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251A -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251A
KR20180069251A KR1020160171269A KR20160171269A KR20180069251A KR 20180069251 A KR20180069251 A KR 20180069251A KR 1020160171269 A KR1020160171269 A KR 1020160171269A KR 20160171269 A KR20160171269 A KR 20160171269A KR 20180069251 A KR20180069251 A KR 20180069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purifier
water
tray
ic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식
김종민
오동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9251A/ko
Publication of KR2018006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6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open or openable at both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은, 정수기가 청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청소상태 판단단계; 상기 청소상태 판단단계에서 상기 정수기가 청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얼음 추출 레버를 통해 얼음 추출 신호를 생성하는 추출신호 생성단계; 상기 추출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얼음 추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수기 내의 아이스 트레이가 현재의 위치에서 탈빙 위치로 이동한 후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동상태 검출단계; 및 상기 이동상태 검출단계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정상 이동이 확인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탈빙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METHOD OF INSPECTING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얼음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부 외에 얼음을 만드는 얼음 생성부를 구비한 정수기이다. 얼음정수기에 구비되는 얼음 생성부는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된 제빙용 정수에 얼음생성부재를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킨 후 얼음생성부재에서 얼음을 탈빙하여 얼음저장고에 저장할 수 있다.
얼음정수기는 오염 발생의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해주어야 하는데, 청소 과정에서 얼음 생성부의 주요 부품중 하나인 아이스 트레이가 탈부착되었을 때에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당 기술분야에서는 얼음정수기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아이스 트레이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은, 정수기가 청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청소상태 판단단계; 상기 청소상태 판단단계에서 상기 정수기가 청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얼음 추출 레버를 통해 얼음 추출 신호를 생성하는 추출신호 생성단계; 상기 추출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얼음 추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수기 내의 아이스 트레이가 현재의 위치에서 탈빙 위치로 이동한 후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동상태 검출단계; 및 상기 이동상태 검출단계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정상 이동이 확인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탈빙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정수기의 하우징 덮개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의 저수 탱크가 빈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할 수 있다.
상기 저수 탱크가 빈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수 탱크는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가 모두 비워져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청소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저수 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모두 배출하는 정수 배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얼음정수기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아이스 트레이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빙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탈빙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에서 청소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빙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탈빙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1)는 하우징(10), 하우징 덮개(11), 저수 탱크(20), 얼음 생성부(30), 얼음 저장고(40),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저수 탱크(20), 얼음 생성부(30), 얼음 저장고(40), 제어부(50)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개방이 가능한 하우징 덮개(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우징 덮개(11)를 개방하여 저수 탱크(20), 얼음 생성부(30), 얼음 저장고(40), 제어부(50)에 대한 청소, 정비,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덮개 센서(12)를 구비하여 하우징 덮개(10)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 덮개(11)가 열린 경우에는 얼음정수기(1)는 점검모드 또는 청소모드 상태에 놓여 작동이 중단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동작, 정수동작 등이 중단될 수 있다.
저수 탱크(20)는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저수 탱크(20)는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 탱크(20)는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조 또는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얼음 생성부(30)는 아이스 트레이(31), 증발기(32) 및 얼음생성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32)는 냉동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증발기(32)에는 제빙시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고, 탈빙시에는 핫 가스가 유동할 수 있다.
얼음생성부재(33)는 증발기(32)에 복수개가 연결되며, 증발기(32)와 같이 제빙시에는 냉매가 유동하고, 탈빙시에는 핫 가스가 유동할 수 있다. 얼음생성부재(33)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아이스 트레이(31)에 담겨진 정수와 열교환하여 얼음생성부재(33)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고, 얼음생성부재(33)에서 유동하는 핫 가스는 얼음생성부재(33)에 생성된 얼음(I)을 분리시킬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31)에는 저수 탱크(20)에서 공급되는 정수가 담겨지며, 담겨진 정수에 얼음생성부재(33)가 잠겨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정수가 담겨진 아이스 트레이(31)에 얼음생성부재(33)가 잠기면, 얼음생성부재(33)를 유동하는 냉매와 얼음생성부재(33) 주위의 정수와 열교환에 의해 얼음생성부재(33)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얼음 저장고(40)에는 얼음생성부재(33)에서 생성된 얼음(I)이 저장될 수 있다. 얼음 저장고(40)는 얼음생성부재(33)에서 생성된 얼음(I)이 낙하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얼음 생성부(3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얼음정수기(1)의 모드상태를 확인하고, 얼음 생성부(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증발기(32)와 얼음생성부재(33)에 냉매가 유동하거나 핫 가스가 유동하도록 제어하여 얼음(I)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얼음(I)이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아이스 트레이(31)를 회전시켜 제빙 위치 또는 탈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1)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제빙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아이스 트레이(31)를 회전시켜 제빙 위치로 이동시키고, 아이스 트레이(31)가 제빙 위치에 위치하면 저수 탱크(20)에서 아이스 트레이(31)에 제빙용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빙 위치는 아이스 트레이(31) 내부에 담겨진 제빙용 정수에 얼음생성부재(33)가 잠겨서 얼음(I)을 생성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얼음생성부재(33)가 아이스 트레이(31)에 담긴 제빙용 정수에 잠긴 상태에서 냉각시스템(미도시)을 작동시키면, 증발기(32)와 얼음생성부재(33)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한다. 따라서, 얼음생성부재(33)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와 얼음생성부재(33)가 잠긴 제빙용 정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얼음생성부재(33) 둘레에 얼음(I)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3) 둘레에 얼음 생성이 완료되면, 도 2에서와 같이, 탈빙신호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31)를 회전시켜 탈빙 위치로 이동시키고, 증발기(32)와 얼음생성부재(33)에 핫 가스를 유동시켜 얼음생성부재(33) 둘레에 형성된 얼음(I)을 분리시킬 수 있다. 얼음생성부재(33)에 형성된 얼음(I)은 얼음생성부재(33)에서 분리되어 낙하하게 된다. 즉, 탈빙된다. 여기서, 탈빙 위치는 아이스 트레이(31)가 얼음생성부재(31)에서 떨어지는 얼음(I)의 낙하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얼음생성부재(33) 아래에는 얼음 저장고(40)가 구비되어 있어서 얼음생성부재(33)에서 분리된 얼음은 얼음 저장고(40)로 낙하되어 저장되게 된다.
한편, 얼음정수기(1)는 하우징 덮개(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우징 덮개(11)를 개방하여 저수 탱크(20), 얼음 생성부(30), 얼음 저장고(40), 제어부(50)에 대한 청소, 정비,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 생성부(30)의 아이스 트레이(31)를 탈착하여 청소, 점검 등을 수행한 후 이를 원래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아이스 트레이(31)가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오조립 여부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아이스 트레이(31)는 얼음정수기(1) 청소 과정에서 탈부착되는데, 이때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얼음정수기(1)가 제빙동작을 시작할 때까지 오랜 시간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방법이 요구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에서 청소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얼음정수기(1)가 청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청소상태 판단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0).
이러한 청소상태 판단단계(S10)는, 제어부(50)를 통해서 얼음정수기(1)의 하우징 덮개(11)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고(S11), 개방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얼음정수기(1)의 저수 탱크(20)가 빈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12). 여기서, 저수 탱크(20)가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의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가 모두 비워져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하우징 덮개(11)의 개방 여부는 덮개 센서(12)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저수 탱크(20)가 비워져 있는지 여부는 수위 센서(미도시)를 통해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저수 탱크(20) 내에 정수가 감지되면, 저수 탱크(20)에 수용된 정수를 모두 배출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3).
하우징 덮개(11)가 개방되고, 저수 탱크(20)가 빈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얼음정수기(1)가 청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얼음정수기(1)가 청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얼음 추출 레버(미도시)를 통해 얼음 추출 신호가 생성되고, 제어부(50)는 얼음 추출 신호가 입력되면, 얼음정수기(1) 내의 아이스 트레이(31)를 회전시켜 현재의 위치에서 탈빙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시 회전시켜서 제빙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어부(50)는 아이스 트레이(31)가 제어에 따라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출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스 트레이(31)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여 아이스 트레이(31)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S30).
아이스 트레이(31)의 이동이 확인되면, 제어부(50)는 아이스 트레이(31)를 회전시켜서 탈빙 위치로 이동시키고(S40), 하우징 덮개(11)가 닫힌 상태인 것을 확인하면 얼음정수기(1)의 점검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정수기(1)의 청소모드 상태에서 아이스 트레이(31)를 다시 조립한 다음, 얼음 추출 레버를 눌러서 탈빙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아이스 트레이(3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얼음정수기에 대한 청소, 점검 등을 완료한 후 주요부품들이 오조립 없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제빙동작을 시작할 때까지 대략 7분 정도 대기할 필요가 없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얼음정수기
10... 하우징
11... 하우징 덮개
12... 덮개 센서
20... 저수 탱크
30... 얼음 생성부
40... 얼음 저장고
50... 제어부

Claims (4)

  1. 정수기가 청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청소상태 판단단계;
    상기 청소상태 판단단계에서 상기 정수기가 청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얼음 추출 레버를 통해 얼음 추출 신호를 생성하는 추출신호 생성단계;
    상기 추출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얼음 추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수기 내의 아이스 트레이가 현재의 위치에서 탈빙 위치로 이동한 후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동상태 검출단계; 및
    상기 이동상태 검출단계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정상 이동이 확인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탈빙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정수기의 하우징 덮개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의 저수 탱크가 빈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가 빈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수 탱크는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가 모두 비워져 있는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저수 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모두 배출하는 정수 배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KR1020160171269A 2016-12-15 2016-12-15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KR20180069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269A KR20180069251A (ko) 2016-12-15 2016-12-15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269A KR20180069251A (ko) 2016-12-15 2016-12-15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251A true KR20180069251A (ko) 2018-06-25

Family

ID=6280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269A KR20180069251A (ko) 2016-12-15 2016-12-15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92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560A (ko) * 2020-03-03 2021-09-13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560A (ko) * 2020-03-03 2021-09-13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제빙기의 세척 유도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689B1 (ko)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JP2018511769A (ja) 採氷センサと温度センサを用いて製氷機の採氷サイクル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209125A1 (en) Ice maker with slide out sump
US99955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ce by direct cooling and for preventing ice from melting in refrigeration equipment
US201603700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ce in refrigeration equipment
KR20090012680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정량 급수장치 및 급수방법
KR20180069251A (ko)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KR101275188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1696216B1 (ko) 얼음 정수기
KR20090111718A (ko) 얼음 정수기
KR100756991B1 (ko) 제빙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75699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급수 제어방법
KR101707428B1 (ko) 제빙기
RU2448310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ледогенератором
JP5052213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KR10063655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 장치 및 급수 제어 방법
JP4021281B2 (ja) 氷蓄熱装置
KR101631207B1 (ko) 얼음 정수기
KR20130033045A (ko) 제빙기
KR100710222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127921B1 (ko) 얼음 정수기용 제빙용 물받이 탈착 감지방법
KR101231043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JP4855094B2 (ja) 製氷機
KR102333355B1 (ko) 얼음 정수기
JP4869730B2 (ja) 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