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602B1 -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602B1
KR102328602B1 KR1020200026649A KR20200026649A KR102328602B1 KR 102328602 B1 KR102328602 B1 KR 102328602B1 KR 1020200026649 A KR1020200026649 A KR 1020200026649A KR 20200026649 A KR20200026649 A KR 20200026649A KR 102328602 B1 KR102328602 B1 KR 102328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shing
ice maker
maker
grac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560A (ko
Inventor
천재윤
Original Assignee
블루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02B1/ko
Priority to US17/003,802 priority patent/US20210278118A1/en
Publication of KR2021011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의 세척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 제빙기의 세척을 강제적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빙기의 작동과정에서 제빙기의 세척주기 도달시, 제빙기의 세척을 유예할 수 있는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했는지 판단하며; 세척유예기간을 경과시,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며; 탈빙 작동의 완료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작동과 관련한 동작을 정지시켜 세척이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cleaning of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의 세척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 제빙기의 세척을 강제적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빙기는 얼음을 만들어주는 장치로서, 제빙기에서 얼음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급수밸브(WATER INLET VALVE)를 통해 외부에서 물이 워터탱크에 채워지는 급수과정이 진행된다.
이 과정을 통해 워터탱크에 물이 채워지면, 워터펌프가 작동되어 스프레이튜브를 통해 냉판(EVAPORATOR)에 물이 공급된다. 이때에, 압축기가 동작하여 차가워진 냉매와 냉판에 흘러내리는 물과의 열교환을 통해 얼음이 만들어지기 시작된다.
이에, 얼음이 커짐에 따라 워터탱크 내의 물의 수위는 계속 내려가게 되고, 얼음이 모두 만들어지게 되면 수위센서(LEVEL SENSOR)는 저수위를 가리키게 된다.
이때에, 제빙기는 얼음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하여 냉판의 얼음을 분리시키는 탈빙과정을 진행한다.
이어서, 얼음이 냉판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제빙기는 다시 제빙과정을 진행하고, 연속된 제빙과 탈빙과정을 통해 계속해서 얼음을 만들어낼 수 있다.
한편, 제빙기는 위와 같이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산하는 기능의 제품으로, 장시간 사용시, 물때 또는 물속의 불순물 등으로 인해 쉽게 오염될 수 있어, 제빙기를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해야 한다.
이에, 제빙기의 사용자는 제빙기의 내외부를 주기적으로 세척 및 살균하는 작업을 통해 제빙기를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지만, 제빙기를 언제 세척했는지, 그리고 언제 다시 세척을 해야 하는지 등 제빙기의 청결한 유지 관리를 위해 별도의 스케쥴 관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008760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빙기의 세척주기 도래시, 제빙기의 세척을 강제적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컨트롤러가, 제빙기의 작동과정에서 제빙기의 세척주기 도달시, 제빙기의 세척을 유예할 수 있는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유예기간 판단단계; 컨트롤러가, 세척유예기간의 경과 판단시,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탈빙 판단단계; 및 컨트롤러가, 탈빙 작동의 완료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작동과 관련한 동작을 정지시켜 세척이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작동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예기간 판단단계에서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세척주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면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탈빙 판단단계에서는,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될 때까지 제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은 제빙기 작동시간 또는 제빙/탈빙 횟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빙기의 세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세척주기를 리셋하는 단계; 제빙기의 재작동시, 세척주기를 다시 카운팅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빙기의 작동과정에서 제빙기의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을 기반으로 세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척시기 판단부;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를 모두 경과하여 세척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시,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작동판단부; 및 탈빙 작동의 완료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작동과 관련한 동작을 정지시켜 세척이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제빙기의 정해진 세척주기가 도래한 상태에서 세척을 유예할 수 있는 유예기간까지도 도래한 경우, 제빙기의 제빙 기능과 관련한 대부분의 작동을 금지시키게 됨으로써, 제빙기의 세척을 강제적으로 실시하도록 유도하여 제빙기를 청결하게 관리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세척 유도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세척 유도과정을 전체적으로 예시한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세척 유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세척시기 판단부(110)에서는 제빙기의 작동과정에서 제빙기의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을 기반으로 세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시기 판단부(110) 내에는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은 제빙기의 작동시간 및/또는 제빙기의 제빙/탈빙 횟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세척시기 판단부(110)에는 제빙기의 작동에 따라 제빙기의 작동시간 및/또는 제빙/탈빙 횟수가 카운팅되거나 실시간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작동시간 또는 제빙/탈빙 횟수를 기저장된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과 비교하여 세척이 필요한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작동판단부(120)에서는 상기 세척시기 판단부(110)에서 판단한 결과,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을 모두 경과하여 제빙기의 세척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시,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즉, 얼음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냉판을 차갑게 하여 냉판에 흘러내리는 물과 열교환하는 작동을 통해 제빙과정을 진행하고, 제빙작동에 따라 얼음 생성이 완료되면 냉판으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는 탈빙과정을 진행하여 얼음을 만들게 되는 것으로, 해당 회차의 제빙작동에 대한 탈빙작동까지 모두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게 된다.
작동제어부(130)에서는, 작동판단부(120)에서의 판단 결과, 탈빙 작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작동과 관련한 동작을 정지시켜 세척이 진행되도록 유도한다.
예컨대, 상기 작동제어부(130)는 제빙 및 탈빙 작동을 위한 워터펌프와 압축기를 비롯하여 물과 냉매가 순환되는 경로 상에서 능동적으로 작동되는 밸브류 등의 작동을 정지함으로써, 해당 탈빙 작동 완료 이 후에 새로운 제빙작동 및 탈빙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제어한다.
즉, 제빙기의 정해진 세척주기가 도래한 상태에서 세척을 유예할 수 있는 유예기간까지도 도래한 경우, 현재 실시하고 있는 제빙작동에 대한 탈빙작동까지만 허용한 후, 탈빙작동이 완료되면 제빙기의 제빙 기능과 관련한 대부분의 작동을 금지시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빙기의 세척을 더 이상 미루지 않고 강제적으로 실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제빙기를 청결하게 관리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세척 유도과정을 전체적으로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트롤러(100)가, 제빙기의 작동과정에서 제빙기의 세척주기 도달시, 제빙기의 세척을 유예할 수 있는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유예기간 판단단계; 컨트롤러(100)가,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시,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탈빙 판단단계; 및 컨트롤러(100)가, 탈빙 작동의 완료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작동과 관련한 동작을 정지시켜 세척이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작동정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빙기의 세척이 반드시 필요한 기간에 도래한 경우, 해당 회차에 얼음을 탈빙하는 작동까지만 실시한 후, 제빙기의 제빙 기능과 관련한 작동을 금지함으로써, 제빙기의 세척을 미루지 않고 강제적으로 실시하도록 유도하여 제빙기를 청결하게 관리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예기간 판단단계에서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세척주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면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빙기의 작동에 따라 기본적으로 세척이 요구되는 세척주기에는 도달하였지만, 세척유예기간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세척주기가 도래한 상황만을 알리고, 제빙기는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빙기를 특히 공공시설 또는 상업시설 등에서 사용시, 제빙기가 영업시간 중에 급작스럽게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영업시간을 피해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탈빙 판단단계에서는,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될 때까지 제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세척주기에 도달한 후,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한 경우라 하더라도, 현재 얼음을 만들기 위한 탈빙작동까지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빙기의 고객 불만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은 제빙기 작동시간 및/또는 제빙/탈빙 횟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제빙기의 사용지역 또는 국가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유예기간은 세척주기에 도달한 경우부터 카운팅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세척유예기간을 12시간 정도로 여유있게 설정하는 경우 제빙기가 급작스럽게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세척주기는 제빙기의 알림창에 표시될 수 있고,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을 경과시, 알림창을 통해 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소리로 경고할 수 있다.
한편, 제빙기의 세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세척주기를 리셋하는 단계; 제빙기의 재작동시, 세척주기를 다시 카운팅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빙기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 세척종료만 하고 제빙기를 전원 대기 상태로 두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세척주기를 카운팅하지 않고, 또한 세척이 완료된 후에, 장기간 미사용하는 경우, 세척주기를 카운팅하지 않게 된다. 물론, 제빙기를 재운전하는 경우에는 세척주기를 다시 카운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세척 유도과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제빙기의 작동 과정에서 제빙기의 세척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S10).
S10단계의 판단 결과, 세척주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알림창에 세척주기가 도달했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경고하는 한편,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S20).
그리고 이와 함께,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고(S30), 판단 결과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S20단계에 진입하여 제빙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반면, S30단계의 판단결과,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시, 해당 제빙작동에 대한 탈빙작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40).
S40단계의 판단결과, 탈빙작동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탈빙작동이 완료될 때까지 제빙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 탈빙작동을 완료한다(S50).
반면, S40단계의 판단결과, 탈빙작동이 완료된 경우,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기능과 관련한 모든 동작을 정지시켜, 제빙기의 세척을 진행하도록 강제적으로 유도한다(S60).
한편, S60단계에서 제빙기의 동작 정지 이 후, 세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70). 세척 완료 판단 여부는 세척이 필요한 제빙기 부품의 분해 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70단계의 판단결과, 세척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빙기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키고, 세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세척주기를 리셋한다(S80).
이어서, 제빙기의 재작동 여부를 판단한다(S90).
S90단계의 판단결과, 제빙기의 재작동시, 세척주기를 다시 카운팅하기 시작하고(S100), 제빙기를 재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빙기의 세척주기를 카운팅하지 않고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1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빙기의 정해진 세척주기가 도래한 상태에서 세척을 유예할 수 있는 유예기간까지도 도래한 경우, 현재 실시하고 있는 제빙작동에 대한 탈빙작동까지만 허용한 후, 탈빙작동이 완료되면 제빙기의 제빙 기능과 관련한 대부분의 작동을 금지시키게 되는바, 제빙기의 세척을 강제적으로 실시하도록 유도하여 제빙기를 청결하게 관리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컨트롤러
110 : 세척시기 판단부
120 : 작동판단부
130 : 작동제어부

Claims (6)

  1. 컨트롤러가, 제빙기의 작동과정에서 제빙기의 세척주기 도달시, 제빙기의 세척을 유예할 수 있는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유예기간 판단단계;
    컨트롤러가,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시,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탈빙 판단단계; 및
    컨트롤러가, 탈빙 작동의 완료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작동과 관련한 동작을 정지시켜 세척이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작동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은 제빙기 작동시간 및 제빙/탈빙 횟수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예기간 판단단계에서 세척유예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세척주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면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빙 판단단계에서는,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될 때까지 제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빙기의 세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시, 제빙기의 세척주기를 리셋하는 단계;
    제빙기의 재작동시, 세척주기를 다시 카운팅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6. 제빙기의 작동과정에서 제빙기의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을 기반으로 세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척시기 판단부;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을 모두 경과하여 세척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시, 현재 제빙 작동에 대한 탈빙 작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작동판단부; 및
    탈빙 작동의 완료시, 제빙기의 제빙 및 탈빙작동과 관련한 동작을 정지시켜 세척이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주기 및 세척유예기간은 제빙기 작동시간 및 제빙/탈빙 횟수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세척 유도시스템.
KR1020200026649A 2020-03-03 2020-03-03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KR102328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49A KR102328602B1 (ko) 2020-03-03 2020-03-03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US17/003,802 US20210278118A1 (en) 2020-03-03 2020-08-26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of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49A KR102328602B1 (ko) 2020-03-03 2020-03-03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560A KR20210111560A (ko) 2021-09-13
KR102328602B1 true KR102328602B1 (ko) 2021-11-19

Family

ID=7755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649A KR102328602B1 (ko) 2020-03-03 2020-03-03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278118A1 (ko)
KR (1) KR1023286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878A (ja) * 2003-06-27 2005-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製氷装置
JP2006336962A (ja) *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冷蔵庫
JP2007271234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Ltd 期限判定装置、点検時期告知装置、電気機器および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760A (ko) 2011-07-13 2013-01-23 정휘동 노즐 막힘을 방지하는 제빙 유닛
MX2017014452A (es) * 2015-05-11 2018-03-16 True Mfg Co Inc Maquina de hielo con notificacion automatica para indicar cuando se requiere mantenimiento.
CN109642765A (zh) * 2016-06-23 2019-04-16 真实制造有限公司 具有电容水位感测的制冰机
US10174984B2 (en) * 2016-09-01 2019-01-08 Follett Corporation Ice making system with provision for cleaning and cleaning method
KR20180069251A (ko) * 2016-12-15 2018-06-25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878A (ja) * 2003-06-27 2005-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製氷装置
JP2006336962A (ja) *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冷蔵庫
JP2007271234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Ltd 期限判定装置、点検時期告知装置、電気機器および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560A (ko) 2021-09-13
US20210278118A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4026B2 (ja) 給湯機の制御方法と装置
CN106247713B (zh) 窗式空调器的高温保护装置和方法
CN109489199B (zh) 空调系统的控制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JP2007060848A (ja) 電力量制御装置および電力量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2328602B1 (ko)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JP2017003158A (ja) ヒートポンプ装置及び貯湯式給湯機
CN108800420B (zh) 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
JP2524898B2 (ja) 製氷機のための電気制御装置
JP2009236424A (ja) ヒートポンプ給湯システム
CA3068638C (en) Heat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ice maker
AU2019299869B2 (en) Heat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ice maker
EP2990736A1 (en) Heat pump hot-water supply device and hot-water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heat pump hot-water supply device
KR1008368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470008A (zh) 用于空调除霜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
JP6222021B2 (ja) 給湯機
WO2011105489A1 (ja) 冷設機器の制御装置
JP6958492B2 (ja) 貯湯式給湯装置
CN110050163B (zh) 用于控制热泵的压缩机的方法
JP5853747B2 (ja) 貯湯式給湯機
JP2524916B2 (ja) 流下式製氷機のための電気制御装置
US11506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ce-making and ice-separating of ice maker
JP2010216751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5276489B2 (ja) 基板処理装置ならびに基板処理装置におけるグラフ描画周期決定方法およびグラフ描画方法
CN114427728B (zh) 一种空调及其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847683B (zh) 空调器的清洗控制方法、控制装置、处理器与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