 상에 또는 내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수의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본 명세서에서 한가지 순서로 설명하였지만,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단계 모두 없이 및/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및 장치는 그리드 또는 큐브-형 제빙기에 관한 것이지만, 이런 방법 및 장치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플레이크 또는 너겟형 및 또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제빙기에 사용 또는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청정한 조건에서 응축기를 유지하기 위해 가역적 응축기 팬 모터를 갖는 제빙기의 신규한 방법 및 장치가 도시 및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바이스 및 방법에 대한 다수의 변경, 변형, 수정 및 다른 사용과 용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모든 이런 변경, 변형, 수정 및 다른 사용과 용례는 후속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발명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20)

  1.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제빙기이며,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하나 이상의 냉매 라인에 의해 유체 연통되는, 냉동 시스템,
    얼음이 될 물을 보유하기 위한 섬프와 물 필터를 포함하는 물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빙 사이클의 초기 설정을 기다린 이후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및/또는 기준선 충전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제빙기가 정비를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선 결빙 시간, 수확 시간 및/또는 충전 시간에 대해 후속 수확 시간, 결빙 시간 및/또는 충전 시간을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제어기에 접속될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지는 응축기를 세정하기 위한 통지, 제빙기를 디스케일링하기 위한 통지 및 물 필터를 세정 및 교체하기 위한 통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제어기에 접속될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후속 결빙 시간이 미리결정된 허용차보다 많이 기준선 결빙 시간을 초과한다고 결정하며, 상기 통지는 응축기를 세정하기 위한 통지를 포함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후속 결빙 시간이 기준선 결빙 시간의 1.25 내지 2.0 배일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응축기를 세정하기 위한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제어기에 접속될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후속 수확 시간이 미리결정된 허용차보다 많이 기준선 수확 시간을 초과한다고 결정하며, 상기 통지는 제빙기를 디스케일링하기 위한 통지를 포함하는, 제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후속 수확 시간이 기준선 수확 시간의 1.25 내지 2.0 배일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제빙기를 디스케일링하기 위한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제어기에 접속될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후속 충전 시간이 미리결정된 허용차보다 많이 기준선 충전 시간을 초과한다고 결정하며, 상기 통지는 물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통지를 포함하는, 제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후속 충전 시간이 기준선 충전 시간의 1.5 내지 3.0 배일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물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빙 사이클의 초기 설정 이후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및 기준선 충전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추가로 제빙기가 정비를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대응하는 기준선 결빙 시간, 수확 시간 및 충전 시간에 대해 현재 수확 시간, 결빙 시간 및 충전 시간을 비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제어기가 제빙기가 정비를 필요로 한다고 결정할 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
  10. 제빙기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는 방법이며,
    제빙 사이클의 초기 설정을 기다린 이후, 제빙기의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및 기준선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빙기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하나 이상의 냉매 라인에 의해 유체 연통되는, 냉동 시스템,
    얼음이 될 물을 보유하기 위한 섬프와 물 필터를 포함하는 물 시스템, 및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및 기준선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단계,
    제빙기의 현재 결빙 시간, 현재 수확 시간 및 현재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기로 측정하는 단계, 및
    현재 결빙 시간, 현재 수확 시간 및 현재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대응하는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또는 기준선 충전 시간을 미리결정된 허용차보다 많이 초과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지는 제빙기의 정비가 필요로 한다는 통지를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기준선 결빙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현재 결빙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현재 결빙 시간이 기준선 결빙 시간의 1.25 내지 2.0 배인 경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지는 응축기를 세정하기 위한 통지 및 공기 필터를 세정하기 위한 통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 결빙 시간은 섬프 내의 수위가 강하하기 시작할 때 측정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기준선 수확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현재 수확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현재 수확 시간이 기준선 수확 시간의 1.25 내지 2.0배인 경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지는 제빙기를 디스케일링하기 위한 통지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기준선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현재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현재 충전 시간이 기준선 충전 시간의 1.5 내지 3.0 배인 경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지는 물 필터를 세정하기 위한 통지 물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통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기준선 수확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현재 수확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현재 수확 시간이 기준선 수확 시간의 1.25 내지 2.0배인 경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지는 제빙기를 디스케일링하기 위한 통지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기준선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현재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현재 충전 시간이 기준선 충전 시간의 1.5 내지 3.0 배인 경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를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지는 물 필터를 세정하기 위한 통지 물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통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빙기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를 결정하는 방법이며,
    제빙 사이클의 초기 설정을 기다린 이후, 제빙기의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및 기준선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제빙기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는 하나 이상의 냉매 라인에 의해 유체 연통되는, 냉동 시스템,
    얼음이 될 물을 보유하기 위한 섬프와 물 필터를 포함하는 물 시스템, 및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및 기준선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단계,
    제빙기의 현재 결빙 시간, 현재 수확 시간 및 현재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기로 측정하는 단계, 및
    제빙기가 정비가 필요로 하는 경우를 나타내기 위해 현재 결빙 시간, 현재 수확 시간 및 현재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결정된 허용차보다 많이 대응하는 기준선 결빙 시간, 기준선 수확 시간 또는 기준선 충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현재 결빙 시간, 수확 시간 또는 충전 시간이 미리결정된 허용차보다 많이 대응하는 기준선 결빙 시간, 수확 시간 또는 충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플래그를 "TRUE"로 설정하는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경우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기가 접속되고 플래그가 "TRUE"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기는 제빙기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통지를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푸시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기준선 결빙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섬프의 수위가 강하하기 시작할 때와 얼음의 수확이 시작될 때 사이에 경과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35216A 2015-05-11 2016-05-11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KR102021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9400P 2015-05-11 2015-05-11
US62/159,400 2015-05-11
PCT/US2016/031865 WO2016183206A1 (en) 2015-05-11 2016-05-11 Ice maker with push notification to indicate when maintenance is requir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412A KR20170140412A (ko) 2017-12-20
KR102021689B1 true KR102021689B1 (ko) 2019-09-16

Family

ID=5724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216A KR102021689B1 (ko) 2015-05-11 2016-05-11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775089B2 (ko)
EP (1) EP3295097B1 (ko)
JP (1) JP2018514745A (ko)
KR (1) KR102021689B1 (ko)
CN (1) CN107850362A (ko)
MX (1) MX2017014452A (ko)
WO (1) WO2016183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2472B2 (en) * 2015-12-21 2019-12-10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chine with a dual-circuit evaporator for hydrocarbon refrigerant
WO2018061552A1 (ja) * 2016-09-29 2018-04-05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システム、解析装置、および電気製品
KR101888638B1 (ko) * 2016-12-09 2018-08-14 대영이앤비(주) 제빙기의 진단방법
US11506438B2 (en) 2018-08-03 2022-11-22 Hoshizaki America, Inc. Ice machine
US11255593B2 (en) * 2019-06-19 2022-02-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making assembly including a sealed system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mold
US11255589B2 (en) 2020-01-18 2022-02-22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602059B2 (en) 2020-01-18 2023-03-07 True Manufacturing Co., In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detachable electronics module
US11391500B2 (en) 2020-01-18 2022-07-19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913699B2 (en) 2020-01-18 2024-02-27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656017B2 (en) 2020-01-18 2023-05-23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802727B2 (en) 2020-01-18 2023-10-31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578905B2 (en) 2020-01-18 2023-02-14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ice disp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deploying ice maker
KR102328602B1 (ko) * 2020-03-03 2021-11-19 블루닉스 주식회사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US11519652B2 (en) 2020-03-18 2022-12-06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KR102173128B1 (ko) * 2020-04-08 2020-11-03 대영이앤비(주) 제빙기의 탈빙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1674731B2 (en) 2021-01-13 2023-06-13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20220268504A1 (en) * 2021-02-23 2022-08-25 True Manufacturing Co., Ltd. Ice maker
US11920847B2 (en) * 2021-06-24 2024-03-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making appliance having a replaceable filter
US11686519B2 (en) 2021-07-19 2023-06-27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with pulsed fill routine
US11959687B2 (en) * 2022-04-18 2024-04-1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ter ballast clear ice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CN114877577B (zh) * 2022-07-11 2022-09-20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一种制冰机的智能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7041A1 (en) 2002-10-10 2004-06-17 Mile High Equipment Co. Ice machine with remote monitoring
JP2005101846A (ja) 2003-09-24 2005-04-14 Hoshizaki Electric Co Ltd 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5282971A (ja) 2004-03-30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
US20140208781A1 (en) * 2013-01-29 2014-07-31 True Manufacturing Compan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ice thickness and detecting failure modes of an ice mak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5271A (ja) * 1983-06-06 1984-12-18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機
US5035118A (en) * 1990-04-16 1991-07-30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JPH09178314A (ja) 1995-12-26 1997-07-11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の運転保護装置
KR0177739B1 (ko) * 1996-06-10 1999-04-15 윤종용 자동제빙기의 오동작 방지방법
US5829257A (en) * 1997-03-31 1998-11-03 Nart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harvesting ice in an ice making apparatus
US5878583A (en) * 1997-04-01 1999-03-09 Manitowoc Foodservice Group, Inc. Ice mak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US6574974B1 (en) * 2000-10-02 2003-06-10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electronic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WO2005074562A2 (en) 2004-02-03 2005-08-18 Scotsman Ice Systems Maintenance and cleaning for an ice machine
US7062892B2 (en) * 2004-07-06 2006-06-20 Icex Holdings Ltd., Inc. Ice bagging apparatus and method
US7185508B2 (en) 2004-10-26 2007-03-0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compact icemaker
US7281386B2 (en) * 2005-06-14 2007-10-16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Residential ice machine
KR100786075B1 (ko) * 2005-12-16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JP2008064322A (ja) * 2006-09-04 2008-03-21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US20080092571A1 (en) * 2006-10-18 2008-04-24 Scotsman Ice System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the operation of an icemaking machine based to optimize the run time based on variable power rates
WO2008048654A2 (en) 2006-10-18 2008-04-24 Scottsman-Ice Systems Llc Textual display on ice-making machine to assist with ice machine diagnosis and method
US20080092574A1 (en) * 2006-10-20 2008-04-24 Doberstein Andrew J Cooler with multi-parameter cube ice maker control
KR20090002460U (ko) * 2007-09-06 2009-03-11 인프라닉스 주식회사 It기반의 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CN102346448B (zh) * 2010-08-03 2014-11-12 曼尼托沃食品服务有限公司 用于通知制冰周期启动时延的低压控制
CN103403478A (zh) * 2011-01-31 2013-11-20 曼尼托沃食品服务有限公司 制冰机安全模式下冷冻和收获的控制和方法
JP2013245923A (ja) * 2012-05-29 2013-12-09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EP2954273B1 (en) 2013-02-05 2020-07-29 True Manufacturing Co., Inc. Controlling a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971989A4 (en) * 2013-03-15 2016-11-30 Emerson Electric Co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S FOR A HVAC SYSTEM
US9951985B2 (en) * 2014-08-13 2018-04-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Refrigerant charge detection for ice machines
US11482100B2 (en) * 2015-03-28 2022-10-25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detection of anomalies in vehicle traffic patter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7041A1 (en) 2002-10-10 2004-06-17 Mile High Equipment Co. Ice machine with remote monitoring
JP2005101846A (ja) 2003-09-24 2005-04-14 Hoshizaki Electric Co Ltd 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5282971A (ja) 2004-03-30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
JP4401215B2 (ja) 2004-03-30 2010-01-20 三洋電機株式会社 製氷機
US20140208781A1 (en) * 2013-01-29 2014-07-31 True Manufacturing Compan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ice thickness and detecting failure modes of an ic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14745A (ja) 2018-06-07
EP3295097A1 (en) 2018-03-21
US20240142152A1 (en) 2024-05-02
MX2017014452A (es) 2018-03-16
CN107850362A (zh) 2018-03-27
US10775089B2 (en) 2020-09-15
EP3295097A4 (en) 2019-01-02
KR20170140412A (ko) 2017-12-20
US20160334157A1 (en) 2016-11-17
EP3295097B1 (en) 2020-07-29
WO2016183206A1 (en) 2016-11-17
US20200370812A1 (en) 2020-11-26
US11906231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689B1 (ko)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US11543161B2 (en) Ice maker with reversing condenser fan motor to maintain clean condenser
US11846459B2 (en) Ice machine with a dual-circuit evaporator for hydrocarbon refrigerant
US108903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the harvest cycle of an ice maker using a harvest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US9845982B2 (en) Variable-operating point components for cube ice machines
EP3183517B1 (en) An ice ma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CN103429976A (zh) 用于制冰机的控制系统
KR102383466B1 (ko) 제빙기의 탈빙 온도 제어 방법
KR20060003397A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급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